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FIBA 여자 유로바스켓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FIBA 여자 유로바스켓은 유럽 여자 농구 국가대항전으로, 1938년 이탈리아에서 첫 대회가 개최되었다. 초기에는 이탈리아, 리투아니아, 폴란드 등이 메달을 획득했으며, 1950년 헝가리 대회부터 소련이 우승하며 동유럽 국가들의 강세가 시작되었다. 소련은 1991년까지 21번의 우승을 차지하며 압도적인 지배력을 보였고, 이후 러시아, 스페인, 프랑스 등이 우승을 차지했다. 2023년 대회에서는 벨기에가 우승을 차지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여자 농구 - FIBA 여자 아시아컵
    FIBA 여자 아시아컵은 아시아 농구 발전을 목표로 1965년 창설되어 디비전 시스템으로 운영되는 아시아 지역 여자 농구 대회로, 상위팀은 올림픽 또는 FIBA 여자 농구 월드컵 출전권을 획득한다.
  • 1938년 시작된 스포츠 행사 - 야구 월드컵
    야구 월드컵은 국제 야구 연맹이 주최하여 1938년부터 2011년까지 총 38번 개최된 국제 야구 대회이며, 쿠바가 최다 우승국이고 대한민국은 1982년 자국 대회에서 우승했으며, 2006년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개최 이후 폐지되었다.
  • 1938년 시작된 스포츠 행사 - 에스토니아컵
    에스토니아컵은 에스토니아의 축구 클럽들이 참가하는 녹아웃 토너먼트 대회로, 소련과 독일 점령기 중단을 거쳐 1992년 재개되었으며, 모든 리그 팀이 단판 승부로 경쟁하고 레바디아 탈린이 최다 우승팀이다.
  • 농구 대회 - 유로리그
    유로리그는 1958년 FIBA 유럽 챔피언스컵으로 시작되어 유럽 최고의 프로 농구 클럽 대회가 되었으며, 리그 시스템으로 운영되고 18개 팀이 참가하며, FIBA와의 갈등을 겪었지만 독자적인 리그로 성장하여 레알 마드리드가 최다 우승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 농구 대회 - 윌리엄 존스컵
    윌리엄 존스컵은 FIBA 사무총장 레나토 윌리엄 존스를 기념하기 위해 1977년 시작되어 중화민국 농구 협회가 주최하는 국제 농구 초청 토너먼트이며, 다양한 국가의 팀들이 참가하여 풀 리그 방식으로 우승을 겨룬다.
FIBA 여자 유로바스켓
기본 정보
종목농구
첫 대회1938년
참가 팀 수16개 팀
참가 국가FIBA 유럽 회원국
관할 대륙FIBA 유럽 (유럽)
최근 시즌유로바스켓 여자 2025
최다 우승국(21회 우승)
현재 챔피언(1회 우승)
웹사이트여자 유로바스켓
FIBA 유럽
관련 대회FIBA 여자 유럽 챔피언십 포 스몰 컨트리스
유로바스켓 (남자)
여자 유로바스켓 로고
여자 유로바스켓 로고

2. 역사

1958년 유럽 선수권 대회는 폴란드 우치에서 열려 주목할 만한 사건이 일어났다. 이전 4개 대회 우승팀이었던 소련은 처음으로 유럽 타이틀을 잃었다. 바냐 보이노바가 이끄는 불가리아는 결승 라운드에서 연장전 끝에 소련을 꺾고(54-51) 소련의 지배를 종식시켰다. 이는 1986년까지 소련이 국제 대회에서 당한 단 두 번의 패배 중 하나였다.

1959년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불가리아를 꺾고(51-38) 복수한 소련은 1960년 대회에서 유럽 타이틀을 되찾았다. 체코슬로바키아를 2점 차(58-56)로 꺾고, 결승전에서 불가리아를 연장전 끝에 꺾으며(52-50) 우승했다. 이후 1962년, 1964년, 1966년 대회에서도 소련은 체코슬로바키아와 불가리아를 꺾고 우승했다.

1968년 대회부터 율랴나 세묘노바가 합류하면서 소련의 우위는 더욱 공고해졌다. 1968년부터 1985년까지 10번의 유럽 선수권 대회에서 모두 금메달을 획득한 세묘노바의 합류로 소련은 압도적인 점수 차로 승리하는 경기가 많아졌다. 리디야 알렉세예바는 선수와 코치로 소련의 16번의 유럽 선수권 대회 우승에 기여했다. 1959년부터 1985년까지 소련은 참가한 모든 국제 대회에서 단 한 번도 패배하지 않고 우승했다.

1980년대 후반, 세대 교체로 소련의 지배력이 약화되기 시작했다. 1986년 굿윌 게임과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미국에게 패배했다. 1988년 서울 올림픽에서 소련은 동메달에 그쳤다.

1991년 대회에서 소련은 조별 라운드에서 유고슬라비아에게 패배했지만, 결승전에서 유고슬라비아를 꺾고(97-84) 마지막 우승을 차지했다. 22번의 선수권 대회 참가에서 21번 우승, 151경기 149승(2패), 1958년부터 1991년까지 114연승을 기록했다.

소련, 유고슬라비아, 체코슬로바키아 해체 이후, 유럽 여자 농구 선수권 대회의 경쟁 구도가 변화했다.
소련 해체 이후의 역사 (1993-현재)1993년 대회에서는 스페인프랑스를 꺾고 첫 우승, 슬로바키아는 동메달을 획득했다. 1995년 대회에서는 우크라이나가 이탈리아를 꺾고 첫 우승을 차지했다.

이후 리투아니아(1997년), 폴란드(1999년), 프랑스(2001년)가 첫 우승을 차지했다. 러시아는 2003년과 2007년에 우승했고, 체코는 2005년에 우승했다.

프랑스는 2009년에 다시 우승, 러시아는 2011년에 우승했다. 스페인은 2013년, 2017년, 2019년에 우승, 세르비아는 2015년와 2021년에 우승했다.

2023년 대회에서는 벨기에스페인을 꺾고 첫 우승을 차지했다.

39번의 유럽 선수권 대회에서 12개국이 우승했다. 가장 성공적인 국가는 소련(21회)이다.
역대 메달 집계

순위국가금메달은메달동메달총합
1 소련211022
2 스페인42511
3 러시아3328
4 프랑스28212
5 세르비아2013
6 불가리아15410
7 폴란드1225
8 이탈리아1113
9 체코1102
10 리투아니아1102
11 벨기에1023
12 우크라이나1001
13 체코슬로바키아07815
14 유고슬라비아0426
15 헝가리0257
16 슬로바키아0112
16 터키0112
18 벨라루스0011
18 동독0011
18 독일0011


  • 굵은 글씨는 해체된 국가

2. 1. 초기 역사 (1938-1956)

1938년 파시스트 이탈리아에서 첫 대회가 열렸으며, 5개 국가 대표팀만 참가했다. 리투아니아에게 패배(21-23)했음에도 불구하고, 개최국 이탈리아는 다른 모든 경기에서 승리하여 상위 3개 팀 간의 득점 차이로 초대 우승을 차지했다. 리투아니아와 폴란드는 각각 은메달과 동메달을 획득했다.

2차 세계 대전 (1939–1945)으로 인해 여자 농구 토너먼트는 오랫동안 중단되었다. 다음 대륙 선수권 대회는 12년 후인 1950년에 헝가리에서 열렸다. 1950년부터 1980년까지 여자 선수권 대회는 짝수 해마다 2년마다 개최되었으며, 남자 유럽 농구 선수권 대회는 홀수 해마다 개최되었다. 이 대회는 이후 40년 동안 지속된 동유럽 팀의 지배 시대의 시작을 알렸다. 결승 라운드의 마지막이자 결정적인 경기에서 개최국 헝가리는 소련 팀과 만났다. 헝가리는 전반전을 리드했지만(24-22), 후반전에 소련 선수들이 훨씬 더 나은 모습을 보였다. 소련은 승리(45-32)를 거두며 첫 번째 유럽 타이틀을 획득했다. 체코슬로바키아는 동메달을 획득했다.

1952년 모스크바에서 열린 다음 유럽 선수권 대회에서 소련 팀은 체코슬로바키아와 헝가리를 각각 23점(52-29)과 30점(71-41) 차이로 꺾고 자신들의 지배력을 입증했다. 2년 후 유고슬라비아에서 소련 팀은 결승 라운드의 결정적인 경기에서 체코슬로바키아를 7점 차(69-62)로 꺾고 세 번째 유럽 타이틀을 획득했다. 불가리아는 처음으로 유럽 선수권 대회 동메달을 획득했다. 1956년 체코슬로바키아에서 열린 다음 토너먼트에서 소련 팀은 결승전에서 헝가리를 꺾고(49-41) 4회 연속 금메달을 획득했으며, 개최국은 동메달을 획득했다.

2. 2. 소련의 지배 (1958-1991)

1958년 유럽 선수권 대회는 폴란드우치에서 열렸는데, 이 대회에서 주목할 만한 사건이 일어났다. 이전 4개 대회 우승팀이었던 소련은 처음으로 유럽 타이틀을 잃었다. 바냐 보이노바가 이끄는 불가리아는 결승 라운드의 결정적인 경기에서 연장전 끝에 소련 팀을 꺾고(54-51) 소련의 연승 행진을 저지했다. 이 승리는 놀라운 일이었으며, 1986년까지 소련 팀이 국제 농구 대회에서 당한 단 두 번의 패배 중 하나였다는 점에서 더욱 의미가 있었다.

1959년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불가리아를 꺾고(51-38) 복수에 성공한 소련은 1960년 대회에서 다시 유럽 타이틀을 차지했다. 비록 힘겨운 승리였지만, 소련은 체코슬로바키아를 2점 차(58-56)로 꺾고, 결승전에서 다시 만난 불가리아를 연장전 끝에 꺾으며(52-50) 우승을 차지했다. 이후 1962년과 1964년, 1966년 대회에서도 소련은 결승전에서 각각 체코슬로바키아와 불가리아를 꺾고 우승하며 압도적인 지배력을 과시했다.

1968년 대회부터 전설적인 센터 율랴나 세묘노바가 합류하면서 소련의 우위는 더욱 공고해졌다. 세묘노바는 1968년부터 1985년까지 10번의 유럽 선수권 대회에 출전하여 모두 금메달을 획득했다. 그녀의 합류 이전에는 소련이 근소한 차이로 승리하는 경우가 많았지만, 이후에는 압도적인 점수 차로 승리하는 경기가 많아졌다.

1959년부터 1985년까지 소련은 참가한 모든 국제 대회(유럽 선수권 대회, 세계 선수권 대회, 올림픽)에서 단 한 번도 패배하지 않고 우승하는 놀라운 기록을 세웠다. 1980년대 후반, 세대 교체로 인해 소련의 지배력은 약화되기 시작했다. 1986년 굿윌 게임과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미국에게 패배하며 28년 만에 국제 대회 패배를 기록했다. 1988년 서울 올림픽에서 소련은 동메달에 그쳤고, 대한민국은 은메달을 획득했다.

1991년 대회에서 소련은 조별 라운드에서 유고슬라비아에게 패배했지만, 결승전에서 다시 유고슬라비아를 꺾고(97-84) 마지막 우승을 차지했다.

2. 3. 소련 해체 이후 (1993-현재)

소련, 유고슬라비아, 체코슬로바키아의 해체 이후, 여러 신생 국가 대표팀들이 등장하면서 유럽 여자 농구 선수권 대회의 경쟁 구도가 변화했다.

1993년 대회에서는 스페인프랑스를 꺾고 첫 우승을 차지했으며, 슬로바키아는 동메달을 획득했다. 1995년 대회에서는 우크라이나가 이탈리아를 꺾고 첫 우승을 차지했다.

이후 리투아니아(1997년), 폴란드(1999년), 프랑스(2001년)가 차례로 첫 우승을 차지했다. 러시아는 2003년과 2007년에 우승했고, 체코는 2005년에 우승했다.

프랑스는 2009년에 다시 우승을 차지했고, 러시아는 2011년에 우승했다. 스페인은 2013년, 2017년, 2019년에 우승하며 강세를 보였고, 세르비아는 2015년와 2021년에 우승했다.

2023년 대회에서는 벨기에스페인을 꺾고 첫 우승을 차지하며 새로운 강자로 떠올랐다.

3. 역대 대회 결과

FIBA 여자 유로바스켓은 1938년 이탈리아에서 첫 대회가 열린 이후, 현재까지 총 39번의 대회가 개최되었다. 초기에는 소련이 압도적인 강세를 보이며 1950년부터 1991년까지 21번의 우승을 차지했다. 소련 해체 이후에는 스페인, 러시아, 프랑스 등이 번갈아 가며 우승을 차지하고 있다.

대회는 초창기 풀 리그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나, 1956년 대회부터 결승전과 3위 결정전이 도입되었다.


  • n/a: 해당 정보 없음 (초창기 대회는 풀 리그 방식으로 진행되어 결승전 및 3위 결정전이 없었음)
  • 자세히: 해당 연도 대회 상세 정보 링크

3. 1. 대회 결과 요약 (1938-2023)

자세히n/an/a1950
자세히n/an/a1952
자세히n/an/a1954
자세히n/an/a1956
자세히49–4191–601958
자세히n/an/a1960
자세히n/an/a1962
자세히63–4648–361964
자세히55–5368–471966
자세히74–6665–601968
자세히n/an/a1970
자세히94–3377–661972
자세히n/an/a1974
자세히n/an/a1976
자세히n/an/a1978
자세히n/an/a1980
자세히95–4961–571981
자세히85–4276–741983
자세히91–7082–791985
자세히103–69103–761987
자세히83–7375–671989
자세히64–6179–691991
자세히97–8465–611993
자세히63–5368–671995
자세히77–6669–501997
자세히72–6286–611999
자세히59–5678–492001
자세히73–6889–742003
자세히59–5687–812005
자세히72–7083–652007
자세히74–6872–632009
자세히57–5363–562011
자세히59–4263–562013
자세히70–6992–712015
자세히
76–6874–582017
자세히71–5578–452019
자세히
86-6681-552021
자세히
63-5477-692023
자세히
64-5882-68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 font-size:90%; width:100%"

|-

!rowspan=2|#

!rowspan=2|개최 연도

!rowspan=2|개최지

!colspan=3|금메달 결정전

!colspan=3|동메달 결정전

!rowspan=2|참가팀 수

|-

!금메달

!점수

!은메달

!동메달

!점수

!4위

|-

| 1

|1938
''세부 정보''

|

|

|''풀 리그''

|

|

|''풀 리그''

|

| 5

|-

| 2

|1950
''세부 정보''

|

|

|''풀 리그''

|

|

|''풀 리그''

|

| 12

|-

| 3

|1952
''세부 정보''

|

|

|''풀 리그''

|

|

|''풀 리그''

|

| 12

|-

| 4

|1954
''세부 정보''

|

|

|''풀 리그''

|

|

|''풀 리그''

|

| 10

|-

| 5

|1956
''세부 정보''

|

|

|'''49–41'''

|

|

|'''91–60'''

|

| 16

|-

| 6

|1958
''세부 정보''

|

|

|''풀 리그''

|

|

|''풀 리그''

|

| 10

|-

| 7

|1960
''세부 정보''

|

|

|''풀 리그''

|

|

|''풀 리그''

|

| 10

|-

| 8

|1962
''세부 정보''

|

|

|'''63–46'''

|

|

|'''48–36'''

|

| 10

|-

| 9

|1964
''세부 정보''

|

|

|'''55–53'''

|

|

|'''68–47'''

|

| 10

|-

| 10

|1966
''세부 정보''

|

|

|'''74–66'''

|

|

|'''65–60'''

|

| 12

|-

| 11

|1968
''세부 정보''

|

|

|''풀 리그''

|

|

|''풀 리그''

|

| 13

|-

| 12

|1970
''세부 정보''

|

|

|'''94–33'''

|

|

|'''77–66'''

|

| 12

|-

| 13

|1972
''세부 정보''

|

|

|''풀 리그''

|

|

|''풀 리그''

|

| 12

|-

| 14

|1974
''세부 정보''

|

|

|''풀 리그''

|

|

|''풀 리그''

|

| 13

|-

| 15

|1976
''세부 정보''

|

|

|''풀 리그''

|

|

|''풀 리그''

|

| 13

|-

| 16

|1978
''세부 정보''

|

|

|''풀 리그''

|

|

|''풀 리그''

|

| 13

|-

| 17

|1980
''세부 정보''

|

|

|'''95–49'''

|

|

|'''61–57'''

|

| 14

|-

| 18

|1981
''세부 정보''

|

|

|'''85–42'''

|

|

|'''76–74'''

|

| 12

|-

| 19

|1983
''세부 정보''

|

|

|'''91–70'''

|

|

|'''82–79'''

|

| 12

|-

| 20

|1985
''세부 정보''

|

|

|'''103–69'''

|

|

|'''103–76'''

|

| 12

|-

| 21

|1987
''세부 정보''

|

|

|'''83–73'''

|

|

|'''75–67'''

|

| 12

|-

| 22

|1989
''세부 정보''

|

|

|'''64–61'''

|

|

|'''79–69'''

|

| 8

|-

| 23

|1991
''세부 정보''

|

|

|'''97–84'''

|

|

|'''65–61'''

|

| 8

|-

| 24

|1993
''세부 정보''

|

|

|'''63–53'''

|

|

|'''68–67'''

|

| 8

|-

| 25

|1995
''세부 정보''

|

|

|'''77–66'''

|

|

|'''69–50'''

|

| 14

|-

| 26

|1997
''세부 정보''

|

|

|'''72–62'''

|

|

|'''86–61'''

|

| 12

|-

| 27

|1999
''세부 정보''

|

|

|'''59–56'''

|

3. 2. 메달 순위 (1938-2023)

순위국가금메달은메달동메달합계
1СССР|소련ru211022
2España|스페인es42511
3Россия|러시아ru3328
4France|프랑스프랑스어28212
5Србија|세르비아sr2013
6България|불가리아bg15410
7Polska|폴란드pl1225
8Italia|이탈리아it1113
9Česko|체코cs1102
10Lietuva|리투아니아lt1102
11Бельгія|벨기에be1023
12Україна|우크라이나uk1001
13Československo|체코슬로바키아cs07815
14Југославија|유고슬라비아sr0426
15Magyarország|헝가리hu0257
16Slovensko|슬로바키아sk0112
17Türkiye|튀르키예tr0112
18Беларусь|벨라루스be0011
19Deutsche Demokratische Republik|동독de0011
20Deutschland|독일de0011


4. 참가국

1938
1950
1952
1954
1956
1958
1960
1962
1964
1966
1968
1970
1972
1974
1976
1978
1980
1981
1983
1985
1987
1989
1991
1993
1995
1997
1999
2001
2003
2005
2007
2009
2011
2013

2015
2017

2019

2021

2023


2025

2027총 출전
횟수align=left|10위9위8위8위10위|11위12위|7align=left|소련의 일원으로 참가3위4위9위5위4위15위13위4위8align=left|8위|10위10위|7위12위|12위13위12위|6위7위|3위5위3위1위Q15align=left|유고슬라비아의 일원으로 참가12위10위|5위3align=left||4위3위4위1위2위3위2위7위5위4위2위5위3위7위5위5위2위2위9위3위4위6위|22align=left|유고슬라비아의 일원으로 참가8위8위|13위5위11위12위11위7align=left|체코슬로바키아의 일원으로 참가7위9위5위9위2위1위5위9위4위6위11위13위15위15위7위Q16''''3위2위2위3위3위3위2위3위2위9위5위3위2위2위3위4위3위6위4위4위2위5위해체22align=left||10위13위|13위|3''''|12위|9위|6위3위4위7위|독일로 통합6align=left||14위|XXXX1align=left||11위11위|12위12위12위|Q6align=left|4위4위7위6위7위6위8위10위11위11위2위4위7위4위4위11위8위8위8위2위11위2위1위5위5위8위1위3위2위2위2위2위2위3위34align=left||9위15위|12위13위|10위13위12위10위12위|14위3위12위|11위11위13위|6위Q17align=left||X|11위9위20위4위10위6align=left||10위9위10위13위5위13위10위4위16위11위Q11align=left|2위3위4위2위7위9위7위8위9위10위10위6위4위8위6위7위9위3위3위3위7위3위8위12위4위7위10위|13위|17위12위7위4위32align=left|11위||8위|12위13위13위13위|16위7align=left|1위5위6위7위6위7위9위9위10위6위9위10위3위7위9위9위7위|5위7위5위5위7위4위2위11위11위|9위6위8위15위7위9위9위9위Q35align=left|소련의 일원으로 참가|9위|6위4위7위8위15위13위6위11위13위10align=left|2위소련의 일원으로 참가5위1위6위4위4위6위11위7위14위8위Q12align=left|소련의 일원으로 참가6위7위|2align=left|유고슬라비아의 일원으로 참가세르비아 몬테네그로 참조6위10위7위16위12위12위8위7align=left|12위|12위8위8위|5위12위7위11위11위11위10위6위6위8위11위6위|16align=left|3위6위5위5위5위4위6위5위8위3위6위9위9위6위5위2위2위7위6위10위6위5위|1위6위4위7위11위11위18위29align=left|7위10위10위6위4위4위4위8위8위5위6위9위8위8위8위9위9위11위|13위|12위12위13위|19위23align=left|소련의 일원으로 참가7위3위6위3위2위1위2위1위2위1위13위6위9위8위6위15align=left||16위|XXXX1align=left|유고슬라비아의 일원으로 참가유고슬라비아 참조8위9위11위13위4위1위11위3위1위5위10align=left|체코슬로바키아의 일원으로 참가3위4위2위4위8위7위|8위13위12위9위8위13위12위13align=left|유고슬라비아의 일원으로 참가|14위10위10위15위4''''1위1위1위1위2위1위1위1위1위1위1위1위1위1위1위1위1위1위1위1위1위1위해체22align=left||12위10위11위10위11위10위6위|1위9위5위3위3위3위2위3위9위1위3위1위1위7위2위22align=left||13위11위10위7위|7위14위6위8위QQ8align=left|5위9위8위14위|4align=left||9위2위5위3위7align=left|소련의 일원으로 참가|4위11위10위4''''|5위9위4위5위5위7위6위2위3위8위8위5위2위3위4위4위유고슬라비아 참조22총합51212101610101010121312121313131412121616161616161616161616161616161616



{| class="wikitable plainrowheaders" width=80% style="text-align:center;"

|- style="background-color:#EDEDED;"

! class="hintergrundfarbe5" style="width:1em" | 순위

! class="hintergrundfarbe5" | 선수

! class="hintergrundfarbe5" | 국가

! class="hintergrundfarbe5" | 시작

! class="hintergrundfarbe5" | 종료

! style="background: gold; width:8%" | 금메달

! style="background: silver; width:8%" | 은메달

! style="background: #CC9966; width:8%" | 동메달

! class="hintergrundfarbe5" style="width:8%" | 합계

|-

| 1 || align="left" | 율리아나 (이율리야카) 셈요노바 || align="left" | || 1968 || 1985 || bgcolor="#f7f6a8" | '''10''' || bgcolor="#dce5e5" | – || bgcolor="#ffdab9" | – || bgcolor="#e7faec" | '''10'''

|-align="center"

| 2 || align="left" | 올가 수하르노바 || align="left" | || 1972 || 1987 || bgcolor="#f7f6a8" | 9 || bgcolor="#dce5e5" | – || bgcolor="#ffdab9" | – || bgcolor="#e7faec" | 9

|-align="center"

|rowspan="5"| 3 || align="left" | 올레샤 바렐 || align="left" | || 1980 || 1989 || bgcolor="#f7f6a8" | 6 || bgcolor="#dce5e5" | – || bgcolor="#ffdab9" | – || bgcolor="#e7faec" | 6

|-align="center"

| align="left" | 올가 부랴키나 (예로페예바) || align="left" | || 1978 || 1987 || bgcolor="#f7f6a8" | 6 || bgcolor="#dce5e5" | – || bgcolor="#ffdab9" | – || bgcolor="#e7faec" | 6

|-align="center"

| align="left" | 나데즈다 올호바 (슈바예바) || align="left" | || 1974 || 1983 || bgcolor="#f7f6a8" | 6 || bgcolor="#dce5e5" | – || bgcolor="#ffdab9" | – || bgcolor="#e7faec" | 6

|-align="center"

| align="left"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