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CSNET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CSNET은 1980년대 미국 대학 및 연구 기관 간의 통신을 지원하기 위해 설립된 컴퓨터 네트워크이다. 위스콘신 대학교의 로렌스 랜드웨버가 제안하여 미국 국립과학재단의 지원을 받아 구축되었으며, 델라웨어 대학교, 퍼듀 대학교 등 여러 대학이 참여했다. CSNET은 이메일 중계 서비스, 디렉토리 서비스, TCP/IP over X.25 터널링 기술 등의 기술을 제공했으며, ARPANET에 연결되지 않은 기관들이 네트워크를 이용할 수 있도록 했다. 1980년대 후반 NSFNet의 등장으로 서비스가 중복되면서 1991년에 종료되었지만, 인터넷 발전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2009년 조나단 B. 포스텔 서비스 상을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광역 통신망 - X.25
    X.25는 CCITT가 1970년대 중반에 개발한 패킷 교환 데이터 통신 표준으로, 가상 회선 서비스 기반의 3계층 구조를 가지며 공중 데이터망의 기반이 되었으나 1990년대 초부터 프레임 릴레이와 TCP/IP로 대체되기 시작하여 현재는 일부 시스템 및 아마추어 무선 분야에서 사용된다.
  • 광역 통신망 - SIPRNet
    SIPRNet은 미국의 기밀 통신망으로, 일반 인터넷과 유사한 도메인 구조를 가지며, 미국 국무부, 국방부, 그리고 일부 동맹국이 접근 권한을 가진다.
CSNET
CSNET
CSNET 지도
CSNET 지도 (1981년)
유형컴퓨터 네트워크
설립1981년
해체1989년 10월
대체ANS
NSFNET
본부미국
기술 정보
네트워크 프로토콜TCP/IP

2. 역사

CSNET(Computer Science Network)은 미국 국립과학재단(NSF)의 지원으로 1980년대 초 구축된 컴퓨터 네트워크이다.[29][3][17] 위스콘신 대학교 매디슨의 로렌스 랜드웨버가 여러 대학 컨소시엄을 대표하여 초기 제안서를 작성했고,[28][2][16] NSF는 500만달러를 지원하면서 1986년까지 네트워크의 재정 자립을 조건으로 내걸었다.[27][1][15]

초기에는 델라웨어 대학교, 프린스턴 대학교, 퍼듀 대학교 등 소수의 대학으로 시작했으나,[7] 빠르게 성장하여 1984년에는 이스라엘을 포함한 84개 기관으로 확장되었다.[33] 이후 대한민국, 일본, 캐나다, 프랑스, 독일 등 여러 국가의 대학 및 연구 기관과 연결되며 국제적인 네트워크로 발전했다.[33][7][20] CSNET은 ARPANET에 직접 접속할 수 없는 기관들도 이메일, 텔넷, FTP 등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X.25 기술 등을 활용한 연결 방식을 제공했다. 네트워크 운영은 초기 관리팀을 거쳐 1984년 BBN으로 이관되었다.[31][32][6][19]

CSNET은 네트워크를 통한 자유 소프트웨어 배포 실험(Netlib)의 장이 되기도 했고,[34][8][21] 훗날 인터넷백본망이 되는 NSFNET의 중요한 전신으로 평가받는다. 1989년 비트넷(BITNET)과 통합해 CREN(Corporation for Research and Educational Networking)을 설립하였고, NSFNET 및 지역 네트워크의 발달로 역할이 축소되면서 1991년 10월 운영을 종료했다.[35][9][22]

2. 1. 초기 제안 및 개발

위스콘신 대학교 매디슨의 로렌스 랜드웨버는 여러 대학(조지아 공과대학교, 미네소타 대학교, 뉴멕시코 대학교, 오클라호마 대학교, 퍼듀 대학교,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 유타 대학교, 버지니아 대학교, 워싱턴 대학교, 위스콘신 대학교 매디슨, 예일 대학교)으로 구성된 컨소시엄을 대표하여 CSNET의 초기 제안서를 준비했다.[28] 미국 국립과학재단(NSF)은 이 제안의 검토를 델라웨어 대학교의 데이비드 J. 파버에게 요청했으며, 파버는 당시 전자 메일 개발에 참여하고 있던 대학원생 데이브 크로커에게 이 작업을 맡겼다.[28][2][16] 이 제안은 흥미로운 것으로 평가되었지만 상당한 개선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있었으며, 최종적으로 빈트 서프방위고등연구계획국(DARPA)의 지지를 확보했다.[29] 1980년, NSF는 네트워크 구축을 위해 500만달러를 지원했는데, 이는 당시 NSF로서는 이례적으로 큰 규모의 프로젝트였다.[29][3][17] NSF는 지원 조건으로 네트워크가 1986년까지 재정적으로 자립해야 한다는 규정을 포함시켰다.[27][1][15]

초기 관리 및 운영팀은 랜드웨버(위스콘신 대학교), 파버(델라웨어 대학교), 피터 J. 데닝(퍼듀 대학교), 앤서니 C. 헌(랜드 연구소), 그리고 NSF의 빌 컨(Bill Kern)으로 구성되었다.[30][4][18] CSNET이 본격적으로 운영되면서 시스템 관리와 네트워크 운영은 1984년까지 매사추세츠주 케임브리지에 위치한 볼트 베라넥 앤 뉴먼(BBN)의 리처드 에드미스턴이 이끄는 팀으로 이관되었다.[31][32][6][19]

퍼듀 대학교의 피터 데닝, 더글러스 코머, 폴 맥냅으로 구성된 팀은 ARPANET 인프라 외부에 있는 기관들이 공용 X.25 네트워크를 통해 텔넷이나 FTP 같은 서비스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커널 인터페이스를 설계하고 구축하는 역할을 담당했다. 이를 통해 TCP/IP 네트워크 스택을 갖춘 시스템은 X.25 네트워크 장치를 사용할 수 있었고, IP 데이터그램은 동적으로 할당된 X.25 세션을 통해 전송되었다. ARPANET 접속이 가능한 퍼듀 대학교 및 다른 사이트들은 게이트웨이 역할을 수행하여, ARPANET에 직접 접속할 수 없는 기관들도 이메일, 텔넷, FTP 등 다양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했다.

1981년에는 델라웨어 대학교, 프린스턴 대학교, 퍼듀 대학교 세 곳이 처음으로 CSNET에 연결되었다.[7] 네트워크는 빠르게 확장되어 1982년까지 24개 기관, 1984년에는 이스라엘의 1개 기관을 포함하여 총 84개 기관이 연결되었다. 이후 오스트레일리아, 캐나다, 프랑스, 독일, 대한민국, 일본 등 여러 국가의 컴퓨터 과학 관련 학과 및 기관들과의 연결이 이루어졌으며, CSNET은 최종적으로 180개 이상의 기관을 연결하는 네트워크로 성장했다.[33][7][20]

네트워크를 통한 자유 소프트웨어 배포의 초기 실험 중 하나인 Netlib이 CSNET을 통해 가능해졌다.[34][8][21]

2. 2. 운영 및 관리

첫 번째 관리팀은 로렌스 랜드웨버(위스콘신 대학교 매디슨), 데이비드 J. 파버(델라웨어 대학교), 피터 J. 데닝(퍼듀 대학교), 앤서니 C. 헌(랜드 연구소), 그리고 미국 국립과학재단(NSF)의 빌 컨(Bill Kern)으로 구성되었다.[30][4][18] CSNET이 완전히 작동하기 시작하자, 시스템과 지속적인 네트워크 운영은 1984년까지 매사추세츠주 케임브리지에 위치한 볼트 베라넥과 뉴먼(BBN)의 리처드 에드미스턴(Richard Edmiston)이 이끄는 팀으로 이전되었다.[31][32][6][19]

퍼듀 대학교의 팀(피터 데닝, 더글러스 코머, 폴 맥냅)은 ARPANET 인프라 외부의 사이트들이 텔넷과 같은 공용 X.25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커널 인터페이스를 설계하고 구축하는 역할을 맡았다. 이 메커니즘은 TCP/IP 네트워크 스택을 가진 시스템이 X.25 네트워크 장치를 사용하게 하고, IP 데이터그램이 동적으로 할당된 X.25 세션을 통해 전송되도록 했다. ARPANET 접근이 가능한 퍼듀 및 다른 사이트들은 ARPANET으로의 게이트웨이 역할을 수행하여, ARPANET에 직접 접속할 수 없는 사이트들도 이메일, 텔넷, FTP 등 다양한 네트워크 서비스를 ARPANET을 통해 이용할 수 있게 만들었다.

2. 3. 네트워크 확장 및 국제 협력

1981년에는 델라웨어 대학교, 프린스턴 대학교, 퍼듀 대학교 세 곳이 처음으로 CSNET에 연결되었다. 이후 네트워크는 빠르게 확장되어, 1982년에는 24개 사이트가 연결되었고, 1984년에는 이스라엘의 1개 사이트를 포함하여 총 84개 사이트로 확대되었다. [33]

곧이어 호주, 캐나다, 프랑스, 독일, 대한민국, 일본 등 여러 국가의 대학 컴퓨터 과학 부서들과의 국제적인 연결이 이루어졌다. 이는 초기 인터넷 발전 과정에서 국제적인 협력의 중요한 사례가 되었으며, 특히 한국의 초기 인터넷 인프라 구축에도 영향을 미쳤다. CSNET은 최종적으로 180개 이상의 기관을 연결하는 규모로 성장하였다.[33][7][20]

2. 4. NSFNET으로의 전환 및 CSNET의 종료

CSNET은 훗날 인터넷백본망이 된 NSFNET(National Science Foundation Network)의 전신이었다. CSNET은 1989년까지 자율적으로 운영되었으며, 이후 비트넷(Bitnet)과 합병하여 연구 및 교육 네트워킹 기업(CREN, Corporation for Research and Educational Networking)을 설립했다. 1991년까지 NSFNET과 미국 국립과학재단(NSF)이 후원하는 지역 네트워크가 성공하면서 CSNET 서비스는 중복되었고, CSNET 네트워크는 1991년 10월에 폐쇄되었다.[35][9][22]

3. 구성 요소

CSNET 프로젝트는 크게 세 가지 주요 구성 요소로 이루어졌다: 델라웨어 대학교와 RAND 연구소의 이메일 중계 서비스(Phonenet), 위스콘신 대학교의 이름 서비스, 그리고 퍼듀 대학교의 TCP/IP over X.25 터널링 기술이다.[10]

초기에는 전화 접속이나 X.29/X.25 터미널 에뮬레이션을 통해 게이트웨이에 연결하여 이메일을 중계하는 방식으로 운영되었으나, 이후 X.25 환경에서도 TCP/IP를 지원하도록 확장되었다.[10] Phonenet은 MMDF 소프트웨어를 기반으로 했고,[11] 이름 서비스는 사용자 정보 기반의 주소 검색 기능을 제공했으며,[11] 터널링 기술은 상용 X.25망(Telenet)을 통해 ARPANET 접속을 가능하게 했다. 또한 CSNET은 필요에 따라 SLIP 연결을 자동으로 관리하는 Dialup IP 소프트웨어도 개발했다.[12]

CSNET 소프트웨어는 DEC의 VAX-11 시스템과 BSD 유닉스에서 시작하여 다양한 하드웨어 및 운영 체제 플랫폼을 지원하도록 발전했다.

3. 1. Phonenet (이메일 중계 서비스)

CSNET 프로젝트의 초기 핵심 기능 중 하나는 델라웨어 대학교와 RAND 연구소에서 운영한 이메일 중계 서비스였다.[10] 이 서비스는 Phonenet으로 불렸는데, 이는 데이브 크로커가 개발한 MMDF 소프트웨어의 전화 통신 관련 기능을 활용했기 때문이다.[11]

Phonenet은 사용자가 전화 접속이나 X.29/X.25 터미널 에뮬레이션을 통해 CSNET 게이트웨이에 연결하여 이메일을 주고받도록 중계하는 역할을 했다.[10] 이를 통해 ARPANET에 직접 접속할 수 없는 기관들도 이메일 통신망에 참여할 수 있었다.

3. 2. 네임 서비스

CSNET 프로젝트의 주요 구성 요소 중 하나는 위스콘신 대학교에서 담당한 네임 서비스였다.[10] 이 서비스는 사용자 이름, 직함, 소속 기관 등 다양한 속성을 기반으로 수동 및 자동 이메일 주소 조회를 허용했다.[11]

3. 3. TCP/IP over X.25 터널링 기술

CSNET 프로젝트의 주요 구성 요소 중 하나는 퍼듀 대학교에서 개발한 TCP/IP over X.25 터널링 기술이었다.[10] 이 기술을 통해 각 기관은 상용 X.25 서비스인 Telenet을 이용하여 ARPANET에 직접 연결할 수 있었다. 기관에서 발생하는 TCP/IP 트래픽은 CSNET 컴퓨터를 거쳐 터널링 방식으로 전송되었는데, 이 컴퓨터는 ARPANET과 상용 X.25 네트워크 사이에서 중계 역할을 수행하여 TCP/IP 통신을 가능하게 했다.

4. 기술적 특징

CSNET 프로젝트는 세 가지 주요 기술 요소로 구성되었다. 이는 델라웨어 대학교랜드 연구소가 담당한 이메일 중계 서비스, 위스콘신 대학교가 맡은 이름 서비스, 그리고 퍼듀 대학교가 개발한 TCP/IP over X.25 터널링 기술이다.[10]

초기에는 전화 접속이나 X.29/X.25 터미널 에뮬레이션을 이용하여 델라웨어와 RAND에 위치한 게이트웨이를 통해 이메일을 중계하는 방식으로 네트워크에 접근했다. 이후 네트워크 기술이 발전하면서 TCP/IP 프로토콜이 추가되었고, 기존의 X.25 망 위에서도 TCP/IP 통신이 가능해졌다.[10]

이메일 중계 서비스는 데이비드 크로커가 개발한 메일 전송 에이전트의 일종인 MMDFeng 소프트웨어의 전화 특정 채널 기능을 활용하여 'Phonenet'이라고 불렸다.[11] CSNET의 이름 서비스는 사용자의 이름, 직함, 소속 기관 등 다양한 속성을 기반으로 이메일 주소를 수동 또는 자동으로 조회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했다.[11] X.25 터널링 기술은 기관들이 상업용 X.25 서비스(예: Telenet)를 통해 ARPANET에 직접 연결할 수 있도록 지원했다. 이 방식에서 CSNET 컴퓨터는 해당 기관의 TCP/IP 트래픽을 ARPANET과 상업용 X.25 네트워크 사이에서 중계하는 역할을 수행했다.

또한 CSNET은 원격지 사용자를 위해 요청 시 전화 접속 IP(Dialup IP) 소프트웨어를 개발했다. 이 소프트웨어는 필요에 따라 자동으로 SLIP 세션을 시작하거나 연결을 끊어 통신 효율성을 높였다.[12] CSNET 관련 소프트웨어는 초기에 디지털 이큅먼트 코퍼레이션(DEC)의 VAX 시스템과 BSD 유닉스 환경에서 개발되었으나, 점차 다양한 종류의 하드웨어 및 운영 체제 플랫폼을 지원하도록 확장되었다.

5. 평가 및 의의

(내용 없음)

5. 1. 인터넷 발전에 대한 공헌

퍼듀 대학교 팀(피터 J. 데닝, 더글러스 코머, 폴 맥냅)은 ARPANET 인프라 외부의 기관들이 공용 X.25 네트워크를 통해 텔넷과 같은 서비스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커널 인터페이스를 설계하고 구축했다.[6] 이 메커니즘은 TCP/IP 네트워크 스택을 가진 시스템이 X.25 네트워크 장치를 활용하여 IP 데이터그램을 동적으로 할당된 X.25 세션을 통해 전송할 수 있게 했다. 이를 통해 ARPANET에 직접 접속하지 못하는 기관들도 이메일, 텔넷, FTP 등 다양한 형태의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하여 ARPANET에 접근할 수 있게 되었다. 이는 학술 및 연구 기관 간의 네트워크 연결을 크게 확장하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CSNET은 빠르게 성장했다. 1981년 델라웨어 대학교, 프린스턴 대학교, 퍼듀 대학교 3곳으로 시작하여, 1982년에는 24개 기관, 1984년에는 이스라엘의 1개 기관을 포함하여 84개 기관으로 확장되었다. 이후 호주, 캐나다, 프랑스, 독일, 한국, 일본 등 여러 국가의 컴퓨터 과학 부서와도 연결이 이루어졌으며, 최종적으로 180개 이상의 기관을 연결하는 국제적인 네트워크로 발전했다.[33][7][20]

네트워크를 통한 자유 소프트웨어 배포에 대한 초기 실험 중 하나인 Netlib는 CSNET 환경에서 가능했다.[34][8][21] 이는 소프트웨어 공유 및 협업 방식 발전에 기여한 사례로 평가받는다.

CSNET은 이후 인터넷의 핵심 기간망(백본) 역할을 수행하게 된 NSFNET(National Science Foundation Network)의 중요한 선구자였다.[35][9][22] CSNET 운영을 통해 얻은 경험과 기술은 NSFNET 구축의 기반이 되었다. CSNET은 1989년까지 자율적으로 운영되다가 비트넷(Bitnet)과 합병하여 연구 및 교육 네트워킹 기업(CREN, Corporation for Research and Educational Networking)을 설립했다.[35][9][22] 그러나 NSFNET과 NSF가 지원하는 지역 네트워크들이 성공적으로 발전하면서 CSNET의 서비스는 점차 중복되었고, 1991년 10월에 CSNET 네트워크는 운영을 중단하게 되었다.[35][9][22]

5. 2. 국제 협력 및 한국 인터넷 발전 기여

CSNET은 미국 내 대학들을 연결하는 것을 넘어 국제적인 네트워크 협력의 장을 열었다. 초기 미국 내 사이트 연결 이후, CSNET은 점차 다른 국가로 연결 범위를 넓혀나갔다. 1982년까지 24개 사이트가 연결되었고, 1984년에는 이스라엘의 1개 기관을 포함하여 총 84개 사이트로 확대되었다.[33][7][20]

이후 CSNET은 호주, 캐나다, 프랑스, 독일, 대한민국, 일본 등 여러 국가의 대학 컴퓨터 과학 부서들과의 연결을 성공적으로 구축하며 국제적인 네트워크로 성장했다.[33][7][20] 이러한 국제적 확장은 국가 간 학술 정보 교류와 초기 인터넷 기술 협력의 기반을 마련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특히 1984년 이후 이루어진 한국과의 연결은 당시 초기 단계에 있던 한국 인터넷 발전에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CSNET은 최종적으로 전 세계 180개 이상의 기관을 연결하는 성과를 이루었다.[33][7][20]

5. 3. 조나단 B. 포스텔 서비스 상 수상

2009년 7월 스웨덴 스톡홀름에서 열린 인터넷 엔지니어링 태스크 포스 회의에서 인터넷 협회는 CSNET의 선구적인 공헌을 인정하여 조나단 B. 포스텔 서비스 상을 수여했다. 크로커는 랜드웨버와 다른 주요 연구원들을 대표하여 상을 받았다.[13][25] 상 수여식 및 수상 소감 녹화본이 공개되어 있다.[14][26]

참조

[1] 웹사이트 The Internet—From Modest Beginnings https://www.nsf.gov/[...] 2011-09-30
[2] 웹사이트 Impact of Email Work at The Rand Corporation in the mid-1970s http://bbiw.net/arti[...] 2008-08-18
[3] 간행물 History and overview of CSNET 1983-10
[4] 서적 Proceedings of the symposium on Communications Architectures & Protocols - COMM '83 http://www.isoc.org/[...] SIGCOMM, Association for Computing Machinery 2011-09-30
[5] 간행물 Data Networking at BBN 2006-03
[6] 웹사이트 CSNET Transition Plan Bulletin #1 http://www.rfc-edito[...] National Science Foundation 2011-09-30
[7] 문서 CSNET History http://www.livingint[...]
[8] 간행물 Distribution of mathematical software via electronic mail 1987-05
[9] 문서 CSNET-CIC Shutdown Notice ftp://athos.rutgers.[...]
[10] 간행물 Implementation of Dial-up IP for UNIX Systems 1989-02
[11] 서적 Proceedings of the symposium on Communications Architectures & Protocols - COMM '83 SIGCOMM, Association for Computing Machinery 1983-04
[12] 웹사이트 Dialup IP release http://megalextoria.[...] BBN Systems and Technologies, Cambridge MA 2014-10-17
[13] 뉴스 Trailblazing CSNET Network Receives 2009 Jonathan B. Postel Service Award http://isoc.org/wp/n[...] Internet Society 2011-09-30
[14] 웹사이트 Postel Award to CSNET http://bbiw.net/misc[...] 2011-09-30
[15] 웹사이트 The Internet—From Modest Beginnings http://www.nsf.gov/a[...] 2011-09-30
[16] 웹사이트 Impact of Email Work at The Rand Corporation in the mid-1970s http://bbiw.net/arti[...] 2011-09-30
[17] 간행물 History and overview of CSNET Association for Computing Machinery 1983-10
[18] 간행물 History and overview of CSNET http://www.isoc.org/[...] SIGCOMM, Association for Computing Machinery 1983-04
[19] 웹사이트 CSNET Transition Plan Bulletin #1 http://www.rfc-edito[...] National Science Foundation 2011-09-30
[20] 문서 CSNET History http://www.livingint[...]
[21] 간행물 Distribution of mathematical software via electronic mail Association of Computing Machinery 1987-05
[22] 문서 CSNET-CIC Shutdown Notice ftp://athos.rutgers.[...]
[23] 간행물 Implementation of Dial-up IP for UNIX Systems USENIX Association 1989-02
[24] 간행물 Architecture of the CSNET name server SIGCOMM, Association for Computing Machinery 1983-04
[25] 뉴스 Trailblazing CSNET Network Receives 2009 Jonathan B. Postel Service Award http://isoc.org/wp/n[...] Internet Society 2011-09-30
[26] 웹사이트 Postel Award to CSNET http://bbiw.net/misc[...] 2011-09-30
[27] 웹인용 The Internet—From Modest Beginnings https://www.nsf.gov/[...] 2011-09-30
[28] 웹인용 Impact of Email Work at The Rand Corporation in the mid-1970s http://bbiw.net/arti[...] 2011-09-30
[29] 간행물 History and overview of CSNET https://archive.org/[...] 1983-10
[30] 서적 Proceedings of the symposium on Communications Architectures & Protocols - COMM '83 http://www.isoc.org/[...] SIGCOMM, Association for Computing Machinery 2011-09-30
[31] 간행물 Data Networking at BBN 2006-03
[32] 웹인용 CSNET Transition Plan Bulletin #1 http://www.rfc-edito[...] National Science Foundation 2011-09-30
[33] 문서 CSNET History http://www.livingint[...]
[34] 간행물 Distribution of mathematical software via electronic mail https://archive.org/[...] 1987-05
[35] 문서 CSNET-CIC Shutdown Notice ftp://athos.rutger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