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버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E버스는 한국스마트버스협동조합이 운행하고, (주)위즈돔이 어플 운영 및 신차 출자를 통해 적자를 보전하는 방식으로 운영되는 인터넷 통근버스 서비스이다. 2016년 5월에 무료 사전 운행을 거쳐 본 운행을 시작했으며, 동탄2신도시, 인천 등 수도권 지역을 중심으로 노선을 확장했다. 2011년에는 불법 논란이 있었으나, 한정면허 버스제 도입을 통해 합법화되었다. 현재는 인천 및 화성 지역에서 운행 중이며,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일부 노선의 운행이 중단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종류별 버스 - 시내버스
시내버스는 도시 내에서 정해진 노선을 따라 승객을 수송하는 대중교통 수단으로, 한국에서는 1920년대 최초 운행 이후 다양한 발전을 거듭하고 있으며, 정액제와 거리/구간제 요금 체계, 그리고 다양한 지불 방식을 제공한다. - 종류별 버스 - 셔틀버스
셔틀버스는 정해진 노선을 반복적으로 운행하며 특정 장소 간의 승객 이동을 돕는 버스를 의미하며, 공항, 대학교, 기업 등 다양한 목적으로 운행된다. - 경기도의 버스 기업 - 과천여객
과천여객은 2016년 설립되어 과천운수로부터 양도받은 6번 노선을 포함, 총 4개의 도시형/따복버스 노선을 운영하며, 자일대우 레스타, 현대 그린시티 등 11대의 버스를 보유한 과천시 시내버스 운송 회사이다. - 경기도의 버스 기업 - 코레일네트웍스
코레일네트웍스는 2004년 설립되어 전국 철도역 역무 및 창구 서비스, 주차장 운영, 레일플러스 교통카드 운영 및 관리, 철도고객센터 운영 등 철도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는 한국 회사이다. - 대한민국의 버스 노선 - 홍성군의 농어촌버스
홍성군의 농어촌버스는 충남교통운수에서 시작하여 홍주여객이 주요 운수업체로서 노선번호제를 통해 운영 체계를 개선하였고, 지역 특성을 반영한 노선번호와 함께 2024년 1월 기준 카드 1,400원, 현금 1,500원의 운임이 적용된다. - 대한민국의 버스 노선 - 담양군의 농어촌버스
담양군의 농어촌버스는 담양군과 인근 지역을 연결하는 대중교통 수단으로, 단일 요금제를 적용하며, 동광담양고속이 운행한다.
E버스 | |
---|---|
기본 정보 | |
![]() | |
국가 | 대한민국 |
수도 | 서울특별시 |
역사 | |
최초의 E버스 | 경기도 |
시작 시기 | 2016년 |
특징 | |
특징 | 좌석제 시행으로 안전성 향상 |
도입 효과 | 출퇴근 시간 혼잡 완화, 교통사고 감소 |
운영 | |
운영 주체 | 각 지역의 버스 운송 사업자 |
관련 기관 | 한국스마트버스협동조합 |
2. 운영 방식
한국스마트버스협동조합에서 버스 노선을 운행하며, ㈜위즈돔이 애플리케이션 운영, 신차 출자, 운행 적자 전액 보전을 담당하는 구조로 운영된다. E버스는 인터넷으로 출근길이 비슷한 사람들을 모아 전세 버스를 이용하는 방식이다.[1]
회원 모집은 인터넷을 통해 이루어진다. 회원들은 집과 직장 주소, 출근 시간 등의 정보를 입력한다. 특정 지역에 적정 인원이 모이면 출근 시간대에 전세버스를 배차한다. 회원들은 1개월 교통비를 결제하고 지정된 좌석을 배정받은 후 이용할 수 있다. 이는 일종의 버스 공동구매이며, E버스는 모든 과정이 인터넷을 통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인터넷 통근버스'라고도 불린다.[1]
3. 연혁
날짜 내용 2016년 5월 2일 ~ 4일 3일간 무료 사전 운행[1] 2016년 5월 9일 e버스 본 운행 개시[2] 2016년 6월 1일 e4400번, e4100번 노선의 동탄2신도시 정류장 추가[3] 2016년 7월 1일 M4403 광역버스 예약제 운영 및 8501번 버스 증차로 인해 e4401번 노선 운행 중단[4] 2017년 8월 1일 인천 지역 e버스 노선 변경 (e6100번, e6104번), e6102번(주안역↔인천국제공항), e6103번(부평역↔인천국제공항) 노선 운행 중단[1] 2017년 9월 20일 봉담휴먼빌 ~ 사당역 노선(e4531번, e4532번, e4531b번, e4532b번) 신규 운행[1] 2017년 9월 21일 수원대학교 ~ 삼성역 노선(e4432번, e4433번, e4432b번, e4433b번) 신규 운행[1] 2017년 9월 30일 인천e버스 리무진 노선 주말 및 공휴일 운행 개시[1] 2017년 11월 17일 e6104번 노선 호구포역 신규 정차[1] 2018년 4월 1일 인천e버스 주말 및 공휴일 운행 중지, e6104번 노선 출근 시간만 운행, e6100번 노선 새벽 시간대 증편 및 주간 시간대 운행 단축[1] 2018년 7월 13일 여름 시즌 한정 잠실역 ~ 캠프통아일랜드 셔틀버스 운행 개시[1] 2021년 2월 21일 인천광역시 버스정책과 노선명 기준에 따라 e6100번 노선이 e6101번으로 변경 (운행 노선 변경 없음) 2021년 3월 16일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인천e버스 운행 중단 2021년 6월 1일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동탄e버스 노선(e4100번, e4100b번, e4400번, e4400b번) 운행 중단
3. 1. 설립 초기 (2016년)
2016년 5월 2일부터 5월 4일까지 3일간 무료 사전 운행을 실시하였다.[1] 2016년 5월 9일, e버스 본 운행이 개시되었다.[2] 2016년 6월 1일, e4400번과 e4100번 노선에 동탄2신도시 정류장이 추가되었다.[3] 2016년 7월 1일, M4403 광역버스가 예약제로 운영되고 8501번 버스가 증차되면서 e4401번 노선은 적자 누적으로 인해 운행이 중단되었다.[4]
3. 2. 서비스 확장 및 변경 (2017년 ~ 2018년)
2017년 8월 1일, 인천 지역 e버스 노선에 변경이 있었다. e6100번, e6104번 노선으로 변경되었고, e6102번(주안역↔인천국제공항) 노선과 e6103번(부평역↔인천국제공항) 노선은 운행이 중단되었다.[1]
2017년 9월 20일, 봉담휴먼빌과 사당역을 잇는 노선(e4531번, e4532번, e4531b번, e4532b번)이 새롭게 운행을 시작했다.[1]
2017년 9월 21일, 수원대학교와 삼성역을 잇는 노선(e4432번, e4433번, e4432b번, e4433b번)이 신규 운행을 시작했다.[1]
2017년 9월 30일, 인천e버스 리무진 노선이 주말 및 공휴일 운행을 시작했다.[1]
2017년 11월 17일, e6104번 노선이 호구포역에 새로 정차하기 시작했다.[1]
2018년 4월 1일, 인천e버스는 주말 및 공휴일 운행을 중지했다. e6104번 노선은 출근 시간에만 운행하는 것으로 변경되었고, e6100번 노선은 새벽 시간대 운행이 늘어나고 주간 시간대 운행이 단축되었다.[1]
2018년 7월 13일, 여름 시즌 한정으로 잠실역과 캠프통아일랜드를 잇는 셔틀버스 운행이 시작되었다.[1]
3. 3. 노선 번호 변경 및 운행 중단 (2021년)
4. 현황
운행업체 | 보유 노선 수 | 등록 대수 | ||||||
---|---|---|---|---|---|---|---|---|
노선 합계 | 광역급행 | 직행좌석 | 시내일반 | 대수 합계 | 광역급행 | 직행좌석 | 시내일반 | |
한국스마트버스협동조합 (용인시) | 2 | - | - | 2 | 4 | - | - | 4 |
한국스마트버스협동조합 (화성시) | 4 | - | - | 4 | 8 | - | - | 8 |
5. 운행 노선
E버스는 한국스마트버스협동조합에서 버스 노선을 운행하며, (주)위즈돔이 어플 운영, 신차 출자 및 운행 적자 전액을 보전하는 구조로 운영된다. E버스는 인터넷을 통해 출퇴근길이 비슷한 사람들을 모아 전세 버스를 이용하는 방식으로, '인터넷 통근버스'라고도 불린다.[1]
E버스는 인천과 화성 지역에서 운행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