BMW N74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N74 엔진은 BMW에서 개발한 V12 가솔린 엔진으로, 트윈 터보차저를 통해 성능을 향상시켰다. 가솔린 직분사, DOHC, 더블 VANOS 기술이 적용되었으며, ZF 8HP90 8단 자동 변속기와 결합하여 사용되었다. N74B60, N74B66, N74B66TU, N74B68 등 다양한 라인업으로 구성되었으며, BMW 7 시리즈와 롤스로이스 고스트, 팬텀, 컬리넌 등 고급 차량에 주로 탑재되었다. 대한민국에서는 롤스로이스 차량을 통해 주로 접할 수 있으며, 럭셔리 카 시장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BMW의 엔진 - BMW N73
BMW N73 엔진은 2003년부터 2015년까지 생산된 BMW의 V12 가솔린 엔진으로, N73B60(5,972 cc)과 N73B68(6,749 cc) 두 가지 버전으로 BMW 7 시리즈와 롤스로이스 팬텀에 사용되었다. - V12 엔진 - 람보르기니 V12
람보르기니 V12는 페라리와의 경쟁을 위해 지오토 비차리니가 설계한 엔진으로, 아우디 인수 후에도 지속적인 업그레이드를 거쳐 아벤타도르에 탑재되었으며, 포뮬러 원에도 참여하여 1990년 일본 그랑프리에서 3위를 기록했다. - V12 엔진 - 메르세데스-벤츠 M279 엔진
메르세데스-벤츠 M279 엔진은 M275 엔진을 기반으로 효율성과 배출가스를 개선하고 AMG 모델의 성능을 향상시킨 V12 엔진으로, 다양한 고급 모델과 특히 AMG 모델에서 높은 출력과 토크를 제공한다.
BMW N74 | |
---|---|
엔진 정보 | |
![]() | |
이름 | BMW N74 엔진 |
제작 기간 | 2009년–현재 |
엔진 형식 | 60° V12 |
이전 엔진 | BMW N73 |
밸브 트레인 | DOHC VVT |
배기량 | (2009년–2015년) (2009년–2022년) |
스트로크 | |
실린더 블록 | 알루미늄 |
실린더 헤드 | 알루미늄 |
연료 종류 | 가솔린 |
과급 방식 | 트윈 터보 |
2. 디자인
이전 모델인 BMW N73과 비교하여 N74는 트윈 터보차저를 갖추고 있다. 이는 자연 흡기 방식이었던 N73에는 없던 특징이다. 터보차저는 엔진 외부에 있으며 0.8bar (11.6 psi)의 부스트 압력을 사용한다. 기본 구성에서 엔진의 압축비는 10:1이며, 특정 연료 소비량은 245 g·kW-1·h-1이다.[17][5]
N74 엔진은 가솔린 직분사 시스템, DOHC, 그리고 가변 밸브 타이밍 기술인 더블 VANOS를 적용했다.[13][14][1][2] 하지만 가변 밸브 리프트 기술인 Valvetronic은 적용되지 않았다.[15][3]
또한, N74 엔진은 BMW가 처음으로 8단 자동 변속기를 사용한 사례로, ZF 8HP90 변속기와 함께 조합되었다.[16][4]
N74 엔진은 주로 롤스로이스 모델과 BMW 7 시리즈의 일부 고성능 모델(F01/F02 760Li, G11/G12 760Li 등)에 탑재되었다.[12] 배기량은 6.6L(N74B66형)와 6.8L(N74B68형) 두 가지 종류가 있다. 2022년 7세대 7 시리즈(G70) 출시 이후에는 롤스로이스 모델에만 탑재되고 있다.
3. 라인업 (Variants/버전)
N74 엔진은 가솔린 직접분사 시스템, 흡배기 가변 밸브 타이밍 기구인 더블 VANOS, 그리고 트윈 터보 기술을 특징으로 한다. 배기량과 튜닝에 따라 여러 버전으로 나뉘며, 크게 6.0L (N74B60), 6.6L (N74B66/N74B66TU), 6.75L (N74B68) 세 가지로 구분된다. 초기에는 BMW 7 시리즈의 최상위 모델(760Li 등)에도 탑재되었으나,[12] 이후 주로 롤스로이스 모델에 다양한 출력 버전으로 적용되었다. 특히 N74B68 버전은 롤스로이스 전용으로 개발되었다.
3. 1. N74B60
N74B60은 N74 엔진의 초기 버전으로, N74B60A라고도 불린다.[17] 이 엔진은 배기량 5972cc이며, 보어는 89mm, 스트로크는 80mm이다.[6] 최고 출력은 5,240 rpm에서 400kW (544 PS)이며, 최대 토크는 1,500–5,000 rpm 구간에서 750Nm를 발휘한다.[17] 압축비는 10.0:1이고, 레드라인은 7,000 rpm이다.[6]
2009년부터 2015년까지 BMW F01/F02/F03 760i/760Li 모델에 탑재되었다.[7]
3. 2. N74B66
N74B66은 N74B60 엔진의 보어(89.0mm)는 유지하면서 스트로크를 88.3mm로 늘려 배기량을 6,592cc로 확대한 버전이다.[4] 레드라인은 7,000rpm이며 압축비는 10.0:1이다. 가솔린 직분사 시스템, 흡배기 가변 밸브 타이밍 기구(더블 VANOS), 트윈 터보 기술이 적용되었다.
주로 롤스로이스 모델에 탑재되었으며, 다양한 출력과 토크 사양으로 제공되었다.
=== 제원 ===
최고 출력 | 최대 토크 | 적용 기간 |
---|---|---|
420kW @ 5,250 rpm | 780Nm @ 1,500–5,000 rpm | 2009년–2020년 |
465kW @ 5,600 rpm | 800Nm @ 1,500–5,500 rpm | 2013년–2022년 |
442kW @ 5,250 rpm | 840Nm @ 1,500 rpm | 2016년–2020년 |
'''주요 적용 차량:'''
- 롤스로이스 고스트 (2009년 10월–)[12]: 420kW 버전 등 탑재.
- 롤스로이스 고스트 EWB (2011년 10월–)
- 롤스로이스 레이스 (2014년–): 465kW 버전 등 탑재.
- 롤스로이스 던 (2015년–): 420kW 버전 등 탑재.
- Eadon Green 판테온 쿠페 (2019년)[1]
- BMW G12 760Li (2015년–2022년): N74B66B 형식으로 탑재. 하위 섹션 N74B66TU 참조.
2009년 F02 760Li 모델에도 초기 버전이 탑재되었으며,[12] 이후 G12 760Li까지 이어졌으나, 2022년 G70 출시 이후로는 롤스로이스 모델에만 탑재되고 있다.
3. 2. 1. N74B66TU
N74B66TU는 N74B66 엔진의 기술 업데이트(TU, Technical Update) 버전으로, 2016년에 BMW 7 시리즈의 플래그십 모델에 탑재되기 시작했다. 이 업데이트는 주로 엔진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술적 개선에 중점을 두었다.=== 제원 ===
배기량 | 최고 출력 | 최대 토크 | 적용 기간 |
---|---|---|---|
6592cc | 449kW @ 5,500 rpm | 800Nm @ 1,500 rpm | 2016년–2022년 |
(위 제원은 초기 모델 기준이며, 연식 및 지역별로 차이가 있을 수 있음)
=== 상세 ===
2020년 페이스리프트 모델의 경우, 유럽 연합(EU) 시장에서는 강화된 배출가스 규제를 충족하기 위해 최고 출력이 430kW로 조정되었다. 대신 최대 토크를 850Nm로 높여 성능 저하를 일부 보완했다. 반면, 미국 시장용 모델은 토크가 증가하면서도 최고 출력은 기존 수준(약 600마력)을 유지했다.
N74B66TU 엔진은 G12 롱 휠베이스 모델에만 적용되었다. 미국에서는 'M760i', 그 외 시장에서는 주로 'M760Li'라는 모델명으로 판매되었으나, 숏 휠베이스(G11) 모델에는 이 엔진이 탑재되지 않았다.
=== 적용 차량 ===
- 2016년–2022년 G12 M760Li xDrive
3. 3. N74B68
N74B68은 배기량 6.75L의 V12 엔진이다. 최고 출력은 5,250 rpm에서 420kW, 최대 토크는 1,500 rpm에서 900Nm를 발휘한다. 가솔린 직접분사 시스템, 흡배기 가변 밸브 타이밍 기구인 더블 VANOS, 그리고 트윈 터보 기술이 적용되었다.이 엔진은 2017년부터 생산되었으며, 롤스로이스 팬텀 VIII에 처음 탑재되었다. 이후 팬텀과 동일한 플랫폼을 공유하는 롤스로이스 컬리넌, 롤스로이스 고스트에도 사용되고 있다.[11]
'''탑재 차량'''
4. 대한민국 내 적용
N74 엔진은 대한민국에서 주로 최고급 럭셔리 자동차 브랜드인 롤스로이스 모델을 통해 접할 수 있다. 과거 BMW의 플래그십 세단 BMW 7 시리즈 일부 모델에도 탑재되었으나, 현재는 롤스로이스 차량에만 적용된다.
N74 엔진이 탑재된 주요 모델은 다음과 같다.
엔진 형식 | 주요 탑재 모델 (대한민국 판매 모델 중심) | 탑재 기간 (참고) |
---|---|---|
N74B60A | BMW 7 시리즈 (F02) 760Li | 2009년 ~ 2015년 |
N74B66 | 롤스로이스 고스트 | 2009년 ~ |
롤스로이스 고스트 EWB | 2011년 ~ | |
BMW 7 시리즈 (G12) 760Li (N74B66B) | 2015년 ~ 2022년 | |
N74B68 | 롤스로이스 팬텀 | 2018년 ~ |
롤스로이스 컬리넌 | 2018년 ~ |
BMW 7 시리즈의 경우, 5세대 F02 760Li 모델과 6세대 G12 760Li 모델에 N74 엔진이 탑재되었다.[12] 하지만 2022년 출시된 7세대 G70 모델부터는 N74 엔진 라인업이 제외되어, 현재 신차로 판매되는 BMW 모델 중에는 N74 엔진을 탑재한 차량이 없다. 따라서 현재 대한민국에서 N74 엔진은 롤스로이스 고스트, 팬텀, 컬리넌 등 롤스로이스의 주력 모델을 통해서만 경험할 수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Information on N74 engines
http://www.bmwheaven[...]
2017-08-11
[2]
서적
25 years of BMW 12-cylinder engines: setting new standards in the luxury class
https://www.press.bm[...]
BMW Corporate Communications
2012-10
[3]
웹사이트
BMW N74 engine
http://australiancar[...]
2017-03-12
[4]
웹사이트
2010 BMW 760Li – Second Drive – Car Reviews
http://www.caranddri[...]
2017-03-12
[5]
간행물
Der neue Zwölfzylinder-Ottomotor von BMW
https://doi.org/10.1[...]
2009-11
[6]
웹사이트
BMW N73 and N74 V12 Engines
http://www.unixnerd.[...]
2017-08-11
[7]
웹사이트
BMWBLOG Road Review: 2013 BMW 760Li – The Power of 12
http://www.bmwblog.c[...]
2012-11-09
[8]
웹사이트
The new BMW M760Li xDrive
https://www.press.bm[...]
2017-08-11
[9]
웹사이트
Watch BMW's twin turbo all wheel drive V12 G11 M760li hustle to 162 miles per hour
http://www.bimmerboo[...]
2017-08-11
[10]
웹사이트
BMW N74B66TU / M760li xDrive
https://www.drive2.r[...]
2016-03-29
[11]
웹사이트
RealOEM.com - Online BMW Parts Catalog
http://www.realoem.c[...]
2017-11-20
[12]
웹사이트
■BMW7シリーズに544psの最上級「760Li」登場
http://www.webcg.net[...]
2013-04-22
[13]
웹인용
Information on N74 engines
http://www.bmwheaven[...]
2017-08-11
[14]
서적
25 years of BMW 12-cylinder engines: setting new standards in the luxury class
https://www.press.bm[...]
BMW Corporate Communications
2012-10
[15]
웹인용
BMW N74 engine
http://australiancar[...]
2017-03-12
[16]
웹인용
2010 BMW 760Li – Second Drive – Car Reviews
http://www.caranddri[...]
2017-03-12
[17]
간행물
Der neue Zwölfzylinder-Ottomotor von BMW
https://doi.org/10.1[...]
2009-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