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C. F. D. 모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C. F. D. 모울(Charles Francis Digby Moule, 1908년 ~ 2007년)은 중국 항저우에서 태어난 영국의 성공회 사제이자 신약성서 학자였다. 웨이머스 칼리지와 케임브리지 엠마누엘 칼리지에서 교육을 받았으며, 리들리 홀에서 신학을 공부했다. 그는 케임브리지 대학교의 레이디 마가렛 신학 교수, 클레어 칼리지의 펠로우, 레스터 대성당의 교구 사제 신학자를 역임했다. 몰은 신약성서 연구에 기여하여 영국 학사원 펠로우, 버킷 메달을 수상했으며, 대영 제국 훈장 사령관으로 임명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케임브리지 대학교 클레어 칼리지 교수 - 제임스 D. 왓슨
    제임스 D. 왓슨은 DNA 이중 나선 구조를 밝혀내 노벨상을 수상하고 인간 게놈 프로젝트와 암 연구에 기여했으나, 인종과 지능에 대한 논란으로 비판받는 미국의 분자생물학자이다.
  • 케임브리지 대학교 클레어 칼리지 교수 - 팀 헌트
    영국의 생화학자 팀 헌트는 세포 주기 조절에 중요한 사이클린을 발견한 공로로 2001년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수상했으나, 2015년 성차별적 발언 논란으로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 명예 교수직을 사임했다.
  • 영어 성경 번역자 - 존 위클리프
    존 위클리프는 14세기 영국의 신학자이자 종교 개혁가로, 성경을 영어로 번역하고 로마 가톨릭 교회의 부패를 비판하며 성경의 최고 권위를 주장하여 개신교 탄생에 영향을 미쳤으나 이단으로 규정되었다.
  • 영어 성경 번역자 - 유진 피터슨
    유진 피터슨은 《메시지》로 유명한 미국의 장로교 목사이자 신학자, 작가로, 그리스도 우리 왕 장로교회 설립 목사와 리젠트 칼리지 영성 신학 교수를 지냈으며, 목회신학, 기도, 영적 신학 등 다양한 저서를 남겼으나 말년에 동성애 관련 발언으로 논쟁이 있었다.
  • 케임브리지 대학교 엠마뉴엘 칼리지 동문 - 존 에버라드
    존 에버라드는 영국 외교관으로 벨라루스, 우루과이, 북한 대사를 지냈으며 유엔 북한제재 전문가패널 조정관을 역임했고, 북한 주재 경험을 바탕으로 저서를 출판했다.
  • 케임브리지 대학교 엠마뉴엘 칼리지 동문 - 헨리 크롬웰
    헨리 크롬웰은 올리버 크롬웰의 아들로 잉글랜드 내전에서 군인으로 활동했고 아일랜드 통치에 참여한 정치가였으나 왕정 복고 후 은퇴했다.
C. F. D. 모울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Charles Francis Digby Moule (찰스 프랜시스 디그비 모울)
다른 이름Charlie Moule (찰리 모울)
출생1908년 12월 3일
출생지항저우, 중국
사망2007년 9월 30일
사망지Leigh, Dorset, 잉글랜드
국적잉글랜드
종교 및 성직 정보
종교기독교 (성공회)
소속 교단잉글랜드 교회
서품1933년 (부제)
1934년 (사제)
소속 교회St Mark's Church, Cambridge
St Andrew's Church, Rugby
Church of St Mary the Great, Cambridge
학력 및 경력 정보
모교Emmanuel College, Cambridge
Ridley Hall
학문 분야성경 연구
신학
세부 학문 분야신약성경 연구
직장Ridley Hall
Clare College, Cambridge
지도 학생James D. G. Dunn
Wayne Grudem
Carl Holladay
Andrew T. Lincoln
Graham Stanton
Margaret Thrall
영향 받은 인물Rowan Williams
Richard Bauckham
기타 정보
C.F.D. Moule 서명
C.F.D. Moule 서명

2. 초기 생애와 교육

몰은 1908년 12월 3일 중국 상하이 근처 항저우에서 아버지 H. W. 몰과 어머니가 선교사로 있을 때 태어났다.[3][4] 그는 그들의 셋째 아들이었다.[3] 그의 가족은 도싯 출신의 성공회 성직자 가문이었다. 그의 부친의 조부인 조지 에반스 몰은 중국 중부 주교였고, 그의 종조부인 핸들리 몰은 케임브리지 리들리 홀의 초대 학장이자 후에 더럼 주교였다. 그는 저명한 케임브리지 중국학자인 아서 크리스토퍼 몰의 조카였다. 그의 가족은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영국으로 돌아왔다.

그는 도싯의 웨이머스 칼리지에서 교육을 받았으며, 케임브리지 엠마누엘 칼리지에서 고전을 전공하기 위해 장학금을 받아 두 부분 모두에서 수석으로 졸업하고 제레미 셉투아진트 상, 에반스 상, 크로스 장학금을 받았다. 그는 리들리 홀에서 신학을 공부했으며, 1933년 부제로, 1934년에는 사제로 서품을 받았다.

3. 성공회 및 학문적 경력

모울은 1933년 성공회 부제 서품을, 1934년에는 사제 서품을 받았다.[5] 케임브리지의 세인트 마크 교회(1933년-1934년), 럭비 세인트 앤드류 교회(1934년), 케임브리지 대학교의 대학 교회인 세인트 메리 그레이트 교회(1936년-1940년)에서 교구 목사로 봉사했다.

1944년 케임브리지 클레어 칼리지의 펠로우가 되었고, 1951년까지 학장을 역임했다. 케임브리지 대학교 신학부에서 조교 강사(1944년-1947년)와 강사(1947년-1951년)를 거쳐 1951년 F. S. 마시의 뒤를 이어 레이디 마가렛 신학 교수로 임명되었다. 이 자리는 레이디 마가렛 보퍼트에 의해 1502년 독자적인 강좌로 설립된 케임브리지 대학교에서 가장 오래된 교수직으로, 전통적으로 신약 학자가 맡아왔다.[5]

그는 또한 레스터 대성당의 비거주 교구 사제 신학자(1955년-1976년), 영국 학사원(FBA) 펠로우(1966년), Studiorum Novi Testamenti Societas 회장(1967년), 엠마누엘 칼리지 명예 펠로우(1972년) 등을 역임했다. 1964년에는 "신약성서 속 인간과 자연"에 대한 에델 M. 우드 강연을 했다.

1970년대 초, 리들리 홀이 폐쇄될 위기에 처했을 때 이를 옹호하는 데 앞장섰다. 1976년 은퇴 후 1980년까지 리들리 홀에 거주하며 신약성서 튜터로 활동했다.[5]

1958년 세인트 앤드류스 대학교에서 명예 신학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1970년 영국 학사원의 버킷 메달을 성경 연구 분야에서 수상했다. 1985년 신약성서 연구에 기여한 공로로 대영 제국 훈장 사령관으로 임명[6]되었으며, 1988년 케임브리지에서 명예 신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3. 1. 주요 저서 및 연구 활동

모울은 다음 두 가지 주요 저서를 출판했다.

  • ''신약성서의 탄생''(1962): 신약성서가 쓰여진 배경을 탐구.
  • ''기독론의 기원''(1977): 예수에 대한 교회의 이해가 진화한 것이 아니라 수세기에 걸쳐 발전하고 성숙해졌다고 주장.[5]


그는 Apocrypha와 신약성서의 ''뉴 잉글리쉬 바이블'' 번역에 기여했지만, 개정판을 선호했다.

그의 다른 출판물은 다음과 같다.

  • ''신약성서 헬라어 숙어집'' (1953, 2판 1959)
  • ''골로새서와 빌레몬에게 보내는 서신'' (1957)
  • ''신약성서의 현상'' (1967)
  • ''성령'' (1978)
  • ''신약성서 해석 에세이'' (1982)
  • ''용서와 화해, 그리고 다른 신약성서 주제'' (1998)


그는 ''피크 성경 주석''(1962)의 자문 위원으로 활동했으며, 골로새서와 빌레몬서에 대한 기사를 기고했다.[5]

3. 2. 신학적 영향력

모울은 신학 교수로 재직하면서 많은 학생들에게 영향을 미쳤다. 그의 제자들 중에는 레이디 마가렛 신학 교수 후임인 그레이엄 스탠턴이 있었다. 캔터베리 대주교가 된 로완 윌리엄스와 요크 대주교 존 센타무 등 성공회 고위 성직자들도 그의 제자였다.[5] 그의 첫 번째 박사 과정 학생은 마가렛 스럴(1960년 박사)이었는데, 그녀 역시 저명한 신약학자가 되었다.[5]

4. 리들리 홀 옹호 및 은퇴 이후

1970년대 초, 리들리 홀이 폐쇄될 위기에 처했을 때 모울은 이를 옹호하는 데 앞장섰다.[5] 1976년에 은퇴한 후에도 리들리 홀에 거주하며 신약성서 튜터로 활동했다. 1981년에는 친구인 스탠리 베츠 주교가 있는 서섹스의 페벤시로 이주했다. 그는 90대까지 설교를 계속했다.[5]

참조

[1] 서적 "I (Still) Believe: Leading Scholars Share Their Stories of Faith and Scholarship" Zondervan 2015
[2] 뉴스 The Reverend Professor CFD Moule https://www.telegrap[...] The Telegraph 2007-10-02
[3] 뉴스 The Rev CFD Moule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2007-10-24
[4] 뉴스 The Rev Professor C. F. D. Moule http://www.timesonli[...] The Times 2007-10-05
[5] 뉴스 The Rev Margaret Thrall obituary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2010-12-21
[6] 뉴스 The Rev Professor C F D Moule https://www.independ[...] The Independent 2007-10-02
[7] 뉴스 The Reverend Professor CFD Moule https://www.telegrap[...] The Telegraph 2007-10-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