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D 베라크루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CD 베라크루스는 1943년 베라크루스 주의 두 클럽이 합병하여 창단된 멕시코의 축구 클럽이다. 1945-46 시즌과 1949-50 시즌에 멕시코 프리메라 디비시온에서 우승했으며, 코파 멕시코에서도 두 차례(1947-48, 클라우수라 2016) 우승했다. 잦은 승강을 반복하며 '엘리베이터 클럽'이라는 별칭을 얻었으며, 2019년 멕시코 축구 연맹에 의해 리그에서 제명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멕시코의 없어진 축구단 - 치아파스 FC
치아파스 FC는 2002년 하과레스 데 치아파스로 창단되어 코파 치아파스에서 3번 우승하고, 케레타로 FC로 변경되었다가 산루이스 FC가 연고지를 옮기면서 이름을 변경했으나 2017년 해산된 멕시코의 축구 클럽이다. - 멕시코의 없어진 축구단 - 산루이스 FC
산루이스 FC는 1957년 창단되어 멕시코 3부 리그에서 시작, 1부 리그 승격과 강등을 반복하다 2013년 연고지 이전 및 명칭 변경 후 현재 아틀레티코 산루이스로 아센소 MX에 참가 중인 멕시코 축구 클럽이다. - 1943년 설립된 축구단 - 대전 코레일 FC
대전 코레일 FC는 1943년 조선총독부 철도국 축구단을 모체로 하여, 대한민국에서 가장 오래된 축구단 중 하나이며, 2005년과 2012년 내셔널리그 우승, 2019년 FA컵 준우승을 기록하고 2020년부터 K3리그에 참가한다. - 1943년 설립된 축구단 - 고이아스 EC
고이아스 EC는 1943년에 창단된 브라질의 축구 클럽으로, 캄페오나투 고이아노에서 최다 26회 우승을 차지했으며, 2005년 캄페오나투 브라질레이루 세리에 A에서 3위를 기록하고 코파 리베르타도레스에도 출전했다. - 2019년 해체된 축구단 - 아산 무궁화 축구단
아산 무궁화 축구단은 경찰 FC로 시작하여 K리그 챌린지에 데뷔, 안산 무궁화 FC를 거쳐 아산시로 연고지를 이전하며 아산 무궁화 FC로 명칭을 변경한 후 K리그2에서 우승했으나, 의무 경찰 제도 폐지로 인해 충남 아산 FC로 재창단되었다. - 2019년 해체된 축구단 - 바레세 칼초
바레세 칼초는 1910년 창단되어 흰색과 보라색을 클럽 색상으로 사용한 이탈리아 축구 클럽으로, 여러 차례 재창단을 거쳐 세리에 A에 진출하는 전성기를 누렸으나 재정 문제로 해산 후 A.S.D. 치타 디 바레세로 재창단되었다.
CD 베라크루스 - [스포츠팀]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별칭 | Los Tiburones Rojos (붉은 상어) |
별칭 | Los Escualos (상어) |
별칭 | El Tiburón (상어) |
![]() | |
창단 | 1943년 4월 9일 |
해체 | 2019년 12월 18일 |
홈구장 | 에스타디오 루이스 "피라타" 푸엔테 |
연고지 | 베라크루스주, 보카델리오 |
수용 인원 | 28,703명 |
클럽 정보 | |
정식 명칭 | Club Deportivo Veracruz (클럽 데포르티보 베라크루스) |
닉네임 | Los Tiburones Rojos(붉은 상어들) |
닉네임 | Los Escualos(상어들) |
닉네임 | El Tiburón (상어) |
유니폼 정보 | |
홈 유니폼 | 흰색 상의, 흰색 하의, 남색 양말 |
원정 유니폼 | 흰색 상의, 흰색 하의, 남색 양말 |
써드 유니폼 | 흰색 상의, 흰색 하의, 남색 양말 |
기타 정보 | |
리그 | (해체 당시) |
감독 | (해체 당시) |
2. 역사
CD 베라크루스('''Club Deportivo Veracruz|클루브 데포르티보 베라크루스es''')는 1943년 4월, 베라크루스 주를 연고로 하던 두 아마추어 클럽, 이베리아 데 코르도바와 베라크루스 스포팅 클럽이 멕시코 1부 리그 참가를 위해 합병하면서 창단되었다.
창단 초기에는 강력한 전력을 바탕으로 1945-46 시즌과 1949-50 시즌에 리그 우승을 차지하고, 1947-48 시즌에는 코파 멕시코 정상에 오르는 등 황금기를 누렸다. 특히 베라크루스는 멕시코 시티 연고가 아닌 클럽으로는 최초로 리그 우승을 차지하는 역사를 만들었다.
하지만 영광은 오래가지 못했고, 이후 재정난과 성적 부진이 반복되면서 총 4번의 강등과 승격을 경험하는 대표적인 엘리베이터 클럽이 되었다. 이는 멕시코 리그 최다 강등 기록이기도 하다. 오랜 기간 푸에블라 주의 푸에블라 FC와 치열한 라이벌 관계를 형성했으며, 두 팀의 경기는 '남부의 더비'라는 의미의 El Clásico Del Sur|엘 클라시코 델 수르es로 불렸다.
클럽은 2000년대에도 여러 차례 승격과 강등을 반복했으며, 유명 선수들을 영입하며 반등을 꾀하기도 했으나 고질적인 재정 문제는 해결되지 않았다. 선수 임금 체불 등 문제가 끊이지 않았고, 결국 2019년 12월, 멕시코 축구 연맹은 베라크루스를 리가 MX에서 퇴출시키기로 결정하면서 클럽은 해체되었다.
2. 1. 창단 초기 (1943년 ~ 1950년대)
CD 베라크루스(Club Deportivo Veracruz)는 1943년 4월경 베라크루스 주의 두 아마추어 클럽, 이베리아 데 코르도바와 베라크루스 스포팅 클럽이 합병하여 창단되었다. 두 클럽은 당시 지역 아마추어 리그인 리가 아마추어 데 베라크루스에서 총 21번의 우승을 차지할 정도로 강력한 팀들이었으며, 멕시코 1부 리그 참가를 목표로 힘을 합쳤다. 이들은 과거 멕시코 시티의 아마추어 리그 프리메라 푸에르자에서도 잠시 활동한 경험이 있었다.창단 당시 클럽은 베라크루스 스포팅 클럽의 상징색인 빨간색과 검은색을 사용했으나, 몇 년 후 검은색을 흰색으로 바꾸면서 빨간색이 주요 유니폼 색상이 되었다. 창단 초기 홈 구장은 야구 클럽 로호스 델 아길라 데 베라크루스와 함께 사용하는 파르케 데포르티보 베라크루사노였다. 클럽의 별명은 두 클럽의 합병을 도운 마누엘 세이드가 지었다고 전해진다.
베라크루스는 멕시코 프로 리그 초창기 멤버 중 하나였으며, 멕시코 시티 연고가 아닌 클럽으로는 처음으로 리그 우승을 차지하는 기록을 세웠다. 1943-44 시즌 코파 멕시코에서 아틀란테 FC를 상대로 첫 공식 경기를 치렀으나 1-5로 패배했다. 팀의 역사적인 첫 골은 '마놀린'이라는 별명으로 불린 마누엘 로드리게스 앙게스가 기록했다.

본격적인 성공은 1945-46 시즌에 찾아왔다. 베라크루스는 해당 시즌 리그 18경기에서 14승 4무라는 무패 기록과 함께 8연승을 달성하며 창단 3년 만에 첫 멕시코 프리메라 디비시온 우승 트로피를 들어 올렸다. 이 시즌 동안 팀은 총 105골을 기록했으며, 아르헨티나 출신 공격수 호르헤 엔리코가 24골로 팀 내 최다 득점자가 되었다. 특히 독특한 플레이 스타일을 가진 루이스 데 라 푸엔테는 팀의 핵심 선수로 평가받았다. 1946년 6월 2일, 멕시코 시티의 레알 클럽 에스파냐 홈구장에서 열린 경기에서 호세 발디비아, 루이스 데 라 푸엔테, 라이문도 곤잘레스의 골에 힘입어 3-2로 승리하며 우승을 확정 지었고, 이로써 26년간 이어지던 멕시코 시티 연고 클럽들의 리그 독점을 깨뜨렸다. 하지만 같은 해 캄페온 데 캄페오네스에서는 아틀라스에게 패배하며 준우승에 머물렀다.
1947-48 시즌에는 호르헤 엔리코 등 주요 선수들이 팀을 떠났음에도 불구하고 코파 멕시코 결승에서 과달라하라를 3-1로 꺾고 첫 컵 대회 우승을 차지했다. 당시 감독은 스페인 출신의 호아킨 우르키아였다. 이는 현재까지 베라크루스가 기록한 유일한 코파 멕시코 우승이다.
1949-50 시즌, 멕시코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직에서 막 돌아온 후안 루케 데 세라롱가 감독의 지휘 아래 베라크루스는 두 번째 멕시코 프리메라 디비시온 우승을 달성했다. 이 우승은 현재까지 클럽의 마지막 리그 우승 기록으로 남아 있다. 또한 이 시즌에는 페루 출신의 공격수 훌리오 아욘이 30골을 기록하며 구단 역사상 첫 리그 득점왕에 올랐다. 그는 당시 멕시코 리그에서 흔치 않았던 흑인 선수였기에 El Negro|엘 네그로es(검은 사람)라는 별명으로 불리기도 했다.
창단 후 약 10년간 베라크루스는 리그와 컵 대회를 제패하며 강팀으로 군림했지만, 이후로는 여러 차례 강등과 승격을 반복하는 엘리베이터 클럽의 모습을 보이게 된다.
2. 2. 황금기의 종말과 강등 (1950년대 ~ 1980년대)
클럽은 황금기가 끝나고 새로운 시대를 맞이했다. 1950-51 시즌은 당시 구단주였던 미겔 알레만 발데스(Miguel Alemán Valdez)와 베라크루스 주지사 마르코 안토니오 무뇨스(Marco Antonio Muñoz) 아래에서 클럽이 겪은 경제적 문제로 인해 첫 번째 쇠퇴기가 시작된 해였다.[1]최악의 시즌은 1951-52 시즌에 찾아왔다. 클럽 아메리카와의 강등 경쟁 끝에 패배하며, 클럽 역사상 처음으로 새로 창설된 멕시코 세군다 디비시온으로 강등되었다.[1] 이 시즌에 클럽은 3승 6무 13패를 기록했고, 22골을 득점하는 동안 54골을 허용하며 총 12점을 얻는 데 그쳤다. 이는 잔류한 클럽 아메리카보다 불과 3점 뒤진 성적이었다.[1] (클럽 아메리카는 멕시코 프로 축구 출범 이후 강등되지 않은 단 두 클럽 중 하나이다.)
1952-53 시즌, 멕시코 세군다 디비시온에서 뛰면서 클럽은 데포르티보 톨루카 F.C.에 단 1점 차이로 뒤져 1부 리그 승격에 실패했다.[1] 이 실망스러운 결과 이후, 1953년 컵 대회를 마치고 거의 모든 선수들이 클럽을 떠났고, 결국 리그는 클럽 해체를 결정했다.[1]
1961년, 팬들의 지지와 호세 라후드 쿠리(José Lajud Kuri) 회장의 노력으로 후원회가 설립되어 클럽이 부활했고, 1961–62 멕시코 세군다 디비시온 토너먼트에 참가하게 되었다.[1] 재창단 초기 몇 년간은 특별한 성공 없이 평범한 성적을 거두었다.[1]
1964년, 리그가 참가 클럽 수를 14개에서 16개로 늘리기로 결정하면서 베라크루스는 승격 기회를 얻었다.[1] 그 해, 1부 리그 최하위 팀이었던 나시오날 데 과달라하라는 멕시코 세군다 디비시온의 2위 페트롤레로스 데 시우다드 마데로, 3위 포사 리카, 4위 베라크루스와 승격 플레이오프 토너먼트를 치렀다. (당시 세군다 디비시온 우승팀 크루스 아술은 자동 승격했다.)[1] 이 토너먼트 결과, 나시오날 데 과달라하라와 베라크루스가 각각 1위와 2위를 차지하여 1부 리그 승격 자격을 얻었다.[1] 이로써 베라크루스는 12년 만에 다시 1부 리그로 복귀했다.[1]
1964–65 시즌 1부 리그 복귀 첫 경기는 1964년 6월 7일, 모렐리아에서 열린 아틀레티코 모렐리아와의 원정 경기로, 결과는 3–3 무승부였다.[1] 복귀 후 클럽의 첫 골은 헤수스 메르카도(Jesús Mercado)가 기록했다.[1] 해당 시즌 클럽은 10승 8무 12패, 41득점 44실점, 총 28점으로 리그 10위를 기록했다.[1] 시즌 중 가장 큰 승리는 8라운드에서 사카테펙을 5–1로 꺾은 경기였다.[1]
그러나 1978–79 시즌, 클럽은 22패와 83실점을 기록하며 리그 최하위로 마감했고, 두 번째 강등을 맞이했다.[1] 특히 이 시즌에는 무려 5명의 다른 감독이 팀을 거쳐갔다.[1] 1부 리그 마지막 경기를 일주일 앞두고 과달라하라에서 열린 클루브 우니베르시다드 데 과달라하라와의 경기에서 2–5로 패하며 강등이 확정되었다.[1] 클럽이 해당 시즌 치른 마지막 1부 리그 경기는 1979년 6월 3일 홈에서 열린 티그레스 데 라 UANL과의 경기로, 1–1 무승부를 기록하며 10년간의 두 번째 1부 리그 시대를 마감했다.[1]
2. 3. 1990년대: 라 티부로마니아
1989–90 시즌, 팬들의 열광적인 지지 현상인 '라 티부로마니아'(La Tiburomanía)가 시작되었다. 베라크루스가 어느 곳에서 경기를 하든 수많은 팬들이 따라다녔고, 특히 에스타디오 아스테카에서 열린 클럽 아메리카와의 원정 경기에는 5만 명의 베라크루스 팬들이 경기장을 찾아 원정 최다 관중 기록을 세우기도 했다. 비록 경기는 3–5로 패했지만, 팬들의 열기는 대단했다. 같은 해 열린 4개 팀 초청 토너먼트에서는 보타포구, 레알 마드리드, UNAM이 참가했는데, 베라크루스는 오마르 팔마의 골에 힘입어 레알 마드리드를 4–2로 꺾는 인상적인 모습을 보여주었다.1990년대는 이러한 '라 티부로마니아' 열기 속에서 시작되었다. 브라질 출신 에두 감독 아래 호르헤 코마스, 아돌포 리오스, 호아킨 델 올모, 옥타비오 베세릴, 파스쿠알 라미레즈, 호세 루이스 곤잘레스 차이나 등 팬들의 사랑을 받는 선수들이 활약했다. 팀은 크루스 아술과 플레이오프 진출을 놓고 경쟁했지만 아쉽게 실패했다.
1991-92 시즌 초반 성적 부진으로 앙헬 로페스 감독이 경질되고 로베르토 마토사스 감독이 부임했다. 감독 교체 후 팀은 반등하여 코레카미노스 UAT와의 플레이오프에서 승리하며 1970년 이후 처음으로 8강에 진출했으나, 네칵사에게 2-6으로 패하며 탈락했다.
1993-94 시즌은 팀 창단 50주년을 기념하는 해였다. 과거의 스타 선수들이 모여 기념 경기를 가졌고, 카를로스 포블레테와 루벤 오마르 로마노 같은 왕년의 스타들을 영입했다. 또한 스페인의 아틀레티코 마드리드와 친선 경기를 치르기도 했다.
1994-95 시즌에는 아니발 루이스 감독이 이끌었다. 그의 수비적인 전술은 팬들의 호응을 얻지 못했지만, 팀은 라이벌 푸에블라 FC를 누르고 플레이오프 8강에 진출했다. 같은 해 코파 멕시코에서는 이라푸아토 FC, 에스투디안테스 테코스, 산토스 라구나를 차례로 꺾고 결승에 올랐으나, 푸에블라의 에스타디오 쿠아우테목에서 열린 결승전에서 네칵사에게 0-2로 패해 준우승에 머물렀다. 1995년, 팀은 지역 거대 미디어 그룹인 텔레비사에 매각되었고, 텔레비사는 더 나은 선수 영입을 약속하며 팬들의 기대를 높였다.
1996-97 시즌, 새로운 구단주 텔레비사는 FC 바르셀로나에서 활약했던 호세 마리 바케로를 비롯해 콜롬비아 국가대표팀의 주축 선수들인 레오넬 알바레스, 이반 발렌시아노, 알렉시스 멘도사 등을 영입하며 아돌포 리오스 골키퍼 등 기존 선수들과 함께 막강한 전력을 구축했다. 많은 이들이 리그 우승을 기대했지만, 선수들의 부상과 라커룸 내 갈등이 겹치면서 팀은 최악의 부진에 빠져 단 9점만을 얻는 데 그쳤고, 다음 시즌 강등을 걱정해야 하는 처지가 되었다.
1997-98 시즌, 강등을 피하기 위해 팀은 대부분의 선수를 교체하고 콜롬비아의 유명 골키퍼 레네 이기타를 영입했지만, 경험 부족을 드러내며 3승 5무 9패(승점 14점)라는 초라한 성적으로 시즌을 마감, 결국 팀 역사상 세 번째 강등을 당했다.
1998년 인비에르노 시즌부터 리가 데 아센소에서 뛰게 된 베라크루스는 클루브 셀라야를 승격시킨 경험이 있는 후안 마누엘 알바레스 감독을 선임하며 빠른 복귀를 노렸다. 하지만 팬들의 실망감 속에 시즌 중반 감독은 "엘 투르코" 아우데로 교체되었고, 팀은 준결승까지 진출했지만 베나도스 데 유카탄에게 패배했다.
1999년, 팀은 다시 베라크루스 시와 지역 사업가들에게 매각되었다. 베테랑과 젊은 선수들을 조합했지만 팀은 1999년 인비에르노 시즌에 역사상 최악의 성적을 기록하며 플레이오프 진출에 실패했다. 1990년대는 팬들의 열광적인 지지('라 티부로마니아')와 함께 화려하게 시작했지만, 결국 세 번째 강등이라는 아픔으로 마무리되었다.
2. 4. 2000년대 이후: 잦은 승격과 강등, 그리고 해체
2000-01 시즌, CD 베라크루스는 프리메라 A에서 경쟁력 있는 모습을 보이며 플레이오프에 진출했지만, 아쉽게 탈락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시기 동안 지역 팬들의 관심을 다시 불러일으키는 데 성공했다. 2001년, 1부 리그가 18개 팀에서 20개 팀으로 확장되면서 두 팀에게 승격 기회가 주어졌다. 라 피에다드가 먼저 승격 자격을 얻었고, 베라크루스는 지난 시즌 강등권에서 가장 승점이 높았던 아틀란테 FC와 승격 플레이오프를 치르게 되었다. 홈 구장인 에스타디오 루이스 데 라 푸엔테에서 열린 1차전은 만원 관중 앞에서 0-0 무승부로 끝났으나, 멕시코 시티의 에스타디오 아스테카에서 열린 2차전에서는 아틀란테에게 1-4로 패배하며 승격에 실패했다.하지만 2002년, 베라크루스는 프리메라 디비시온 A 챔피언 자격으로 마침내 1부 리그로 복귀했다. 복귀 첫 시즌인 2002년 여름 리그에서는 11위를 기록했다. 특히 2004년 아페르투라 시즌에는 쿠아우테목 블랑코, 크리스티안 히메네스, 클레버 보아스 등 유명 선수들을 영입하며 리그 1위를 차지하는 등 구단 역사상 최고의 시즌 중 하나를 보냈다.
그러나 영광은 오래가지 못했다. 2008년 4월 25일, 홈에서 열린 UNAM과의 경기에서 2-4로 패배하며 프리메라 A로의 강등이 사실상 확정되었다. 결국 5월 2일, 테코스 UAG와의 정규 시즌 마지막 경기에서 0-0 무승부를 기록하며 공식적으로 강등되었다. 이는 클럽 역사상 네 번째 강등으로, 멕시코 리그 최다 강등 기록이기도 했다.
설상가상으로 2011년 6월 3일, 멕시코 축구 연맹(FMF)은 베라크루스가 연맹에 대한 재정적 의무를 이행하지 못했다는 이유로 리그에서 제명한다고 발표했다.[3] 발표 이후, 베라크루스는 같은 지역의 알비네그로스 데 오리사바와 팀을 통합하여 부채 문제를 해결하고자 했다. 이후 리그 재편 과정에서 CF 라 피에다드가 베라크루스로 연고지를 이전하면서 CD 베라크루스라는 이름으로 다시 리그에 참가하게 되었다.
하지만 재정 문제는 끊이지 않았고, 팀의 성적 또한 곤두박질쳤다. 2018년 9월부터 2019년 10월까지 무려 41경기 연속 무승이라는 불명예스러운 기록을 세웠다. 선수단 임금 체불 문제가 여러 차례 언론에 보도되었고, 2019 아페르투라 시즌 Tigres UANL과의 경기에서는 임금 체불에 대한 항의의 표시로 경기 시작 후 약 8분간 제대로 플레이하지 않아 3골을 실점하는 사건까지 발생했다. 구단주 피델 쿠리에 대한 팬들과 선수들의 불만도 극에 달했다.
결국 2019년 12월, 멕시코 축구 연맹(FMF)은 반복되는 재정 문제와 각종 논란을 이유로 2019 아페르투라 시즌 종료 후 베라크루스를 리가 MX에서 공식적으로 퇴출시키기로 결정했다. 관련 기사 이 결정으로 소속 선수들은 모두 자유 계약 신분이 되었으며, 여자 축구팀 역시 리가 MX 페메닐에서 퇴출되었다. 유소년팀과 리저브팀을 포함한 구단의 모든 부서가 해체되면서 클루브 데포르티보 베라크루스는 사실상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리가 MX는 2020 클라우수라 시즌을 18개 팀으로 축소하여 운영하게 되었다.
한편, 2020년에는 과거 베라크루스의 리저브팀(2013-2016)이었던 아틀레티코 베라크루스가 새로운 리그인 리가 데 발롬피에 멕시카노(LBM)에 참가하기 위해 재창단되었다.[4][5] 2021년 2월, 아틀레티코 베라크루스는 2021-22 시즌부터 리가 데 엑스판시온 MX에 참가하기 위해 LBM에서 탈퇴한다고 발표했으나,[6] 이후 방향을 바꿔 리가 프리미어 데 멕시코 합류 절차를 시작했다.[7]
2022년 5월 23일, 해체되었던 (구) 클루브 데포르티보 베라크루스는 공식 소셜 미디어 페이지를 통해 모든 부채를 청산했다고 주장하며, 멕시코 축구 연맹이 부당하게 제명 결정을 내렸다고 비판했다. 또한, FMF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했으며, 소송에서 승리할 경우 리가 MX로 복귀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밝혔다.
3. 유니폼 변천사
연도 | 제조사 | 메인 스폰서 | 기타 스폰서 |
---|---|---|---|
1989–94 | 포니 (Pony) | ||
1994–95 | 아디다스 (Adidas) | 코카콜라 (Coca-Cola) | |
1995–97 | 엄브로 (Umbro) | 코카콜라 (Coca-Cola) | 세르베자 수페리어 (Cerveza Superior) |
1998–08 | 아틀레티카 (Atletica) | 방코 아즈테카 (Banco Azteca) | 세르베자 솔 (Cerveza Sol), 그룹 히간테 (Grupo Gigante), 페가소 (Grupo Pegaso), 빔보 (Grupo Bimbo) |
2009–10 | 조마 (Joma) | 더 폰 하우스 (The Phone House) | 세르베자 솔, 텔레-베르 (Tele-Ver) |
2010–11 | 나이키 (Nike) | 더 폰 하우스 | 세르베자 솔, 텔레-베르 |
2011–12 | 나이키 (Nike) | 체드라우이 (Chedraui) | 세르베자 솔, 텔레-베르 |
2013–2014 | 카파 (Kappa) | 윈팟 카지노 (Winpot Casino) | 보잉 (Pascual Boing), 텔레-베르, 테카테 (Tecate) |
2014–19 | 찰리 (Charly) | 윈팟 카지노 | 보잉 (Pascual Boing), ADO (Autobuses de Oriente), 테카테 (Tecate), 닷지 (Dodge) |
4. 라이벌
CD 베라크루스는 푸에블라와 오랜 라이벌 관계를 형성하고 있다. 이 라이벌 관계는 두 팀이 프로 리그에 참가하기 전인 1930년대 초 아마추어 시절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이들의 경기는 엘 클라시코 델 수르라고도 불린다.
푸에블라와 베라크루스는 리그와 코파 멕시코를 포함하여 총 68번의 공식 경기를 치렀다. 상대 전적에서는 푸에블라가 30승 15무로 우위를 점하고 있다.
5. 역대 성적
CD 베라크루스는 멕시코 프리메라 디비시온에서 두 차례, 프리메라 디비시온 A에서 한 차례, 그리고 코파 멕시코에서 두 차례 우승한 경력을 가지고 있다.
- '''프리메라 디비시온 (2회)'''
- * 1945–46, 1949–50
- '''프리메라 디비시온 A (1회)'''
- * 2001
- '''코파 멕시코 (2회)'''
- * 1947–48, 클라우수라 2016
=== 초창기 영광 ===
클럽은 창단 3년 만인 1945–46 시즌에 14승 4무, 8연승을 포함하여 18경기에서 승리하며 첫 멕시코 프리메라 디비시온 우승을 차지했다. 해당 시즌 동안 총 105골을 기록했으며, 아르헨티나 출신 호르헤 엔리코가 24골로 팀 내 최다 득점자였고, 라이문도 곤잘레스가 뒤를 이었다. 루이스 데 라 푸엔테는 그의 독특한 플레이 스타일로 팀의 핵심 선수로 평가받았다. 1946년 6월 2일, 멕시코 시티의 레알 클럽 에스파냐 홈구장인 ''아스투리아스 공원''에서 열린 시즌 마지막에서 두 번째 경기에서 레알 클럽 에스파냐를 3-2로 꺾고 우승을 확정지었다. 이는 호세 발디비아, 루이스 데 라 푸엔테, 라이문도 곤잘레스의 득점으로 26년간 이어져 온 멕시코 시티 연고 클럽들의 리그 우승 독점을 깬 결과였다. 같은 해 캄페온 데 캄페오네스에서는 아틀라스에게 패배했다.
1947-48 시즌 코파 멕시코에서는 호르헤 엔리코, 라스카노, 파추코 두란 등 주요 선수들과 팔로미니 감독이 떠났음에도 불구하고 첫 우승을 차지했다. 결승전에서 과달라하라를 상대로 스페인 출신 호아킨 우르키아 감독의 지휘 아래 3-1로 승리했다. 이는 구단 역사상 첫 코파 멕시코 우승이었으며, 이후 1949–50, 1967–68, 1994–95 시즌에 세 차례 준우승을 기록했다.
1949-50 시즌에서 클럽은 현재까지 마지막 멕시코 프리메라 디비시온 우승을 차지했다. 멕시코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직에서 막 돌아온 후안 루케 데 세라롱가가 이끄는 새로운 선수단으로 시즌을 시작했다. 또한 이 해는 클럽이 최초의 득점왕을 배출한 해로 기억되는데, 그는 페루 출신의 훌리오 아욘으로, 당시 멕시코에서 흑인 선수 홍보가 흔치 않았기에 El Negro|엘 네그로es로도 알려졌다. 훌리오는 그 해에 30골을 기록했다.
=== 2000년대 이후 ===
2000-01 시즌에, CD 베라크루스는 마침내 기대를 충족시키며 프리메라 A에서 경쟁력 있는 클럽으로 자리 잡았다. 전반기에는 카를로스 트루코와 로베르토 사포리티 감독 하에 여러 경기를 승리하며 플레이오프에 진출했지만, 탈락했다. 하지만 이로 인해 지역 팬들의 관심을 되살렸다. 그 시즌 종료 후 1부 리그가 18개 팀에서 20개 팀으로 확장되면서 그 해 두 클럽이 승격했다. 라 피에다드는 베라노 2001 프리메라 A 토너먼트에서 우승한 후 토로스 네사와의 승격 경기를 통해 승격했다. 아틀란테는 강등 확률이 가장 낮았고, 프리메라 A에서 가장 많은 승점을 얻은 베라크루스와 승격 플레이오프를 치렀다. 두 클럽 간의 두 번째 승격 경기가 치러졌다. 첫 번째 경기는 만원 관중이 운집한 베라크루스의 에스타디오 루이스 데 라 푸엔테에서 0-0 무승부로 끝났다. 두 번째 경기는 에스타디오 아스테카에서 열렸으며, 아틀란테가 베라크루스를 4-1로 꺾고 1부 리그에 잔류했다.
=== 시즌별 성적 ===
시즌 | 리그 단계 | 전기 리그 순위 | 전기 플레이오프 | 후기 리그 순위 | 후기 플레이오프 | 코파 멕시코 | CONCACAF |
---|---|---|---|---|---|---|---|
2001–02 | 2부 및 1부 | 4위 | 우승 | 11위 | 진출 실패 | 중단 | 진출 실패 |
2002–03 | 1부 | 18위 | 진출 실패 | 7위 | 준결승 | 중단 | 진출 실패 |
2003–04 | 1부 | 12위 | 진출 실패 | 20위 | 진출 실패 | 중단 | 진출 실패 |
2004–05 | 1부 | 1위 | 8강 | 17위 | 진출 실패 | 중단 | 진출 실패 |
2005–06 | 1부 | 18위 | 진출 실패 | 16위 | 진출 실패 | 중단 | 진출 실패 |
2006–07 | 1부 | 9위 | 준플레이오프 | 18위 | 진출 실패 | 중단 | 진출 실패 |
2007–08 | 1부 | 13위 | 진출 실패 | 16위 | 진출 실패 | 중단 | 진출 실패 |
2008–09 | 2부 | 11위 | 진출 실패 | 3위 | 준결승 | 중단 | 진출 실패 |
2009–10 | 2부 | 4위 | 준결승 | 15위 | 진출 실패 | 중단 | 진출 실패 |
2010–11 | 2부 | 5위 | 준우승 | 5위 | 실격 | 중단 | 진출 실패 |
2011–12 | 2부 | 8위 | 진출 실패 | 13위 | 진출 실패 | 중단 | 진출 실패 |
2012–13 | 2부 | 12위 | 진출 실패 | 4위 | 8강 | 전기: 4위 (진출 실패) 후기: 3위 (진출 실패) | 진출 실패 |
2013–14 | 1부 | 12위 | 진출 실패 | 18위 | 진출 실패 | 전기: 3위 (진출 실패) 후기: 1위 (준결승) | 진출 실패 |
2014–15 | 1부 | 17위 | 진출 실패 | 3위 | 8강 | 전기: 3위 (진출 실패) 후기: 3위 (진출 실패) | 진출 실패 |
2015–16 | 1부 | 8위 | 8강 | 17위 | 진출 실패 | 전기: 1위 (8강) 후기: 1위 (우승) | 진출 실패 |
2016–17 | 1부 | 17위 | 진출 실패 | 13위 | 진출 실패 | 전기: 2위 (16강) 후기: 2위 (진출 실패) | 진출 실패 |
2017–18 | 1부 | 17위 | 진출 실패 | 16위 | 진출 실패 | 전기: 2위 (진출 실패) 후기: 3위 (진출 실패) | 진출 실패 |
2018–19 | 1부 | 18위 | 진출 실패 | 18위 | 진출 실패 | 전기: 3위 (진출 실패) 후기: 1위 (8강) | 진출 실패 |
2019–20 | 1부 | 19위 | 진출 실패 | 해체 | 진출 실패 | 전기: 2위 (진출 실패) | 진출 실패 |
6. 역대 주요 선수
다음은 클럽 역사상 통산 득점 상위 10명의 선수이다.[8]
순위 | 선수 | 득점 | 활동 연도 |
---|---|---|---|
1 | (브라질) 마리아노 우비라시 | 98 | 1965–1972 |
2 | (멕시코) 루이스 "피라타" 데 라 푸엔테 | 83 | 1943–1952 |
3 | (멕시코) 레이문도 "펠론" 곤잘레스 | 77 | 1986–1996 |
4 | (아르헨티나) 호르헤 코마스 | 77 | 1989–1994 |
5 | (칠레) 호세 루이스 "로코" 아우신 | 65 | 1964-1971 |
6 | (아르헨티나) 호르헤 엔리코 | 54 | 1943–1949 |
7 | (우루과이) 리카르도 브란돈 | 45 | 1976–1978 |
8 | (우루과이) 구스타보 "엘 그리요" 비스카이차쿠 | 43 | 2004–2006 |
9 | (멕시코) 헤수스 "추초" 에르난데스 | 39 | ???? |
10 | (멕시코) 페드로 다미안 | 36 | ???? |
'''리그 및 컵 득점왕'''
- '''코파 멕시코 1943–44:''' 호세 미겔 디에스 (5골)
- '''1949-50 리그:''' 훌리오 아욘 (30골)[9]
- '''1989-90 리그:''' 호르헤 코마스 (26골)[10]
'''기타 주요 선수'''
- (콜롬비아) 르네 이기타 (1997-1998)
- (콜롬비아) 리오넬 알바레스 (1997)
- (멕시코) 루이스 에르난데스 (2003)
7. 역대 감독
wikitext
감독 | 국적 | 임기 |
---|---|---|
호아킨 우르키아가 | 스페인 | 1947–1948 |
보라 밀루티노비치 | 유고슬라비아 / 세르비아 | 1988 |
에두 안투네스 | 브라질 | 1991 |
카를로스 레이노소 | 칠레 | 1992–1994 |
미겔 콤파니 | 페루 | 1993 |
토마스 보이 | 멕시코 | 1995–1996 |
루이스 마누엘 블랑코 | 아르헨티나 | 1997–1998 |
엑토르 우고 에구이 | 우루과이 | 1999 |
카를로스 트루코 | 볼리비아 | 2000 |
파블로 센트로네 | 아르헨티나 | 2001 |
우고 페르난데스 | 우루과이 | 2002 |
다니엘 브라이로브스키 | 이스라엘 | 2002 |
다니엘 구스만 | 멕시코 | 2003–2004 |
토마스 보이 | 멕시코 | 2004 |
윌슨 그라니올라티 | 우루과이 | 2004–2005 |
빅토르 마누엘 부세티치 | 멕시코 | 2005 |
알프레도 테나 | 멕시코 | 2006 |
빅토르 마누엘 부세티치 | 멕시코 | 2006 |
페드로 몬손 | 아르헨티나 | 2006–2007 |
카를로스 바라 (임시) | 멕시코 | 2007 |
에밀리오 가예고스 산체스 | 멕시코 | 2007 |
알레한드로 도밍게스 (임시) | 멕시코 | 2007 |
아니발 루이스 | 우루과이 | 2007 |
네리 펌피도 | 아르헨티나 | 2007 |
안토니오 모하메드 | 아르헨티나 | 2007–2008 |
미겔 에레라 | 멕시코 | 2008 |
파블로 루나 | 멕시코 | 2008 |
세르히오 오르두냐 | 멕시코 | 2008–2009 |
루이스 플로레스 | 멕시코 | 2009 |
호아킨 델 올모 | 멕시코 | 2009–2010 |
호르헤 알미론 | 아르헨티나 | 2010 |
세르히오 부에노 | 멕시코 | 2010 |
카를로스 투루비아테스 | 멕시코 | 2010 |
오마르 아레야노 누뇨 | 멕시코 | 2011 |
다니엘 구스만 | 멕시코 | 2011–2012 |
호아킨 델 올모 | 멕시코 | 2012 |
다비드 파티뇨 | 멕시코 | 2012 |
이그나시오 로드리게스 | 멕시코 | 2012 |
미겔 푸엔테스 | 멕시코 | 2012–2013 |
후안 안토니오 루나 | 멕시코 | 2013–2014 |
호세 루이스 산체스 솔라 | 멕시코 | 2014 |
레오넬 알바레스 | 콜롬비아 | 2014 |
크리스토발 오르테가 | 멕시코 | 2014 |
카를로스 레이노소 | 칠레 | 2014–2017 |
참조
[1]
웹사이트
LIGA MX - Página Oficial de la Liga Mexicana del Fútbol Profesional
http://ligamx.net/ca[...]
[2]
웹사이트
Mexico 2001/02
https://www.rsssf.or[...]
2009-01-22
[3]
웹사이트
Federación Mexicana de Fútbol Asociación, A. C. Fecha de Impresion: 04/08/2012 12:48:56 a.m.
2011-08-29
[4]
웹사이트
LBM: El Atlético Veracruz se prepara para participar en la Liga del Balompié Mexicano
https://www.soyfutbo[...]
2020-06-02
[5]
웹사이트
¡Competencia para el Tibu! Atlético Veracruz confirma su arribo a la Liga de Balompié Mexicano
https://www.mediotie[...]
2020-05-15
[6]
웹사이트
Atlético Veracruz deja Liga de Balompié Mexicano para buscar franquicia en FMF
https://www.mediotie[...]
2021-02-10
[7]
웹사이트
Atlético Veracruz busca jugar en la Liga Premier
https://www.eldictam[...]
2021-05-18
[8]
문서
Clubs Records
https://web.archive.[...]
[9]
Webarchive
La Primera Etapa.
http://www.tiburones[...]
2011-07-17
[10]
Webarchive
La Tercera Etapa.
http://www.tiburones[...]
2010-09-24
[11]
웹사이트
LIGA MX – Página Oficial de la Liga Mexicana del Fútbol Profesional
http://www.ligamx.ne[...]
[12]
URL
http://ligamx.net/c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