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가변 밸브 타이밍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가변 밸브 타이밍(VVT)은 엔진의 성능과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밸브의 개폐 시기나 양을 조절하는 기술이다. 피스톤 엔진에서 흡기 및 배기 밸브는 캠축의 캠에 의해 작동하며, VVT는 캠의 형상이나 위상각을 변화시켜 엔진의 회전 속도에 따라 최적의 밸브 타이밍을 제공한다. 이 기술은 고회전 영역에서는 공기 흡입량을 늘리고, 저회전 영역에서는 연소되지 않은 연료 배출을 줄여 출력, 연비, 배기가스 정화 성능을 개선한다. VVT는 캠 위상 조정, 캠 전환, 진동 캠, 편심 캠 구동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되며, 각 제조사마다 CVVT, VTEC, VANOS, VVT-i 등과 같은 고유한 명칭으로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가변 밸브 타이밍 - VANOS
    VANOS는 밸브 타이밍을 조절하여 엔진 성능을 향상시키는 가변 장치 시스템으로, 중간 속도에서 토크를 높이고 연료 소비와 배출 가스를 줄이며, 고속에서는 최대 출력을 제공하며, Single VANOS와 Double VANOS 두 가지 형태가 있고 BMW의 다양한 모델에 적용되었다.
  • 자동차 부품 - 변속기
    변속기는 톱니바퀴를 사용하여 회전수와 방향을 바꾸는 장치이며, 자동차의 주행 조건에 맞춰 엔진의 회전 속도를 조절하고 토크를 변화시키며, 수동변속기와 자동변속기로 구분된다.
  • 자동차 부품 - 스티어링 휠
    스티어링 휠은 자동차의 방향을 조절하는 표준 조향 장치로, 초기 틸러의 단점을 보완하여 도입되었으며 안전성과 편의성이 향상되어 현대에는 다양한 기능과 형태로 발전했고 자동차 외 다른 분야에서도 활용된다.
가변 밸브 타이밍
가변 밸브 타이밍
설명밸브 리프트 이벤트의 타이밍을 변경하는 과정
역사
초기 적용1960년대 (피아트)
본격적인 대중화1990년대
작동 원리
목표엔진 성능 및 연료 효율 최적화
주요 조절 요소밸브 개폐 시점
밸브 개폐 지속 시간
밸브 리프트 높이 (일부 시스템)
제어 방식유압식
전자식
기계식
가변 밸브 타이밍 종류
캠 위상 변경 (CPV)캠축의 각도를 조절하여 밸브 타이밍 변경
가변 밸브 리프트 (VVL)밸브 리프트 양을 변경 (별도의 장치 필요)
연속 가변 밸브 타이밍 (CVVT)밸브 타이밍을 연속적으로 가변 제어
응용 분야
내연 기관가솔린 엔진
디젤 엔진
효과
엔진 성능 향상전반적인 엔진 작동 범위에서 최적의 성능 발휘
연료 효율 증가연소 효율 증대 및 펌핑 손실 감소
배기가스 감소유해 배기가스 배출량 감소
기타
관련 기술가변 밸브 리프트
가변 흡기 매니폴드
같이 보기
관련 항목밸브 타이밍
캠축

2. 작동 원리

일반적으로 피스톤 엔진에서는 흡기 밸브와 배기 밸브(포핏 밸브)를 사용한다. 이 밸브들은 캠축에 장착된 에 의해 작동되며, 캠은 흡기와 배기 시에 일정 시간 동안 밸브를 연다. 밸브 개폐 타이밍은 매우 중요하며, 캠축은 타이밍 벨트, 기어, 또는 체인을 통해 크랭크축에 의해 구동된다.

캠 로브의 형상과 위상각은 엔진의 특정 회전 속도에 최적화되어 있으며, 이 때문에 최저 토크나 최고 출력에 한계가 발생한다. 가변 밸브 타이밍(VVT)은 캠 형상이나 위상각을 변경하여 효율과 출력을 높이는 기술이다.

높은 엔진 회전 속도에서는 많은 공기가 필요하지만, 흡기 밸브가 충분히 열리기 전에 닫혀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반면, 낮은 회전 속도에서는 밸브가 너무 오래 열려 있으면 연소되지 않은 연료가 빠져나가 성능 저하 및 배기가스 증가를 유발한다.

4행정 엔진에서는 피스톤의 이동 속도(엔진 회전 속도)와 흡·배기 유속에 맞춰 밸브 개폐를 제어해야 한다. 흡기 행정에서는 피스톤이 하강하기 직전에 흡기 밸브를 열지만, 최적의 밸브 타이밍은 피스톤 속도에 따라 달라진다. 흡기 행정이 끝나고 압축 행정으로 넘어가도 흡기 유속이 충분하면 흡기의 관성력 때문에 흡기 밸브를 늦게 닫는 것이 효율적일 수 있다.

배기 행정에서도 피스톤이 하강하기 직전에 배기 밸브를 열지만, 고회전 영역에서는 연소 압력으로 피스톤이 내려가는 도중에 배기 밸브를 여는 것이 효율적이다. 배기 행정이 끝나고 흡기 행정으로 넘어가도 배기 유속에 따라 배기 밸브를 열어두는 것이 효율적일 수 있다.

기존에는 회전수나 부하에 따라 최적의 밸브 타이밍과 리프트량이 변하므로, 특정 부하 영역에 맞춰 고정하고 다른 영역에서는 효율을 희생해야 했다. 가변 밸브 타이밍은 밸브 타이밍과 리프트량을 가변적으로 조절하여 부하 영역에 따라 항상 최적의 밸브 동작을 구현하는 기술이다.

실제 기구에는 캠 회전각에 위상을 부여하는 방식, 형상이 다른 캠을 여러 개 준비하여 전환하는 방식, 이 둘을 조합하는 방식 등이 있다.

환경 및 연비 규제 강화로 자동차 제조사들은 VVT를 채택하는 경향이 늘고 있다.

2. 1. 연속 가변 밸브 타이밍 (CVVT)

BMW의 밸브트로닉은 밸브 타이밍과 밸브 개방 정도를 연속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데, 이러한 방식을 연속 가변 밸브 타이밍(CVVT)이라 부른다.[2][3]

초기 가변 밸브 타이밍 시스템은 단계적으로 밸브 타이밍을 조정했다. 예를 들어, 3500rpm 이하에서는 한 가지 타이밍을, 3500rpm 이상에서는 다른 타이밍을 사용하는 방식이었다.

그러나 "연속 가변 밸브 타이밍" 시스템은 밸브 타이밍을 연속적(무한대)으로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엔진의 모든 속도와 작동 조건에 맞게 밸브 타이밍을 최적화할 수 있다.[2][3]

2. 2. 캠 위상 조정 (Cam Phasing)

캠 위상 조정(cam-phasing)은 가장 일반적인 가변 밸브 타이밍(VVT) 방식이다. 이 방식은 캠축의 위상각을 크랭크축에 대해 앞뒤로 회전시켜 밸브 개폐 시기를 조절한다. 즉, 밸브는 더 일찍 또는 더 늦게 열리고 닫히지만, 캠 위상 조정 시스템만으로는 밸브 리프트와 지속 시간은 변경할 수 없다.[2]

베인식 유압 VVT의 내부 구조. 록킹 핀 체결에 의해 하우징과 베인이 고정된 상태.


록킹 핀이 해제되어 위상 변화가 발생하고 있는 상태.


많은 양산 VVT 시스템은 캠 위상(위상은 흡기 및 배기 캠샤프트 간의 상대적인 타이밍을 각도로 나타낸 것)을 변경하는 베리에이터(variator)라고 하는 장치를 사용하는 '캠 위상' 방식이다. 이를 통해 캠 타이밍을 연속적으로 조정할 수 있지만(초기 시스템의 경우 이산 조정만 사용한 경우가 많음), 지속 시간과 리프트는 조정할 수 없다.

현재 가장 보편적인 VVT 방식은 크랭크축에 대해 캠축을 앞뒤로 회전시켜 밸브 타이밍을 변경하는 것이다. 밸브 리프트량과 작동각은 변하지 않는다. 밸브 오버랩 최적화뿐만 아니라, 밸브 늦은 닫힘을 이용한 밀러 사이클 실현에도 사용된다. 일반적인 구조로는 캠 구동용 스프로킷에 내장된 액추에이터가 사용된다. 초기에는 유압을 사용하여 구동했고, 위상은 2단계로 전환되는 정도였지만, 1990년대에 전자 제어에 의한 연속 위상 가변식이 등장했다. 초기에는 위상이 헬리컬 스플라인에 의해 생성되었지만, 비용, 내구성, 크기의 관계로 일부 차량에만 채용되었다. 그 후, 간단하고 저렴한 베인식이 개발됨에 따라 급속도로 보급되었다. 현재의 유압식은 기본적으로 이 베인식이다.

종래의 베인식은 위상의 최후각 측을 엔진의 냉간 시동에 최적인 밸브 타이밍에 맞추는 것이 기본이었다. 이는 시동 순간에는 유압 부족으로 인한 베인의 떨림이 발생하기 때문에 베인을 잠금 핀으로 고정해둘 필요가 있고, 최후각에서 고정(잠금 핀의 삽입)이 제어상 용이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후 연비 향상 요구의 증가로 밸브 늦은 닫힘에 의한 밀러 사이클이 주목받으면서, 2012년 아이신에 의해 일반 주행 시 시동 시보다 늦은 각도 쪽의 밸브 타이밍을 실현하는 “중간 잠금 VVT”도 실용화되었다.

유압식은 작동 범위가 유온 등의 운전 조건에 좌우되는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전동식도 등장하고 있다. 초기에는 고비용이었던 전동식도 최근에는 저비용화가 진행되어 1.3L급 소형 엔진에도 채용이 확대되고 있다. 흡기와 배기 중 어느 한쪽에 채용하는 경우, 흡기 효율 개선을 목적으로 흡기 측만 가변으로 하는 경우가 많지만, 내부 EGR 등에 의한 효과[33]를 중시하여 배기 측만 가변으로 한 예[34]도 있다. 2000년대 중반부터는 일본차의 중·대배기량 엔진을 중심으로 배기 측에도 보급되었고, 2010년대 이후는 경차를 포함한 저비용 소형 엔진에도 흡기와 배기 양쪽에 채용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캠 위상 조정 방식의 장점은 회전수나 부하에 맞춰 적절한 밸브 타이밍을 설정함으로써 출력, 연비, 배기가스 정화 성능 향상 등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이다. 초기에는 단계적으로 전환하는 것뿐이었지만, 연속 가변형이 등장함에 따라 상황에 맞춰 더욱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게 되었다. 캠축의 위상만 변경하면 되므로 캠축을 제외한 밸브 기구의 변경이 필요 없어 도입이 용이하다. 로커 암이 없는 직접 작동 방식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단점은 캠 작동각(밸브 개방각)과 리프트량은 일정하기 때문에 캠 프로파일을 초과한 성능은 얻을 수 없다는 것이다. 작동각이 일정하기 때문에 위상 변화는 개방 시기와 폐쇄 시기에 모두 영향을 미친다.[35] OHVSOHC에서는 흡기, 배기 모두 변화하여 오버랩이 변하지 않기 때문에 DOHC에 비해 얻을 수 있는 이점이 적다.[36]

  • 채용 사례 - 많은 메이커가 채용하고 있다.


2. 3. 기타 방식


  • 캠 전환 (Cam Switching)


이 방식은 두 개의 캠 프로파일을 사용하며, 액추에이터를 이용하여 특정 엔진 속도에서 프로필을 전환한다. 캠 전환은 가변 밸브 리프트와 가변 지속 시간을 제공할 수도 있지만, 조정은 연속적이라기보다는 불연속적이다.

이 시스템을 처음 양산에 적용한 사례는 혼다의 VTEC 시스템이다. VTEC은 유압을 변경하여 핀을 작동시키고, 이 핀은 높은 리프트와 긴 지속 시간의 로커 암을 인접한 낮은 리프트와 짧은 지속 시간의 로커 암에 고정한다.[2]

  • 진동 캠 (Oscillating Cam)


이 설계는 팔로워에 작용하는 부분 캠 로브에서 진동 또는 로킹 동작을 사용한다. 이 팔로워는 밸브를 열고 닫는다. 일부 진동 캠 시스템은 기존 캠 로브를 사용하는 반면, 다른 시스템은 편심 캠 로브와 연결봉을 사용한다. 원리는 실린더로 유입되는 증기량이 증기 "차단" 지점에 의해 조절되는 증기 기관과 유사하다.

이 설계의 장점은 리프트와 지속 시간의 조정이 연속적이라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시스템에서는 리프트가 지속 시간에 비례하므로 리프트와 지속 시간을 개별적으로 조정할 수 없다.

BMW(밸브트로닉(valvetronic)),[20] 닛산(VVEL), 그리고 토요타(밸브매틱(valvematic))의 진동 캠 시스템은 흡기 밸브에만 작용한다.

  • 편심 캠 구동 (Eccentric Cam Drive)


편심 캠 구동 시스템은 편심 디스크 기구를 통해 캠 로브의 회전 중 각속도를 느리게 하거나 빠르게 한다. 개방 기간 동안 로브의 속도를 늦추는 것은 지속 시간을 늘리는 것과 같다.

이 시스템의 장점은 리프트와 무관하게 지속 시간을 변경할 수 있다는 점이다(하지만 이 시스템은 리프트를 변경하지는 않는다).[21] 단점은 각 실린더에 흡기 밸브용과 배기 밸브용으로 각각 두 개의 편심 구동 장치와 컨트롤러가 필요하다는 점이다. 이로 인해 복잡성과 비용이 증가한다.

MG 로버(MG Rover)는 이 시스템을 사용하는 엔진을 출시한 유일한 제조업체이다.

3. 타이밍 조정의 효과

피스톤 엔진에서 흡기와 배기 시에 사용되는 포핏 밸브는 캠축에 장착된 에 의해 작동하며, 캠은 밸브를 일정 시간 동안 연다. 밸브 개폐 타이밍은 엔진 성능에 큰 영향을 미치는데, 캠축은 타이밍 벨트, 기어, 또는 체인을 통해 크랭크축에 의해 동작한다.[2]

캠 로브의 형상과 위상각은 특정 엔진 회전대역에 최적화되어 있어, 이 때문에 최저 토크나 최고 출력에 한계가 발생한다. 가변 밸브 타이밍(VVT)는 캠의 형상이나 위상각을 변화시켜 효율과 출력을 높이는 기술이다.[2]

높은 엔진 회전대역에서는 많은 공기가 필요하지만, 흡기 밸브가 빨리 닫히면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반면, 낮은 회전대역에서 밸브가 너무 오래 열려 있으면 연료가 낭비되고 배기가스가 증가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VVT 시스템이 개발되었다.[2]

VVT 시스템은 흡기 및 배기 밸브의 개폐 시기를 조절하여 다양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환경 및 연비 규제가 강화되면서 자동차 제조사들은 VVT 채택을 늘리고 있다. 마즈다의 S-VT와 같은 단순한 VVT 시스템은 밸브 타이밍을 조절하는 기능을 가지지만, 혼다의 VTEC은 특정 엔진 회전대역에서 캠 로브 사이를 변경한다. BMW의 밸브트로닉은 연속 가변 밸브 타이밍(CVVT) 방식을 사용한다.[2]

4행정 레시프로 엔진에서 효율적인 흡배기를 위해서는 피스톤의 이동 속도(엔진의 회전 속도)와 흡배기의 유속에 맞춰 밸브의 개폐 동작을 제어해야 한다. 흡기 행정에서는 피스톤이 하강하기 시작하기 조금 전에 흡기 밸브를 열기 시작하지만, 가장 효율적인 흡기 유속을 얻기 위한 밸브 타이밍은 피스톤 속도에 따라 변한다. 피스톤에 의한 흡기 행정이 끝나고 압축 행정으로 들어가더라도, 흡기 유속이 충분히 높다면 흡기의 무게에 의한 관성력이 작용하기 때문에, 흡기 밸브를 늦게 닫는 편이 충전 효율이 높아지는 영역도 존재한다.

배기 행정에 대해서도 피스톤이 하강을 끝내기 조금 전에 배기 밸브를 열기 시작하지만, 특히 고회전 영역에서는 연소 압력에 의해 피스톤이 밀려 내려가는 도중에 배기 밸브를 열기 시작하는 편이 배기 행정의 피스톤 상승이나 다음 행정의 흡기를 방해하지 않고 효율이 좋아진다. 또한, 배기 행정이 끝나고 피스톤이 하강하기 시작하여 흡기 행정으로 넘어가더라도, 배기 유속에 따라 배기 밸브를 열어 두는 편이 효율이 좋은 영역도 있다.

기존에는 회전수나 부하에 따라 최적의 밸브 타이밍 및 리프트량이 변하여, 이들을 어떤 일정한 부하 영역에서 최적으로 되도록 고정하고, 그 이외의 영역에서의 효율을 희생할 수밖에 없었다. 가변 밸브 타이밍 기구는 밸브 타이밍 및 리프트량을 가변으로 함으로써, 부하 영역에 따라 항상 밸브 동작이 최적으로 되도록 변화시켜 나간다.

캠의 회전각에 위상을 부여하거나, 형상이 다른 캠을 여러 개 준비하여 전환하거나, 이 둘을 조합하는 방식등이 사용된다. 실린더 비활성화는 캠 전환에 의해 흡배기 밸브(또는 흡기 밸브만)를 닫아 실질적으로 작동하는 실린더의 수를 줄이는 방식으로, 엔진 출력이 떨어지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스로틀 개도가 커지고 펌핑 손실이 저감된다. 저속 주행 등 저부하 시의 열효율을 높이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배기량을 변화시킬 수 있고, 출력을 억제함으로써 필요한 출력이 작을 때 연비 측면에서 유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단점은 정지 시의 진동이나 정지 시의 출력 변화 등이 문제로 지적된다.

캐딜락에 처음 채용된 것으로 여겨지며, 일본에서는 1세대 랜서 피오레 등에 채용된 MD 엔진(G12B)이 최초이다.

3. 1. 흡기 밸브 늦게 닫기 (LIVC)

피스톤 엔진에서 흡기 밸브를 늦게 닫는 방식(LIVC)은 연속 가변 밸브 타이밍(CVVT)의 한 종류이다. 이 방식은 흡기 밸브를 기존 엔진보다 조금 더 오래 열어두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3]

이렇게 하면 피스톤이 압축 행정을 시작할 때 공기를 실린더 밖으로 밀어내 흡기 매니폴드로 되돌려 보내게 된다. 이로 인해 매니폴드 내 압력이 높아지고, 다음 흡기 행정에서 더 높은 압력의 공기가 유입된다. 실험 결과에 따르면, 흡기 밸브 늦게 닫기는 부분 부하 조건에서 펌핑 손실을 40% 감소시키고, 질소 산화물(NOx) 배출량을 24% 줄이는 효과를 보인다. 최대 엔진 토크는 1% 정도만 감소하며, 탄화수소 배출량은 변화가 없었다.[3]

3. 2. 흡기 밸브 일찍 닫기 (EIVC)

낮은 엔진 속도, 높은 진공 조건에서 펌핑 손실을 줄이는 방법으로 일반적인 경우보다 흡기 밸브를 일찍 닫는 방식이 있다. 이는 흡입 행정 중간에 흡기 밸브를 닫는 것을 포함한다. 저부하 조건에서는 공기/연료 요구량이 매우 낮고 실린더를 채우는 데 필요한 작업이 상대적으로 높으므로, 흡기 밸브를 일찍 닫으면 펌핑 손실을 크게 줄일 수 있다.[3] 연구에 따르면 흡기 밸브를 일찍 닫으면 펌핑 손실이 40% 감소하고 연비가 7% 향상된다. 또한 부분 부하 조건에서 질소 산화물(NOx) 배출량도 24% 감소한다. 그러나 흡기 밸브를 일찍 닫으면 연소실 온도가 크게 낮아져 탄화수소 배출량이 증가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3]

3. 3. 흡기 밸브 일찍 열기 (EIVO)

흡기 밸브 일찍 열기는 배기가스를 줄이는 기술이다. 기존 피스톤 엔진에서는 밸브 중복이라는 과정을 통해 실린더 온도를 제어한다. 흡기 밸브를 일찍 열면, 불활성/연소된 배기가스 일부가 흡기 밸브를 통해 실린더에서 역류하여 흡기 매니폴드에서 잠시 냉각된다. 이 불활성 가스는 이후 흡입 행정에서 실린더를 채우며, 실린더 온도와 질소 산화물 배출량을 제어한다. 또한 배기 행정에서 배출해야 하는 배기가스가 줄어들어 체적 효율이 향상된다.[3]

3. 4. 배기 밸브 일찍/늦게 닫기 (EEVC/LEVC)

배기 밸브의 개폐 시기를 조절하여 배출 가스를 줄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피스톤 엔진에서 배기 밸브가 열리고 피스톤이 위로 이동하면서 배기 가스가 실린더에서 배기 매니폴드로 밀려 나간다. 배기 밸브의 타이밍을 조절하여 엔지니어는 실린더에 남아 있는 배기 가스의 양을 제어할 수 있다. 배기 밸브를 약간 더 오래 열어 두면 실린더가 더 비워지고 흡입 행정에서 더 많은 공기/연료 혼합물로 채울 준비가 된다. 밸브를 약간 일찍 닫으면 실린더에 더 많은 배기 가스가 남아 연료 효율이 높아진다. 이를 통해 모든 조건에서 더 효율적인 작동이 가능하게 된다.[3]

4. 역사

가변 밸브 개방 시간을 제어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는 증기 기관 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가며, 당시에는 "증기 차단"으로 불렸다. 초기 증기 기관차에 사용된 스티븐슨 밸브 기어는 가변 차단을 지원하여, 동력 행정 중 실린더로 증기가 유입되는 시점을 변경할 수 있었다.[4] 세르폴레 증기 자동차는 슬라이딩 캠축 메커니즘을 사용하여 유입 밸브 차단을 변화시키고 엔진을 역전시킬 수 있었다.[5]

1920년대에 엔진의 회전 속도에 맞춰 밸브 개방 시간을 가변적으로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이 명확해졌고, 가변 밸브 타이밍에 대한 최초의 특허가 등장하기 시작했다.

피아트(Fiat)는 1960년대 후반 조반니 토라자(Giovanni Torazza)가 개발한 유압식 가변 밸브 리프트 시스템을 특허받았다.[9] 알파 로메오(Alfa Romeo)는 1980년형 알파 로메오 스파이더(Alfa Romeo Spider) 2000에 기계식 VVT 시스템을 적용하여 양산차 최초로 VVT 시스템을 사용했다.[10]

1989년 혼다(Honda)는 VTEC 시스템을 출시했다.[13] VTEC은 높은 엔진 속도에서 별도의 캠 프로필로 전환하여 최대 출력을 향상시키는 기술로, B16A 엔진에 처음 적용되었다.

1992년 포르쉐는 바리오캠(VarioCam)을 출시하여 흡입 밸브의 타이밍을 연속적으로 조정하는 기능을 제공했다.

5. 대한민국 자동차 산업에서의 VVT

현대자동차와 기아자동차는 엔진 성능과 연비를 향상시키고 환경 규제를 준수하기 위해 CVVT 기술을 사용하고 있다. 현대자동차의 알파 엔진(1.5/1.6), 베타 엔진(1.8/2.0), 감마 엔진(1.6), 쎄타 엔진(2.0/2.4) 등에 VVT 기술이 적용되었다. 최근에는 밸브 리프트까지 연속적으로 조절하는 CVVL (Continuously Variable Valve Lift) 기술을 개발했다.

6. 자동차 제조사별 VVT 명칭

여러 자동차 제조사들이 가변 밸브 타이밍(VVT) 기술을 채택하면서 각기 다른 명칭을 사용하고 있다. 혼다는 VTEC, 현대자동차는 CVVT, 도요타는 VVT-i, 닛산은 NVCS, BMW는 VANOS, 포르쉐는 바리오캠 등의 명칭을 사용한다.

6. 1. 현대/기아

CVVT영어 (Continuous Variable Valve Timing)는 현대자동차와 기아자동차가 사용하는 명칭이다. VTVT는 현대자동차의 일부 엔진에서 사용되는 명칭이다.

6. 2. 기타 제조사

제조사기술명약칭설명
스바루AVCSActive Valve Control System
닛산, 인피니티CVVTCS
제너럴 모터스DCVCP
두카티DVTDesmodromic Variable Timing
다이하쓰, 페로두아, 우링DVVTVVT-i와 구조가 같다.
폭스바겐 그룹FSI, TFSI, TSI, SI
미쓰비시 자동차MIVEC위상형도 포함되며, 여러 변형이 있지만 기호 등으로 분류 표기는 되어 있지 않다.
FCAMultiAir
포드VCTVariable Camshaft Timing
닛산N-VCT
마쓰다S-VTSequential Valve Timing
포드Ti-VCTTwin independent Variable Camshaft Timing
BMWVANOS(바노스)
포르쉐바리오캠
혼다, 아큐라VTEC, i-VTECi-VTEC은 전환형 VTEC과 위상형을 병용한다.
시트로엥, 푸조, 오펠, 미니VTi
MG 로버VVCVariable Valve Control
닛산NEO VVL
아우디Valvelift (AVS)캠 전환 가변 리프트 기구이다.
야마하VVAVariable Valves Actuation
닛산, 인피니티VVELVariable Valve Event and Lift
크라이슬러, 제너럴 모터스, 프로톤, 스즈키, 마루티 스즈키, 이스즈, 폭스바겐 그룹, 토요타VVT스즈키의 VVT는 주로 자동차에 사용되고, SR-VVT는 이 회사의 이륜차에 사용된다.[40][41]
토요타, 렉서스VVT-i, VVTL-iVVTL-i는 가변 밸브 타이밍 및 리프트 기술이다.


참조

[1] 웹사이트 Regulations for Greenhouse Gas Emissions from Passenger Cars and Trucks https://www.epa.gov/[...] US EPA, OAR 2022-07-12
[2] 논문 A simulation-based approach for developing optimal calibrations for engines with variable valve actuation
[3] 논문 Review and analysis of variable valve timing strategies - eight ways to approach https://citeseerx.is[...] 2022-04-29
[4] 웹사이트 Variable Valve Timing - 1886 - Practical Machinist http://www.practical[...] Practical Machinist 2010-04-04
[5] 특허 Improvements in Valve Gear for Single-Acting Steam Engines https://worldwide.es[...] 1901-03-02
[6] 간행물 REPORT No. 272: THE RELATIVE PERFORMANCE OBTAINED WITH SEVERAL METHODS OF CONTROL OF AN OVERCOMPRESSED ENGINE USING GASOLINE http://naca.central.[...] Langley Aeronautical Laboratory 1927-02-25
[7] 웹사이트 The Forgotten Story Of Cadillac's Brass Era VTEC https://jalopnik.com[...] G/O media 2021-01-12
[8] 서적 Vauxhall: Britain's Oldest Car Maker Fonthill Media 2017-12-05
[9] 웹사이트 VALVE-ACTUATING MECHANISM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http://www.freepaten[...] 2011-01-12
[10] 웹사이트 Timing variator for the timing system of a recipro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 http://www.freepaten[...] 2011-01-12
[11] 웹사이트 Alfa Romeo Spider FAQ http://alfaspiderfaq[...] 2008-11-29
[12] 서적 Original Alfa Romeo Spider https://archive.org/[...] MBI Publishing
[13] 웹사이트 asia.vtec.net http://asia.vtec.net[...]
[14] 서적 Motorcycle Fuel Injection Handbook https://books.google[...] MotorBooks International
[15] 웹사이트 Volvo Penta Variable Valve Timing (VVT) http://marineengined[...] 2012-10-27
[16] 서적 Medium/Heavy Duty Truck Engines, Fuel & Computerized Management Systems https://books.google[...] 2016-01-01
[17] 문서 Medium/Heavy Duty Truck Engines, Fuel & Computerized Management Systems
[18] 웹사이트 Geneva 2010: Mitsubishi ASX (Outlander Sport) Debuts in Geneva http://www.autoguide[...]
[19] 간행물 Mitsubishi Motors UK Geneva motor show 2010 presskit
[20] 웹사이트 Autospeed Valvetronic Article http://autospeed.com[...] 2012-01-17
[21] 웹사이트 Rover VVC Article http://www.sandsmuse[...] 2012-01-17
[22] 웹사이트 howstuffworks.com http://www.howstuffw[...]
[23] 서적 Engines - An Introduction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4] 웹사이트 HowStuffWorks - Ferrari 3D cam article http://auto.howstuff[...] 2012-01-17
[25] 웹사이트 USPTO 5052350 http://patimg2.uspto[...] 2012-01-17
[26] 웹사이트 USPTO 5642692 http://patimg2.uspto[...] 2012-01-17
[27] 웹사이트 Mechadyne VLD http://www.mechadyne[...] 2012-01-17
[28] 웹사이트 USPTO 4771742 http://patimg1.uspto[...] 2012-01-17
[29] 간행물 Performance Buildups
[30] 간행물 Two Wheels 2008-07
[31] 간행물 Fast Fours 2004-07
[32] 웹사이트 USPTO 6832586 http://patimg2.uspto[...] 2012-01-17
[33] 문서 배기측을 가변으로 했을 경우, 지각함으로써 흡기과정 중간까지 배기의 폐밸브를 늦출 수 있고, 배기를 되돌리는 내부 EGR로서 유효하게 작용한다. 이것은 배기가스 정화나 펌핑 손실 저감에 기여한다. 이에 따라 배치 공간이나 비용이 필요하고 동작 불량에 의한 트러블이 발생하기 쉬운 외부 EGR을 생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반면 출력면에는 거의 기여하지 않는다.
[34] 문서 예로서 북미 포드의 에스코트 ZX2(1998~2003), 콘투어, 머큐리 쿠거(1999~2002)에 탑재된 ZETEC 2.0L 엔진이 배기측에만 가변 밸브 타이밍 기구를 채용한 사양이 되어 있다.
[35] 문서 오버랩을 적게 하기 위해 흡기 캠샤프트를 지각시키면, 흡기밸브의 닫힘도 늦어져 흡기를 되돌려 보내 버린다는 지적이 있지만, 이것은 펌핑 손실의 저감이나 지연 폐쇄 미러 사이클이 되는 경우가 있고, 파워라는 면에서는 단점이 되지만, 열효율이라는 점에서는 단점이라고는 말할 수 없다. 애초에 출력이 필요한 경우에 지각을 하는 것은 관성 흡기를 기대하는 고회전 이외에는 생각하기 어렵고, 저중회전·중고부하시는 오버랩을 우선하고 진각하기 때문에 닫힘 시기는 빨라지는 것이 일반적이며 되돌려 보내는 것은 문제가 되기 어렵다.
[36] 문서 null
[37] 문서 null
[38] 웹사이트 Schaeffler Japan Co., Ltd. |分野/主要産業 |UniAir http://www.schaeffle[...]
[39] 웹사이트 Honda Technology VTEC http://www.honda.co.[...]
[40] 웹사이트 GSX-R1000R ABS http://www1.suzuki.c[...] 2017-07-25
[41] Youtube 2017 Suzuki GSX-R1000 Variable Valve Timing (SR-VVT) System Detail https://www.youtube.[...] 2017-07-25
[42] 문서 null
[43] Youtube VCエンジン作動解説動画 https://www.youtub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