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icago 17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Chicago 17》은 1984년에 발매된 미국의 밴드 Chicago의 열네 번째 스튜디오 앨범이다. 앨범 커버는 밴드 사진 없이 "Chicago" 로고와 "17" 숫자를 아라비아 숫자로 표시하고 갈색 종이로 포장된 형태로 디자인되었다. 앨범에는 "Stay the Night", "Hard Habit to Break", "You're the Inspiration" 등의 곡이 수록되어 있다. 《Chicago 17》은 미국 빌보드 200에서 4위, 캐나다에서 4위를 기록했으며, 스웨덴에서 1위를 차지했다. 미국에서 6x 플래티넘 인증을 받았으며, 영국과 스위스에서도 골드 인증을 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시카고의 음반 - Chicago X
시카고의 열 번째 스튜디오 앨범인 Chicago X는 빌보드 200 차트 3위와 영국 앨범 차트 21위를 기록하며 상업적 성공을 거두었고, "If You Leave Me Now"는 밴드의 첫 빌보드 핫 100 1위 싱글이 되었으며, 초콜릿 바 모양의 앨범 커버는 그래미상을 수상했다. - 시카고의 음반 - Chicago 16
1982년에 발매된 시카고의 열여섯 번째 스튜디오 앨범 《Chicago 16》은 데이비드 포스터의 프로듀싱, 빌 챔플린의 합류, 외부 작곡가 참여로 1980년대 사운드 변화와 음악적 다양성을 추구했으며, "Hard to Say I'm Sorry"의 빌보드 차트 1위와 앨범의 플래티넘 달성으로 상업적 성공을 거두었다. - 1984년 음반 - Like a Virgin
마돈나의 두 번째 스튜디오 앨범 《라이크 어 처녀》는 나일 로저스의 프로듀싱으로 디스코, 팝, 록 장르를 혼합하여 제작되었으며, "라이크 어 처녀", "머티리얼 걸" 등의 히트곡으로 마돈나를 슈퍼스타 반열에 올린 앨범이다. - 1984년 음반 - The Unforgettable Fire
《The Unforgettable Fire》는 U2의 네 번째 스튜디오 앨범으로, 앰비언트 음악과 실험적인 구성을 도입하여 음악적 변화를 시도했으며, 상업적 성공과 평론가들의 호평을 받았다. - 워너 브라더스 레코드 음반 - Like a Virgin
마돈나의 두 번째 스튜디오 앨범 《라이크 어 처녀》는 나일 로저스의 프로듀싱으로 디스코, 팝, 록 장르를 혼합하여 제작되었으며, "라이크 어 처녀", "머티리얼 걸" 등의 히트곡으로 마돈나를 슈퍼스타 반열에 올린 앨범이다. - 워너 브라더스 레코드 음반 - Living Things
《Living Things》는 2012년에 발매된 린킨 파크의 다섯 번째 정규 앨범으로, 릭 루빈과 마이크 시노다가 공동 프로듀싱을 맡았으며 인간적인 메시지를 담고 다양한 장르를 탐구하여 상업적으로 성공했다.
| Chicago 17 - [음악]에 관한 문서 | |
|---|---|
| 음반 정보 | |
| 이름 | Chicago 17 |
| 종류 | 정규 음반 |
| 아티스트 | 시카고 |
![]() | |
| 발매일 | 1984년 5월 14일 |
| 녹음 | 1983년 중반 – 1984년 초반 |
| 스튜디오 | The Lighthouse (North Hollywood, California) Sunset Sound (Hollywood) The Record Plant (Los Angeles) |
| 장르 | 소프트 록 팝 록 |
| 길이 | 41분 53초 |
| 레이블 | Full Moon/Warner Bros. |
| 프로듀서 | David Foster |
| 이전 음반 | If You Leave Me Now |
| 이전 음반 발매년도 | 1983년 |
| 다음 음반 | Take Me Back to Chicago |
| 다음 음반 발매년도 | 1985년 |
| 싱글 | |
| 싱글 1 | Stay the Night |
| 싱글 1 발매일 | 1984년 4월 18일 |
| 싱글 2 | Hard Habit to Break |
| 싱글 2 발매일 | 1984년 7월 18일 |
| 싱글 3 | You're the Inspiration |
| 싱글 3 발매일 | 1984년 10월 29일 |
| 싱글 4 | Along Comes a Woman |
| 싱글 4 발매일 | 1985년 2월 11일 |
| 평가 | |
| AllMusic | 별 5개 중 4.5개 |
2. 커버 아트
존 버그와 닉 파시아노가 디자인한 전통적인 "Chicago" 로고가 앨범 커버의 주요 특징이며, 밴드의 사진은 포함되지 않았다.[41][42][17][18] 앨범 커버는 갈색 종이로 포장되어 끈으로 묶여 있고, 테이프로 고정된 패키지처럼 보인다. 앞면에는 "Chicago" 로고가 부조 효과를 주며, "17"이라는 숫자가 로마 숫자 대신 아라비아 숫자로 로고 아래 포장지에 스탬프 처리된 것처럼 보인다. 커버 뒷면에는 분홍색 "영수증 양식"이 묘사되어 있으며, 제작 및 엔지니어링 크레딧과 워너 브라더스 로고가 표시되어 있다.[2]
2020년 ''Muse by Clio'' 기사에서 "그레고리 실베스터가 선정한 9개의 훌륭한 앨범 커버" 중 하나로 선정되었다. 실베스터는 커버를 " ... 패키지 안의 패키지라는 착각을 불러일으킨다 ... 갈색 크라프트지, 끈, 가짜 빨간색 스탬프"라고 묘사했다.[19]
3. 곡 목록
사이드 원 # 제목 작사/작곡 리드 보컬 1 Stay the Night 피터 세테라, 데이비드 포스터 피터 세테라 2 We Can Stop the Hurtin' 빌 챔플린, 로버트 램, 데보라 닐 로버트 램 3 Hard Habit to Break 스티브 키프너, 존 루이스 파커 피터 세테라, 빌 챔플린 4 Only You 데이비드 포스터, 제임스 판코우 로버트 램, 빌 챔플린 5 Remember the Feeling 피터 세테라, 빌 챔플린 피터 세테라 사이드 투 # 제목 작사/작곡 리드 보컬 6 Along Comes a Woman 피터 세테라, 마크 골든버그 피터 세테라 7 You're the Inspiration 피터 세테라, 데이비드 포스터 피터 세테라 8 Please Hold On 빌 챔플린, 데이비드 포스터, 라이오넬 리치 빌 챔플린 9 Prima Donna 피터 세테라, 마크 골든버그 피터 세테라 10 Once in a Lifetime 제임스 판코우 빌 챔플린, 피터 세테라 라이노 재발매 보너스 트랙 # 제목 작사/작곡 리드 보컬 11 Here Is Where We Begin 로버트 램 로버트 램, 데이비드 팩 미발표곡 # 제목 작사/작곡 리드 보컬 11 Sweet Marie 피터 세테라, 데이비드 포스터[20] 빌 챔플린
일부 곡들은 ''Chicago 17'' 세션 중에 녹음되었지만 발매되지 않았다. "Good for Nothing"은 1985년에 슈퍼스타 자선 앨범인 ''We Are the World''에 수록되어 발매되었다.[21][22] 이 곡은 피터 세테라가 보컬로 참여한 시카고의 마지막 발매곡이다.
''Chicago 17'' 앨범 세션 중에 녹음된 "Sweet Marie"라는 곡은 노르웨이 밴드 TOBB에 의해 연주되었다. 빌 챔플린은 이 곡을 밴드에 제공했다. 이 곡은 ''Chicago 17'' 앨범 발매 30주년인 2014년 5월 14일에 TOBB에 의해 발매되었다.[23] 1984년 시카고가 드물게 이 곡을 연주했으며,[23] 일부 공연의 VHS 녹화본에서 온라인상에 등장했다.
2010년에 발매된 이후의 국제판 (2015년의 ''Studio Albums 1979 - 2008'' 박스 세트에 포함)에는 "Only You", "You're the Inspiration", "Prima Donna"의 대체 버전과 "Here Is Where We Begin"의 보너스 트랙이 추가된 오리지널 앨범이 복원되었다. 로버트 램이 보컬을 맡은 "Hard Habit to Break"의 데모 버전은 다큐멘터리 "Now More Than Ever: The History of Chicago"에서 짧게 들을 수 있다.
3. 1. Side One
《'''Chicago 17'''》의 Side One에는 총 5곡이 수록되어 있다.3. 2. Side Two
''Chicago 17''의 Side Two는 다음과 같은 곡들로 구성되어 있다.3. 3. Rhino Records 재발매 보너스 트랙
Here Is Where We Begin은 로버트 램이 작사/작곡한 곡으로, 데이비드 팩이 참여했으며 리드 보컬은 로버트 램과 데이비드 팩이 맡았다.
3. 4. 미발표곡
"Sweet Marie"는 피터 세테라와 데이비드 포스터가 작사/작곡하고 빌 챔플린이 리드 보컬을 맡은 곡이다.[20] 이 곡은 ''Chicago 17'' 세션 중에 녹음되었지만, 앨범에는 수록되지 않았다.[23] 1984년에 시카고가 드물게 이 곡을 연주했으며,[23] 일부 공연의 VHS 녹화본이 온라인에 공개되었다. 이후 노르웨이 밴드 TOBB가 이 곡을 연주하여 2014년 5월 14일에 발매했다.[23]
4. 참여진
'''시카고'''
- 피터 세테라 – 리드 및 백 보컬, 베이스 기타 (1), 편곡 (1, 6, 7, 9), 보컬 편곡 (5)[24]
- 빌 챔플린 – 키보드, 기타, 리드 및 백 보컬, 보컬 편곡 (4)[24]
- 로버트 람 – 키보드, 리드 및 백 보컬, 편곡 (2), 보컬 편곡 (4)[24]
- 리 로프네인 – 트럼펫[24]
- 제임스 팽코 – 트롬본, 혼 편곡 (2, 4, 6, 8, 10), 편곡 (10)[24]
- 월터 파라자이더 – 목관 악기[24]
- 크리스 피닉 – 기타[24]
- 대니 세라핀 – 드럼[24]
'''추가 인원'''
- 데이비드 포스터 – 키보드, 신시사이저 프로그래밍, 추가 편곡, 편곡 (1–5, 7, 8, 10), 신스 베이스 (2–10), 혼 편곡 (4)[24]
- 에리히 불링 – 신시사이저 프로그래밍[24]
- 마커스 라일 – 신시사이저 프로그래밍[24]
- 존 반 통거렌 – 신시사이저 프로그래밍[24]
- 마크 골든버그 – 기타, 편곡 (6, 9)[24]
- 폴 잭슨 주니어 – 기타[24]
- 마이클 랜도 – 기타[24]
- 제프 포카로 – 드럼 (크레딧 없음) (1)[25]
- 카를로스 베가 – 드럼 (크레딧 없음) (7)[25]
- 존 로빈슨 – 드럼 (크레딧 없음) (8)[24]
- 파울리뉴 다 코스타 – 퍼커션[24]
- 그레그 아담스 – 트럼펫[24]
- 게리 그랜트 – 트럼펫[24]
- 제레미 러복 – 현악 편곡 (3, 5, 7, 10)[24]
- 줄스 차이킨 – 현악 담당 (3, 5, 7, 10)[24]
- 제럴드 빈치 – 악장 (3, 5, 7, 10)[24]
- 케니 세테라 – 백 보컬 (1, 6, 7, 9)[26]
- 도니 오스몬드 – 백 보컬 (2)[24]
- 리처드 마르크스 – 백 보컬 (2)[24]
- 데이비드 팩 – "Here Is Where We Begin"의 보컬 하모니 및 브리지 보컬 즉흥[24]
'''제작'''
- 데이비드 포스터 – 프로듀서[24]
- 움베르토 가티카 – 엔지니어, 믹싱[24]
- 테리 크리스천 – 어시스턴트 엔지니어[24]
- 에디 델레나 – 어시스턴트 엔지니어[24]
- 로라 리빙스턴 – 어시스턴트 엔지니어[24]
- 래리 퍼거슨 – 믹스 어시스턴트, 추가 오버덥[24]
- 폴 라니 – 추가 오버덥[24]
- 사이먼 레비 – 아트 디렉션, 디자인[24]
- 래리 비곤 – 앨범 커버 아트[24]
- 제임스 고블 – 사진[24]
- 해리 랭던 – 사진[24]
- 녹음 장소: The Lighthouse (노스 할리우드, CA); 선셋 사운드 (할리우드, CA); 레코드 플랜트 (로스앤젤레스, CA).[24]
- 믹싱 장소: 라이언 셰어 레코딩 스튜디오 (로스앤젤레스, CA).[24]
'''2006년 재발매 제작'''
- 제프 매지드 – 프로젝트 감독, 믹싱 (보너스 셀렉션)[24]
- 데이비드 도넬리 – 믹싱 (보너스 셀렉션), 리마스터링[24]
- 코리 프라이 – 편집 감독[24]
- 그레그 앨런 – 아트 디렉션, 디자인[24]
- 카렌 르블랑 – 프로젝트 지원[24]
- 스티브 울라드 – 프로젝트 지원[24]
- 믹싱 장소: DNA Studio (스튜디오 시티, 캘리포니아)[24]
- 마스터링 장소: DNA Mastering (스튜디오 시티, 캘리포니아)[24]
4. 1. 시카고
피터 세테라는 리드 및 백 보컬, 베이스 기타를 담당했으며, 일부 곡의 편곡과 보컬 편곡을 맡았다.[24] 빌 챔플린은 키보드, 기타, 리드 및 백 보컬과 함께 보컬 편곡에 참여했다.[24] 로버트 램은 키보드, 리드 및 백 보컬을 담당했고, 일부 곡의 편곡과 보컬 편곡을 맡았다.[24] 리 로프네인은 트럼펫을 연주했다.[24] 제임스 팽코는 트롬본을 연주하고 혼 편곡과 일부 곡의 편곡을 담당했다.[24] 월터 파라자이더는 목관 악기를 연주했다.[24] 크리스 피닉은 기타를 담당했다.[24] 대니 세라핀은 드럼을 연주했다.[24]추가적으로, 데이비드 포스터는 키보드, 신시사이저 프로그래밍, 추가 편곡, 신스 베이스, 혼 편곡을 담당했다.[24] 에리히 불링, 마커스 라일, 존 반 통거렌은 신시사이저 프로그래밍에 참여했다.[24] 마크 골든버그는 기타와 일부 곡의 편곡을, 폴 잭슨 주니어와 마이클 랜도는 기타를 담당했다.[24] 제프 포카로,[25] 카를로스 베가,[25] 존 로빈슨은 드럼 세션에 참여했다(크레딧에는 없음).[24] 파울리뉴 다 코스타는 퍼커션을 연주했다.[24] 그레그 아담스와 게리 그랜트는 트럼펫을 연주했다.[24] 제레미 러복은 현악 편곡을, 줄스 차이킨은 현악 담당을, 제럴드 빈치는 악장을 맡았다.[24] 케니 세테라,[26] 도니 오스몬드, 리처드 마르크스는 백 보컬로 참여했다.[24] 데이비드 팩은 "Here Is Where We Begin"의 보컬 하모니 및 브리지 보컬 즉흥을 담당했다.
제작에는 데이비드 포스터가 프로듀서로, 움베르토 가티카가 엔지니어 및 믹싱으로 참여했다.[24] 테리 크리스천, 에디 델레나, 로라 리빙스턴은 어시스턴트 엔지니어로 참여했다.[24] 래리 퍼거슨은 믹스 어시스턴트 및 추가 오버덥을, 폴 라니는 추가 오버덥을 담당했다.[24] 사이먼 레비는 아트 디렉션 및 디자인을, 래리 비곤은 앨범 커버 아트를, 제임스 고블과 해리 랭던은 사진을 담당했다.[24] 녹음은 The Lighthouse, 선셋 사운드, 레코드 플랜트에서, 믹싱은 라이언 셰어 레코딩 스튜디오에서 진행되었다.[24]
2006년 재발매 제작에는 제프 매지드가 프로젝트 감독 및 보너스 셀렉션 믹싱을, 데이비드 도넬리가 보너스 셀렉션 믹싱 및 리마스터링을 담당했다.[24] 코리 프라이는 편집 감독을, 그레그 앨런은 아트 디렉션 및 디자인을, 카렌 르블랑과 스티브 울라드는 프로젝트 지원을 맡았다.[24] 믹싱은 DNA Studio에서, 마스터링은 DNA Mastering에서 진행되었다.[24]
4. 2. 추가 참여진
- 데이비드 포스터 – 키보드, 신시사이저 프로그래밍, 추가 편곡, 편곡 (1–5, 7, 8, 10), 신스 베이스 (2–10), 혼 편곡 (4)[24]
- 에리히 불링 – 신시사이저 프로그래밍[24]
- 마커스 라일 – 신시사이저 프로그래밍[24]
- 존 반 통거렌 – 신시사이저 프로그래밍[24]
- 마크 골든버그 – 기타, 편곡 (6, 9)[24]
- 폴 잭슨 주니어 – 기타[24]
- 마이클 랜도 – 기타[24]
- 제프 포카로 – 드럼 (크레딧 없음) (1)[25]
- 카를로스 베가 – 드럼 (크레딧 없음) (7)[25]
- 존 로빈슨 – 드럼 (크레딧 없음) (8)[24]
- 파울리뉴 다 코스타 – 퍼커션[24]
- 그레그 아담스 – 트럼펫[24]
- 게리 그랜트 – 트럼펫[24]
- 제레미 러복 – 현악 편곡 (3, 5, 7, 10)[24]
- 줄스 차이킨 – 현악 담당 (3, 5, 7, 10)[24]
- 제럴드 빈치 – 악장 (3, 5, 7, 10)[24]
- 케니 세테라 – 백 보컬 (1, 6, 7, 9)[26]
- 도니 오스몬드 – 백 보컬 (2)[24]
- 리처드 마르크스 – 백 보컬 (2)[24]
- 데이비드 팩 – "Here Is Where We Begin"의 보컬 하모니 및 브리지 보컬 즉흥[24]
5. 제작진
데이비드 포스터는 프로듀서를 맡았다.[24] 움베르토 가티카는 엔지니어와 믹싱을 담당했다.[24] 테리 크리스천, 에디 델레나, 로라 리빙스턴은 어시스턴트 엔지니어로 참여했다.[24] 래리 퍼거슨은 믹스 어시스턴트와 추가 오버덥을, 폴 라니는 추가 오버덥을 담당했다.[24]
사이먼 레비는 아트 디렉션과 디자인을 맡았고,[24] 래리 비곤은 앨범 커버 아트를 작업했다.[24] 제임스 고블과 해리 랭던이 사진을 담당했다.[24]
녹음은 The Lighthouse (노스 할리우드), 선셋 사운드 (할리우드), 레코드 플랜트 (로스앤젤레스)에서 이루어졌다.[24] 믹싱은 라이언 셰어 레코딩 스튜디오 (로스앤젤레스)에서 진행되었다.[24]
2006년 재발매 제작에는 제프 매지드가 프로젝트 감독과 보너스 셀렉션 믹싱을 맡았고,[24] 데이비드 도넬리가 보너스 셀렉션 믹싱과 리마스터링을 담당했다.[24] 코리 프라이는 편집 감독을, 그레그 앨런은 아트 디렉션과 디자인을 맡았다.[24] 카렌 르블랑과 스티브 울라드는 프로젝트 지원을 담당했다.[24] 믹싱은 DNA Studio (스튜디오 시티, 캘리포니아)에서, 마스터링은 DNA Mastering (스튜디오 시티, 캘리포니아)에서 진행되었다.[24]
6. 차트 성적
순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