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X 인코딩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DX 인코딩은 1983년 코닥이 35mm 필름 처리를 간소화하기 위해 도입한 기술로, 필름 카트리지에 인쇄된 코드를 통해 카메라가 필름의 감도, 노출 횟수, 노출 관용도 등의 정보를 자동으로 인식하도록 한다. DX 코드는 12개의 접점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필름 감도(ISO)는 2~6번 접점을 통해, 필름 길이는 8~10번 접점을 통해, 노출 관용도는 11, 12번 접점을 통해 나타낸다. DX 인코딩은 필름 카트리지 바코드와 필름 가장자리 바코드 등 다양한 형태로 정보를 제공하며, 자동 카메라 및 사진 현상 과정에 활용되었다. 하지만, 저가형 카메라에서 인식 오류가 발생하거나, DX 코드 손상, 재사용 카트리지 사용 등의 문제점이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DX 인코딩 | |
---|---|
DX 인코딩 | |
유형 | 필름 마킹 시스템 |
개발 | 코닥 |
목적 | 35mm 필름 카트리지의 자동 식별 |
기술적 세부 사항 | |
구성 요소 | 필름 카트리지의 금속 접점 필름 자체의 바코드 |
금속 접점 기능 | 필름 감도 (ISO) 설정 노출 허용치 설정 필름 길이 설정 |
바코드 기능 | 필름 제조사, 필름 유형, 카트리지 길이 식별 |
2. 역사
1983년 1월 3일, 코닥은 35mm 필름을 135 포맷으로 관리하는 일을 단순화하기 위해 DX 인코딩 방식을 선보였다. 1977년 후지필름이 필름 속도 인코딩 방식을 개발했지만, 135 포맷 카트리지의 필름 속도 감지에 이미 전기 접점을 사용했던 것과는 달리 코닥의 DX 코드는 즉시 시장의 성공을 거두었다.
최초의 DX 인코딩 필름은 1983년 3월의 컬러 네거티브 필름 코다컬러 VR-1000이었다. 이 기술을 사용한 최초의 카메라는 코니카 TC-X SLR이었으며, 그 외에 콤팩트 카메라 펜탁스 슈퍼 스포츠 35 / PC 35AF-M와 미놀타 AF-E / Freedom II(1984년)도 있었다. 펜탁스는 1985년의 A3 / A3000이 최초의 DX 지원 SLR이었다고 주장했지만, 그 밖의 DX 지원 SLR들이 1985년에 선보였다: 미놀타 7000(1985년 2월), 9000(1985년 9월), 니콘 F-301 / N2000.
이후 1996년에는 ''DX-iX''(데이터 교환 - 정보 교환)라는 확장된 DX 인코딩 시스템이, 1998년에는 120/220 필름을 위한 바코드 시스템이 도입되었다.
2. 1. DX 코드 개발 및 도입
1983년 1월, 코닥은 35mm 필름의 처리를 간소화하기 위해 DX(Data eXchange) 인코딩을 도입했다. 이전에 후지필름이 1977년에 필름 감도 인코딩 방식을 개발했으나, 코닥의 DX 코드가 시장에서 즉각적인 성공을 거두었다. 최초의 DX 인코딩 필름은 1983년 3월에 출시된 코다컬러 VR-1000 컬러 인화 필름이었다.1984년에는 펜탁스 Super Sport 35 / PC 35AF-M, 미놀타 AF-E / Freedom II 등 DX 코드를 자동 인식하는 최초의 자동 카메라들이 출시되었다. 1985년에는 코니카 TC-X SLR,[1] 펜탁스 A3 / A3000, 미놀타 7000 (1985년 2월) 및 9000 (1985년 9월), 니콘 F-301 / N2000 등 DX 지원 일안 반사식 카메라들이 출시되었다.
2. 2. DX 코드 확장 (DX-iX)
''DX-iX''(데이터 교환 - 정보 교환)는 1996년에 APS(Advanced Photo System)의 일부로 도입된 DX 인코딩의 확장판이다. IX240 필름으로도 알려진 다른 카트리지와 필름 크기를 사용한다. APS 필름과 카메라는 코닥의 Advantix, 후지필름의 Nexia 등 정보 교환 기능을 강조한 다양한 브랜드 이름으로 판매되었다.[1]2. 3. 120/220 필름 바코드 시스템
1998년, 후지필름은 120 필름과 220 형식 롤 필름을 위한 ''바코드 시스템''(로고 "|||B")이라는 필름 식별 시스템을 도입했다. 필름 형식과 길이, 필름 감도와 유형을 나타내는 바코드는 유제 필름과 뒷면 종이 사이의 스티커에 위치한다. 이 13비트 바코드는 Fujifilm GA645i Professional, GA645Wi Professional, GA645Zi Professional, GX645AF Professional, GX680III Professional, GX680IIIS Professional, 핫셀블라드 H1, H2, H2F 및 HM 16-32가 장착된 H3D 모델 I과 콘탁스 645 AF와 같은 최신 중형 카메라에서 광학적으로 스캔된다.3. 구성 및 작동 원리
DX 코드는 12개의 눈금 모양 접점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필름 유제면이 위를 향하도록 패트론을 놓았을 때 패트론 측면 오른쪽 위에 위치한다.
위 그림은 '''ISO 감도 100'''에 '''36장''' 짜리, '''일반용 컬러 네거티브 필름'''의 예시이다. 각 눈금에는 구분선이 없지만, 여기서는 이해를 돕기 위해 구분선을 넣었다.
패트론은 보통 금속으로 만들어져 전도성을 띈다. 이를 통해 눈금에 프린트 패턴으로 정보를 기록하며, IC가 아닌 펀치 카드와 같은 원리로 작동한다. 카메라는 필름 실내 접점을 통해 각 눈금이 도통/절연 상태인지 확인하여 정보를 읽는다.
DX 코드의 12개 접점은 4개의 영역으로 나뉜다.
- 1번과 7번 접점: 그라운드(Ground) 역할을 하며, 항상 도통 상태이다. 카메라 측 접점은 최대 11개만 필요하다.
- 2~6번 접점: 필름 속도를 나타낸다.
- 8~10번 접점: 필름 길이(노출 횟수)를 나타낸다.
- 11~12번 접점: 노출 관용도를 나타낸다.
3. 1. DX 카메라 자동 감지 (CAS) 코드
DX 카메라 자동 감지(CAS) 코드는 135 필름 카트리지 외부에 표시되어 카메라가 자동으로 필름 속도, 노출 횟수, 노출 관용도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코드이다.
- 1: 접지
- 2–6: 필름 속도
- 7: 접지
- 8–10: 필름 길이
- 11–12: 노출 관용도
DX CAS 코드는 필름 카트리지 측면에 2×6 격자 형태의 금속 접촉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영역은 전도성(노출된 금속) 또는 비전도성(페인트) 상태를 나타낸다. 카메라는 내부에 있는 전기 접점을 통해 이 패턴을 읽어 필름 정보를 인식한다.
G | S1 | S2 | S3 | S4 | S5 |
G | L1 | L2 | L3 | T1 | T2 |
- G: 접지 (Ground)
- Sx: 필름 감도 (Film Speed)
- Lx: 필름 길이 (Film Length)
- Tx: 노출 관용도 (Exposure Tolerance)
대부분의 카메라는 첫 번째 행의 필름 감도 정보만 읽는다. 일부 카메라는 가장 일반적인 필름 감도(100, 200, 400, 800)를 구별하기 위해 S1, S2, 접지만 읽기도 한다. 고급 카메라는 모든 정보를 읽기도 한다.
그림의 필름은 ISO 감도 100에 36장 짜리 일반용 컬러 네거티브 필름의 예이다.
DX 코드의 접점은 필름실 내부에 설치된 접점을 통해 도통 또는 절연 상태를 읽어들인다. 접점은 판 스프링 모양으로 되어 있어 필름 카트리지를 밀어내기 때문에, 뒷덮개를 닫을 때까지 접점을 수납하거나 카메라 하부에서 카트리지를 밀어 넣는 구조를 가진 카메라도 있다.
3. 1. 1. 필름 감도 (ISO)
DX 인코딩에서 필름 감도(ISO)는 2~6번 접점(5비트)을 사용하여 표현한다. 이 5개의 비트는 상단 열의 접지 접점 다음에 위치하며, 최대 32개의 서로 다른 필름 속도를 인코딩할 수 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ISO 25/15°에서 5000/38°까지 24개의 속도만 1/3 스탑 간격으로 사용된다.필름 속도 코드는 처음 세 비트(S1, S2, S3)로 세 개의 필름 속도를 식별하고, 마지막 두 비트(S4, S5)로 해당 세트 내에서 +0, +1/3, +2/3 스탑 조정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ISO 25/15°는 00010, 32/16°는 00001, 40/17°는 00011로 표현된다. 이들은 처음 세 비트 000xx를 공유하고 마지막 두 비트만 다르므로, 000xx는 속도 세트(25-32-40)를 나타낸다.
DX 코드는 또한 8개의 사용자 정의 감도 설정을 지원한다.
표준 필름 속도 인코딩 (1행 DX 접점)
필름 속도(ISO) | 1행 DX 접점 | 필름 속도(ISO) | 1행 DX 접점 | 필름 속도(ISO) | 1행 DX 접점 | |||||||||||||||
---|---|---|---|---|---|---|---|---|---|---|---|---|---|---|---|---|---|---|---|---|
G | S1 | S2 | S3 | S4 | S5 | G | S1 | S2 | S3 | S4 | S5 | G | S1 | S2 | S3 | S4 | S5 | |||
25/15° | G | F | F | F | T | F | 32/16° | G | F | F | F | F | T | 40/17° | G | F | F | F | T | T |
50/18° | G | T | F | F | T | F | 64/19° | G | T | F | F | F | T | 80/20° | G | T | F | F | T | T |
100/21° | G | F | T | F | T | F | 125/22° | G | F | T | F | F | T | 160/23° | G | F | T | F | T | T |
200/24° | G | T | T | F | T | F | 250/25° | G | T | T | F | F | T | 320/26° | G | T | T | F | T | T |
400/27° | G | F | F | T | T | F | 500/28° | G | F | F | T | F | T | 640/29° | G | F | F | T | T | T |
800/30° | G | T | F | T | T | F | 1000/31° | G | T | F | T | F | T | 1250/32° | G | T | F | T | T | T |
1600/33° | G | F | T | T | T | F | 2000/34° | G | F | T | T | F | T | 2500/35° | G | F | T | T | T | T |
3200/36° | G | T | T | T | T | F | 4000/37° | G | T | T | T | F | T | 5000/38° | G | T | T | T | T | T |
사용자 지정 필름 속도 인코딩 (1행 DX 접점)
ISO 속도 | 1행 DX 접점 | |||||
---|---|---|---|---|---|---|
G | S1 | S2 | S3 | S4 | S5 | |
custom 1 | G | F | F | F | F | F |
custom 2 | G | T | F | F | F | F |
custom 3 | G | F | T | F | F | F |
custom 4 | G | T | T | F | F | F |
custom 5 | G | F | F | T | F | F |
custom 6 | G | T | F | T | F | F |
custom 7 | G | F | T | T | F | F |
custom 8 | G | T | T | T | F | F |
3. 1. 2. 필름 길이 (노출 횟수)
8~10번 접점을 사용하여 필름의 노출 횟수를 나타낸다. 주로 12, 20, 24, 36매를 표시하며, 그 외의 길이는 "기타"로 표시된다.접점 8 | 접점 9 | 접점 10 | |
---|---|---|---|
기타 (10매, 16매, 27매 촬영 등) | style="background-color:#000" | | style="background-color:#000" | | style="background-color:#000" | |
12매 촬영 | style="background-color:#000" | | style="background-color:#000" | | |
20매 촬영 | style="background-color:#000" | | style="background-color:#000" | | |
24매 촬영 | style="background-color:#000" | | ||
36매 촬영 | style="background-color:#000" | | style="background-color:#000" | | |
48매 촬영 | style="background-color:#000" | | ||
60매 촬영 | style="background-color:#000" | | ||
72매 촬영 |
DX 코드 규격에는 27매 촬영 설정은 없다. 따라서 27매 촬영 필름의 매수 정보 부분은 모두 절연되어 있다. 이는 매수 정보를 가지고 있지 않은 것과 같으며, 매수 정보를 사용하는 일부 카메라는 필름 매수와 관련된 기능이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는다.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고 감광 사고를 막기 위해 필름 장착 시 전수를 감아 촬영한 프레임을 되감는 프리와인딩 기구를 가진 카메라도 존재했다.
3. 1. 3. 노출 관용도
DX 인코딩에서 11번과 12번 접점(2비트)은 필름의 노출 관용도를 나타낸다.[1]접점 11 | 접점 12 | |
---|---|---|
±0.5 스탑 | style="background-color:#000" | | style="background-color:#000" | |
±1 스탑 | style="background-color:#000" | | |
+2 스탑・-1 스탑 | style="background-color:#000" | | |
+3 스탑・-1 스탑 |
리버설 필름은 기본적으로 ±0.5 스탑으로 설정되며, 네거티브 필름은 +3 스탑・-1 스탑으로 설정된다. 일부 프로용 네거티브 필름은 ±1 스탑 등으로 설정되기도 한다.[1]
3. 2. DX 카트리지 바코드

필름 배출 립 옆에는 Interleaved 2 of 5 바코드와 인쇄된 숫자가 있다. 이 6자리 숫자는 I3A가 할당한 DX 번호 (가운데 4자리), 노출 횟수 (마지막 숫자) 및 제조업체의 고유 코드 (첫 번째 숫자)를 나타낸다.[3] DX 번호는 제조업체, 필름 유형 및 추론에 의해 필요한 현상 공정 유형을 식별하며, 자동 사진 현상 기계에서 노출된 필름을 올바르게 처리하는 데 사용된다.[3]
3. 3. DX 필름 가장자리 바코드

135 필름 각 프레임 아래의 스프로킷 아래에는 DX 필름 가장자리 바코드가 있다. 이 바코드는 필름 현상 전에는 보이지 않으며, 제조 과정에서 잠상 형태로 광학적으로 각인된다. 사진 인화 업체에서 인화를 위해 각 프레임을 식별하는 데 사용된다. 바코드는 "클럭 트랙"(동기화 클럭용)과 "데이터 트랙"(필름 종류, 제조사, 프레임 번호 등 필름 데이터 인코딩)의 두 가지 평행한 선형 바코드로 구성된다.[3] 필름 가장자리(스프로킷 구멍에서 멀리 떨어진 곳)에 가장 가까운 바코드가 데이터 트랙이다. 데이터 트랙 시퀀스는 6개의 시작 비트, 7비트의 DX 번호 파트 1, 할당되지 않은 1비트, 4비트의 DX 번호 파트 2, 7비트의 프레임/하프 프레임 번호, 할당되지 않은 1비트, 패리티 비트 1비트, 4개의 정지 비트로 시작하여 각 하프 프레임마다 반복된다.[2] 7비트 프레임/하프 프레임 번호는 "DXN" 번호("DX 번호 파트 1" 및 "DX 번호 파트 2")라고 하며, 1990년 이스트먼 코닥이 특허를 받은 원래의 DX 엣지 코드의 확장이다.[3][4]
일부 필름 스캐너에서 사용되는 이미지 처리 소프트웨어는 자동 색상 보정을 위해 필름 제조사 및 종류를 선택할 수 있게 해준다. DX 필름 가장자리 바코드를 해석하면 이 정보를 얻어 정확한 색상 보정을 적용할 수 있다.
4. 한계 및 문제점
일부 저가형 카메라에서는 DX 코드를 제대로 읽지 못하거나, DX 코드가 없는 필름을 ISO 100으로 인식하는 경우가 있다. DX 코드가 손상되거나 오염된 경우, 카메라가 필름 정보를 잘못 인식할 수 있다. 재사용 가능한 카트리지에 다른 필름을 넣어 사용할 경우, DX 코드와 실제 필름 정보가 일치하지 않아 촬영 실패로 이어질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DX 코드가 인쇄된 금속 스티커를 별도로 부착하기도 한다.
많은 카메라, 특히 컴팩트 카메라에서는 DX 코드에서 감도 정보 외에는 읽지 않는다. 매수 정보는 일부 일안 리플렉스 카메라 등에서 역산 카운터 등에 이용되며, 래티튜드 정보는 극히 소수의 카메라에서만 활용된다.
DX 비대응 필름을 장착했을 때 수동 설정을 할 수 있도록 규격이 만들어졌지만, 많은 컴팩트 카메라 등에서는 DX 비대응 필름의 감도를 100으로 자동 설정하고 수동 설정은 불가능하게 만들어졌다. DX 코드를 읽는 접점은 판 스프링 모양으로 되어 있어 필름 카트리지를 밀어내 필름 장착을 어렵게 만들기도 한다.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뒷덮개를 닫을 때까지 접점을 수납하거나 카메라 하부에서 카트리지를 밀어 넣는 방식을 채택한 기종도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Konica TC-X (1985–1988)
http://www.konicafil[...]
2020-11-07
[2]
간행물
Color negatives at the demise of silver halides
https://doi.org/10.5[...]
2017
[3]
특허
Photographic film with latent image multi-field bar code and eye-readable symbols
[4]
특허
Method of printing frame numbers from DX-coded photographic film not having frame number code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