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CD 올메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CD 올메도는 1919년에 창단된 에콰도르의 축구 클럽으로, 에콰도르 리그에서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다. 2000년에는 키토와 과야킬 외 지역 클럽으로는 최초로 세리에 A에서 우승했으며, 세리에 B에서도 3번, 세군다 카테고리아에서 1번 우승했다. 코파 리베르타도레스에 4번 출전하여 2002년 16강에 진출하기도 했다. 2021년에는 파산 위기를 겪었으며, 현재는 세리에 B에 소속되어 있다. 마카라와는 라이벌 관계를 형성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에콰도르 세리에 B 구단 - 데포르티보 키토
    에콰도르 키토를 연고로 하는 축구 클럽 데포르티보 키토는 1940년 창단 이후 에콰도르 세리에 A에서 5회 우승하며 에콰도르 축구의 중요한 팀 중 하나로, '라 아카데미아'라는 별칭으로도 불린다.
  • 에콰도르 세리에 B 구단 - 임바부라 SC
    임바부라 SC는 에콰도르 이바라 시의 축구 클럽으로, 여러 어려움 속에서도 세군다 카테고리아와 세리에 B에서 우승하며 2022년 프리메라 A로 승격했고, FIFA 월드컵 출전 선수도 배출한 바 있다.
  • 에콰도르 축구에 관한 - CS 에멜레크
    CS 에멜레크는 1925년 에콰도르 과야킬에서 설립되어 에콰도르 세리에 A에서 14회 우승을 차지하며 에콰도르 축구의 중심 클럽으로 자리매김한 축구 클럽이다.
  • 에콰도르 축구에 관한 - 바르셀로나 SC
    바르셀로나 SC는 1925년 에콰도르 과야킬에서 창단되어 16회의 에콰도르 세리에 A 우승을 포함한 괄목할 만한 성적과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준우승 2회를 기록하며 에콰도르를 대표하는 명문 클럽으로, CS 에멜렉과의 라이벌리 및 2010년대 이후의 쇄신을 통해 꾸준히 성장하고 있다.
  • 1919년 설립된 축구단 - LD 알라후엘렌세
    LD 알라후엘렌세는 1919년에 창단된 코스타리카의 축구 클럽으로, 코스타리카 프리메라 디비시온에서 30회 우승했으며, UNCAF 인터클럽스컵과 CONCACAF 챔피언스컵에서도 우승한 기록을 가지고 있다.
  • 1919년 설립된 축구단 - AS 생테티엔
    프랑스 축구 역사에 큰 족적을 남긴 AS 생테티엔은 1919년 창단하여 리그 1에서 10회 우승, 쿠프 드 프랑스 6회 우승을 기록했으며 유러피언컵 준우승을 차지하기도 했고, 홈 구장인 스타드 조프루아 기샤르를 사용하며 올랭피크 리옹과의 데르비 론알프가 유명하고, 2023-24 시즌에 리그 1으로 복귀했다.
CD 올메도 - [스포츠팀]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올메도 로고
로고
풀 네임Club Centro Deportivo Olmedo
별칭Ciclón Andino (안데스 산맥의 사이클론)
El ídolo de Riobamba (리오밤바의 우상)
El ciclón de los Andes (안데스의 사이클론)
El ídolo riobambeño (리오밤바의 우상)
Decano del fútbol ecuatoriano (에콰도르 축구의 원로)
El campeón del milenio (밀레니엄 챔피언)
El Tumbagigantes (거인 사냥꾼)
El Matagigantes (거인 학살자)
El Cementerio de los Grandes (위대한 자들의 무덤)
창단일1919년 11월 11일
경기장에스타디오 올림피코 데 리오밤바
수용 인원14,400명
회장Marcelo Pérez
감독엑토르 곤살레스
리그에콰도르 세리에 B
2021년 시즌세리에 A, 16위 (강등)
유니폼 정보
홈 유니폼상의: 파란색
하의: 파란색
양말: 파란색
원정 유니폼상의: 초록색
하의: 초록색
양말: 초록색
세 번째 유니폼상의: 청록색
하의: 청록색
양말: 청록색

2. 역사

올메도는 1919년에 창단되어 세리에 A 또는 세리에 B에서 가장 오래된 클럽 중 하나이다.[1] 홈 경기장은 에스타디오 올림피코이다.[1]

1973년, 1977년, 1985년, 1987년, 1988년, 1989년, 1991년, 1992년, 1993년에 침보라소주 세군다 카테고리아에서 우승하였다. 1994년에 세리에 B에서 우승하며 세리에 A로 승격하였다.[1]

2000년에 키토과야킬 외 지역 클럽으로는 최초로 세리에 A에서 우승하는 역사적인 기록을 세웠다.[1] 1994년과 2003년에는 세리에 B에서 두 번 우승하였다.

국제 무대에서는 코파 리베르타도레스에 4번 출전했으며, 2002년에는 16강에 진출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2013년에는 세리에 B에서 세 번째 우승을 기록했다.

2021년, 올메도는 공식적으로 파산하여 연말에 해산될 수 있는 심각한 경제 위기를 겪었다.[1]

가장 큰 라이벌은 "클라시코 인터안디노"를 벌이는 마카라이다.[1]

2. 1. 창단 초기 (1919년 ~ 1993년)

CD 올메도는 1919년에 창단되어 에콰도르 리그에서 오랜 역사를 가진 클럽 중 하나이다.[1] 초기에는 지역 리그에서 주로 활동하였으며, 1973년, 1977년, 1985년, 1987년, 1988년, 1989년, 1991년, 1992년, 1993년에 침보라소주 세군다 카테고리아에서 우승하였다. 홈 경기장은 리오밤바에 위치한 에스타디오 올림피코이다.[1]

2. 2. 세리에 B 우승과 세리에 A 승격 (1994년 ~ 1999년)

올메도는 1994년에 세리에 B에서 우승하며 세리에 A로 승격하였다.[1]

2. 3. 세리에 A 우승과 전성기 (2000년 ~ 2003년)

올메도는 2000년에 키토과야킬 외 지역 클럽으로는 최초로 세리에 A에서 우승하는 역사적인 기록을 세웠다.[1] 1994년과 2003년에는 세리에 B에서 두 번 우승하였다.

국제 무대에서는 코파 리베르타도레스에 4번 출전했으며, 2002년에는 16강에 진출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2. 4. 세리에 B 강등과 승격 반복 (2004년 ~ 2013년)

올메도는 2000년에 키토과야킬 외 지역에서 최초로 전국 선수권 대회에서 우승한 클럽이 되었고, 1994년과 2003년에는 세리에 B 타이틀을 두 번 획득했다.[1] 국제적으로는 코파 리베르타도레스에 4번 출전하여 2002년에 16강에 진출했다.[1] 2013년에는 세리에 B에서 세 번째 우승을 기록했다.

2. 5. 재정 위기와 해산 위기 (2014년 ~ 현재)

2000년에 키토과야킬 외 지역을 연고지로 하는 클럽 중 최초로 세리에 A에서 우승을 차지했다.[1] 1994년과 2003년에는 세리에 B 타이틀을 두 번 획득했다. 국제적으로는 코파 리베르타도레스에 4번 출전하여 2002년에 16강에 진출했다.

2021년, 올메도는 공식적으로 파산하여 연말에 해산될 수 있는 심각한 경제 위기를 겪었다.[1] 현재 (2024년)는 에콰도르 세리에 B 소속이다.

3. 라이벌

마카라는 올메도의 라이벌이며, 두 팀 간의 경기는 ''클라시코 인테란디노''라고 불린다.

4. 선수 명단

2020년 기준 CD 올메도의 현역 선수 명단은 다음과 같다.

등번호포지션이름국적
5DF데니스 킨테로데니스 킨테로/Dennis Quinteroes
6DF요너 몬테수마요너 몬테수마/Jhonner Montezumaes
8MF마우리시오 예드로마우리시오 예드로/Mauricio Yedroes
9FW레니 카베자스레니 카베자스/Lenin Cabezases
12MF워싱턴 플라스워싱턴 플라스/Washington Plúases
15DF제리 레온제리 레온/Jerry Leónes
22GK안드레스 키뇨네스안드레스 키뇨네스/Andrés Quiñónezes
26DF조나단 페라리조나단 페라리/Jonathan Ferraries
40DF말론 그루에소말론 그루에소/Marlon Gruezoes
70MF호세 라미레즈호세 라미레즈/José Ramírezes
-DF제이손 도밍게스제이손 도밍게스/Jeison Domínguezes
-DF안헬 비오티안헬 비오티/Angel Viotties
-MF가브리엘 멘데스가브리엘 멘데스/Gabriel Méndezes
-MF브라이언 오냐브라이언 오냐/Bryan Oñaes



CD 올메도는 에콰도르의 축구 클럽으로, 여러 유명 선수들이 이 클럽을 거쳐갔다.

4. 1. 현역 선수 (2020년 기준)

2020년 기준 CD 올메도의 현역 선수 명단은 다음과 같다.

번호포지션이름국적
8MF마우리시오 예드로아르헨티나
-DF앙헬 비오티아르헨티나
5DF데니스 킨테로에콰도르
6DF요너 몬테수마에콰도르
9FW레니 카베자스에콰도르
12MF워싱턴 플라스에콰도르
15DF제리 레온에콰도르
22GK안드레스 키뇨네스에콰도르
26DF조나단 페라리아르헨티나
40DF말론 그루에소에콰도르
70MF호세 라미레즈에콰도르
-DF제이손 도밍게스에콰도르
-MF가브리엘 멘데스아르헨티나
-MF브라이언 오냐에콰도르



참고: FIFA 자격 규정에 따라 선수는 복수의 FIFA 비회원국 국적을 가지고 있을 수 있다.

4. 2. 역대 선수

CD 올메도에서 활약했던 주요 선수들은 다음과 같다.

'''2020년 기준'''

  • 데니스 킨테로 (등번호 5, DF, 에콰도르)
  • 요너 몬테수마 (등번호 6, DF, 에콰도르)
  • 마우리시오 예드로 (등번호 8, MF, 아르헨티나)
  • 레니 카베자스 (등번호 9, FW, 에콰도르)
  • 워싱턴 플라스 (등번호 12, MF, 에콰도르)
  • 제리 레온 (등번호 15, DF, 에콰도르)
  • 안드레스 키뇨네스 (등번호 22, GK, 에콰도르)
  • 조나단 페라리 (등번호 26, DF, 아르헨티나)
  • 말론 그루에소 (등번호 40, DF, 에콰도르)
  • 호세 라미레즈 (등번호 70, MF, 에콰도르)
  • 제이손 도밍게스 (DF, 에콰도르)
  • 안헬 비오티 (DF, 아르헨티나)
  • 가브리엘 멘데스 (MF, 아르헨티나)
  • 브라이언 오냐 (MF, 에콰도르)


다음은 CD 올메도 소속으로 FIFA 월드컵에 자국을 대표하여 출전한 선수들이다.

  • 호세 루이스 페를라사 (2006, 에콰도르)

5. 감독

CD 올메도의 감독은 다음과 같다.


  • 우루과이 후안 라몬 실바(1997)
  • 아르헨티나 미겔 렘메(1999)
  • 아르헨티나 훌리오 아사드(2000년 7월 1일 – 2000년 12월 30일)
  • 아르헨티나 엔리케 델라 베치아(2001)
  • 아르헨티나 페르난도 도나이레스(2002년 1월 1일 - 2002년 5월 7일)
  • 아르헨티나 아리엘 쿠파로(2002년 5월 14일 - 2002년 8월 4일)
  • 아르헨티나 훌리오 아사드(2002년 8월 9일 - 2002년 12월 31일)
  • 우루과이 로사리오 마르티네스(2003년 1월 1일 - 2003년 7월 2일)
  • 아르헨티나 로케 알파로(2003년 7월 2일 - 2004년 3월 12일)
  • 세르비아 드라간 미라노비치(2004년 3월 12일 - 2004년 8월 5일)
  • 에콰도르 세군도 몬타뇨(2004년 8월 5일 - 2004년 12월 31일)
  • 아르헨티나 살바도르 라구자(2005년 1월 1일 - 2005년 7월 11일)
  • 아르헨티나 페드로 몬손(2005년 7월 18일 – 2005년 12월 3일)
  • 에콰도르 루이스 발디비에소(2005년 12월 4일 - 2005년 12월 21일)
  • 아르헨티나 가브리엘 페로네(2006년 1월 3일 – 2006년 12월 22일)
  • 아르헨티나 빅토르 마르체시니(2007년 1월 7일 - 2007년 12월 17일)
  • 콜롬비아 아르만도 오스마(2008)
  • 아르헨티나 훌리오 사모라(2008)
  • 에콰도르 엑토르 곤잘레스(2008년 7월 1일 – 2009년 12월 16일)
  • 아르헨티나 클라우디오 오터민(2010년 1월 1일 - 2010년 3월 13일)
  • 에콰도르 엑토르 곤잘레스(2010년 3월 14일 – 2010년 4월 20일)
  • 에콰도르 아리엘 그라지아니(2010)
  • 에콰도르 카를로스 칼데론(2011년 12월 7일 – 2012년 2월 12일)
  • 아르헨티나 후안 아마도르 산체스(2012년 2월 14일 – 2012년 5월 1일)
  • 에콰도르 엑토르 곤잘레스(2012년 5월 2일 – 2012년 6월 14일)
  • 아르헨티나 오스카르 파체코(2012년 6월 15일 – 2012년 10월 2일)
  • 에콰도르 엑토르 곤잘레스(2012년 10월 2일 – 2012년 10월 10일)
  • 아르헨티나 로케 알파로(2012년 10월 11일 – 2013년 3월 19일)
  • 에콰도르 엑토르 곤잘레스(2013년 3월 19일 – 2013년 11월 20일)
  • 아르헨티나 가브리엘 페로네(2013년 11월 20일 - 2014년 7월 18일)
  • 우루과이 마리오 사라레기(2014년 7월 18일 - 2014년 10월 7일)
  • 에콰도르 엑토르 곤잘레스(2014년 10월 7일 - 2014년 11월 14일)
  • 아르헨티나 후안 우르키사(2014년 11월 15일 - 2015년 2월 28일)
  • 에콰도르 카를로스 세비야(2015년 2월 28일 - 2015년 8월 26일)
  • 에콰도르 엑토르 곤잘레스(2015년 8월 26일 - 2015년 12월 13일)
  • 스페인 비센테 지로나(2015년 12월 17일 – 2016년 3월 25일)
  • 아르헨티나 훌리오 아사드(2016년 3월 29일 - 2016년 9월 8일)
  • 에콰도르 오마르 레데스마(2016년 9월 8일 - 2016년 12월 13일)
  • 아르헨티나 클라우디오 차치오르(2017년 1월 12일 - 2017년 8월 8일)
  • 에콰도르 오마르 레데스마(2017년 8월 9일 - 2018년 1월 4일)
  • 에콰도르 파블로 브라보(2018년 1월 5일 - 2018년 5월 30일)
  • 아르헨티나 리카르도 딜론(2018년 6월 30일 - 2019년 11월 5일)
  • 아르헨티나 다리오 프랑코(2019년 12월 9일 - 2020년 6월 20일)
  • 에콰도르 지오바니 쿰비쿠스(2020년 6월 18일 - 2020년 12월 31일)
  • 아르헨티나 파블로 트로비아니(2021년 1월 1일 - 2021년 5월 28일)
  • 에콰도르 세사르 라모스(2021년 7월 17일 - 2021년 8월 2일)
  • 에콰도르 루이스 에스피넬(2021년 8월 9일 - 2021년 9월 26일)
  • 에콰도르 넬슨 브리토(2021년 10월 3일 - 2021년 10월 31일)
  • 에콰도르 엑토르 곤잘레스(2021년 11월 6일 -)

6. 수상 기록

세리에 A 우승 1회 (2000) 기록과 세리에 B 우승 3회 (1994, 2003, 2013), 세군다 카테고리아 우승 1회 (1993) 기록이 있다.

CD 올메도는 침보라소주 세군다 카테고리아에서 1973년 첫 우승을 포함하여 1977, 1985, 1987, 1988, 1989, 1991, 1992, 1993, 2023, 2024년에 우승을 차지하여 총 11번의 우승 기록을 가지고 있다.

6. 1. 국내 대회

세리에 A 우승 1회 (2000) 기록과 세리에 B 우승 3회 (1994, 2003, 2013), 세군다 카테고리아 우승 1회 (1993) 기록이 있다.

6. 2. 지역 대회

CD 올메도는 침보라소주 세군다 카테고리아에서 1973년 첫 우승을 포함하여 1977, 1985, 1987, 1988, 1989, 1991, 1992, 1993, 2023, 2024년에 우승을 차지하여 총 11번의 우승 기록을 가지고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Olmedo a ganar el "clásico Interandino" http://www.diariolos[...] 2016-05-03
[2]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www.diariolos[...] 2016-05-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