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E형 간염바이러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E형 간염바이러스는 헤페바이러스과의 오르토헤페바이러스 속에 속하는 양성 단일가닥 RNA 바이러스이다. 약 7200개의 염기로 구성된 유전체에 3개의 오픈 리딩 프레임(ORF1, ORF2, ORF3)이 존재하며, O1, O2, O3 단백질을 암호화한다. 바이러스 입자는 지름 27~34 나노미터이며 외피가 없다. E형 간염바이러스는 8가지 유전자형으로 분류되며, 유전자형 1, 2는 인간에게, 3, 4는 동물에게 주로 감염된다. 현재 존재하는 E형 간염바이러스는 536년에서 1344년 전에 분기된 것으로 추정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바이러스성 간염 - D형 간염
    D형 간염은 B형 간염 바이러스의 표면 항원을 이용해 복제되는 델타바이러스속 RNA 바이러스로, B형 간염과 중복 감염 시 만성 간 질환 위험을 높이는 36nm 크기의 구형 바이러스이다.
  • 바이러스성 간염 - E형 간염
    E형 간염은 E형 간염 바이러스(HEV)에 의해 발생하며, 오염된 물이나 음식 섭취를 통해 전파되고, 황달, 급성 간염 등의 증상을 유발하며, 위생 관리와 안전한 음식 섭취를 통해 예방한다.
  • 간염 - B형 간염
    B형 간염은 B형 간염 바이러스 감염으로 발생하는 질환으로, 혈액과 정액을 통해 전염되며 백신 접종으로 예방 가능하고 만성화될 경우 항바이러스제 치료가 필요하다.
  • 간염 - C형 간염
    C형 간염은 오염된 혈액으로 전파되는 C형 간염 바이러스 감염 질환으로, 만성 감염 시 간경변이나 간암으로 진행될 수 있으며, 직접 작용 항바이러스제로 치료하지만 백신은 개발되지 않아 감염 경로 차단과 조기 진단이 중요하다.
E형 간염바이러스 - [생물]에 관한 문서
바이러스 정보
"Orthohepevirus A" 비리온의 TEM 현미경 사진
상위 분류오르토헤페바이러스
오르토헤페바이러스 A
동의어E형 간염바이러스

2. 분류

과거에는 칼리시바이러스과로 분류되었으나, 이후 유전체 연구를 통해 풍진바이러스와 더 유사한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현재는 헤페바이러스과의 오르토헤페바이러스속으로 분류된다.[14]

3. 유전체 및 단백체

E형 간염바이러스는 양성 단일가닥 RNA 바이러스로, 약 7200개의 염기로 구성된 유전체를 가진다. 유전체에는 세 개의 오픈 리딩 프레임(ORF1, ORF2, ORF3)이 존재하며, 각각 O1, O2, O3 단백질을 암호화한다.[14][18]

O1, O2, O3의 세 가지 오픈 리딩 프레임과 각각이 암호화하는 단백질이 나타나 있다.

  • O1은 7개의 단백질로 쪼개진다.
  • O2는 캡시드를 암호화한다.
  • O3는 단일 단백질을 암호화한다.


''오르토헤페바이러스 A''는 8가지 유전자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유전자형별 발견 지역은 다음과 같다.

  • 유전자형 1: 아시아
  • 유전자형 2: 아프리카 및 멕시코
  • 유전자형 3: 유럽 및 북미
  • 유전자형 4: 아시아
  • 유전자형 5, 6: 아시아 멧돼지
  • 유전자형 7, 8: 낙타[2][6]

3. 1. O1 단백질



O1은 7개의 단백질로 쪼개지는데 각각 메틸전이효소(Met), Y-domain(Y), 파파인 유사 단백질분해효소(Plp), 프롤린 풍부 가변영역(V), X-domain(X), 헬리케이스(Hel), 그리고 RNA 의존성 RNA 중합효소(Rdrp)이다.[7] Plp, V, X 도메인을 합쳐서 Pvx 도메인이라 부르기도 한다.[7]

3. 2. O2 단백질

O2는 캡시드를 암호화하며, 이 캡시드는 다시 껍질 도메인(S)과 두 개의 돌출 도메인(P1, P2)으로 나뉜다.[14][18]

3. 3. O3 단백질

O3 단백질은 ORF3에서 암호화된다. 폴리단백질이 아니므로 단 하나의 단백질만 암호화한다.[14][18]

3. 4. 상호작용체

2015년에 발표된 연구에서 E형 간염바이러스의 10가지 단백질 사이에서 25개의 상호작용이 발견되었으며, 그 중 대부분이 높은 신뢰도를 보였다.[19][8]

4. 구조

바이러스 입자는 지름이 27~34나노미터이며 외피가 없다.[14][16][2][4]

5. 진화

현재 존재하는 E형 간염바이러스(HEV)는 536년에서 1344년 전쯤에 분기된 것으로 보인다.[20] 일부 연구에서는 약 6000년 전 돼지 가축화와 함께 바이러스가 분기되었다는 분석도 제시되었다.[21] 이후 인간을 주 숙주로 삼는 무리와 동물에서 지역 유행병처럼 나타나는 무리의 두 계통군으로 분기되었고, 각각 유전자형 1, 2와 유전자형 3, 4로 진화하였다.[22]

지난 100년간 유전자형 1, 3, 4가 크게 확산되었으나, 유전자형 2는 상대적으로 드물게 발견된다.[23]

6. 유전자형

''오르토헤페바이러스 A''는 8가지 유전자형으로 나뉜다. 유전자형 1은 주로 아시아, 유전자형 2는 아프리카와 멕시코, 유전자형 3은 유럽과 북아메리카, 유전자형 4는 아시아에서 발견된다. 유전자형 5와 6은 아시아의 멧돼지, 유전자형 7과 8은 낙타에서 발견되었다.[14][18][2][6]

양성 단일가닥 RNA를 유전체로 가지며, 7200개의 염기로 이루어져있다. 세 개의 오픈 리딩 프레임(ORF1, ORF2, ORF3)이 존재하여 각각 O1, O2, O3 단백질을 암호화한다. 이 중 O1과 O2는 폴리단백질이며, 번역된 이후 쪼개져 서로 다른 기능을 수행하는 여러 종류의 단백질로 나뉜다. O1, O2, O3는 각각 다음의 단백질들로 나뉜다.


  • '''O1''' - 7개의 단백질로 쪼개지는데 각각 메틸전이효소('''Met'''), Y-domain('''Y'''), 파파인 유사 단백질분해효소('''Plp'''), 프롤린 풍부 가변영역('''V'''), X-domain('''X'''), 헬리케이스('''Hel'''), 그리고 RNA 의존성 RNA 중합효소('''Rdrp''')이다. Plp, V, X 도메인을 합쳐서 '''Pvx''' 도메인이라 부르기도 한다.
  • '''O2''' - 캡시드를 암호화하며, 이 캡시드는 다시 껍질 도메인('''S'''), 두 개의 돌출 도메인('''P1''', '''P2''')으로 나뉜다.
  • '''O3''' - O3 단백질을 암호화한다. 폴리단백질이 아니므로 단 하나의 단백질만 암호화한다.[7]

참조

[1] 웹사이트 New Classification Scheme for ''Hepeviridae'' https://ictv.global/[...] 2014-06-01
[2] 웹사이트 Hepeviridae - Hepeviridae - Positive-sense RNA Viruses - ICTV http://www.ictv.glob[...]
[3] 논문 The global epidemiology of hepatitis E virus infection: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020-07-01
[4] 논문 Evidence for a virus in non-A, non-B hepatitis transmitted via the fecal-oral route
[5] 논문 Isolation of a cDNA from the virus responsible for enterically transmitted non-A, non-B hepatitis
[6] 문서 Genetic heterogeneity of hepatitis E virus 2001
[7] 논문 Molecular virology of hepatitis E virus
[8] 논문 The Hepatitis E virus intraviral interactome
[9] 논문 Evolutionary History and Population Dynamics of Hepatitis E Virus 2010-12-17
[10] 논문 Comprehensive analysis of genetic and evolutionary features of the hepatitis E virus 2019-10-29
[11] 논문 New insights into the hepatitis E virus genotype 3 phylodynamics and evolutionary history
[12] 문서 Hepatitis E Virus Infection 2014
[13] 웹인용 New Classification Scheme for ''Hepeviridae'' https://talk.ictvonl[...] 2014-06-01
[14] 웹인용 ICTV Online (10th) Report http://www.ictv.glob[...]
[15] 문서 The global burden of hepatitis E virus genotypes 1 and 2 in 2005 2012
[16] 논문 Evidence for a virus in non-A, non-B hepatitis transmitted via the fecal-oral route
[17] 논문 Isolation of a cDNA from the virus responsible for enterically transmitted non-A, non-B hepatitis
[18] 문서 Genetic heterogeneity of hepatitis E virus 2001
[19] 논문 The Hepatitis E virus intraviral interactome null
[20] 논문 Evolutionary History and Population Dynamics of Hepatitis E Virus 2010-12-17
[21] 논문 Comprehensive analysis of genetic and evolutionary features of the hepatitis E virus 2019-10-29
[22] 논문 New insights into the hepatitis E virus genotype 3 phylodynamics and evolutionary history null
[23] 문서 Hepatitis E Virus Infection 20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