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IS 알파인 스키 월드컵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FIS 알파인 스키 월드컵은 국제 스키 연맹(FIS)이 주관하는 알파인 스키 레이싱 대회로, 1967년 처음 개최되었다. 대회는 매년 열리며, 회전, 대회전, 슈퍼대회전, 활강, 복합 등 5개 세부 종목으로 진행된다. 각 경기에서 상위 30위까지 점수를 부여하며, 시즌 종료 시 가장 많은 포인트를 얻은 선수가 종합 우승을 차지한다. 남자부에서는 마르셀 히르셔가 8회 우승으로 최다 종합 우승 기록을 보유하고 있으며, 여자부에서는 안네마리 모저-프뢸이 6회 우승으로 최다 종합 우승 기록을 가지고 있다. 대한민국에서는 1986년, 1987년, 1993년, 1995년, 2000년에 월드컵 대회가 개최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알파인 스키 대회 - 세계 알파인 스키 선수권 대회
세계 알파인 스키 선수권 대회는 국제스키연맹 주관의 알파인 스키 세계 선수권 대회로, 1931년 첫 개최 이후 홀수 해에 열리며 활강, 회전, 대회전 등을 포함한 다양한 종목으로 구성되고 오스트리아가 메달 순위 1위를 기록하고 있다. - 알파인 스키 대회 - 올림픽 알파인스키
올림픽 알파인 스키는 동계 올림픽의 핵심 종목으로, 남자와 여자 모두 활강, 회전, 대회전, 슈퍼대회전, 복합/슈퍼 복합으로 구성되며, 2018년 평창 동계 올림픽에서는 혼성 단체전이 추가되었다. - 1967년 시작된 스포츠 행사 - 슈퍼볼
슈퍼볼은 NFL의 AFC 챔피언과 NFC 챔피언이 맞붙는 챔피언십 게임으로, 미국에서 가장 시청률이 높은 연례 스포츠 이벤트이며, 피츠버그 스틸러스와 뉴잉글랜드 패트리어츠가 최다 우승 기록을 보유하고 우승팀에게는 빈스 롬바르디 트로피가 수여된다. - 1967년 시작된 스포츠 행사 - 아시아 사격 선수권 대회
아시아 사격 선수권 대회는 아시아 사격 연맹이 주최하며, 1967년 일본 도쿄에서 처음 개최되었고, 소총, 권총, 산탄총 종목을 포함한 종합 선수권 대회 외에도 다양한 세부 종목별 대회가 열린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FIS 알파인 스키 월드컵 | |
---|---|
대회 정보 | |
종목 | 알파인 스키 |
창설 | 1967년 1월 5일 (남자) |
창설 (여자) | 1967년 1월 7일 (여자) |
창립자 | 세르주 랑 오노레 보네 밥 비티 |
주최 | 국제 스키 연맹 (FIS) |
최고 레이스 디렉터 (남자) | 마르쿠스 발트너 |
최고 레이스 디렉터 (여자) | 페터 게르돌 |
스폰서 | 아우디 콰트로 |
웹사이트 | 국제 스키 연맹 알파인 스키 월드컵 공식 웹사이트 |
관련 정보 | 동계 스포츠 올림픽 |
관련 이미지 | |
![]() |
2. 역사
프랑스의 언론인이자 국제 스키 기자 협회 회장인 세르주 랑이 알파인 스키 월드컵 창설을 주장했으며, 프랑스 알파인 스키 대표팀 감독 오노레 보네와 미국 알파인 스키 대표팀 감독 밥 비티가 이에 찬동하여 알파인 스키 월드컵 유치 실행에 나섰다.[2] 1966년 국제 스키 연맹(FIS) 회장 마르크 호들러가 1966년 세계 알파인 스키 선수권 대회 도중에 월드컵 창설 승인 의사를 밝혔고, 같은 해 레바논 베이루트에서 열린 FIS 총회에서 1967년에 초대 월드컵을 개최하기로 승인했다.
1967년 1월 제1회 월드컵 대회가 열렸으며, 첫 월드컵 경기는 서독 베르히테스가덴에서 열렸다. 초대 월드컵 남자부 우승자는 프랑스의 장클로드 킬리, 여자부 우승자는 캐나다의 낸시 그린이 차지했다.
초대 월드컵에서는 회전, 대회전, 활강 3개 종목이 진행되었으며, 1974–75 시즌부터 복합 종목이, 1982–83 시즌부터 슈퍼대회전 종목이 추가되었다. 1991–92 시즌에 현재 운영되는 점수 계산 체계가 정립되었다.[2]
시즌 | 남자 이름 | 남자 국가 | 여자 이름 | 여자 국가 |
---|---|---|---|---|
1967 | 장클로드 킬리 | 낸시 그린 | ||
1968 | 장클로드 킬리 (2) | 낸시 그린 (2) | ||
1968–69 | 카를 슈란츠 | 게르트루트 가블 | ||
카를 슈란츠 (2) | 미셸 자코 | |||
1970–71 | 구스타프 퇀 | 안네마리 프뢸 | ||
1971–72 | 구스타프 퇀 (2) | 안네마리 프뢸 (2) | ||
1972–73 | 구스타프 퇀 (3) | 안네마리 프뢸 (3) | ||
1973–74 | 피에로 그로스 | 안네마리 프뢸 (4) | ||
1974–75 | 구스타프 퇀 (4) | 안네마리 프뢸 (5) | ||
1975–76 | 잉에마르 스텐마르크 | 로지 미터마이어 | ||
1976–77 | 잉에마르 스텐마르크 (2) | 리즈-마리 모레로드 | ||
1977–78 | 잉에마르 스텐마르크 (3) | 한니 벤젤 | ||
1978–79 | 페터 뤼셔 | 안네마리 모저-프뢸 (6) | ||
1979–80 | 안드레아스 벤젤 | 한니 벤젤 (2) | ||
1980–81 | 필 마레 | 마리-테레즈 나디그 | ||
1981–82 | 필 마레 (2) | 에리카 헤스 | ||
1982–83 | 필 마레 (3) | 타마라 매키니 | ||
1983–84 | 피르민 추르브리겐 | 에리카 헤스 (2) | ||
1984–85 | 마르크 지라르델리 | 미켈라 피지니 | ||
1985–86 | 마르크 지라르델리 (2) | 마리아 발리저 | ||
1986–87 | 피르민 추르브리겐 (2) | 마리아 발리저 (2) | ||
1987–88 | 피르민 추르브리겐 (3) | 미켈라 피지니 (2) | ||
1988–89 | 마르크 지라르델리 (3) | 프레니 슈나이더 | ||
1989–90 | 피르민 추르브리겐 (4) | 페트라 크론베르거 | ||
1990–91 | 마르크 지라르델리 (4) | 페트라 크론베르거 (2) | ||
1991–92 | 파울 아콜라 | 페트라 크론베르거 (3) | ||
1992–93 | 마르크 지라르델리 (5) | 아니타 바흐터 | ||
1993–94 | 케틸 안레 아모트 | 프레니 슈나이더 (2) | ||
1994–95 | 알베르토 톰바 | 프레니 슈나이더 (3) | ||
1995–96 | 라세 퀴스 | 카트야 자이징거 | ||
1996–97 | 뤽 알팡 | 페르닐라 비베리 | ||
1997–98 | 헤르만 마이어 | 카트야 자이징거 (2) | ||
1998–99 | 라세 퀴스 (2) | 알렉산드라 마이스니처 | ||
1999–00 | 헤르만 마이어 (2) | 레나테 괴첼 | ||
2000–01 | 헤르만 마이어 (3) | 야니차 코스텔리치 | ||
2001–02 | 슈테판 에버하터 | 미하엘라 도르프마이스터 | ||
2002–03 | 슈테판 에버하터 (2) | 야니차 코스텔리치 (2) | ||
2003–04 | 헤르만 마이어 (4) | 안야 파르손 | ||
2004–05 | 보데 밀러 | 안야 파르손 (2) | ||
2005–06 | 벤자민 라이흐 | 야니차 코스텔리치 (3) | ||
2006–07 | 악셀 루드 스빈달 | 니콜 호스프 | ||
2007–08 | 보데 밀러 (2) | 린지 본 | ||
2008–09 | 악셀 루드 스빈달 (2) | 린지 본 (2) | ||
2009–10 | 카를 얀카 | 린지 본 (3) | ||
2010–11 | 이비차 코스텔리치 | 마리아 리에슈 | ||
2011–12 | 마르셀 히르셔 | 린지 본 (4) | ||
2012–13 | 마르셀 히르셔 (2) | 티나 마제 | ||
2013–14 | 마르셀 히르셔 (3) | 안나 페닝거 | ||
2014–15 | 마르셀 히르셔 (4) | 안나 페닝거 (2) | ||
2015–16 | 마르셀 히르셔 (5) | 라라 구트 | ||
2016–17 | 마르셀 히르셔 (6) | 미카엘라 시프린 | ||
2017–18 | 마르셀 히르셔 (7) | 미카엘라 시프린 (2) | ||
2018–19 | 마르셀 히르셔 (8) | 미카엘라 시프린 (3) | ||
2019–20 | 페데리카 브리뇨네 | |||
2020–21 | 페트라 블로바 | |||
2021–22 | 미카엘라 시프린 (4) | |||
2022–23 | 미카엘라 시프린 (5) | |||
2023–24 | 라라 구트-베라미 (2) |
개인 경기는 회전, 대회전, 슈퍼대회전, 활강, 복합의 5개 세부 종목으로 진행된다. 복합 종목은 활강과 회전을 결합한 경기로 진행된다. 모든 경기에서 상위 30명의 완주 선수에게 점수가 부여되며, 우승자에게는 100점, 준우승자에게는 80점, 30위에게는 1점이 부여되는 차등 배점 방식이다.[2] 3월 중순 시즌 종료 시점에 가장 많은 점수를 획득한 선수가 종합 우승자가 되며, 종합 우승 트로피는 9kg 무게의 수정 구슬 형태이다. 각 세부 종목별 우승자에게는 3.5kg 수정 구슬 형태 트로피가 수여된다.[2]
다음은 알파인 스키 월드컵에서 국가별 종합 우승 횟수를 정리한 표이다.
3. 대회 진행
대회는 주로 유럽 알프스 지역의 스키 리조트에서 개최되며, 스칸디나비아, 북아메리카, 동아시아(대한민국, 일본 포함)에서도 정기적으로 개최된다.[4] 대한민국은 1987년, 1993년, 1995년, 2000년에 용평리조트에서, 1986년에는 베어스 타운에서 월드컵을 개최한 바 있다.
4. 역대 입상자
국가 총계 남자 여자 오스트리아 34 17 17 스위스 23 10 13 미국 15 5 10 이탈리아 7 6 1 노르웨이 6 6 – 스웨덴 6 3 3 룩셈부르크 5 5 – 프랑스 5 4 1 크로아티아 4 1 3 독일 3 – 3 리히텐슈타인 3 1 2 캐나다 2 – 2 슬로바키아 1 – 1 서독 1 – 1 슬로베니아 1 – 1
남자부에서는 마르셀 히르셔(오스트리아, 8회)가 최다 종합 우승을 차지했으며, 마르크 지라르델리(룩셈부르크, 5회), 구스타프 퇴니(이탈리아, 4회), 피르민 추어브리겐(스위스, 4회), 헤르만 마이어(오스트리아, 4회), 필 마레(미국, 3회), 잉에마르 스텐마르크(스웨덴, 3회), 마르코 오더마트(스위스, 3회)가 그 뒤를 잇고 있다.
여자부에서는 안네마리 모저프뢸(오스트리아, 6회)이 최다 종합 우승을 차지했으며, 미카엘라 시프린(미국, 5회), 린지 본(미국, 4회), 페트라 크론베르거(오스트리아, 3회), 프레니 슈나이더(스위스, 3회), 야니차 코스텔리치(크로아티아, 3회)가 그 뒤를 잇고 있다.
각 세부 종목별 우승자, 역대 월드컵 시즌별 남녀 우승자, 개인별 통산 우승 횟수 등 더 자세한 정보는 하위 문서를 참고할 수 있다.
4. 1. 남자부
FIS 알파인 스키 월드컵 남자부 역대 최다 종합 우승자는 오스트리아의 마르셀 히르셔(8회)이며, 룩셈부르크의 마르크 지라르델리(5회), 이탈리아의 구스타프 퇴니(4회), 스위스의 피르민 추어브리겐(4회), 오스트리아의 헤르만 마이어(4회) 등이 뒤를 잇고 있다.
다음은 알파인 스키 월드컵 종합 우승을 3회 이상 차지한 선수들이다.
이름 | 활동 기간 | rowspan=10| | 종합 | rowspan=10| | 세부 종목 | ||
---|---|---|---|---|---|---|---|
DH | SG | GS | SL | KB | |||
마르셀 히르셔 | 2007–2019 | 8 | – | – | 6 | 6 | – |
마르크 지라르델리 | 1980–1996 | 5 | 2 | – | 1 | 3 | 4 |
구스타프 퇴니 | 1969–1980 | 4 | – | N/A | 3 | 2 | – |
피르민 추어브리겐 | 1981–1990 | 4 | 2 | 4 | 3 | – | 3 |
헤르만 마이어 | 1996–2009 | 4 | 2 | 5 | 3 | – | – |
필 마어 | 1975–1984 | 3 | – | – | 2 | 1 | 4 |
잉에마르 스텐마르크 | 1973–1989 | 3 | – | N/A | 8 | 8 | – |
마르코 오더마트 | 2016–현재 | 3 | 1 | 2 | 3 | – | – |
4. 2. 여자부
여자부 역대 최다 종합 우승자는 오스트리아의 안네마리 모저프뢸(6회)이며, 미국의 미카엘라 시프린(5회), 린지 본(4회) 등이 뒤를 잇고 있다.다음은 알파인 스키 월드컵 종합 우승을 3회 이상 차지한 여자 선수들이다.
이름 | 활동 기간 | 종합 | 활강 | 슈퍼대회전 | 대회전 | 회전 | 복합 |
---|---|---|---|---|---|---|---|
안네마리 모저프뢸 | 1969–1980 | 6 | 7 | 3 | – | 2 | |
미카엘라 시프린 | 2011–현재 | 5 | – | 1 | 2 | 8 | – |
린지 본 | 2001–2019 | 4 | 8 | 5 | – | – | 3 |
페트라 크론베르거 | 1987–1992 | 3 | – | – | – | 1 | – |
프레니 슈나이더 | 1984–1995 | 3 | – | – | 5 | 6 | – |
야니차 코스텔리치 | 1998–2006 | 3 | – | – | – | 3 | 4 |
순위 | 선수명 | 활동 연도 | 승리 수 | DH | SG | GS | SL | CB | PGS | PSL |
---|---|---|---|---|---|---|---|---|---|---|
1 | 미카엘라 시프린 | 2012 - 현재 | 99 | 4 | 5 | 22 | 62 | 1 | - | 5 |
2 | 린지 본 | 2000 - 2019 | 82 | 43 | 28 | 4 | 2 | 5 | - | - |
3 | 안네마리 모저프뢸 | 1969 - 1980 | 62 | 36 | - | 16 | 3 | 7 | - | - |
4 | 프레니 슈나이더 | 1984 - 1995 | 55 | - | - | 20 | 34 | 1 | - | - |
5 | 레나테 괴첼 | 1993 - 2009 | 46 | 24 | 17 | - | 1 | 4 | - | - |
6 | 라라 구트-베흐라미 | 2007 - 현재 | 45 | 13 | 22 | 9 | - | 1 | - | - |
7 | 아냐 파르손 | 1998 - 2012 | 42 | 6 | 4 | 11 | 18 | 3 | - | - |
8 | 말리스 실트 | 2001 - 2014 | 37 | - | - | 1 | 35 | 1 | - | - |
9 | 카챠 자이징거 | 1989 - 1998 | 36 | 16 | 16 | 4 | - | - | - | - |
10 | 한니 벤첼 | 1972 - 1984 | 33 | 2 | - | 12 | 11 | 8 | - | - |
11 | 에리카 헤스 | 1978 - 1987 | 31 | - | - | 6 | 21 | 4 | - | - |
12 | 페트라 블호바 | 2013 - 현재 | 31 | - | - | 6 | 22 | - | 1 | |
13 | 야니차 코스텔리치 | 1998 - 2006 | 30 | 1 | 1 | 2 | 20 | 6 | - | - |
14 | 페데리카 브리뇨네 | 2008 - 현재 | 29 | - | 10 | 14 | - | 5 | - | - |
15 | 마리아 회플-리쉬 | 2001 - 2014 | 27 | 11 | 3 | - | 9 | 4 | - | - |
16 | 미켈라 피기니 | 1983 - 1990 | 26 | 17 | 3 | 2 | - | 4 | - | - |
16 | 티나 마제 | 1999 - 2015 | 26 | 4 | 1 | 14 | 4 | 3 | - | - |
18 | 마리아 발리저 | 1980 - 1990 | 25 | 14 | 3 | 6 | - | 2 | - | - |
18 | 미하엘라 도르프마이스터 | 1991 - 2006 | 25 | 7 | 10 | 8 | - | - | - | - |
18 | 소피아 고지아 | 2012 - 현재 | 25 | 18 | 7 | - | - | - | - | - |
21 | 리즈마리 모렐로 | 1973 - 1980 | 24 | - | - | 14 | 10 | - | - | - |
21 | 마리 테레즈 나디히 | 1971 - 1981 | 24 | 13 | - | 6 | - | 5 | - | - |
21 | 페닐라 비베리 | 1990 - 2002 | 24 | 2 | 3 | 2 | 14 | 3 | - | - |
24 | 캐롤 마르 | 1981 - 1994 | 22 | - | 12 | 10 | - | - | - | - |
25 | 힐데 괴르크 | 1993 - 2005 | 20 | 7 | 8 | - | 1 | 3 | - | 1 |
5. 시드 제도
알파인 스키 월드컵에서는 포인트 랭킹에 따라 출발 순서가 정해지는 시드 제도가 운영된다. 월드컵 랭킹 상위 15명에게는 제1 시드가 주어지며, 이들은 추첨을 통해 출발 순서를 정한다. 상위 7위 선수는 '톱 7'이라고 불린다. 활강 순서가 진행될수록 코스가 거칠어지기 때문에 출발 순서가 빠른 선수가 유리하다.
지금까지 일본인 선수 중 제1 시드를 획득한 선수는 카이와 토시히로, 오카베 테츠야, 키무라 코우센, 미나가와 켄타로, 사사키 아키라, 유아사 나오키 등 6명이다. 그중 키무라 코우센은 처음으로 톱 7에 진입했으며, 사사키 아키라도 2005-2006 시즌에 연속으로 2위 시상대에 오르는 등 일본인 선수로는 두 번째로 톱 7에 진입했다.
6. 대한민국에서의 개최
대한민국에서는 1986년 베어스 타운에서 처음 개최되었고, 1987년, 1993년, 1995년, 2000년에는 용평 리조트에서 월드컵이 개최되었다. 대한민국에서 개최된 월드컵에서 대한민국 선수가 입상한 기록은 아직 없다.
참조
[1]
서적
21 Years of World Cup Ski Racing
Johnson Books / James Wotton
[2]
웹사이트
FIS NewsFlash, Edition 72, April 26th, 2006
http://www.fis-ski.c[...]
2019-08-15
[3]
웹사이트
World Cup History: The FIS Alpine Skiing World Cup
http://www.fisalpine[...]
2008-12-14
[4]
웹사이트
FIS: Complete Calendar of Alpine Ski World Cup Races
http://www.fis-ski.c[...]
2012-02-12
[5]
웹사이트
COMPETITORS HAVING MORE THAN ONE PODIUM
https://www.fis-ski.[...]
fis-ski.com
2018-02-03
[6]
웹사이트
COMPETITORS HAVING MORE THAN ONE TOP 10 POSITION - ALPINE SKIING MEN
https://data.fis-ski[...]
fis-ski.com
2018-02-04
[7]
웹사이트
Parallel Giant Slalom Introduced
http://www.fis-ski.c[...]
2016-01-09
[8]
문서
Parallel GS Race Results Dec 2015
http://data.fis-ski.[...]
[9]
문서
Parallel GS Results Ladder Dec 2015
http://data.fis-ski.[...]
[10]
문서
Parallel GS Race Results Dec 2016
http://data.fis-ski.[...]
[11]
문서
Parallel GS Results Ladder Dec 2016
http://medias2.fis-s[...]
[12]
웹사이트
Alpine Skiing-World Cup Alta Badia men's parallel giant slalom results
https://economictime[...]
2017-12-19
[13]
문서
Parallel GS Race Results Dec 2018
https://www.fis-ski.[...]
[14]
문서
Parallel GS Results Ladder Dec 2018
http://medias2.fis-s[...]
[15]
문서
Parallel GS Results Ladder Dec 2019
https://www.fis-ski.[...]
[16]
문서
Parallel GS Results Chamonix 2020
https://www.fis-ski.[...]
[17]
문서
Parallel GS Results Lech/Zürs 2020
https://www.fis-ski.[...]
[18]
문서
Parallel GS Results Lech/Zürs 2021
https://www.fis-ski.[...]
[19]
문서
Parallel GS Results Ladies Sestriere 2020
https://www.fis-ski.[...]
[20]
문서
Parallel GS Results Ladies Lech/Zürs 2020
https://www.fis-ski.[...]
[21]
문서
Parallel GS Results Ladies Lech/Zürs 2021
https://medias1.fis-[...]
[22]
웹사이트
"'He's on a different planet': Odermatt holds on for 12th straight giant slalom win"
https://www.fis-ski.[...]
2024-03-02
[23]
뉴스
World Cup Skiing: Miller pushes limits on slopes despite desire
http://www.post-gaze[...]
2005-10-22
[24]
뉴스
FIS Alpine Ski World Cup Finals in Cortina Cancelled
https://www.usskiand[...]
2020-03-06
[25]
웹사이트
FIS Alpine Ski World Cup Long Term Calendar
https://assets.fis-s[...]
2019-03-16
[26]
문서
Andorra will host the 2023 Alpine Ski World Cup Finals
https://www.grandval[...]
[27]
문서
Saalbach Hinterglemm will host both the 2024 FIS Alpine Ski World Cup Finals and the 2025 FIS Alpine World Ski Championships
https://www.saalbach[...]
[28]
뉴스
Sun Valley set to host 2025 Alpine Ski World Cup Finals
https://www.mtexpres[...]
2023-12-19
[29]
웹사이트
World Cup Men's Races, Team Stats
http://www.ski-db.co[...]
Ski-db.com
2010-12-14
[30]
웹사이트
World Cup Women's Races, Team Stats
https://ski-db.com/d[...]
Ski-db.com
2011-01-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