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SAFA컵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COSAFA컵은 남아프리카 축구 협의회(COSAFA) 소속 국가들이 참가하는 국제 축구 대회이다. 1997년에 처음 개최되었으며, 잠비아가 7회, 짐바브웨가 6회 우승으로 최다 우승국이다. 앙골라, 보츠와나, 코모로, 에스와티니, 레소토, 마다가스카르, 말라위, 모리셔스, 모잠비크, 나미비아, 세이셸, 남아프리카 공화국, 잠비아, 짐바브웨가 COSAFA 회원국으로 참가하며, 콩고 민주 공화국, 가나, 케냐, 탄자니아, 세네갈 등 비회원국도 초청받아 참가한 적이 있다. 짐바브웨의 피터 은들로부와 모잠비크의 마누엘 '티코-티코' 부쿠아네가 10골로 대회 역대 최다 득점자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COSAFA컵 - 1997년 COSAFA컵
남아프리카 지역 9개국이 참가한 1997년 COSAFA컵은 남아프리카 공화국과 앙골라가 불참한 가운데 예선 라운드를 거쳐 결선 라운드에 진출한 잠비아가 우승을 차지했으며 아델리노가 득점 순위 1위에 올랐다. - COSAFA컵 - 2013년 COSAFA컵
2013년 COSAFA컵은 남아프리카 축구 협의회 소속 국가대표팀과 초청팀들이 참가한 국제 축구 대회로, 잠비아가 짐바브웨를 꺾고 우승했으며 무쿠카 물렌가가 MVP, 제롬 라마틀라크와네가 득점왕, 다니엘 문야우가 최고 골키퍼를 수상했다.
| COSAFA컵 | |
|---|---|
| 대회 정보 | |
| 주최 | COSAFA |
| 창설 | 1983년 |
| 참가 팀 수 | 14개 팀 |
| 최근 우승팀 | (4번째 우승) |
| 최다 우승팀 | (7회 우승) |
| 웹사이트 | COSAFA 공식 웹사이트 |
| 현재 대회 | 2024 COSAFA컵 |
![]() | |
| 기타 정보 | |
2. 역사
'''초기 역사 (1997-2000)'''
1997년 COSAFA 컵이 처음 개최되었다.[1] 1997년 대회에서 잠비아가 우승하고 나미비아가 준우승을 차지했다.[7] 1998년 대회에서는 잠비아가 다시 우승을 차지했으며, 짐바브웨가 준우승했다.[7] 1999년 대회에서는 앙골라가 나미비아를 상대로 1-0, 1-1 스코어를 기록하며 우승했다. 2000년 대회에서는 짐바브웨가 레소토를 상대로 3-0, 3-0 스코어를 기록하며 우승컵을 들어올렸다. 초창기 대회는 몇 달에 걸쳐 진행되는 토너먼트 형식이었으나, 대회가 성장하면서 일련의 미니 토너먼트 형식으로 변경되었다.[1]
'''형식 변화와 발전 (2001-2009)'''
2001년 대회에서는 앙골라가 짐바브웨를 상대로 0-0 무승부 후 1-0으로 승리하며 우승을 차지했다. 말라위는 3, 4위전에서 잠비아를 2-1로 꺾고 3위를 차지했다. 2002년에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이 말라위를 3-1, 1-0으로 꺾고 우승했다. 2003년에는 짐바브웨가 말라위를 2-1, 2-0으로 이기고 우승을 차지했다. 2004년에는 앙골라가 잠비아와 0-0으로 비긴 후 승부차기(5-4)에서 승리하여 우승했다.
2005년 대회에서는 짐바브웨가 잠비아를 1-0으로 꺾고 우승했다. 2006년에는 잠비아가 앙골라를 2-0으로 이기고 우승을 차지했다. 2007년 대회에서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이 잠비아와 0-0으로 비긴 후 승부차기(4-3)에서 승리하여 우승했다. 2008년에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이 모잠비크를 2-1로 꺾고 우승했으며, 잠비아는 마다가스카르를 2-0으로 이기고 3위를 차지했다. 2009년에는 짐바브웨가 잠비아를 3-1로 꺾고 우승을 차지했고, 모잠비크가 남아프리카 공화국을 1-0으로 꺾고 3위를 차지했다.
COSAFA컵은 대회의 초창기에는 몇 달에 걸쳐 진행되는 토너먼트였으나, 대회가 성장하면서 일련의 미니 토너먼트로 변모했다.[1] 2010년 COSAFA 시니어 챌린지는 앙골라에서 개최될 예정이었으나, 앙골라 당국이 충분한 보증을 제공하지 않아 취소되었다.[2][3]
'''최근 대회 (2013-현재)'''
2013년 대회에서는 잠비아가 짐바브웨를 2-0으로 이기고 우승을 차지했다. 남아프리카 공화국은 레소토를 2-1로 이기고 3위를 차지했다. 2015년 대회에서는 나미비아가 모잠비크를 2-0으로 이기고 우승했다. 마다가스카르는 보츠와나를 2-1로 이겨 3위를 차지했다.
2016년 대회에서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이 보츠와나를 3-2로 이기고 우승을 차지했다. 에스와티니(스와질란드)는 콩고 민주 공화국을 1-0으로 이기고 3위를 차지했다. 2017년 대회에서는 짐바브웨가 잠비아를 3-1로 이기고 우승했다. 탄자니아는 레소토와의 경기에서 0-0으로 비긴 후 승부차기에서 4-2로 이겨 3위를 차지했다.
2018년 대회에서는 짐바브웨가 잠비아를 연장전 끝에 4-2로 이기고 우승을 차지했다. 레소토는 마다가스카르를 1-0으로 이기고 3위를 차지했다. 2019년 대회에서는 잠비아가 보츠와나를 1-0으로 이기고 우승을 차지했다. 짐바브웨는 레소토와의 경기에서 2-2로 비긴 후 승부차기에서 5-4로 이겨 3위를 차지했다.
앙골라, 보츠와나, 코모로, 에스와티니, 레소토, 마다가스카르, 말라위, 모리셔스, 모잠비크, 나미비아, 세이셸, 남아프리카 공화국, 잠비아, 짐바브웨가 과거 대회에 참가했다. 콩고 민주 공화국, 적도 기니, 가나, 케냐, 탄자니아, 우간다, 세네갈 등 7개의 비 COSAFA 회원국도 참가했다. 잠비아는 7번 우승으로 최다 우승을 차지했으며, 짐바브웨가 6번 우승으로 그 뒤를 따르고 있다.
''2010 COSAFA 시니어 챌린지''는 2010년 7월 앙골라에서 개최될 예정이었으나, 2010년 10월 COSAFA는 앙골라 당국의 보증 부족을 이유로 대회를 취소했다.[6]
2. 1. 초기 역사 (1997-2000)
1997년 COSAFA 컵이 처음 개최되었다.[1] 1997년 대회에서 잠비아가 우승하고 나미비아가 준우승을 차지했다.[7] 1998년 대회에서는 잠비아가 다시 우승을 차지했으며, 짐바브웨가 준우승했다.[7] 1999년 대회에서는 앙골라가 나미비아를 상대로 1-0, 1-1 스코어를 기록하며 우승했다.[1] 2000년 대회에서는 짐바브웨가 레소토를 상대로 3-0, 3-0 스코어를 기록하며 우승컵을 들어올렸다.[1] 초창기 대회는 몇 달에 걸쳐 진행되는 토너먼트 형식이었으나, 대회가 성장하면서 일련의 미니 토너먼트 형식으로 변경되었다.[1]2. 2. 형식 변화와 발전 (2001-2009)
2001년 대회에서는 앙골라가 짐바브웨를 상대로 0-0 무승부 후 1-0으로 승리하며 우승을 차지했다.[1] 말라위는 3, 4위전에서 잠비아를 2-1로 꺾고 3위를 차지했다.[1] 2002년에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이 말라위를 3-1, 1-0으로 꺾고 우승했다.[1] 2003년에는 짐바브웨가 말라위를 2-1, 2-0으로 이기고 우승을 차지했다.[1] 2004년에는 앙골라가 잠비아와 0-0으로 비긴 후 승부차기(5-4)에서 승리하여 우승했다.[1]2005년 대회에서는 짐바브웨가 잠비아를 1-0으로 꺾고 우승했다.[1] 2006년에는 잠비아가 앙골라를 2-0으로 이기고 우승을 차지했다.[1] 2007년 대회에서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이 잠비아와 0-0으로 비긴 후 승부차기(4-3)에서 승리하여 우승했다.[1] 2008년에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이 모잠비크를 2-1로 꺾고 우승했으며, 잠비아는 마다가스카르를 2-0으로 이기고 3위를 차지했다.[1] 2009년에는 짐바브웨가 잠비아를 3-1로 꺾고 우승을 차지했고, 모잠비크가 남아프리카 공화국을 1-0으로 꺾고 3위를 차지했다.[1]
COSAFA컵은 대회의 초창기에는 몇 달에 걸쳐 진행되는 토너먼트였으나, 대회가 성장하면서 일련의 미니 토너먼트로 변모했다.[1] 2010년 COSAFA 시니어 챌린지는 앙골라에서 개최될 예정이었으나,[2] 앙골라 당국이 충분한 보증을 제공하지 않아 취소되었다.[3]
2. 3. 최근 대회 (2013-현재)
2013년 대회에서는 잠비아가 짐바브웨를 2-0으로 이기고 우승을 차지했다.[1] 남아프리카 공화국은 레소토를 2-1로 이기고 3위를 차지했다.[1] 2015년 대회에서는 나미비아가 모잠비크를 2-0으로 이기고 우승했다.[1] 마다가스카르는 보츠와나를 2-1로 이겨 3위를 차지했다.[1]2016년 대회에서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이 보츠와나를 3-2로 이기고 우승을 차지했다.[1] 에스와티니(스와질란드)는 콩고 민주 공화국을 1-0으로 이기고 3위를 차지했다.[1] 2017년 대회에서는 짐바브웨가 잠비아를 3-1로 이기고 우승했다.[1] 탄자니아는 레소토와의 경기에서 0-0으로 비긴 후 승부차기에서 4-2로 이겨 3위를 차지했다.[1]
2018년 대회에서는 짐바브웨가 잠비아를 연장전 끝에 4-2로 이기고 우승을 차지했다.[1] 레소토는 마다가스카르를 1-0으로 이기고 3위를 차지했다.[1] 2019년 대회에서는 잠비아가 보츠와나를 1-0으로 이기고 우승을 차지했다.[1] 짐바브웨는 레소토와의 경기에서 2-2로 비긴 후 승부차기에서 5-4로 이겨 3위를 차지했다.[1]
앙골라, 보츠와나, 코모로, 에스와티니, 레소토, 마다가스카르, 말라위, 모리셔스, 모잠비크, 나미비아, 세이셸, 남아프리카 공화국, 잠비아, 짐바브웨가 과거 대회에 참가했다.[1] 콩고 민주 공화국, 적도 기니, 가나, 케냐, 탄자니아, 우간다, 세네갈 등 7개의 비 COSAFA 회원국도 참가했다.[1] 잠비아는 7번 우승으로 최다 우승을 차지했으며, 짐바브웨가 6번 우승으로 그 뒤를 따르고 있다.[1]
''2010 COSAFA 시니어 챌린지''는 2010년 7월 앙골라에서 개최될 예정이었으나,[2] 2010년 10월 COSAFA는 앙골라 당국의 보증 부족을 이유로 대회를 취소했다.[3]
3. 역대 대회
wikitext
| 연도 | 우승 | 점수 | 준우승 | 3위 | 점수 | 4위 |
|---|---|---|---|---|---|---|
| 1997 | 없음[7] | 없음[7] | ||||
| 1998 | 없음[7] | 없음[7] | ||||
| 1999 | 1–0, 1-1 | , | ||||
| 2000 | 3–0, 3–0 | , | ||||
| 2001 | 0–0, 1–0 | 2–1 | ||||
| 2002 | 3–1, 1–0 | , | ||||
| 2003 | 2–1, 2–0 | , | ||||
| 2004 | 0–0 (5–4 PSO) | , | ||||
| 2005 | 1–0 | , | ||||
| 2006 | 2–0 | , | ||||
| 2007 | 0–0 (4–3 PSO) | , | ||||
| 2008 | 2–1 | 2–0 | ||||
| 2009 | 3–1 | 1–0 | ||||
| 2010 | 취소됨[8] | |||||
| 2013 | 2–0 | 2–1 | ||||
| 2015 | 2–0 | 2–1 | ||||
| 2016 | 3–2 | 1–0 | ||||
| 2017 | 3–1 | 0–0 (4–2 PSO) | ||||
| 2018 | 4–2 (연장) | 1–0 | ||||
| 2019 | 1-0 | 2-2 (5-4 PSO) | ||||
| 2021 | 0–0 (5–4 승부차기) | 1–1 (4–2 승부차기) | ||||
| 2022 | 1–0 | 1–1 (4–2 승부차기) | ||||
| 2023 | 1–0 | 0–0 (5–3 승부차기) | ||||
| 2024 | 5–0 | 2–2 (3–1 승부차기) | ||||
1997년과 1998년 대회는 라운드 로빈 방식으로 최종 순위가 결정되었다.[7] 2010년 대회는 취소되었다.[8]
4. 참가국
wikitext
COSAFA컵 회원국은 COSAFA에 소속된 국가들로, COSAFA컵 대회에 참가한다. 각국의 대회 참가 현황은 다음과 같다.
| 팀 | 1997 | 1998 | 1999 | 2000 | 2001 | 2002 | 2003 | 2004 | 2005 | 2006 | 2007 | 2008 | 2009 | 2013 | 2015 | 2016 | 2017 | 2018 | 2019 | 2021 | 2022 | 2023 | 합계 |
|---|---|---|---|---|---|---|---|---|---|---|---|---|---|---|---|---|---|---|---|---|---|---|---|
| 앙골라/Angola national football team영어 | – | 3위 | 우승 | 준결승 | 우승 | 8강 | 1R | 우승 | 준결승 | 준우승 | 1R | 8강 | 8강 | 8강 | – | GS | GS | GS | 19 | ||||
| 보츠와나/Botswana national football team영어 | 1R | 1R | 2R | 1R | 1R | 1R | 8강 | 8강 | 1R | 준결승 | 준결승 | 8강 | 8강 | GS | 4위 | 준우승 | 8강 | 8강 | 준우승 | GS | 8강 | GS | 23 |
| 코모로/Comoros national football team영어 | – | – | – | – | – | – | – | – | – | – | – | GS | GS | – | – | – | – | GS | 8강 | GS | GS | 4위 | 7 |
| 에스와티니/Eswatini national football team영어 | 1R | 1R | 준결승 | 8강 | 8강 | 준결승 | 준결승 | 8강 | 1R | 1R | 1R | GS | GS | GS | GS | 3위 | 8강 | 8강 | GS | 3위 | 8강 | 23 | |
| 레소토/Lesotho national football team영어 | 1R | 1R | 8강 | 준우승 | 8강 | 1R | 1R | 1R | 1R | 1R | 1R | GS | GS | 4위 | GS | 8강 | 4위 | 3위 | 4위 | GS | GS | 준우승 | 23 |
| 마다가스카르/Madagascar national football team영어 | – | – | – | – | – | 8강 | 8강 | 1R | 1R | 1R | 1R | 4위 | – | – | 3위 | GS | GS | 4위 | – | 8강 | – | – | 12 |
| 말라위/Malawi national football team영어 | 5위 | 1R | 2R | 8강 | 준결승 | 준우승 | 준우승 | 8강 | 1R | 1R | 1R | GS | 8강 | 8강 | GS | GS | GS | 8강 | GS | GS | 4위 | 22 | |
| 모리셔스/Mauritius national football team영어 | – | – | – | 1R | 8강 | 1R | 1R | 8강 | 1R | 1R | 1R | GS | GS | GS | GS | GS | GS | GS | GS | – | GS | GS | 18 |
| 모잠비크/Mozambique national football team영어 | 3위 | 5위 | 8강 | 1R | 1R | 8강 | 8강 | 준결승 | 1R | 1R | 준결승 | 준우승 | 3위 | 8강 | 준우승 | 8강 | GS | GS | GS | GS | 4위 | 4위 | 23 |
| 나미비아/Namibia national football team영어 | 준우승 | 4위 | 준우승 | 8강 | 1R | 1R | 1R | 1R | 1R | 1R | 1R | 8강 | 8강 | 우승 | 8강 | 8강 | 8강 | GS | GS | 준우승 | GS | 23 | |
| 세이셸/Seychelles national football team영어 | – | – | – | – | – | – | – | – | 1R | 1R | 1R | GS | GS | GS | GS | GS | GS | GS | GS | – | GS | GS | 14 |
| 남아프리카 공화국/South Africa national football team영어 | – | 1R | 8강 | 준결승 | 8강 | 우승 | 8강 | 1R | 준결승 | 1R | 우승 | 4위 | 3위 | 8강 | 우승 | 8강 | 8강 | 8강 | 우승 | 8강 | 3위 | 22 | |
| 잠비아/Zambia national football team영어 | 우승 | 우승 | 준결승 | 8강 | 준결승 | 준결승 | 준결승 | 준우승 | 준우승 | 우승 | 3위 | 준우승 | 8강 | 8강 | 우승 | 8강 | 준우승 | 우승 | GS | 23 | |||
| 짐바브웨/Zimbabwe national football team영어 | 1R | 준우승 | 8강 | 우승 | 준우승 | 8강 | 우승 | 준결승 | 우승 | 준결승 | 1R | 8강 | 우승 | GS | GS | 우승 | 우승 | 3위 | GS | 21 | |||
| 초청 국가 | |||||||||||||||||||||||
| 콩고 민주 공화국/DR Congo national football team영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위 | – | – | – | – | – | 1 | |
| 가나/Ghana national football team영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8강 | – | – | – | – | – | – | 1 | |
| 케냐/Kenya national football team영어* | – | – | – | – | – | – | – | – | – | – | – | – | – | GS | – | – | – | – | – | – | – | GS | 2 |
| 세네갈/Senegal national football team영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준우승 | 3위 | 2 | |
| 탄자니아/Tanzania national football team영어* | 4위 | – | – | – | – | – | – | – | – | – | – | – | – | GS | – | 3위 | – | – | – | – | 3 | ||
| 우간다/Uganda national football team영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8강 | – | – | – | 1 |
| 합계 | 9 | 10 | 10 | 11 | 11 | 12 | 12 | 12 | 13 | 13 | 13 | 14 | 13 | 13 | 14 | 14 | 14 | 14 | 13 | 10 | 14 | 12 | |
- 범례
| 우승 | 준우승 | 3위 | 4위 | 준결승 | 8강 | GS | 1R, 2R | – : 불참 |
* 콩고 민주 공화국, 가나, 케냐, 탄자니아, 세네갈, 우간다는 COSAFA 회원이 아니지만 과거에 초청받아 참가했습니다.
4. 1. COSAFA 회원국
COSAFA컵 회원국은 남아프리카 축구 협의회(COSAFA)에 소속된 국가들로, COSAFA컵 대회에 참가한다. 각국의 대회 참가 현황은 다음과 같다.| 팀 | 1997 | 1998 | 1999 | 2000 | 2001 | 2002 | 2003 | 2004 | 2005 | 2006 | 2007 | 2008 | 2009 | 2013 | 2015 | 2016 | 2017 | 2018 | 2019 | 2021 | 2022 | 2023 | 합계 | |
|---|---|---|---|---|---|---|---|---|---|---|---|---|---|---|---|---|---|---|---|---|---|---|---|---|
| 앙골라/Angola national football team영어 | – | 3위 | 우승 | 준결승 | 우승 | 8강 | 1R | 우승 | 준결승 | 준우승 | 1R | 8강 | 8강 | x | 8강 | – | GS | GS | GS | – | GS | 19 | ||
| 보츠와나/Botswana national football team영어 | 1R | 1R | 2R | 1R | 1R | 1R | 8강 | 8강 | 1R | 준결승 | 준결승 | 8강 | 8강 | GS | 4위 | 준우승 | 8강 | 8강 | 준우승 | GS | 8강 | GS | 23 | |
| 코모로/Comoros national football team영어 | – | – | – | – | – | – | – | – | – | – | – | GS | GS | – | – | – | – | GS | 8강 | GS | GS | 4위 | 7 | |
| 에스와티니/Eswatini national football team영어 | 1R | 1R | 준결승 | 8강 | 8강 | 준결승 | 준결승 | 8강 | 1R | 1R | 1R | GS | GS | GS | GS | 3위 | 8강 | 8강 | GS | 3위 | 8강 | GS | 23 | |
| 레소토/Lesotho national football team영어 | 1R | 1R | 8강 | 준우승 | 8강 | 1R | 1R | 1R | 1R | 1R | 1R | GS | GS | 4위 | GS | 8강 | 4위 | 3위 | 4위 | GS | GS | 준우승 | 23 | |
| 마다가스카르/Madagascar national football team영어 | – | – | – | – | – | 8강 | 8강 | 1R | 1R | 1R | 1R | 4위 | – | – | 3위 | GS | GS | 4위 | – | 8강 | – | – | 12 | |
| 말라위/Malawi national football team영어 | 5위 | 1R | 2R | 8강 | 준결승 | 준우승 | 준우승 | 8강 | 1R | 1R | 1R | GS | 8강 | 8강 | GS | GS | GS | 8강 | GS | GS | 4위 | 22 | ||
| 모리셔스/Mauritius national football team영어 | – | – | – | 1R | 8강 | 1R | 1R | 8강 | 1R | 1R | 1R | GS | GS | GS | GS | GS | GS | GS | GS | – | GS | GS | 18 | |
| 모잠비크/Mozambique national football team영어 | 3위 | 5위 | 8강 | 1R | 1R | 8강 | 8강 | 준결승 | 1R | 1R | 준결승 | 준우승 | 3위 | 8강 | 준우승 | 8강 | GS | GS | GS | GS | 4위 | 4위 | 23 | |
| 나미비아/Namibia national football team영어 | 준우승 | 4위 | 준우승 | 8강 | 1R | 1R | 1R | 1R | 1R | 1R | 1R | 8강 | 8강 | 우승 | 8강 | 8강 | 8강 | GS | GS | 준우승 | GS | 23 | ||
| 세이셸/Seychelles national football team영어 | – | – | – | – | – | – | – | – | 1R | 1R | 1R | GS | GS | GS | GS | GS | GS | GS | GS | – | GS | GS | 14 | |
| 남아프리카 공화국/South Africa national football team영어 | – | 1R | 8강 | 준결승 | 8강 | 우승 | 8강 | 1R | 준결승 | 1R | 우승 | 4위 | 3위 | 8강 | 우승 | 8강 | 8강 | 8강 | 우승 | 8강 | 3위 | 22 | ||
| 잠비아/Zambia national football team영어 | 우승 | 우승 | 준결승 | 8강 | 준결승 | 준결승 | 준결승 | 준우승 | 준우승 | 우승 | 3위 | 준우승 | 8강 | 8강 | 우승 | 8강 | 준우승 | 우승 | GS | 23 | ||||
| 짐바브웨/Zimbabwe national football team영어 | 1R | 준우승 | 8강 | 우승 | 준우승 | 8강 | 우승 | 준결승 | 우승 | 준결승 | 1R | 8강 | 우승 | GS | GS | 우승 | 우승 | 3위 | GS | – | 21 | |||
| 초청 국가 | ||||||||||||||||||||||||
| 콩고 민주 공화국/DR Congo national football team영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위 | – | – | – | – | – | – | 1 | |
| 가나/Ghana national football team영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8강 | – | – | – | – | – | – | – | 1 | |
| 케냐/Kenya national football team영어* | – | – | – | – | – | – | – | – | – | – | – | – | – | GS | – | – | – | – | – | – | – | – | GS | 2 |
| 세네갈/Senegal national football team영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준우승 | 3위 | 2 | ||
| 탄자니아/Tanzania national football team영어* | 4위 | – | – | – | – | – | – | – | – | – | – | – | – | GS | – | 3위 | – | – | – | – | – | 3 | ||
| 우간다/Uganda national football team영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8강 | – | – | – | 1 | |
| 합계 | 9 | 10 | 10 | 11 | 11 | 12 | 12 | 12 | 13 | 13 | 13 | 14 | 13 | 13 | 14 | 14 | 14 | 14 | 13 | 10 | 14 | 12 | ||
- 범례
| 우승 | 준우승 | 3위 | 4위 | 준결승 | 8강 | GS | 1R, 2R | – : 불참 |
* 콩고 민주 공화국, 가나, 케냐, 탄자니아, 세네갈, 우간다는 COSAFA 회원이 아니지만 과거에 초청받아 참가했습니다.
4. 2. 초청국
COSAFA컵에는 회원국 외에도 여러 국가들이 초청팀 자격으로 참가했다. 콩고 민주 공화국, 가나, 케냐, 세네갈, 탄자니아, 우간다는 COSAFA 회원이 아니지만 초청받아 대회에 참가했다.| 팀 | 1997 | 2013 | 2015 | 2016 | 2017 | 2019 | 2021 | 2022 | 2023 | 합계 | |
|---|---|---|---|---|---|---|---|---|---|---|---|
| * | – | – | – | 4위 | – | – | – | – | – | – | 1 |
| * | – | ––1 | – | – | – | – | – | – | – | – | 0 |
| * | – | – | 8강 | – | – | – | – | – | – | – | 1 |
| * | – | GS | – | – | – | – | – | – | GS | – | 2 |
| * | – | – | – | – | – | – | 준우승 | 3위 | – | 2 | |
| * | 4위 | – | ––1 | GS | 3위 | – | – | – | – | 3 | |
| * | – | – | – | – | – | 8강 | – | – | – | – | 1 |
* 콩고 민주 공화국, 적도 기니, 가나, 케냐, 탄자니아, 우간다, 세네갈은 COSAFA 회원이 아니지만 과거에 초청받아 참가했습니다.
1 토너먼트 기권.
탄자니아는 1997년 대회에서 4위를 기록했고, 2017년 대회에서는 3위를 차지했다. 세네갈은 2021년 대회에서 준우승을, 2022년 대회에서는 3위를 기록했다. 콩고 민주 공화국은 2016년 대회에서 4위를 기록했다.
5. 기록과 통계
wikitable
| 순위 | 팀 | 참가횟수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승점 |
|---|---|---|---|---|---|---|---|---|---|---|
| 1 | 잠비아 | 21 | 63 | 32 | 22 | 10 | 93 | 48 | +45 | 117 |
| 2 | 짐바브웨 | 20 | 59 | 34 | 17 | 8 | 100 | 49 | +51 | 113 |
| 3 | 남아프리카 공화국 | 20 | 55 | 30 | 19 | 6 | 77 | 29 | +48 | 109 |
| 4 | 나미비아 | 21 | 59 | 23 | 17 | 19 | 76 | 62 | +14 | 86 |
| 5 | 모잠비크 | 21 | 61 | 19 | 15 | 24 | 59 | 70 | -11 | 75 |
| 6 | 에스와티니 | 21 | 53 | 20 | 16 | 17 | 65 | 57 | +8 | 73 |
| 7 | 앙골라 | 17 | 43 | 18 | 15 | 12 | 47 | 37 | +10 | 68 |
| 8 | 말라위 | 21 | 59 | 16 | 20 | 23 | 61 | 71 | -10 | 68 |
| 9 | 보츠와나 | 21 | 51 | 15 | 17 | 19 | 52 | 50 | +2 | 62 |
| 10 | 레소토 | 21 | 53 | 14 | 15 | 24 | 50 | 74 | -24 | 57 |
| 11 | 마다가스카르 | 12 | 36 | 14 | 8 | 14 | 39 | 38 | +1 | 50 |
| 12 | 모리셔스 | 18 | 40 | 8 | 8 | 24 | 25 | 57 | -32 | 32 |
| 13 | 코모로 | 6 | 18 | 4 | 3 | 11 | 14 | 28 | -14 | 15 |
| 14 | 세이셸 | 13 | 19 | 1 | 6 | 27 | 19 | 64 | -45 | 9 |
| 15 | 세네갈 | 2 | 9 | 3 | 4 | 2 | 13 | 12 | +1 | 13 |
| 16 | 탄자니아 | 3 | 13 | 2 | 6 | 5 | 10 | 15 | -5 | 12 |
| 17 | 콩고 민주 공화국 | 1 | 3 | 1 | 1 | 1 | 1 | 1 | 0 | 4 |
| 18 | 가나 | 1 | 2 | 0 | 0 | 2 | 1 | 5 | -4 | 0 |
| 19 | 케냐 | 1 | 3 | 1 | 1 | 1 | 5 | 4 | +1 | 4 |
| 20 | 우간다 | 1 | 2 | 0 | 2 | 0 | 1 | 1 | 0 | 2 |
| 21 | 적도 기니es | 0 | 0 | 0 | 0 | 0 | 0 | 0 | 0 | 0 |
;최다 우승국
| 횟수 | 국명 | 연도 |
|---|---|---|
| 7회 | 잠비아 | 1997, 1998, 2006, 2013, 2019, 2022, 2023 |
| 6회 | 짐바브웨 | 2000, 2003, 2005, 2009, 2017, 2018 |
| 5회 | 남아프리카 공화국 | 2002, 2007, 2008, 2016, 2021 |
| 3회 | 앙골라 | 1999, 2001, 2004 |
| 1회 | 나미비아 | 2015 |
;최다 득점자
짐바브웨의 피터 은들로부와 모잠비크의 마누엘 '티코-티코' 부쿠아네는 각각 10골로 대회 역대 최다 득점자이다. 2021년 에스와티니의 펠릭스 바덴호르스트는 9골로 2위로 올라섰다.[5]
| 연도 | 선수 | 골 |
|---|---|---|
| 1998 | Tauya Mrewa영어 Shepherd Muradzikwa영어 피터 은들로부 벤자민 은콘제라 | 2 |
| 1999 | Betinho영어 | 3 |
| 2000 | 루크 페트로스 델론 버클리 | 2 |
| 2001 | 18명의 선수 공동 수상 | 1 |
| 2002 | 므판질레 들라미니 로손 킬람베 테보호 모코에나 시자 들라미니 패트릭 메이요 | 2 |
| 2003 | 피터 은들로부 노엘 음완딜라 러셀 음와풀리르와 | 2 |
| 2004 | 피터 은들로부 | 3 |
| 2005 | 콜린스 음베수마 | 4 |
| 2006 | 파브리스 아크와 | 3 |
| 2007 | 폴린 보아비 | 3 |
| 2008 | 필립 지알로르 | 4 |
| 2009 | 커스버트 말라질라 | 4 |
| 2013 | 제롬 라마트라크와네 | 4 |
| 2015 | Sarivahy Vombola프랑스어 | 5 |
| 2016 | 펠릭스 바덴호르스트 | 5 |
| 2017 | 오비디 카루루 | 6 |
| 2018 | 온카베체 마크간타이 | 5 |
| 2019 | 가바디뉴 음강고 제랄드 피리 주니어 애슐리 나지라 | 3 |
| 2021 | 세파나 레초알로 | 4 |
| 2022 | 사벨로 은진이사 | 3 |
5. 1. 최다 우승국
잠비아는 COSAFA컵에서 7회(1997, 1998, 2006, 2013, 2019, 2022, 2023)로 가장 많은 우승을 차지한 국가이다.[7] 짐바브웨는 6회(2000, 2003, 2005, 2009, 2017, 2018) 우승으로 그 뒤를 이었다.[7] 남아프리카 공화국은 5회(2002, 2007, 2008, 2016, 2021), 앙골라는 3회(1999, 2001, 2004) 우승을 기록했다. 나미비아는 2015년에 우승을 차지했다.| 횟수 | 국명 | 연도 |
|---|---|---|
| 7회 | 잠비아 | 1997, 1998, 2006, 2013, 2019, 2022, 2023 |
| 6회 | 짐바브웨 | 2000, 2003, 2005, 2009, 2017, 2018 |
| 5회 | 남아프리카 공화국 | 2002, 2007, 2008, 2016, 2021 |
| 3회 | 앙골라 | 1999, 2001, 2004 |
| 1회 | 나미비아 | 2015 |
5. 2. 최다 득점자
짐바브웨의 피터 은들로부와 모잠비크의 마누엘 '티코-티코' 부쿠아네는 각각 10골로 대회 역대 최다 득점자이다. 2021년 에스와티니의 펠릭스 바덴호르스트는 9골로 2위로 올라섰다.[5]| 연도 | 선수 | 골 |
|---|---|---|
| 1998 | Tauya Mrewa영어 Shepherd Muradzikwa영어 피터 은들로부 벤자민 은콘제라 | 2 |
| 1999 | Betinho영어 | 3 |
| 2000 | 루크 페트로스 델론 버클리 | 2 |
| 2001 | 18명의 선수 공동 수상 | 1 |
| 2002 | 므판질레 들라미니 로손 킬람베 테보호 모코에나 시자 들라미니 패트릭 메이요 | 2 |
| 2003 | 피터 은들로부 노엘 음완딜라 러셀 음와풀리르와 | 2 |
| 2004 | 피터 은들로부 | 3 |
| 2005 | 콜린스 음베수마 | 4 |
| 2006 | 파브리스 아크와 | 3 |
| 2007 | 폴린 보아비 | 3 |
| 2008 | 필립 지알로르 | 4 |
| 2009 | 커스버트 말라질라 | 4 |
| 2013 | 제롬 라마트라크와네 | 4 |
| 2015 | Sarivahy Vombola프랑스어 | 5 |
| 2016 | 펠릭스 바덴호르스트 | 5 |
| 2017 | 오비디 카루루 | 6 |
| 2018 | 온카베체 마크간타이 | 5 |
| 2019 | 가바디뉴 음강고 제랄드 피리 주니어 애슐리 나지라 | 3 |
| 2021 | 세파나 레초알로 | 4 |
| 2022 | 사벨로 은진이사 | 3 |
5. 3. 한국과의 관계
참조
[1]
웹사이트
COSAFA Tournament to continue
http://www.lusakatim[...]
The Lusaka Times
2008-03-24
[2]
뉴스
Angola to Host Cosafa Cup in November
http://news.bbc.co.u[...]
2010-07-29
[3]
웹사이트
COSAFA tourney cancelled, hosts blamed
http://www.dailynews[...]
2010-10-18
[4]
웹사이트
COSAFA tourney cancelled, hosts blamed
http://www.dailynews[...]
2010-10-18
[5]
웹사이트
Badenhorst makes Cosafa Cup history
https://www.namibian[...]
The Namibian
2021-07-14
[6]
웹사이트
COSAFA tourney cancelled, hosts blamed
http://www.dailynews[...]
2010-10-18
[7]
문서
별도의 결승전 없이 라운드 로빈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8]
웹인용
COSAFA tourney cancelled, hosts blamed
http://www.dailynews[...]
2010-10-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