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K 믈라다볼레슬라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FK 믈라다볼레슬라프는 1902년 창단된 체코의 축구 클럽이다. 2004년 체코 1부 리그로 승격했으며, 2005-06 시즌에는 준우승을 차지했다. 2010-11 시즌과 2015-16 시즌에는 체코 컵에서 우승했으며, 2006-07 시즌에는 UEFA 챔피언스 리그 예선에 진출했다. 2024-25 시즌에는 UEFA 유로파 컨퍼런스 리그 리그 단계에 진출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체코 1부 리그 구단 - FC 슬로반 리베레츠
FC 슬로반 리베레츠는 1958년에 창단된 체코의 축구 클럽으로, 체코 1부 리그에서 3회, 체코 컵에서 2회 우승했으며, UEFA 챔피언스 리그 등 유럽 대항전에 참가하여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 - 체코 1부 리그 구단 - FK 두클라 프라하
FK 두클라 프라하는 체코 프라하 연고의 축구 클럽으로, 체코슬로바키아 1부 리그 11회 우승, 체코슬로바키아 컵 8회 우승을 기록했으며, 2024년 현재 체코 1부 리그에 참가하고 홈 구장은 스타디온 율리스카이다. - 1902년 설립된 축구단 -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
1878년 철도 직원들이 창단한 뉴턴 히스 LYR F.C.에서 시작된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는 1902년 현재 이름으로 변경 후 올드 트래퍼드를 홈구장으로 사용하며 잉글랜드 축구 리그에서 활동, 알렉스 퍼거슨 감독 시절 전성기를 누린 세계적인 인기 클럽이며 여러 팀과 라이벌 관계를 형성하고 있다. - 1902년 설립된 축구단 - 노리치 시티 FC
노리치 시티 FC는 1902년 창단된 잉글랜드 프로 축구 클럽으로 캐로우 로드를 홈구장으로 사용하며 "캐나리스"라는 애칭으로 불리고 리그컵 2회 우승을 포함한 리그 우승 경력이 있지만, 프리미어리그와 챔피언십 리그 간 승강을 반복하며 "요요 클럽"으로도 불린다.
| FK 믈라다볼레슬라프 - [스포츠팀]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 |
| 풀네임 | Fotbalový klub Mladá Boleslav a.s. |
| 약칭 | 볼레카 |
| 창단 | 1902년 |
| 경기장 | 로코트란스 아레나, 믈라다볼레슬라프 |
| 수용 능력 | 5,000명 |
| 회장 | 다비드 트룬다 |
| 감독 | 안드레아스 브랜스트룀 |
| 리그 정보 | |
| 리그 | 체코 1부 리그 |
| 시즌 | 2023-24 |
| 순위 | 16개 팀 중 5위 |
| 현재 시즌 | 2024–25 FK 믈라다볼레슬라프 시즌 |
| 유니폼 정보 | |
| 홈 유니폼 색상 | 파란색 |
| 원정 유니폼 색상 | 흰색 |
| 웹사이트 | |
| 웹사이트 | 공식 웹사이트 |
2. 역사
1902년에 창설되었다.[1] 2004년에 처음으로 1부 리그 승격을 달성했다.[6] 승격 후 첫 시즌에는 14위로 간신히 잔류에 성공했고,[6] 다음 2005-06 시즌에는 2위로 상위권 진출을 이루어 UEFA 챔피언스 리그 예선 출전권을 획득했다.[5] 예선 2라운드에서는 발레렝가를 합계 5-3으로 이겼지만, 3라운드에서 갈라타사라이에 패하여 본선 진출에 실패했다.[7] 이후 UEFA컵으로 전환되어 1라운드에서 프랑스의 마르세유를 꺾었지만,[7] 이어진 2라운드 리그에서 탈락했다.[7] 2006-07 시즌에는 리그 3위가 되어 다시 UEFA컵 출전권을 획득, 전년을 넘는 3라운드까지 진출했다.[8] 2010-11 시즌, 팀 창단 첫 타이틀인 체코컵을 차지했다.[1]
메인 스폰서는 Škoda Auto이다.[1]
믈라다볼레슬라프에서 최초로 등록된 축구 클럽이자 FK 믈라다볼레슬라프의 공식 전신은 Studentská XI였다. 이 클럽은 이후 S.K. 믈라다볼레슬라프로, 1910년에 공식적으로 창단된 Mladoboleslavský SK로 변경되었다.[1]
1905년, 잉글랜드의 아스톤 빌라를 지칭하는 SK 아스톤 빌라 믈라다볼레슬라프라는 팀이 믈라다볼레슬라프에 창단되었다.[2] 1919년, SK 아스톤 빌라 믈라다볼레슬라프는 리그 경기에 등록하여 하블리치코바 거리 근처의 아스톤카 경기장에서 홈 경기를 치렀다. 같은 해, 도시의 세 번째 클럽인 슬라보이 믈라다볼레슬라프가 창단되었다. 1934년, 새로운 아스톤카 경기장이 체호바 거리에 개장했다.[3]
1942년과 1944년에 각각 Mladoboleslavský SK와 아스톤 빌라는 최종 예선에서 체코슬로바키아 최고 리그 진출 기회를 놓쳤다. 1942년 두 클럽 간의 더비 경기는 8,000명의 관중이 관람했는데, 이는 현재까지 기록으로 남아 있다.[1][3]
1948년, 공산 정권의 등장으로 인해 믈라다볼레슬라프의 세 클럽은 점차 "Závodní sokolská jednota Automobilové závody národní podnik Mladá Boleslav"(ZSJ AZNP 믈라다볼레슬라프)라는 클럽으로 통합되었다.[1] 이 이름은 소콜 운동과 당시 "Automobilové závody národní podnik"(자동차 공장 국영 기업)으로 불리던 스코다 자동차 공장의 후원을 의미했다.[1] 믈라다볼레슬라프는 1959년에 3부 리그에서 뛰었던 것을 제외하고 1952년부터 1992년까지 2부 리그에서 활동했다.[1] 그 시대에 클럽 이름은 두 번 변경되었는데, 1950년부터는 TJ 스파르타크 믈라다볼레슬라프, 1966년부터는 TJ 아우토 스코다 믈라다볼레슬라프였다.[1] 1983년, 1984년, 1986년에 클럽은 3위를 기록했다.[1]
1965년에 새 경기장이 개장했다.[4] 그러나 여전히 아스톤카라고 불리는 옛 경기장은 오늘날까지 존재하며, FK 믈라다볼레슬라프의 유소년 팀이 그곳에서 경기를 치른다.[3]
1989년 벨벳 혁명 이후 Škoda Auto의 어려운 경제 상황으로 인해 스포츠 클럽에 대한 회사의 지원이 줄어들면서, FK 믈라다볼레슬라프는 1992-93 시즌에 3부 리그로, 1994-95 시즌에는 4부 리그로 강등되었다.[1][4] 이 시기에 구단은 SK 슬라비아 프라하와 보헤미안 1905의 팜 팀 역할을 했다. 그 후 두 시즌 동안 FK 믈라다볼레슬라프는 다시 2부 리그로 진출했다.[1][4]
2001년, 구단은 지역 건설 회사 Gema에 인수되었고, 회사의 공동 소유주인 요세프 두페크가 구단 회장이 되면서 구단의 가장 성공적인 시대가 시작되었다.[1] 새로운 소유주들은 주식회사로 구단을 전환하고, Škoda Auto와의 협력을 갱신했으며, 믈라다볼레슬라프 시와 협력하고, 지역 사업 파트너들을 확보하고, 경기장을 개조했다.[1] 2002년 여름, 요세프 두페크는 2부 리그 클럽이 유럽 클럽 대항전에 참가하게 되는 5개년 계획을 발표했다.[5]
2003–04 시즌, 구단은 역사상 처음으로 체코 1부 리그로 승격되었다.[6] 첫 최상위 리그 시즌에서 14위를 기록하며 잔류했다.[6] 2005–06 시즌에는 리그 준우승을 차지하며 UEFA 챔피언스 리그 예선 라운드에 진출, 4년 만에 계획을 달성했다.[5] 발레렝가를 꺾고 갈라타사라이에게 패배하여 UEFA 컵 1라운드로 떨어졌으나, 마르세유를 상대로 합계 4–3으로 승리했다.[7] 마르세유와의 홈 경기는 구단 역사상 가장 위대한 승리 중 하나로 꼽힌다.[7] 그러나 조별 리그에서 탈락했다.[7]
다음 시즌 리그 3위를 기록했고, 루보시 페츠카는 리그 득점왕을 차지했다.[8] 시즌 후, 두산 우흐린 주니어 코치가 구단을 떠났다.[8] UEFA 컵 1라운드에서 팔레르모를 승부차기 끝에 꺾고 조별 리그에 진출했으나, 조별 리그에서 탈락했다. 2007–08 시즌에는 리그 7위를 기록했다.[1]
이후 2010–11 체코컵과 2015–16 체코컵에서 우승했다. 리그에서는 2010년부터 2017년까지 상위권에 속하며 유럽 컵 예선에 진출했지만, 조별 리그 진출에는 실패했다.[1]
2018–19 체코 1부 리그에서는 새로운 리그 형식 도입 후 7위를 기록했지만, 플레이오프에서 승리하여 UEFA 유로파 리그 예선 라운드에 참가했다. 니콜라이 콤리첸코는 29골로 리그 최다 득점 기록을 세웠고, 2020년 1월 FC 디나모 모스크바로 이적하며 클럽 역사상 최고 이적료를 기록했다.[9][10]
2018–2023년 동안 클럽은 리그 중간 순위를 기록했다. 2023–24 체코 1부 리그 시즌에는 5위를 기록, 5년 만에 유럽 컵에 진출했다. 시즌 후 다비드 트룬다가 클럽 지분 과반수를 인수하여 회장이 되었고, 요세프 두페크의 21년 역사가 끝났다. 믈라다 볼레슬라프 시는 34%의 지분을 소유하고 있다.[11] 2024–25 UEFA 컨퍼런스 리그에서 세 번의 예선 라운드를 통과하여 대회 리그 단계에 진출했다.[1]
2. 1. 1902-1947: 믈라다볼레슬라프 축구 발전
믈라다볼레슬라프에서 최초로 등록된 축구 클럽이자 FK 믈라다볼레슬라프의 공식 전신은 Studentská XI였다. 이 클럽은 이후 S.K. 믈라다볼레슬라프로, 1910년에 공식적으로 창단된 Mladoboleslavský SK로 변경되었다.[1]1905년, 잉글랜드의 아스톤 빌라를 지칭하는 SK 아스톤 빌라 믈라다볼레슬라프라는 팀이 믈라다볼레슬라프에 창단되었다.[2] 1919년, SK 아스톤 빌라 믈라다볼레슬라프는 리그 경기에 등록하여 하블리치코바 거리 근처의 아스톤카 경기장에서 홈 경기를 치렀다. 같은 해, 도시의 세 번째 클럽인 슬라보이 믈라다볼레슬라프가 창단되었다. 1934년, 새로운 아스톤카 경기장이 체호바 거리에 개장했다.[3]
1942년과 1944년에 각각 Mladoboleslavský SK와 아스톤 빌라는 최종 예선에서 체코슬로바키아 최고 리그 진출 기회를 놓쳤다. 1942년 두 클럽 간의 더비 경기는 8,000명의 관중이 관람했는데, 이는 현재까지 기록으로 남아 있다.[1][3]
2. 2. 1948-1992: 클럽 통합과 2부 리그
1948년, 공산 정권의 등장으로 인해 믈라다볼레슬라프의 세 클럽은 점차 "Závodní sokolská jednota Automobilové závody národní podnik Mladá Boleslav"(ZSJ AZNP 믈라다볼레슬라프)라는 클럽으로 통합되었다.[1] 이 이름은 소콜 운동과 당시 "Automobilové závody národní podnik"(자동차 공장 국영 기업)으로 불리던 스코다 자동차 공장의 후원을 의미했다.[1] 믈라다볼레슬라프는 1959년에 3부 리그에서 뛰었던 것을 제외하고 1952년부터 1992년까지 2부 리그에서 활동했다.[1] 그 시대에 클럽 이름은 두 번 변경되었는데, 1950년부터는 TJ 스파르타크 믈라다볼레슬라프, 1966년부터는 TJ 아우토 스코다 믈라다볼레슬라프였다.[1] 1983년, 1984년, 1986년에 클럽은 3위를 기록했다.[1]1965년에 새 경기장이 개장했다.[4] 그러나 여전히 아스톤카라고 불리는 옛 경기장은 오늘날까지 존재하며, FK 믈라다볼레슬라프의 유소년 팀이 그곳에서 경기를 치른다.[3]
2. 3. 1993-2000: 경제 위기
1989년 벨벳 혁명 이후 Škoda Auto의 어려운 경제 상황으로 인해 스포츠 클럽에 대한 회사의 지원이 줄어들면서, FK 믈라다볼레슬라프는 1992-93 시즌에 3부 리그로, 1994-95 시즌에는 4부 리그로 강등되었다.[1][4] 이 시기에 구단은 SK 슬라비아 프라하와 보헤미안 1905의 팜 팀 역할을 했다. 그 후 두 시즌 동안 FK 믈라다볼레슬라프는 다시 2부 리그로 진출했다.[1][4]2. 4. 2001-현재: 현대
2001년, 구단은 지역 건설 회사 Gema에 인수되었고, 회사의 공동 소유주인 요세프 두페크가 구단 회장이 되면서 구단의 가장 성공적인 시대가 시작되었다.[1] 새로운 소유주들은 주식회사로 구단을 전환하고, 스코다 오토와의 협력을 갱신했으며, 믈라다볼레슬라프 시와 협력하고, 지역 사업 파트너들을 확보하고, 경기장을 개조했다.[1] 2002년 여름, 요세프 두페크는 2부 리그 클럽이 유럽 클럽 대항전에 참가하게 되는 5개년 계획을 발표했다.[5]2003–04 시즌, 구단은 역사상 처음으로 체코 1부 리그로 승격되었다.[6] 첫 최상위 리그 시즌에서 14위를 기록하며 잔류했다.[6] 2005–06 시즌에는 리그 준우승을 차지하며 2006–07 UEFA 챔피언스 리그 예선 라운드에 진출, 4년 만에 계획을 달성했다.[5] 발레렝가를 꺾고 갈라타사라이에게 패배하여 UEFA 컵 1라운드로 떨어졌으나, 마르세유를 상대로 합계 4–3으로 승리했다.[7] 마르세유와의 홈 경기는 구단 역사상 가장 위대한 승리 중 하나로 꼽힌다.[7] 그러나 조별 리그에서 탈락했다.[7]
다음 시즌 리그 3위를 기록했고, 루보시 페츠카는 리그 득점왕을 차지했다.[8] 시즌 후, 두산 우흐린 주니어 코치가 구단을 떠났다.[8] UEFA 컵 1라운드에서 팔레르모를 승부차기 끝에 꺾고 조별 리그에 진출했으나, 조별 리그에서 탈락했다. 2007–08 시즌에는 리그 7위를 기록했다.[1]
이후 2010–11 체코컵과 2015–16 체코컵에서 우승했다. 리그에서는 2010년부터 2017년까지 상위권에 속하며 유럽 컵 예선에 진출했지만, 조별 리그 진출에는 실패했다.[1]
2018–19 체코 1부 리그에서는 새로운 리그 형식 도입 후 7위를 기록했지만, 플레이오프에서 승리하여 UEFA 유로파 리그 예선 라운드에 참가했다. 니콜라이 콤리첸코는 29골로 리그 최다 득점 기록을 세웠고, 2020년 1월 FC 디나모 모스크바로 이적하며 클럽 역사상 최고 이적료를 기록했다.[9][10]
2018–2023년 동안 클럽은 리그 중간 순위를 기록했다. 2023–24 체코 1부 리그 시즌에는 5위를 기록, 5년 만에 유럽 컵에 진출했다. 시즌 후 다비드 트룬다가 클럽 지분 과반수를 인수하여 회장이 되었고, 요세프 두페크의 21년 역사가 끝났다. 믈라다 볼레슬라프 시는 34%의 지분을 소유하고 있다.[11] 2024–25 UEFA 컨퍼런스 리그에서 세 번의 예선 라운드를 통과하여 대회 리그 단계에 진출했다.[1]
3. 클럽명의 변화
1902년 - '''SSK 믈라다볼레슬라프''' (Studentský sportovní klub Mladá Boleslav)로 창단.
1910년 - '''믈라도볼레슬라브스키 SK''' (Mladoboleslavský Sportovní klub)로 개칭.
1919년 - '''애스턴 빌라 믈라다볼레슬라프''' (Aston Villa Mladá Boleslav)로 개칭.
1948년 - '''소콜 애스턴 빌라 믈라다볼레슬라프''' (Sokol Aston Villa Mladá Boleslav)로 개칭.
1949년 - '''ZSJ AZNP 믈라다볼레슬라프''' (Základní sportovní jednota Automobilové závody národní podnik Mladá Boleslav)로 개칭. 소콜 메테어 체예티츠키(Sokol Meteor Čejetičky)와 통합.
1950년 - 소콜 믈라도볼레슬라브스키(Sokol Mladoboleslavský)와 통합.
1959년 - '''TJ 스파르타크 믈라다볼레슬라프 AZNP''' (Tělovýchovná jednota Spartak Mladá Boleslav Automobilové závody národní podnik)로 개칭.
1965년 - '''TJ 스코다 믈라다볼레슬라프''' (Tělovýchovná jednota Škoda Mladá Boleslav)로 개칭.
1971년 - '''TJ AS 믈라다볼레슬라프''' (Tělovýchovná jednota Auto Škoda Mladá Boleslav)로 개칭.
1990년 - '''FK 믈라다 볼레슬라프''' (Fotbalový klub Mladá Boleslav)로 개칭.
1992년 - '''FK 슬라비아 믈라다볼레슬라프''' (Fotbalový klub Slavia Mladá Boleslav)로 개칭.
1994년 - '''FK 보헤미언스 믈라다볼레슬라프''' (Fotbalový klub Bohemians Mladá Boleslav)로 개칭.
1995년 - '''FK 믈라다볼레슬라프''' (Fotbalový klub Mladá Boleslav)로 개칭.
1949년까지 믈라다볼레슬라프에는 믈라도볼레슬라프스키 SK, 아스톤 빌라 믈라다볼레슬라프, 슬라보이 믈라다볼레슬라프 등 세 개의 클럽이 있었다. 현재의 클럽은 이 세 전신 클럽의 전통을 따른다.
4. 경기장
5. 유럽 대회
FK 믈라다볼레슬라프는 2005-06시즌 감브리누스 리가에서 2위를 차지하며 UEFA컵 진출권을 획득했다. 2006-07 시즌 UEFA컵 1라운드에서 마르세유를 합계 4-3으로 꺾고 조별리그에 진출했으나, G조에서 5위를 기록하며 탈락했다. UEFA컵 2007-08에서는 팔레르모를 승부차기 끝에 꺾고 조별리그에 진출했지만, C조에서 4위에 그쳤다.
| 시즌 | 대회 | 라운드 | 상대 팀 | 홈 | 원정 | 합계 |
|---|---|---|---|---|---|---|
| 2006-07 | UEFA 챔피언스 리그 | 2차 예선 | 발레렌가 | 3–1 | 2–2 | 5–3 |
| 3차 예선 | 갈라타사라이 | 1–1 | 2–5 | 3–6 | ||
| 2006-07 | UEFA 컵 | 1라운드 | 마르세유 | 4–2 | 0–1 | 4–3 |
| G조 | 파나티나이코스 | 0–1 | 5위 | |||
| 라피드 부쿠레슈티 | 1–1 | |||||
| 파리 생제르맹 | 0–0 | |||||
| 하포엘 텔아비브 | 1–1 | |||||
| 2007-08 | UEFA 컵 | 1라운드 | 팔레르모 | 0–1 | 1–0 (a.e.t.) | 1–1 (4–2 승부차기(p)) |
| C조 | 비야레알 | 1–2 | 4위 | |||
| 엘프스보리 | 3–1 | |||||
| AEK 아테네 | 0–1 | |||||
| 피오렌티나 | 1–2 | |||||
| 2011-12 | UEFA 유로파 리그 | 3차 예선 | AEK 라르나카 | 2–2 | 0–3 | 2–5 |
| 2012-13 | UEFA 유로파 리그 | 2차 예선 | 토르 아쿠레이리 | 3–0 | 1–0 | 4–0 |
| 3차 예선 | 트벤테 | 0–2 | 0–2 | 0–4 | ||
| 2014-15 | UEFA 유로파 리그 | 2차 예선 | 시로키 브리예그 | 2–1 | 4–0 | 6–1 |
| 3차 예선 | 리옹 | 1–4 | 1–2 | 2–6 | ||
| 2015-16 | UEFA 유로파 리그 | 2차 예선 | 스트룀스고드세 | 1–2 | 1–0 | 2–2 (원정 다득점) |
| 2016-17 | UEFA 유로파 리그 | 3차 예선 | 스켄디야 | 1–0 | 0–2 | 1–2 |
| 2017-18 | UEFA 유로파 리그 | 2차 예선 | 섐록 로버스 | 2–0 | 3–2 | 5–2 |
| 3차 예선 | 스켄데르베우 | 2–1 | 1–2 | 3–3 (2–4 승부차기) | ||
| 2019-20 | UEFA 유로파 리그 | 2차 예선 | 오르다바시 | 1–1 | 3–2 | 4–3 |
| 3차 예선 | FCSB | 0–1 | 0–0 | 0–1 | ||
| 2024-25 | UEFA 유로파 컨퍼런스 리그 | 2차 예선 | 트란스INVEST | 2–0 | 1–0 | 3–0 |
| 3차 예선 | 하포엘 베에르셰바 | 1–1 | 4–2 | 5–3 | ||
| PO | 팍시 | 2–2 | 3–0 | 5–2 | ||
| LP | 노아 | 0–2 | rowspan="6"| | |||
| 루가노 | 0–1 | |||||
| 비토리아 드 기마랑이스 | 1–2 | |||||
| 레알 베티스 | 2–1 | |||||
| 야겔로니아 비아위스토크 | 1–0 | |||||
| 몰데 |
6. 역대 성적
wikitext
FK 믈라다볼레슬라프는 체코 컵에서 두 번 우승(2010-11, 2015-16)했다. 감브리누스 리가에서는 2005-06 시즌 준우승을 기록했다. 체코 2. 리가에서는 2003-04 시즌 우승하여 체코 1부 리그로 승격했다. 그 외 체코 풋볼 리그(3부 리그) 우승(1997-98), 체코 디비전 C(4부 리그) 우승(1996-97) 기록이 있다.
믈라다볼레슬라프는 체코 축구 리그 시스템 1부 리그에서 20시즌, 2부 리그에서 6시즌, 3부 리그에서 3시즌, 4부 리그에서 2시즌을 보냈다.
| 시즌 | 리그 | 순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승점 | 컵 |
|---|---|---|---|---|---|---|---|---|---|---|---|
| 1993–94 | 3. 리가 | 9위 | 34 | 7 | 17 | 10 | 38 | 46 | –8 | 31 | 32강 |
| 1994–95 | 3. 리가 | 15위 | 34 | 7 | 12 | 15 | 34 | 53 | –19 | 33 | 64강 |
| 1995–96 | 4. 리가 | 9위 | 30 | 11 | 7 | 12 | 41 | 38 | +3 | 40 | 1라운드 |
| 1996–97 | 4. 리가 | 1위 | 30 | 23 | 6 | 1 | 67 | 16 | +51 | 75 | 1라운드 |
| 1997–98 | 3. 리가 | 1위 | 34 | 19 | 7 | 8 | 41 | 26 | +15 | 64 | 32강 |
| 1998–99 | 2. 리가 | 10위 | 30 | 9 | 7 | 14 | 23 | 30 | –7 | 34 | 16강 |
| 1999–00 | 2. 리가 | 13위 | 30 | 7 | 12 | 11 | 31 | 40 | –9 | 33 | 64강 |
| 2000–01 | 2. 리가 | 11위 | 30 | 9 | 9 | 12 | 34 | 42 | –8 | 36 | 1라운드 |
| 2001–02 | 2. 리가 | 3위 | 30 | 15 | 7 | 8 | 40 | 29 | +11 | 52 | 8강 |
| 2002–03 | 2. 리가 | 3위 | 30 | 13 | 11 | 6 | 37 | 22 | +15 | 50 | 1라운드 |
| 2003–04 | 2. 리가 | 1위 | 30 | 16 | 7 | 7 | 50 | 24 | +26 | 55 | 64강 |
| 2004–05 | 1. 리가 | 14위 | 30 | 6 | 13 | 11 | 26 | 35 | –9 | 31 | 16강 |
| 2005–06 | 1. 리가 | 2위 | 30 | 16 | 6 | 8 | 50 | 36 | +14 | 54 | 64강 |
| 2006–07 | 1. 리가 | 3위 | 30 | 17 | 7 | 6 | 48 | 27 | +21 | 58 | 8강 |
| 2007–08 | 1. 리가 | 7위 | 30 | 11 | 9 | 10 | 37 | 36 | +1 | 42 | 16강 |
| 2008–09 | 1. 리가 | 6위 | 30 | 12 | 10 | 8 | 39 | 38 | +1 | 46 | 64강 |
| 2009–10 | 1. 리가 | 8위 | 30 | 11 | 6 | 13 | 47 | 41 | +6 | 39 | 64강 |
| 2010–11 | 1. 리가 | 5위 | 30 | 13 | 7 | 10 | 49 | 40 | +9 | 46 | 우승 |
| 2011–12 | 1. 리가 | 4위 | 30 | 15 | 5 | 10 | 49 | 34 | +15 | 50 | 8강 |
| 2012–13 | 1. 리가 | 8위 | 30 | 10 | 8 | 12 | 34 | 43 | –9 | 38 | 준우승 |
| 2013–14 | 1. 리가 | 3위 | 30 | 14 | 8 | 8 | 54 | 38 | +16 | 50 | 8강 |
| 2014–15 | 1. 리가 | 4위 | 30 | 13 | 7 | 10 | 43 | 34 | +9 | 46 | 준결승 |
| 2015–16 | 1. 리가 | 4위 | 30 | 16 | 9 | 5 | 63 | 37 | +26 | 57 | 우승 |
| 2016–17 | 1. 리가 | 4위 | 30 | 13 | 10 | 7 | 47 | 37 | +10 | 49 | 준결승 |
| 2017–18 | 1. 리가 | 9위 | 30 | 9 | 7 | 14 | 31 | 43 | –12 | 34 | 준결승 |
| 2018–19 | 1. 리가 | 7위 | 35 | 14 | 10 | 11 | 66 | 48 | +18 | 52 | 32강 |
| 2019–20 | 1. 리가 | 7위 | 35 | 14 | 7 | 14 | 56 | 57 | –1 | 49 | 8강 |
| 2020–21 | 1. 리가 | 11위 | 34 | 10 | 9 | 15 | 49 | 54 | –5 | 39 | 8강 |
| 2021–22 | 1. 리가 | 7위 | 34 | 14 | 6 | 14 | 53 | 53 | 0 | 48 | 8강 |
| 2022–23 | 1. 리가 | 9위 | 32 | 9 | 11 | 12 | 39 | 44 | –5 | 38 | 16강 |
| 2023–24 | 1. 리가 | 5위 | 36 | 14 | 8 | 14 | 54 | 60 | –6 | 50 | 16강 |
믈라다볼레슬라프는 2005-06 시즌 감브리누스 리가 2위 자격으로 UEFA컵에 처음 진출했다. 2006-07 시즌 1라운드에서 마르세유를 합계 4-3으로 꺾고 조별리그에 진출했으나, G조 5위로 탈락했다. UEFA컵 2007-08에서는 팔레르모를 승부차기로 꺾고 조별리그에 진출했지만, C조 4위로 탈락했다.
{| class="wikitable"
! 시즌
! 대회
! 라운드
! 상대 팀
! 홈
! 원정
! 합계
|-
| rowspan="2"| 2006-07
| rowspan="2"| UEFA 챔피언스 리그
| 2차 예선
| 발레렌가/발레렌가 포트발no
| 3–1
| 2–2
| '''5–3'''
|-
| 3차 예선
| 갈라타사라이/갈라타사라이 SKtr
| 1–1
| 2–5
| '''3–6'''
|-
| rowspan="5"| 2006-07
| rowspan="5"| UEFA 컵
| 1라운드
| {{llang|fr|올랭피크 드 마르세유|마르세유]]
| 4–2
| 0–1
| '''4–3'''
|-
| rowspan="4"| G조
| 파나티나이코스/파나티나이코스 FCel
| 0–1
|
| rowspan=4| '''5위'''
|-
| 라피드 부쿠레슈티/FC 라피드 부쿠레슈티ro
|
| 1–1
|-
| 파리 생제르맹/파리 생제르맹 FC프랑스어
| 0–0
|
|-
| 하포엘 텔아비브/하포엘 텔아비브 FChe
|
| 1–1
|-
| rowspan="5"| 2007-08
| rowspan="5"| UEFA 컵
| 1라운드
| 팔레르모/US 팔레르모it
| 0–1
| 1–0 (연장)
| '''1–1''' (4–2 승부차기)
|-
| rowspan="4"| C조
| 비야레알/비야레알 CFes
| 1–2
|
| rowspan=4| '''4위'''
|-
| 엘프스보리/IF 엘프스보리sv
|
| 3–1
|-
| AEK 아테네/AEK 아테네 FCel
| 0–1
|
|-
| 피오렌티나/ACF 피오렌티나it
|
| 1–2
|-
| 2011-12
| UEFA 유로파 리그
| 3차 예선
| AEK 라르나카/AEK 라르나카 FCel
| 2–2
| 0–3
| '''2–5'''
|-
| rowspan="2"| 2012-13
| rowspan="2"| UEFA 유로파 리그
| 2차 예선
| 토르 아쿠레이리/토르 아쿠레이리is
| 3–0
| 1–0
| '''4–0'''
|-
| 3차 예선
| 트벤테/FC 트벤테nl
| 0–2
| 0–2
| '''0–4'''
|-
| rowspan="2"| 2014-15
| rowspan="2"| UEFA 유로파 리그
| 2차 예선
| 시로키 브리예그/NK 시로키 브리예그bs
| 2–1
| 4–0
| '''6–1'''
|-
| 3차 예선
| 리옹/올랭피크 리옹프랑스어
| 1–4
| 1–2
| '''2–6'''
|-
| 2015-16
| UEFA 유로파 리그
| 2차 예선
| 스트룀스고드세/스트룀스고드세 IFno
| 1–2
| 1–0
| '''2–2''' (원정 다득점)
|-
| 2016-17
| UEFA 유로파 리그
| 3차 예선
| 스켄디야/FK 스켄디야mk
| 1–0
| 0–2
| '''1–2'''
|-
| rowspan="2"| 2017-18
| rowspan="2"| UEFA 유로파 리그
| 2차 예선
| 섐록 로버스/섐록 로버스 FCga
| 2–0
| 3–2
| '''5–2'''
|-
| 3차 예선
| 스켄데르베우/KF 스켄데르베우 코르체sq
| 2–1
| 1–2 (연장)
| '''3–3''' (2–4 승부차기)
|-
| rowspan="2"| 2019-20
| rowspan="2"| UEFA 유로파 리그
| 2차 예선
| 오르다바시/FC 오르다바시kk
| 1–1
| 3–2
| '''4–3'''
|-
| 3차 예선
| FCSBro
| 0–1
| 0–0
| '''0–1'''
|-
| rowspan="9"| 2024-25
| rowspan="9"| UEFA 유로파 컨퍼런스 리그
| 2차 예선
| 트란스INVEST/FK 트란스INVSTlt
| 2–0
| 1–0
| '''3–0'''
|-
| 3차 예선
| 하포엘 베에르셰바/하포엘 베에르셰바 FChe
| 1–1
| 4–2
| '''5–3'''
|-
| PO
| 팍시/팍시 FChu
| 2–2
| 3–0
| '''5–2'''
|-
| rowspan="6"| LP
| 노아/FC 노아hy
|
| 0–2
| rowspan=6|
|-
| 루가노/FC 루가노de
| 0–1
|
|-
| 비토리아 드 기마랑이스/비토리아 SCpt
|
| 1–2
|-
|
6. 1. 국내 대회
FK 믈라다볼레슬라프는 체코 컵에서 2010-11 시즌과 2015-16 시즌에 우승을 차지했다. 감브리누스 리가에서는 2005-06 시즌에 준우승을 기록했다. 체코 2. 리가에서는 2003-04 시즌에 우승하여 체코 1부 리그로 승격했다. 1997-98 시즌에는 체코 풋볼 리그(3부 리그)에서 우승했고, 1996-97 시즌에는 체코 디비전 C(4부 리그)에서 우승했다.믈라다볼레슬라프는 체코 축구 리그 시스템 1부 리그에서 20시즌, 2부 리그에서 6시즌, 3부 리그에서 3시즌, 4부 리그에서 2시즌을 보냈다.
| 시즌 | 리그 | 순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승점 | 컵 |
|---|---|---|---|---|---|---|---|---|---|---|---|
| 1993–94 | 3. 리가 | 9위 | 34 | 7 | 17 | 10 | 38 | 46 | –8 | 31 | 32강 |
| 1994–95 | 3. 리가 | 15위 | 34 | 7 | 12 | 15 | 34 | 53 | –19 | 33 | 64강 |
| 1995–96 | 4. 리가 | 9위 | 30 | 11 | 7 | 12 | 41 | 38 | +3 | 40 | 1라운드 |
| 1996–97 | 4. 리가 | 1위 | 30 | 23 | 6 | 1 | 67 | 16 | +51 | 75 | 1라운드 |
| 1997–98 | 3. 리가 | 1위 | 34 | 19 | 7 | 8 | 41 | 26 | +15 | 64 | 32강 |
| 1998–99 | 2. 리가 | 10위 | 30 | 9 | 7 | 14 | 23 | 30 | –7 | 34 | 16강 |
| 1999–00 | 2. 리가 | 13위 | 30 | 7 | 12 | 11 | 31 | 40 | –9 | 33 | 64강 |
| 2000–01 | 2. 리가 | 11위 | 30 | 9 | 9 | 12 | 34 | 42 | –8 | 36 | 1라운드 |
| 2001–02 | 2. 리가 | 3위 | 30 | 15 | 7 | 8 | 40 | 29 | +11 | 52 | 8강 |
| 2002–03 | 2. 리가 | 3위 | 30 | 13 | 11 | 6 | 37 | 22 | +15 | 50 | 1라운드 |
| 2003–04 | 2. 리가 | 1위 | 30 | 16 | 7 | 7 | 50 | 24 | +26 | 55 | 64강 |
| 2004–05 | 1. 리가 | 14위 | 30 | 6 | 13 | 11 | 26 | 35 | –9 | 31 | 16강 |
| 2005–06 | 1. 리가 | 2위 | 30 | 16 | 6 | 8 | 50 | 36 | +14 | 54 | 64강 |
| 2006–07 | 1. 리가 | 3위 | 30 | 17 | 7 | 6 | 48 | 27 | +21 | 58 | 8강 |
| 2007–08 | 1. 리가 | 7위 | 30 | 11 | 9 | 10 | 37 | 36 | +1 | 42 | 16강 |
| 2008–09 | 1. 리가 | 6위 | 30 | 12 | 10 | 8 | 39 | 38 | +1 | 46 | 64강 |
| 2009–10 | 1. 리가 | 8위 | 30 | 11 | 6 | 13 | 47 | 41 | +6 | 39 | 64강 |
| 2010–11 | 1. 리가 | 5위 | 30 | 13 | 7 | 10 | 49 | 40 | +9 | 46 | 우승 |
| 2011–12 | 1. 리가 | 4위 | 30 | 15 | 5 | 10 | 49 | 34 | +15 | 50 | 8강 |
| 2012–13 | 1. 리가 | 8위 | 30 | 10 | 8 | 12 | 34 | 43 | –9 | 38 | 준우승 |
| 2013–14 | 1. 리가 | 3위 | 30 | 14 | 8 | 8 | 54 | 38 | +16 | 50 | 8강 |
| 2014–15 | 1. 리가 | 4위 | 30 | 13 | 7 | 10 | 43 | 34 | +9 | 46 | 준결승 |
| 2015–16 | 1. 리가 | 4위 | 30 | 16 | 9 | 5 | 63 | 37 | +26 | 57 | 우승 |
| 2016–17 | 1. 리가 | 4위 | 30 | 13 | 10 | 7 | 47 | 37 | +10 | 49 | 준결승 |
| 2017–18 | 1. 리가 | 9위 | 30 | 9 | 7 | 14 | 31 | 43 | –12 | 34 | 준결승 |
| 2018–19 | 1. 리가 | 7위 | 35 | 14 | 10 | 11 | 66 | 48 | +18 | 52 | 32강 |
| 2019–20 | 1. 리가 | 7위 | 35 | 14 | 7 | 14 | 56 | 57 | –1 | 49 | 8강 |
| 2020–21 | 1. 리가 | 11위 | 34 | 10 | 9 | 15 | 49 | 54 | –5 | 39 | 8강 |
| 2021–22 | 1. 리가 | 7위 | 34 | 14 | 6 | 14 | 53 | 53 | 0 | 48 | 8강 |
| 2022–23 | 1. 리가 | 9위 | 32 | 9 | 11 | 12 | 39 | 44 | –5 | 38 | 16강 |
| 2023–24 | 1. 리가 | 5위 | 36 | 14 | 8 | 14 | 54 | 60 | –6 | 50 | 16강 |
6. 2. 유럽 대회
FK 믈라다볼레슬라프는 2005-06시즌 감브리누스 리가에서 2위를 차지하며 UEFA컵 진출 자격을 얻었다. 2006-07 시즌 UEFA컵 1라운드에서 마르세유를 합계 4-3으로 이기고 조별리그에 진출했으나, G조에서 5위를 기록하며 탈락했다. 다음 시즌인 UEFA컵 2007-08에서는 팔레르모를 승부차기 끝에 꺾고 조별리그에 진출했지만, C조에서 4위에 그치며 다시 탈락했다.| 시즌 | 대회 | 라운드 | 상대 팀 | 홈 | 원정 | 합계 |
|---|---|---|---|---|---|---|
| 2006-07 | UEFA 챔피언스 리그 | 2차 예선 | 발레렌가/발레렌가 포트발no | 3–1 | 2–2 | 5–3 |
| 3차 예선 | 갈라타사라이/갈라타사라이 SKtr | 1–1 | 2–5 | 3–6 | ||
| 2006-07 | UEFA 컵 | 1라운드 | {{llang|fr|올랭피크 드 마르세유|마르세유]] | 4–2 | 0–1 | 4–3 |
| G조 | 파나티나이코스/파나티나이코스 FCel | 0–1 | 5위 | |||
| 라피드 부쿠레슈티/FC 라피드 부쿠레슈티ro | 1–1 | |||||
| 파리 생제르맹/파리 생제르맹 FC프랑스어 | 0–0 | |||||
| 하포엘 텔아비브/하포엘 텔아비브 FChe | 1–1 | |||||
| 2007-08 | UEFA 컵 | 1라운드 | 팔레르모/US 팔레르모it | 0–1 | 1–0 (연장전) | 1–1 (4–2 승부차기) |
| C조 | 비야레알/비야레알 CFes | 1–2 | 4위 | |||
| 엘프스보리/IF 엘프스보리sv | 3–1 | |||||
| AEK 아테네/AEK 아테네 FCel | 0–1 | |||||
| 피오렌티나/ACF 피오렌티나it | 1–2 | |||||
| 2011-12 | UEFA 유로파 리그 | 3차 예선 | AEK 라르나카/AEK 라르나카 FCel | 2–2 | 0–3 | 2–5 |
| 2012-13 | UEFA 유로파 리그 | 2차 예선 | 토르 아쿠레이리/토르 아쿠레이리is | 3–0 | 1–0 | 4–0 |
| 3차 예선 | 트벤테/FC 트벤테nl | 0–2 | 0–2 | 0–4 | ||
| 2014-15 | UEFA 유로파 리그 | 2차 예선 | 시로키 브리예그/NK 시로키 브리예그bs | 2–1 | 4–0 | 6–1 |
| 3차 예선 | 리옹/올랭피크 리옹프랑스어 | 1–4 | 1–2 | 2–6 | ||
| 2015-16 | UEFA 유로파 리그 | 2차 예선 | 스트룀스고드세/스트룀스고드세 IFno | 1–2 | 1–0 | 2–2 (원정 다득점) |
| 2016-17 | UEFA 유로파 리그 | 3차 예선 | 스켄디야/FK 스켄디야mk | 1–0 | 0–2 | 1–2 |
| 2017-18 | UEFA 유로파 리그 | 2차 예선 | 섐록 로버스/섐록 로버스 FCga | 2–0 | 3–2 | 5–2 |
| 3차 예선 | 스켄데르베우/KF 스켄데르베우 코르체sq | 2–1 | 1–2 (연장전) | 3–3 (2–4 승부차기) | ||
| 2019-20 | UEFA 유로파 리그 | 2차 예선 | 오르다바시/FC 오르다바시kk | 1–1 | 3–2 | 4–3 |
| 3차 예선 | FCSBro | 0–1 | 0–0 | 0–1 | ||
| 2024-25 | UEFA 유로파 컨퍼런스 리그 | 2차 예선 | 트란스INVEST/FK 트란스INVSTlt | 2–0 | 1–0 | 3–0 |
| 3차 예선 | 하포엘 베에르셰바/하포엘 베에르셰바 FChe | 1–1 | 4–2 | 5–3 | ||
| PO | 팍시/팍시 FChu | 2–2 | 3–0 | 5–2 | ||
| LP | 노아/FC 노아hy | 0–2 | rowspan=6| | |||
| 루가노/FC 루가노de | 0–1 | |||||
| 비토리아 드 기마랑이스/비토리아 SCpt | 1–2 | |||||
| 레알 베티스/레알 베티스es | 2–1 | |||||
| 야겔로니아 비아위스토크/야겔로니아 비아위스토크pl | 1–0 | |||||
| 몰데/몰데 FKno |
7. 선수
마레크 마테요프스키는 1999년부터 2001년, 2003년부터 2008년, 그리고 2016년부터 현재까지 팀에서 활약하고 있다. 바실 쿠제는 2023년부터 팀에 합류했다. 압둘라 유수프 헬랄은 2023년부터 팀에서 뛰고 있다. 벤슨 사칼라는 2023년부터 팀에 합류했다.[20]
7. 1. 선수 명단
2024년 9월 5일 기준 FK 믈라다볼레슬라프의 선수 명단은 다음과 같다.[13]| 등번호 | 포지션 | 선수 이름 |
|---|---|---|
| 3 | DF | 마틴 크랄리크 |
| 5 | MF | 벤슨 사칼라 |
| 6 | MF | 다니엘 랑함메르 |
| 7 | MF | 파트리크 지트니 |
| 8 | MF | 마레크 마테요프스키 |
| 9 | FW | 마티아시 보이타 |
| 10 | FW | 토마시 라드라 |
| 11 | MF | 야쿠프 풀네크 |
| 12 | MF | 보이테흐 스트란스키 |
| 13 | DF | 데니스 도나트 |
| 14 | DF | 토마시 크랄 |
| 15 | MF | 니콜라스 페너 |
| 17 | DF | 마레크 수치 |
| 18 | FW | 마테이 풀크라브 |
| 19 | MF | 다비드 코젤 |
| 20 | MF | 솔로몬 존 |
| 21 | MF | 루카시 필라 |
| 23 | FW | 바실 쿠셰이 |
| 26 | DF | 안드레이 카들레츠 |
| 28 | MF | 루카시 마셰크 |
| 29 | GK | 마토우시 트르말 |
| 30 | MF | 다니엘 마레체크 |
| 31 | DF | 도미니크 코스트카 |
| 32 | FW | 라민 자워 |
| 33 | GK | 얀 셰다 |
| 59 | GK | 이르지 플로데르 |
| 66 | DF | 파트리크 비드라 (스파르타 프라하에서 임대) |
| 70 | FW | 얀 부리얀 |
| 99 | GK | 페트르 미쿨레츠 |
'''임대 선수'''
| 포지션 | 선수 이름 |
|---|---|
| GK | Kryštof Lichtenberg (바른스도르프 임대) |
| DF | Matěj Vlk (바른스도르프 임대) |
| MF | Ladislav Dufek (바른스도르프 임대) |
| MF | 안토닌 바니체크 (빅토리아 지슈코프 임대) |
7. 2. 유명 선수
- 마레크 마체요프스키 1999-2001
- 온드르제이 쿠데라 2009-2017
- 라데크 실르 2010-2012
- 다비드 야롤림 2013-2014
- 이르지 슈타이너 2013-2014
- 골골 메브라투 2016-2018
8. 클럽 기록
2024년 12월 16일 기준.[14]
'''굵게 표시된''' 선수는 현재 선수단에 소속되어 있다.
| # | 이름 | 경기 |
|---|---|---|
| 1 | 마레크 마테요프스키 | 283 |
| 2 | 얀 키셀라 | 220 |
| 3 | 미로슬라프 밀러 | 211 |
| 4 | 토마시 라드라 | 210 |
| 5 | 얀 셰다 | 188 |
| 6 | 얀 흐라마스타 | 182 |
| 7 | 온드르제이 쿠델라 | 177 |
| 8 | 아드리안 롤코 | 144 |
| 9 | 야쿠프 풀네크 | 135 |
| 10 | 루카시 마게라 | 130 |
| # | 이름 | 골 |
|---|---|---|
| 1 | 얀 흐라모스타 | 49 |
| 2 | 니콜라이 콤리첸코 | 43 |
| 3 | 루카시 마게라 | 35 |
| 4 | 마레크 쿨리치 | 34 |
| 5 | 루보시 페츠카 | 33 |
| 6 | 토마시 라드라 | 32 |
| 7 | 야스민 슈추크 | 27 |
| 8 | 마레크 마테요프스키 | 23 |
| 9 | 온드르제이 자후스텔 | 21 |
| 10 | 얀 라이노흐 | 19 |
| # | 이름 | 무실점 경기 |
|---|---|---|
| 1 | 미로슬라프 밀러 | 64 |
| 2 | 얀 셰다 | 51 |
| 3 | 야쿠프 디비시 | 14 |
- '''최고 순위''': 2위 (2005-06)
- '''최저 순위''': 14위 (2004-05)
- '''최대 홈 승리''': 믈라다 볼레슬라프 6–0 프르지브람 (2019-20)
- '''최대 원정 승리''': 테플리체 0–8 믈라다 볼레슬라프 (2018-19)
- '''최대 홈 패배''': 믈라다 볼레슬라프 0–5 스파르타 (2023-24)
- '''최대 원정 패배''': 플젠 7–1 믈라다 볼레슬라프 (2019-20)
2023-24 시즌, 체코 1부 리그 역사상 한 경기 최다 골 기록이 즐린–믈라다 볼레슬라프 경기에서 나왔으며, 경기는 5–9로 종료되었다.[16]
8. 1. 체코 1부 리그 기록
2024년 12월 16일 기준.[14]'''굵게 표시된''' 선수는 현재 선수단에 소속되어 있다.
| # | 이름 | 경기 |
|---|---|---|
| 1 | 마레크 마테요프스키 | 283 |
| 2 | 얀 키셀라 | 220 |
| 3 | 미로슬라프 밀러 | 211 |
| 4 | 토마시 라드라 | 210 |
| 5 | 얀 셰다 | 188 |
| 6 | 얀 흐라마스타 | 182 |
| 7 | 온드르제이 쿠델라 | 177 |
| 8 | 아드리안 롤코 | 144 |
| 9 | 야쿠프 풀네크 | 135 |
| 10 | 루카시 마게라 | 130 |
| # | 이름 | 골 |
|---|---|---|
| 1 | 얀 흐라모스타 | 49 |
| 2 | 니콜라이 콤리첸코 | 43 |
| 3 | 루카시 마게라 | 35 |
| 4 | 마레크 쿨리치 | 34 |
| 5 | 루보시 페츠카 | 33 |
| 6 | 토마시 라드라 | 32 |
| 7 | 야스민 슈추크 | 27 |
| 8 | 마레크 마테요프스키 | 23 |
| 9 | 온드르제이 자후스텔 | 21 |
| 10 | 얀 라이노흐 | 19 |
| # | 이름 | 무실점 경기 |
|---|---|---|
| 1 | 미로슬라프 밀러 | 64 |
| 2 | 얀 셰다 | 51 |
| 3 | 야쿠프 디비시 | 14 |
- '''최고 순위''': 2위 (2005-06)
- '''최저 순위''': 14위 (2004-05)
- '''최대 홈 승리''': 믈라다 볼레슬라프 6–0 프르지브람 (2019-20)
- '''최대 원정 승리''': 테플리체 0–8 믈라다 볼레슬라프 (2018-19)
- '''최대 홈 패배''': 믈라다 볼레슬라프 0–5 스파르타 (2023-24)
- '''최대 원정 패배''': 플젠 7–1 믈라다 볼레슬라프 (2019-20)
2023-24 시즌, 체코 1부 리그 역사상 한 경기 최다 골 기록이 즐린–믈라다 볼레슬라프 경기에서 나왔으며, 경기는 5–9로 종료되었다.[16]
참조
[1]
웹사이트
Historie
https://fkmb.cz/hist[...]
FK Mladá Boleslav
2024-12-02
[2]
웹사이트
Historie
https://fkmb.cz/hist[...]
FK Mladá Boleslav
2024-12-02
[3]
웹사이트
120 let fotbalu v Mladé Boleslavi. Historie odkazuje na klub z Premier League
https://boleslavsky.[...]
Deník.cz
2024-12-02
[4]
웹사이트
V Boleslavi mají moderní fotbalový stadion, který má jen dvě vady na kráse. Místo jedné tribuny stojí panelák a na fotbal chodí málo fanoušků
https://sport.rozhla[...]
Czech Radio
2024-12-02
[5]
웹사이트
Pětiletý plán může Boleslav splnit dřív
https://www.idnes.cz[...]
iDNES.cz
2024-12-02
[6]
서적
Český a československý fotbal – lexikon osobností a klubů
Grada Publishing
[7]
웹사이트
Tohle prostě neomrzí
https://fkmb.cz/arti[...]
FK Mladá Boleslav
2024-12-02
[8]
웹사이트
Hlavním trenérem FK Mladá Boleslav je Jozef Weber
https://www.mb-net.c[...]
City of Mladá Boleslav
2024-12-02
[9]
웹사이트
Fotbalisté Mladé Boleslavi přišli o nejlepšího střelce. Komličenko přestoupil do Dynama Moskva
https://www.irozhlas[...]
Czech Radio
2024-12-02
[10]
웹사이트
O fotbalisty z české ligy je opět zájem. Není to ale její kvalitou, mírní nadšení agenti
https://denikn.cz/28[...]
Deník N
2024-12-02
[11]
웹사이트
Mladá Boleslav změnila majitele, Trunda převzal majoritní podíl po Dufkovi
https://www.ceskenov[...]
Czech News Agency
2024-12-02
[12]
웹사이트
Club history
http://www.fkmb.cz/e[...]
FK Mladá Boleslav
2019-05-12
[13]
웹사이트
Soupiska
https://fkmb.cz/rost[...]
FK Mladá Boleslav
[14]
웹사이트
Detailed stats
http://en.fortunalig[...]
Chance Liga
[15]
웹사이트
Podrobné statistiky: Trenéři
https://www.chanceli[...]
Chance Liga
[16]
웹사이트
Čtrnáct tref ve Zlíně! Liga zažila nejgólovější duel, Liberec zaskočil Plzeň
https://www.idnes.cz[...]
iDNES.cz
2024-04-26
[17]
웹사이트
Miller hands Czech Cup to Mladá Boleslav
http://www.uefa.com/[...]
UEFA.com
2016-07-20
[18]
웹사이트
FK Mladá Boleslav
http://www.fkmb.cz/k[...]
[19]
웹사이트
Club history
http://www.fkmb.cz/e[...]
FK Mladá Boleslav
2019-05-12
[20]
웹사이트
SOUPISKA
http://www.fkmb.cz/s[...]
FK MLADÁ BOLESLAV
2018-10-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