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O 순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CNO 순환은 항성 내부에서 수소를 헬륨으로 변환하는 핵융합 과정으로, 탄소(C), 질소(N), 산소(O) 원자핵이 촉매로 작용한다. 저온 CNO 순환은 수소 원자핵 4개가 헬륨 원자핵 1개로 변환되며, 양전자와 중성미자를 방출하는 일련의 반응을 포함한다. 고온 환경에서는 양성자 포획이 베타 붕괴보다 우세하여 다양한 CNO 순환 경로가 나타난다. CNO 순환은 항성의 에너지 생성에 기여하며, 항성 내부 물질의 조성 변화를 유발하여 항성 진화 연구에 중요한 단서를 제공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핵융합 - 양성자-양성자 연쇄 반응
양성자-양성자 연쇄 반응은 태양과 같은 저질량 항성의 주요 에너지원인 핵융합 과정으로, 여러 단계를 거쳐 양성자가 헬륨으로 변환되며 감마선과 중성미자를 방출한다. - 핵융합 - 삼중 알파 과정
삼중 알파 과정은 헬륨-4 핵 세 개가 융합하여 탄소-12 핵을 생성하는 핵융합 반응으로, 고온 고압의 별 내부 환경에서 탄소를 생성하여 항성 핵합성과 별의 진화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베릴륨-8의 불안정성과 탄소-12의 호일 상태 공명 현상이 이 반응을 가능하게 한다. - 항성물리학 - 양성자-양성자 연쇄 반응
양성자-양성자 연쇄 반응은 태양과 같은 저질량 항성의 주요 에너지원인 핵융합 과정으로, 여러 단계를 거쳐 양성자가 헬륨으로 변환되며 감마선과 중성미자를 방출한다. - 항성물리학 - 네온 연소 과정
네온 연소 과정은 별의 진화 단계에서 탄소 연소 이후에 발생하며, 네온이 감마선 또는 헬륨과 반응하여 산소와 마그네슘을 생성하는 과정이다.
CNO 순환 | |
---|---|
개요 | |
명칭 | 탄소-질소-산소 순환 (탄소-질소-산소 循環) |
영문 명칭 | CNO cycle |
반응 개요 | |
반응 유형 | 핵융합 반응 |
촉매 | 탄소, 질소, 산소 |
주요 반응 | 별 내부에서 수소를 헬륨으로 변환 |
반응 에너지 | 26.7 MeV |
반응 과정 | |
1단계 | + → + |
2단계 | → + + |
3단계 | + → + |
4단계 | + → + |
5단계 | → + + |
6단계 | + → + |
반응 조건 | |
특징 | |
에너지 생산 | 양성자-양성자 연쇄 반응보다 더 높은 온도에서 더 효율적임. |
태양 기여도 | 의 에너지가 CNO 순환을 통해 생산됨. |
발견 | 칼 폰 바이츠제커 (1937, 1938), 한스 베테 (1939) |
관련 정보 | |
관련 연구 | BOREXINO collaboration, Nature (2020) |
2. 저온 CNO 순환
항성 내부의 일반적인 환경에서 일어나는 CNO 순환은 양성자 포획 반응에 의해 제한된다. 특히 방사성 동위원소의 베타 붕괴 시간 척도가 핵융합 시간 척도보다 빨라 수소가 헬륨으로 천천히 전환되며, 항성이 오랜 시간 동안 안정적인 평형 상태를 유지하게 한다.[2]
CNO 순환은 양성자-양성자 연쇄 반응과 마찬가지로, 4개의 수소 원자핵이 1개의 헬륨 원자핵으로 변환된다. 반응 경로는 아래 표와 같다.
반응 | 평균 수명 | |||
---|---|---|---|---|
+1.95 MeV | 1.3 × 107 년 | |||
+1.37 MeV | 7 분 | |||
+7.54 MeV | 2.7 × 106 년 | |||
+7.35 MeV | 3.2 × 108 년 | |||
+1.86 MeV | 82 초 | |||
+4.96 MeV | 1.12 × 105 년 |
이 과정에서 $^{12}$C, $^{13}$C, $^{14}$N, $^{15}$N이 수소와 융합하는 반응이 중요하므로, CN 순환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중간에 생성되는 $^{13}$N과 $^{15}$O는 불안정한 핵종으로, 짧은 시간 안에 베타 붕괴하여 양전자와 전자 뉴트리노를 방출한다.
이 순환에서 일어나는 순 반응은 4개의 수소 원자핵(양성자)이 융합하여 1개의 헬륨 원자핵(알파 입자)과 2개의 양전자, 2개의 뉴트리노로 변환되고, 에너지가 감마선으로 방출된다는 것이다. 반응 과정에 나타나는 탄소, 산소, 질소 원자핵은 반응의 촉매로 작용하며, 순환 과정에서 재생산된다.
2. 1. 제1CNO (CN 순환)
최초로 제안된 CNO 순환으로, 탄소-질소 순환(CN 순환) 또는 베테-바이츠제커 순환이라고도 한다.[2] 이 과정에서는 산소의 안정한 동위원소가 존재하지 않아 CNO 순환에서 O가 빠진 CN 순환이라고도 불린다.[27]반응 순서는 $^{12}$C → $^{13}$N → $^{13}$C → $^{14}$N → $^{15}$O → $^{15}$N → $^{12}$C 와 같다. 첫 반응에 사용된 탄소-12($^{12}$C) 원자핵이 마지막 반응에서 다시 생성되는 순환 반응이다.[27]
방출된 양전자 2개가 주변 전자 2개와 쌍소멸하면서 추가적으로 2.04 MeV를 더 내놓아 제1CNO 순환 한번으로 방출되는 에너지 총량은 26.73 MeV이다.[29]
베타 감쇠로 방출되는 중성미자의 에너지는 단일하게 정해지지 않고 범위값을 갖는다. 중성미자에 의해 평균 약 1.7 MeV의 에너지가 손실되고, 나머지 약 25 MeV가 광도, 즉 빛의 형태를 만들어내는 에너지이다.[31]
제1CNO 순환에서 가장 느린 반응은 질소-14($^{14}$N)의 양성자 포획 반응이다.[30]
CNO 순환의 반응 경로는 아래 표와 같다.
반응 | 평균 수명 | |||
---|---|---|---|---|
+1.95 MeV | 1.3 × 107 년 | |||
+1.37 MeV | 7 분 | |||
+7.54 MeV | 2.7 × 106 년 | |||
+7.35 MeV | 3.2 × 108 년 | |||
+1.86 MeV | 82 초 | |||
+4.96 MeV | 1.12 × 105 년 |
2. 2. 제2CNO
제1CNO 순환의 마지막 반응에서 $^{15}$N(질소)이 $^{12}$C(탄소)와 $^4$He(헬륨)을 생성하는 대신, $^{16}$O(산소)와 감마선을 생성하는 분기 반응이다.[1] 이 반응은 $^{15}$N → $^{16}$O → $^{17}$F(플루오린) → $^{17}$O → $^{14}$N → $^{15}$O → $^{15}$N 순으로 진행된다.[1] 태양 중심에서는 약 0.04%의 확률로 발생한다.[1]이 과정에서 생성되는 플루오르는 촉매 역할을 하며, 반응이 정상 상태일 때 항성 내에 축적되지 않는다.[1]
반응 경로는 다음과 같다.[1]
반응 |
---|
$^{15}$N + $^{1}$H → $^{16}$O + γ + 12.13 MeV |
$^{16}$O + $^{1}$H → $^{17}$F + γ + |
$^{17}$F → $^{17}$O + e+ + νe + 2.76 MeV (반감기 64.49 초) |
$^{17}$O + $^{1}$H → $^{14}$N + $^{4}$He + 1.19 MeV |
$^{14}$N + $^{1}$H → $^{15}$O + γ + 7.35 MeV |
$^{15}$O → $^{15}$N + e+ + νe + 2.75 MeV (반감기 122.24 초) |
2. 3. 제3CNO
제3CNO 순환은 질량이 큰 항성에서 주로 일어나는 수소 핵융합 반응의 한 종류이다. 이 순환은 제2CNO 순환의 네 번째 반응에서 $^{17}$O(산소-17)가 $^{14}$N(질소-14)과 $^4$He(헬륨-4) 대신 $^{18}$F(플루오린-18)과 감마선(γ)을 생성하는 분기 반응으로부터 시작된다.제3CNO 순환의 반응 경로는 다음과 같다.
$^{17}$O → $^{18}$F → $^{18}$O → $^{15}$N → $^{16}$O → $^{17}$F → $^{17}$O
각 단계별 세부 반응은 다음과 같다.
반응 | 생성물 | 에너지 (MeV) | 반감기 |
---|---|---|---|
$^{17}$O + ¹H | $^{18}$F + γ | 5.61 | |
$^{18}$F | $^{18}$O + e⁺ + νₑ | 1.656 | 109.771분 |
$^{18}$O + ¹H | $^{15}$N + ⁴He | 3.98 | |
$^{15}$N + ¹H | $^{16}$O + γ | 12.13 | |
$^{16}$O + ¹H | $^{17}$F + γ | 0.60 | |
$^{17}$F | $^{17}$O + e⁺ + νₑ | 2.76 | 64.49초 |
이 순환에서 $^{15}$N(질소-15)과 수소가 융합할 때, 약 0.04%의 확률로 $^{12}$C(탄소-12)와 $^{4}$He(헬륨-4)가 아닌 $^{16}$O(산소-16)와 감마선 광자가 생성될 수 있다.
CNO-I 순환에서의 탄소, 질소, 산소와 마찬가지로, 이 CNO-III 순환에서 생성되는 플루오르 원자핵도 단순히 촉매 역할을 하며, 항성 내에 축적되지 않는다.
2. 4. 제4CNO
제3CNO 순환의 세 번째 반응에서 $^{15}$N이 $^{16}$O와 감마선 대신 $^{19}$F와 감마선을 생성하는 분기 반응이다. $^{18}$O → $^{19}$F → $^{16}$O → $^{17}$F → $^{17}$O → $^{18}$F → $^{18}$O 순으로 반응이 진행된다. 제4CNO 순환은 질량이 큰 항성에서 주로 일어난다.[20]반응 과정은 다음과 같다.
반응 | 방출 에너지 | 반감기 |
---|---|---|
+ → + | 8.114 MeV | |
+ → + | ||
→ + + | 2.76 MeV | 64.49초 |
+ → + | 5.61 MeV | |
→ + + | 1.656 MeV | 109.771분 |
+ → + | 7.994 MeV |
신성이나 엑스선 폭발원과 같이 고온, 고압 환경에서는 양성자 포획 속도가 베타 붕괴 속도보다 빨라진다. 이로 인해 양성자 적하선까지 핵반응이 진행되어, 방사성 동위원소가 베타 붕괴를 일으키기 전에 양성자를 포획하여 새로운 핵융합 경로를 열게 된다. 이러한 촉매 순환을 고온 CNO 순환이라고 하며, 시간 척도가 베타 붕괴가 아닌 양성자 포획에 의해 제한되기 때문에 베타 제한 CNO 순환이라고도 한다.
3. 고온 CNO 순환
고온 CNO 순환에서도 CNO 순환과 마찬가지로, 4개의 수소 원자핵이 1개의 헬륨 원자핵으로 변환된다.
3. 1. 제1HCNO
제1HCNO 순환은 제1CNO 순환에서 $^{13}$N(질소-13)이 베타 붕괴하는 대신 양성자를 포획하는 반응이다. 이 반응은 $^{12}$C → $^{13}$N → $^{14}$O → $^{14}$N → $^{15}$O → $^{15}$N → $^{12}$C 순으로 진행된다.
상세한 반응 과정은 다음과 같다.
반응 | 세부 과정 | 방출 에너지 (MeV) | 반감기 |
---|---|---|---|
1단계 | 12C|탄소-12영어 + 1H|수소-1영어 → 13N|질소-13영어 + γ | 1.95 MeV | |
2단계 | 13N|질소-13영어 + 1H|수소-1영어 → 14O|산소-14영어 + γ | 4.63 MeV | |
3단계 | 14O|산소-14영어 → 14N|질소-14영어 + e+ + νe | 5.14 MeV | 70.641초 |
4단계 | 14N|질소-14영어 + 1H|수소-1영어 → 15O|산소-15영어 + γ | 7.35 MeV | |
5단계 | 15O|산소-15영어 → 15N|질소-15영어 + e+ + νe | 2.75 MeV | 122.24초 |
6단계 | 15N|질소-15영어 + 1H|수소-1영어 → 12C|탄소-12영어 + 4He|헬륨-4영어 | 4.96 MeV |
3. 2. 제2HCNO
제2HCNO 순환은 $^{17}$F가 베타 붕괴하는 대신 양성자를 포획하여 $^{18}$Ne을 생성하는 반응이다. 반응 경로는 $^{15}$N → $^{16}$O → $^{17}$F → $^{18}$Ne → $^{18}$F → $^{15}$O → $^{15}$N 순으로 진행된다.상세한 반응 과정은 다음과 같다.
반응 | 방출 에너지 (MeV) | 반감기 |
---|---|---|
15N + 1H → 16O + γ | 12.13 | |
16O + 1H → 17F + γ | 0.60 | |
17F + 1H → 18Ne + γ | 3.92 | |
18Ne → 18F + β+ + νe | 4.44 | 1.672초 |
18F + 1H → 15O + 4He | 2.88 | |
15O → 15N + β+ + νe | 2.75 | 122.24초 |
3. 3. 제3HCNO
제2HCNO 순환의 다섯 번째 반응에서 $^{18}$F가 양성자를 포획하여 $^{19}$Ne을 생성하는 반응이다. $^{18}$F → $^{19}$Ne → $^{19}$F → $^{16}$O → $^{17}$F → $^{18}$Ne → $^{18}$F 순으로 반응이 진행된다.반응 순서 | 반응 | 방출 에너지 (MeV) | 반감기 |
---|---|---|---|
1 | $^{18}$F + $^{1}$H → $^{19}$Ne + γ | 6.41 | |
2 | $^{19}$Ne → $^{19}$F + 양전자 + 전자 중성미자 | 3.32 | 17.22초 |
3 | $^{19}$F + $^{1}$H → $^{16}$O + $^{4}$He | 8.11 | |
4 | $^{16}$O + $^{1}$H → $^{17}$F + γ | 0.60 | |
5 | $^{17}$F + $^{1}$H → $^{18}$Ne + γ | 3.92 | |
6 | $^{18}$Ne → $^{18}$F + 양전자 + 전자 중성미자 | 4.44 | 1.672초 |
4. 에너지 생성
CNO 순환은 양성자-양성자 연쇄 반응과 마찬가지로 수소 원자핵 4개가 헬륨 원자핵 1개로 변환되는 과정이다. 이 과정에서 탄소(C), 질소(N), 산소(O)는 촉매 역할을 하며, 순환 과정에서 재생산된다.
CNO 순환 한 주기당 약 25MeV의 에너지가 생성된다. CNO 순환의 한 주기가 완결되는 데 걸리는 시간은 약 3.8 × 108년으로, 양성자-양성자 연쇄 반응의 시간 척도(약 109년)보다 짧다. 따라서 CNO 순환을 주된 에너지원으로 하는 대질량별에서는 단위 시간당 에너지 생성률이 소질량별보다 크다.
CNO 순환은 온도에 매우 민감한 반응이다. CNO 순환의 에너지 생성률은 온도의 15제곱에 비례한다. 따라서 온도가 5% 상승하면 에너지 방출은 약 2.08배 증가한다.
5. 천문학에서의 CNO 순환
CNO 순환 과정에 참여하는 핵의 총 개수는 항성 진화 과정에서 보존되지만, 각 핵의 상대적인 비율은 변화한다. 평형 상태에 도달하면 탄소-12와 탄소-13의 비율은 3.5로 수렴하고, 초기 조성에 관계없이 질소-14가 가장 많은 핵종이 된다. 항성 진화 과정에서 대류 혼합 현상으로 CNO 순환이 일어난 영역의 물질이 항성 내부에서 표면으로 이동하여 관측되는 항성의 조성을 변화시킨다. 적색 거성은 주계열성보다 탄소-12/탄소-13 및 탄소-12/질소-14 비율이 낮게 관측되는데, 이는 CNO 순환이 작동한다는 강력한 증거로 여겨진다.[21]
참조
[1]
저널
Experimental evidence of neutrinos produced in the CNO fusion cycle in the Sun
2020-06-25
[2]
서적
New Light on Dark Stars: Red dwarfs, low-mass stars, brown dwarfs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3]
서적
Evolution of Stars and Stellar Populations
https://archive.org/[...]
John Wiley and Sons
[4]
저널
Stellar Nucleosynthesis in the Hyades open cluster
[5]
저널
Über Elementumwandlungen in Innern der Sterne I
[6]
저널
Über Elementumwandlungen in Innern der Sterne II
[7]
저널
Energy Production in Stars
[8]
저널
Experimental evidence of neutrinos produced in the CNO fusion cycle in the Sun
https://www.nature.c[...]
2020-11-25
[9]
웹사이트
Neutrinos yield first experimental evidence of catalyzed fusion dominant in many stars
https://phys.org/new[...]
[10]
저널
Energy production in stars
[11]
저널
Nuclear Physics, A: Stationary states of nuclei
https://authors.libr[...]
[12]
저널
Nuclear Physics, B: Nuclear dynamics, theoretical
[13]
저널
Nuclear Physics, C: Nuclear Dynamics, Experimental
[14]
잡지
Landmarks: What makes the stars shine?
https://physics.aps.[...]
2008-01-23
[15]
서적
Introductory Nuclear Physics
https://archive.org/[...]
John Wiley & Sons
[16]
서적
Principles and Perspectives in Cosmochemistry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17]
웹사이트
The 2003 Atomic Mass Evaluation
http://amdc.in2p3.fr[...]
Atomic Mass Data Center
2003-11-18
[18]
저널
First measurement of the 14N(p,γ)15O cross section down to 70 keV
[19]
서적
Die Physik der Sterne und der Sonne
Bibliographisches Institut
[20]
웹사이트
The neon-sodium cycle: Study of the 22Ne(p, γ)23Na reaction at astrophysical energies
https://core.ac.uk/d[...]
[21]
저널
The chemical evolution of the secondary stars in close binaries, arising from common-envelope evolution and nova outbursts
1998-12
[22]
서적
New light on dark stars: red dwarfs, low-mass stars, brown dwarfs
http://books.google.[...]
Springer
[23]
서적
Evolution of stars and stellar populations
http://books.google.[...]
John Wiley and Sons
[24]
저널
Stellar Nucleosynthesis in the Hyades Open Cluster
[25]
저널
Über Elementumwandlungen in Innern der Sterne II
[26]
저널
Energy Production in Stars
[27]
서적
Introductory Nuclear Physics
https://archive.org/[...]
John Wiley & Sons
[28]
서적
Principles and Perspectives in Cosmochemistry
http://books.google.[...]
Springer
[29]
웹인용
The 2003 Atomic Mass Evaluation
http://amdc.in2p3.fr[...]
Atomic Mass Data Center
2003-11-18
[30]
저널
First measurement of the 14N(p,gamma)15O cross section down to 70 keV
[31]
서적
Die Physik der Sterne und der Sonne
Bibliographisches Institut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