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IFA 아랍컵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FIFA 아랍컵은 아랍 축구 연맹(UAFA) 회원국의 국가대표팀이 참가하는 국제 축구 대회이다. 1963년 레바논에서 첫 대회가 개최되었으며, 1966년까지 열린 후 중단되었다가 1985년에 재개되었다. 2021년부터는 FIFA가 주관하며, FIFA 월드컵과 같이 4년에 한 번씩 개최된다. 아시아 축구 연맹(AFC)과 아프리카 축구 연맹(CAF) 소속 국가들이 참가하며, 이라크가 4회 우승으로 최다 우승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랍컵 - 1964년 아랍컵
1964년 아랍컵은 쿠웨이트에서 이라크, 요르단, 쿠웨이트, 레바논, 리비아 5개국이 참가한 가운데 개최된 제2회 아랍 네이션스컵 대회로, 이라크가 우승하고 리비아가 준우승을 차지했다. - 아랍컵 - 1966년 아랍컵
1966년 아랍컵은 이라크 바그다드에서 10개 팀이 참가한 가운데 개최되어 이라크가 시리아를 꺾고 우승했으며 알리 알-비스키가 득점왕을 차지했다. - 1963년 시작된 스포츠 행사 - 일본 그랑프리
일본 그랑프리는 1976년 후지 스피드웨이에서 처음 개최된 포뮬러 원 자동차 경주 대회로, 스즈카 서킷과 후지 스피드웨이를 오가며 F1 역사에 중요한 사건들을 만들어냈고,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취소되었던 2020년과 2021년을 제외하고 2022년부터 스즈카 서킷에서 다시 개최되고 있으며 2024년부터는 봄에 개최될 예정이다. - 1963년 시작된 스포츠 행사 - CONCACAF 선수권 대회
CONCACAF 선수권 대회는 북중미카리브 축구 연맹이 주최하는 국가대항 축구 대회이며, 멕시코와 코스타리카가 최다 우승국이다.
FIFA 아랍컵 | |
---|---|
대회 정보 | |
종목 | 축구 |
주관 | FIFA (2021–현재), UAFA (1985–2012) |
창설 | 1963년 |
지역 | 아랍 세계 |
참가 팀 수 (결승) | 16 |
웹사이트 | fifa.com/arabcup |
역대 대회 | |
최근 대회 | 2021년 FIFA 아랍컵 |
차기 대회 | 2025년 FIFA 아랍컵 |
향후 대회 | 2029년 FIFA 아랍컵 2033년 FIFA 아랍컵 |
통계 | |
현재 챔피언 | (1회 우승)}} |
최다 우승 팀 | (4회 우승)}} |
2. 역사
아랍컵의 시작은 1957년 레바논 언론인 나시프 마즈달라니와 레바논 축구 협회(LFA) 사무총장 이자트 알 투르크의 아이디어에서 비롯되었다.[2][3] 1962년, 레바논 축구 협회 회장 조르주 다바스는 아랍컵 창설을 위한 공식적인 움직임을 보였고, 아랍컵 결성을 위한 일반 아랍 회의를 조직했다.[4]
1966년과 1982년 사이에는 16년간 대회가 열리지 않았는데, 이 기간 동안 아랍컵은 사실상 1970년대에 세 번 개최된 팔레스타인 네이션스컵으로 대체되었다. 1980년대 아랍컵이 부활한 후에는 청소년 토너먼트가 열렸다.[4][6]
2017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을 끝으로 컨페드컵이 역사 속으로 사라지면서 2021년부터 이 대회는 컨페드컵의 역할을 수행함과 동시에 FIFA 주관 대회로 바뀌게 되었으며, FIFA 월드컵과 마찬가지로 4년에 한 번씩 열린다. 2024년 5월 15일, FIFA는 카타르가 2025년, 2029년, 2033년에 대회를 개최할 것이며, 토너먼트는 국제 경기 일정에 포함되지 않는 초청 대회 원칙을 따를 것이라고 발표했다.[10]
2. 1. 초기 역사 (1963년 ~ 1966년)
첫 아랍컵은 1963년 4월과 5월 사이에 베이루트에서 개최되었으며, 5개 팀이 참가했다.[5] 당시 개최국 팀인 레바논을 포함한 5개 팀이 싱글 라운드 로빈 방식의 풀 리그로 대회를 진행하였고 그 결과 4전 전승을 거둔 튀니지가 첫 우승의 주인공이 되었다.[2][3] 이후 1964년과 1966년에 대회가 개최되었지만 그 이후 중단되었다.2. 2. 대회의 재개 (1985년 ~ 2012년)
1985년에 대회가 재개된 뒤 2012년까지 비정기적으로 치러졌다.[2][3] 1992년 대회는 1992년 아랍 게임의 일부로 조직되었다.[6] 이후 UAFA가 주최하는 마지막 대회가 된 2012년까지 5차례 개최되었다.2. 3. FIFA 주관 대회 (2021년 ~ 현재)
2021년 대회는 FIFA가 주관한 첫 번째 대회로, 대회 명칭이 FIFA 아랍컵으로 변경되었다.[7][8] 잔니 인판티노 FIFA 회장은 2021년 결승전 이후 FIFA가 향후 대회를 계속 관리할 것이라고 발표했다.[9]3. 참가 자격
아랍 축구 연맹에 소속된 국가대표팀이 참가 가능하다.
4. 역대 대회 결과
회차 | 연도 | 개최국 | 결승전 | 3·4위전 | 참가팀 | ||||||
---|---|---|---|---|---|---|---|---|---|---|---|
우승 | 점수 | 준우승 | 3위 | 점수 | 4위 | ||||||
아랍컵 | |||||||||||
1 | 1963 | 레바논 | 리그전 | 리그전 | 5 | ||||||
2 | 1964 | 쿠웨이트 | 리그전 | 리그전 | 5 | ||||||
3 | 1966 | 이라크 | 2 - 1 | 6 - 1 | 10 | ||||||
4 | 1985 | 사우디아라비아 | 1 - 0 | 0 - 0 (연장전 후, 승부차기 4 - 1) | 6 | ||||||
5 | 1988 | 요르단 | 1 - 1 (연장전 후, 승부차기 4 - 3) | 2 - 0 | 10 | ||||||
6 | 1992 | 시리아 | 3 - 2 | 2 - 1 | 6 | ||||||
7 | 1998 | 카타르 | 3 - 1 | 4 - 1 | 12 | ||||||
8 | 2002 | 쿠웨이트 | 1 - 0 (골든 골) | 와 | 3위 결정전 없음 | 10 | |||||
- | 2009 | 예선 도중 스폰서 부족으로 대회 취소 | |||||||||
9 | 2012 | 사우디아라비아 | 1 - 1 (연장전 후, 승부차기 3 - 1) | 1 - 0 | 11 | ||||||
FIFA 아랍컵 | |||||||||||
10 | 2021 | 카타르 | 2 - 0 (연장전) | 0 - 0 (연장전 후, 승부차기 5 - 4) | 16 | ||||||
11 | 2025 | 카타르 | 미정 | 미정 | 미정 | ||||||
12 | 2029 | 카타르 | 미정 | 미정 | 미정 | ||||||
13 | 2033 | 카타르 | 미정 | 미정 | 미정 |
아랍컵은 1963년 레바논에서 처음 개최되었으며, 튀니지가 초대 우승팀이 되었다. 이후 1964년과 1966년 대회가 열렸고, 약 20년간 중단되었다가 1985년에 재개되었다. 2012년 대회까지는 아랍 축구 연맹(UAFA)이 주최하였고, 2021년 대회부터 FIFA가 주최하면서 대회 명칭이 FIFA 아랍컵으로 변경되었다.
2024년 5월 15일, FIFA는 카타르가 2025년, 2029년, 2033년 대회를 개최할 것이라고 발표했다.[10]
4. 1. 역대 결승전 및 3·4위전 결과
회차 | 연도 | 개최국 | 결승전 | 3·4위전 | ||||
---|---|---|---|---|---|---|---|---|
우승 | 점수 | 준우승 | 3위 | 점수 | 4위 | |||
1 | 1963년 | 리그 | 리그 | |||||
2 | 1964년 | 리그 | 리그 | |||||
3 | 1966년 | 2 - 1 | 6 - 1 | |||||
4 | 1985년 | 1 - 0 | 0 - 0 (승부차기 4 - 1) | |||||
5 | 1988년 | 1 - 1 (승부차기 4 - 3) | 2 - 0 | |||||
6 | 1992년1 | 3 - 2 | 2 - 1 | |||||
7 | 1998년 | 3 - 1 | 4 - 1 | |||||
8 | 2002년 | 1 - 0 | 3위 결정전 없음 | |||||
- | 2009년 | 예선 도중에 대회가 취소됨 | ||||||
9 | 2012년 | 1 - 1 (승부차기 3 - 1) | 1 - 0 | |||||
10 | 2021년 | 2 - 0 | 0 - 0 (승부차기 5 - 4) |
1 팬아랍 게임 축구 대회를 겸했다.
4. 2. 역대 4강 진출팀
팀 | 우승 | 준우승 | 3위 | 4위 | 총합 |
---|---|---|---|---|---|
4 (1964, 1966, 1985, 1988) | 0 | 1 (2012) | 0 | 5 | |
2 (1998, 2002) | 1 (1992) | 1 (1985) | 1 (2012) | 5 | |
1 (1963) | 1 (2021) | 0 | 0 | 2 | |
1 (1992) | 0 | 1 (1988) | 1 (2021) | 3 | |
1 (2012) | 0 | 1 (2002) | 0 | 2 | |
1 (2021) | 0 | 0 | 0 | 1 | |
0 | 3 (1963, 1966, 1988) | 0 | 1 (1992) | 4 | |
0 | 2 (1964, 2012) | 1 (1966) | 0 | 3 | |
0 | 2 (1985, 2002) | 0 | 0 | 2 | |
0 | 1 (1998) | 1 (2021) | 1 (1985) | 3 | |
0 | 0 | 3 (1964, 1992, 1998) | 1 (1963) | 4 | |
0 | 0 | 1 (1963) | 2 (1964, 1966) | 3 | |
0 | 0 | 1 (2002) | 1 (1988) | 2 | |
0 | 0 | 0 | 1 (1998) | 1 |
- 2002년 아랍 네이션스컵에서는 3위 결정전이 열리지 않아 와 모두 3위를 차지했다.
4. 3. 대륙별 (AFC/CAF) 최고 성적
컨페더레이션 (대륙) | 우승팀 | 우승 횟수 |
---|---|---|
AFC (아시아) | 이라크 (4회), 사우디 아라비아 (2회) | 6 |
CAF (아프리카) | 알제리 (1회), 이집트 (1회), 모로코 (1회), 튀니지 (1회) | 4 |
5. 기록 및 통계
wikitext
회차 | 연도 | 개최국 | 결승전 | 3위 결정전 | 참가팀 | |||||
---|---|---|---|---|---|---|---|---|---|---|
우승 | 점수 | 준우승 | 3위 | 점수 | 4위 | |||||
아랍컵 | ||||||||||
1 | 1963 | 레바논 | 튀니지 | 리그 방식 | 시리아 | 레바논 | 리그 방식 | 쿠웨이트 | 5 | |
2 | 1964 | 쿠웨이트 | 이라크 | 리그 방식 | 리비아 | 쿠웨이트 | 리그 방식 | 레바논 | 5 | |
3 | 1966 | 이라크 | 이라크 | 2–1 | 시리아 | 리비아 | 6–1 | 레바논 | 10 | |
4 | 1985 | 사우디아라비아 | 이라크 | 1–0 | 바레인 | 사우디아라비아 | 0–0 (연장전, 승부차기 4–1) | 카타르 | 6 | |
5 | 1988 | 요르단 | 이라크 | 1–1 (연장전, 승부차기 4–3) | 시리아 | 이집트 | 2–0 | 요르단 | 10 | |
6 | 1992 | 시리아 | 이집트 | 3–2 | 사우디아라비아 | 쿠웨이트 | 2–1 | 시리아 | 6 | |
7 | 1998 | 카타르 | 사우디아라비아 | 3–1 | 카타르 | 쿠웨이트 | 4–1 | 아랍에미리트 | 12 | |
8 | 2002 | 쿠웨이트 | 사우디아라비아 | 1–0 (골든 골) | 바레인 | 요르단과 모로코 | 10 | |||
– | 2009 | 예선 중 스폰서 부족으로 대회 취소 | ||||||||
9 | 2012 | 사우디아라비아 | 모로코 | 1–1 (연장전, 승부차기 3–1) | 리비아 | 이라크 | 1–0 | 사우디아라비아 | 11 | |
FIFA 아랍컵 | ||||||||||
10 | 2021 | 카타르 | 알제리 | 2–0 (연장전) | 튀니지 | 카타르 | 0–0 (연장전, 승부차기 5–4) | 이집트 | 16 | |
11 | 2025 | 카타르 | TBD | TBD | TBD | |||||
12 | 2029 | 카타르 | TBD | TBD | TBD | |||||
13 | 2033 | 카타르 | TBD | TBD | TBD |
순위 | 국가 | 우승 | 준우승 | 3위 | 4위 | 합계 |
---|---|---|---|---|---|---|
1 | 이라크 | 4 | 0 | 1 | 0 | 5 |
2 | 사우디아라비아 | 2 | 1 | 1 | 1 | 5 |
3 | 알제리 | 1 | 1 | 0 | 0 | 2 |
4 | 튀니지 | 1 | 0 | 1 | 1 | 3 |
5 | 이집트 | 1 | 0 | 0 | 1 | 2 |
6 | 모로코 | 1 | 0 | 0 | 0 | 1 |
7 | 시리아 | 0 | 3 | 0 | 1 | 4 |
8 | 바레인 | 0 | 2 | 1 | 0 | 3 |
9 | 리비아 | 0 | 2 | 0 | 0 | 2 |
10 | 카타르 | 0 | 1 | 1 | 1 | 3 |
11 | 쿠웨이트 | 0 | 0 | 3 | 1 | 4 |
12 | 레바논 | 0 | 0 | 1 | 2 | 3 |
13 | 요르단 | 0 | 0 | 1 | 1 | 2 |
14 | 아랍에미리트 | 0 | 0 | 0 | 1 | 1 |
- 2021년 대회 종료 시점
- '''굵은 글씨'''는 우승 경험이 있는 국가이며, '''굵은 숫자'''는 최다 기록
- 국가명은 현재 명칭으로 통일
5. 1. 대회별 참가팀
- -
(5)1964
--
(5)1966
--
(10)1985
--
(6)1988
--
(10)1992
--
(6)1998
--
(12)2002
--
(10)2012
--
(11)2021
--
(16)2025
--
(...)합계 align=left| × × × × GS × GS × × 1위 3 align=left| × × GS 2위 GS × × 2위 GS GS 6 align=left| × × × × 3위 1위 GS × GS 4위 5 align=left| × 1위 1위 1위 1위 × × × 3위 GS 6 align=left| GS GS GS GS 4위 GS GS SF × QF 9 align=left| 4위 3위 GS × GS 3위 3위 GS GS • 8 align=left| 3위 4위 4위 × GS × GS GS GS GS 8 align=left| × 2위 3위 × × × GS × 2위 • 4 align=left| × × × GS • × × × × GS 2 align=left| × × × × × × GS SF 1위 QF 4 align=left| × × GS × × × × × × QF 2 align=left| × × GS × × GS • GS GS GS 5 align=left| × × × 4위 × × 2위 × × 3위 Q 4 align=left| × × × 3위 GS 2위 1위 1위 4위 GS 7 align=left| × × × • × × GS GS GS GS 4 align=left| 2위 × 2위 × 2위 4위 GS GS × GS 7 align=left| 1위 × × × GS × × × × 2위 3 align=left| × × × × × × 4위 × × QF 2 align=left| × × GS × × × × GS GS • 3 팀 1963
--
(5)1964
--
(5)1966
--
(10)1985
--
(6)1988
--
(10)1992
--
(6)1998
--
(12)2002
--
(10)2012
--
(11)2021
--
(16)2025
--
(...)합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