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D 이스토릴 프라이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GD 이스토릴 프라이아는 1939년 창단된 포르투갈의 축구 클럽이다. 1943-44 시즌 포르투갈 컵 준우승, 2023-24 시즌 포르투갈 리그컵 준우승을 차지했으며, 2부 리그에서 3회 우승했다. 2013-14 시즌에는 UEFA 유로파리그 조별 리그에 진출했고, 2019년 미국 투자자 데이비드 블리처가 클럽의 지분을 인수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프리메이라리가 구단 - SL 벤피카
SL 벤피카는 1904년 리스본에서 창단된 종합 스포츠 클럽으로, 축구팀을 포함한 여러 종목을 운영하며, 포르투갈 리그 최다 우승 기록을 보유하고 UEFA 챔피언스리그 등 국제 대회에서도 우승한 포르투갈 최대 규모의 클럽이다. - 프리메이라리가 구단 - FC 포르투
FC 포르투는 1893년 창단되어 "용"이라는 별칭으로 불리며 이스타디우 두 드라강을 홈 구장으로 사용하는 포르투갈의 축구 클럽으로, 국내 리그에서 프리메이라리가 30회 우승, 타사 드 포르투갈 20회 우승을 포함하여 두각을 나타냈고, UEFA 챔피언스리그 2회, UEFA 유로파리그 2회 우승 등 국제 대회에서도 우승하며 국제적인 위상을 확립했다. - 1939년 설립된 축구단 - 에시하 발롬피에
에시하 발롬피에는 스페인의 축구 클럽으로, 한때 세군다 디비시온 B에서 우승했으나 재정난으로 테르세라 디비시온에서 퇴출되었고, 6,000석 규모의 산 파블로 경기장을 홈 경기장으로 사용하며 놀리토나 라파엘 고르디요 같은 유명 선수들을 배출했다. - 1939년 설립된 축구단 - 기스본 시티 AFC
기스본 시티 AFC는 오랜 역사를 지닌 뉴질랜드 축구 클럽으로, 1984년 뉴질랜드 전국 선수권 대회 우승 및 1982년 FIFA 월드컵 뉴질랜드 국가대표팀 최다 선수 배출 등의 기록을 보유하고 있으며 첼시 FC의 응원가와 선수들과도 연관되어 있다. - 축구 리그 - 프리미어리그
프리미어리그는 1992년 잉글랜드 1부 리그 클럽들이 풋볼 리그에서 독립하여 창설된 잉글랜드 최상위 프로축구 리그로, 20개 클럽이 참가하여 승점에 따라 순위를 결정하며, UEFA 챔피언스리그 및 유로파리그 진출과 EFL 챔피언십 강등이 결정되는 인기와 수익이 높은 리그이다. - 축구 리그 - 프리마 카테고리아 1912-13
프리마 카테고리아 1912-13은 이탈리아 축구 연맹이 주관한 12번째 리그로, 올림픽 성적 부진 이후 지역별 예선 및 전국 결선 방식으로 개편되었으며, 프로 베르첼리가 우승하여 리그 3연패를 달성했다.
GD 이스토릴 프라이아 - [스포츠팀]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정식 명칭 | 그루푸 데스포르티부 이스토릴 프라이아 |
별칭 | 카나링요스 (Canarinhos, 카나리아 군단) 이키파 다 린냐 (Equipa da Linha, 해안가 팀) 이스토릴리스타스 (Estorilistas) 마지쿠 이스토릴 (Mágico Estoril, 마법의 이스토릴) |
창단일 | 1939년 5월 17일 |
홈 구장 | 이스타디우 안토니우 코임브라 다 모타 |
수용 인원 | 8,015명 |
구단주 | 데이비드 블리처 |
회장 | 후이 코스타 |
감독 | 이언 캐스로 |
리그 | 프리메이라리가 |
시즌 | 2023-24 시즌 |
리그 순위 | 프리메이라리가, 18개 팀 중 13위 |
웹사이트 | 공식 웹사이트 |
유니폼 정보 | |
홈 유니폼 | pattern_la1: _estorilpraia2425h pattern_b1: _estorilpraia2425h pattern_ra1: _estorilpraia2425h pattern_sh1: _estorilpraia2425h pattern_so1: leftarm1: FFDD00 body1: FFDD00 rightarm1: FFDD00 shorts1: 002566 socks1: FFDD00 |
원정 유니폼 | pattern_la2: _estorilpraia2425a pattern_b2: _estorilpraia2425a pattern_ra2: _estorilpraia2425a pattern_sh2: _estorilpraia2425a leftarm2: 002566 body2: 002566 rightarm2: 002566 shorts2: 002566 socks2: 002566 |
세 번째 유니폼 | pattern_la3: _estoril1920t pattern_b3: _estoril1920t pattern_ra3: _estoril1920t pattern_sh3: _estoril1920t leftarm3: 000000 body3: 000000 rightarm3: 000000 shorts3: 000000 socks3: 000000 |
2. 역사
GD 이스토릴 프라이아는 1939년 5월 17일에 창단되었다.[25] 팀의 상징 색깔은 노란색과 파란색인데, 각각 태양과 대서양을 의미한다. 1943-44 시즌 포르투갈 컵 결승전에 진출했지만, SL 벤피카에 0-8로 크게 패했다. 1944-45 시즌 처음으로 포르투갈 최상위 리그에 참가했다.
1999-2000 시즌부터 2002-03 시즌까지 3부 리그에서 뛰었지만, 2004-05 시즌 1993-94 시즌 이후 처음으로 프리메이라 리가(1부 리그)로 복귀했다. 그러나 한 시즌 만에 세군다 리가(2부 리그)로 강등되었고, 2012-13 시즌에 프리메이라 리가로 복귀하기까지 7시즌을 2부 리그에서 보냈다.
2012-13 시즌 프리메이라 리가에서 5위를 기록하며 UEFA 유로파 리그 2013-14 진출권을 획득, 클럽 역사상 최초로 유럽 대항전에 진출했다. 유로파 리그에서는 조별 리그에서 탈락했지만, 2013-14 시즌 프리메이라 리가에서 클럽 역사상 최고 순위인 4위를 기록했다.
2. 1. 초기 역사 (1939-1953)
GD 이스토릴 프라이아는 1939년 5월 17일에 '그루푸 데스포르티부 이스토릴 프라이아(Grupo Desportivo Estoril Praia)'라는 이름으로 창단되었다.[2] 클럽의 엠블럼과 유니폼 색상은 이스토릴의 해변에서 영감을 받았는데, 노란색은 태양, 파란색은 대서양을 상징한다.[2]초기에 클럽은 리스본 지역 리그와 타사 드 포르투갈에 참가했다. 1943-44 시즌 타사 드 포르투갈 결승에 진출했으나, 벤피카에 0-8로 크게 패하며 준우승에 머물렀다.[7]
1944-45 시즌, 프리메이라리가에 처음으로 참가하여 7위를 기록했다.[8] 이후 1952-53 시즌까지 프리메이라리가에 잔류했으나, 해당 시즌에 최하위를 기록하며 포르투갈 세군다 디비상으로 강등되었다.[10]
시즌 | 디비전 | 순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컵 | 비고 |
---|---|---|---|---|---|---|---|---|---|---|---|
1944–45 | 1부 | 7 | 18 | 6 | 4 | 8 | 44 | 34 | 16 | 1라운드 | |
1945–46 | 2부 | - | - | - | - | - | - | - | - | 1라운드 | |
1946–47 | 1부 | 5 | 26 | 16 | 1 | 9 | 96 | 55 | 33 | 미개최 | |
1947–48 | 1부 | 4 | 26 | 16 | 4 | 6 | 91 | 49 | 36 | 8강 | |
1948–49 | 1부 | 5 | 26 | 12 | 5 | 9 | 76 | 54 | 29 | 1라운드 | |
1949–50 | 1부 | 12 | 26 | 7 | 7 | 12 | 50 | 59 | 21 | 미개최 | |
1950–51 | 1부 | 11 | 26 | 10 | 1 | 15 | 53 | 58 | 21 | 8강 | |
1951–52 | 1부 | 9 | 26 | 8 | 5 | 13 | 49 | 61 | 21 | 1라운드 | |
1952–53 | 1부 | 14 | 26 | 5 | 4 | 17 | 28 | 64 | 14 | 1라운드 | 강등 |
:A. 리스본 챔피언십에도 참가했습니다.
:C. 지역 챔피언십 종료로 포르투갈 컵이 열리지 않았습니다. 결과적으로, 대회를 위해 새로운 형식과 일정이 도입되었습니다.
:E. 라틴 컵이 에스타디오 나시오날에서 열려 포르투갈 컵이 열리지 않았습니다.
2. 2. 침체와 부활 (1953-2000년대 초)
GD 이스토릴 프라이아는 1953년부터 22년 동안 세군다 디비상(2부 리그)에서 활동하다가 다시 최고 리그로 승격했다. 1973년, 벤피카를 이끌고 1970-71, 1971-72, 1972-73 시즌 3연속 리그 우승과 1971-72 시즌 타사 드 포르투갈 우승을 이끈 지미 헤이건 감독을 선임하여 프리메이라리가로 승격했다. 복귀 시즌에 리그 8위, 컵 대회 8강에 오르는 등 좋은 성적을 거두었고, 이후 1980년대 중반까지 중위권을 유지하며 안정적인 모습을 보였다.1980년대 후반, 페르난두 산투스 감독 부임 후 팀을 재건하고 선수 기량을 향상시켜, 3년 만에 다시 최고 리그로 승격시켰다. 1993-94 시즌까지 팀을 프리메이라리가에 잔류시켰으나, 산투스 감독이 에스트렐라 다 아마도라로 떠난 후 팀은 리가 드 혼라(2부 리그)로 강등되었다.[11]
1994년 산투스 감독이 물러난 후, 이스토릴은 리가 드 혼라에서 14시즌을 보냈다. 1998-99 시즌에는 포르투갈 축구 3부 리그로 강등되기도 했다.[11] 이후 여러 차례 승격과 강등을 반복했다.
2. 3. 21세기 (2000년대 초-현재)
2000년대 초, GD 이스토릴 프라이아는 포르투갈 3부 리그에서 활동하고 있었다. 울리세스 모라이스 감독이 2002년에 지휘봉을 잡은 후, 팀은 연속 승격을 거듭하여 1부 리그인 프리메이라리가로 승격하였다. 2002-03 시즌 3부 리그 우승, 2003-04 시즌 2부 리그 우승을 달성했다. 그러나 리토스 감독이 이끈 2004–05 프리메이라리가 시즌에는 17위를 기록하며 다시 강등되었다.[12]2011-12 시즌에는 마르쿠 실바 감독의 지휘 아래 2부 리그에서 우승하며 프리메이라리가로 복귀했다. 당시 주앙 콩브라, 리카, 스티븐 비토리아, 바그네르 등이 주요 선수로 활약했다.[13][14] 2012-13 시즌에는 리그 5위를 기록하며 UEFA 유로파리그 진출권을 획득하는 쾌거를 이루었다.[15] 이는 클럽 역사상 최초의 유럽 대회 진출이었다.
2013-14 시즌, 이스토릴은 3차 예선에서 하포엘 라마트간을 합계 1-0으로, 플레이오프에서 파싱을 합계 4-1로 꺾고 조별 리그에 진출했다. H조에서 세비야, 프라이부르크, 슬로반 리베레츠를 상대로 3무를 기록하며 조 4위로 탈락했다. 같은 시즌 리그에서는 4위를 기록하며 클럽 역사상 최고 성적을 달성했다.
2019년 5월, 미국 투자자 데이비드 블리처가 자신의 회사인 Global Football Holdings를 통해 클럽의 지분 과반수를 인수했다.[16] 2020-21 시즌에는 2부 리그에서 다시 한번 우승을 차지하며 프리메이라리가로 승격하였다.
시즌 | 디비전 | 순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컵 | 리그 컵 | 비고 |
---|---|---|---|---|---|---|---|---|---|---|---|---|
1999–00 | 2부S | 4 | 38 | 18 | 3 | 7 | 67 | 40 | 67 | 4라운드 | ||
2000–01 | 2부S | 12 | 38 | 14 | 11 | 13 | 45 | 46 | 53 | 6라운드 | ||
2001–02 | 2부S | 5 | 38 | 17 | 8 | 13 | 46 | 44 | 59 | 2라운드 | ||
2002–03 | 2부S | 1 | 38 | 25 | 8 | 5 | 74 | 29 | 83 | 3라운드 | 승격 | |
2003–04 | 2부 | 1 | 34 | 20 | 7 | 7 | 63 | 40 | 67 | 8강 | 승격 | |
2004–05 | 1부 | 17 | 34 | 8 | 6 | 20 | 38 | 55 | 30 | 5라운드 | 강등 | |
2005–06 | 2부 | 9 | 34 | 11 | 12 | 11 | 44 | 43 | 45 | 5라운드 | ||
2006–07 | 2부 | 10 | 30 | 10 | 7 | 13 | 30 | 35 | 37 | 4라운드 | ||
2007–08 | 2부 | 7 | 30 | 11 | 8 | 11 | 41 | 38 | 41 | 3라운드 | 2라운드 | |
2008–09 | 2부 | 4 | 30 | 12 | 8 | 10 | 41 | 37 | 44 | 3라운드 | 2라운드 | |
2009–10 | 2부 | 11 | 30 | 7 | 14 | 9 | 26 | 29 | 35 | 2라운드 | 세컨드 그룹 스테이지 | |
2010–11 | 2부 | 10 | 30 | 9 | 11 | 10 | 36 | 31 | 38 | 3라운드 | 세컨드 그룹 스테이지 | |
2011–12 | 2부 | 1 | 30 | 16 | 9 | 5 | 40 | 20 | 57 | 5라운드 | 세컨드 그룹 스테이지 | 승격 |
2012–13 | 1부 | 5 | 30 | 13 | 6 | 11 | 47 | 37 | 45 | 3라운드 | 세컨드 그룹 스테이지 | 유로파 리그 진출 |
2013–14 | 1부 | 4 | 30 | 15 | 9 | 6 | 42 | 26 | 54 | 8강 | 세컨드 그룹 스테이지 | 유로파 리그 진출 |
2014–15 | 1부 | 12 | 34 | 9 | 13 | 12 | 38 | 56 | 40 | 3라운드 | 세컨드 그룹 스테이지 | |
2015–16 | 1부 | 8 | 34 | 13 | 8 | 13 | 40 | 41 | 47 | 8강 | 2라운드 | |
2016–17 | 1부 | 10 | 34 | 10 | 8 | 16 | 34 | 42 | 38 | 준결승 | 2라운드 | |
2017–18 | 1부 | 18 | 34 | 8 | 6 | 20 | 29 | 61 | 30 | 3라운드 | 2라운드 | 강등 |
2018–19 | 2부 | 3 | 34 | 16 | 6 | 12 | 49 | 42 | 54 | 3라운드 | 세컨드 그룹 스테이지 | |
2019–20 | 2부 | 4 | 24 | 11 | 3 | 9 | 35 | 26 | 39 | 3라운드 | 2라운드 | |
2020–21 | 2부 | 1 | 34 | 20 | 10 | 4 | 55 | 26 | 70 | 준결승 | 8강 | 승격 |
GD 이스토릴 프라이아는 현재 8,015석 규모의 안토니오 코임브라 다 모타 경기장을 홈 구장으로 사용하고 있다.[17] 이 경기장은 UEFA 유로 2004 당시 스웨덴 축구 국가대표팀의 훈련장으로 사용되기도 했으며,[19][20] 포르투갈 U-21 축구 국가대표팀 경기도 개최한다.[21]
GD 이스토릴 프라이아는 FIFA 자격 규정에 따라 선수들이 복수의 FIFA 비회원국 국적을 가질 수 있다. 다음은 과거 GD 이스토릴 프라이아에서 활동했던 선수들의 목록이다.
:F. 포르투갈의 COVID-19 팬데믹으로 인해, 리가프로는 10경기를 남겨두고 취소되었습니다.
:최종 업데이트: 2014년 7월 18일
'''Div.''' = 디비전; '''1D''' = 포르투갈 리그; '''2H''' = 리가 드 혼라; '''2DS'''/'''2D''' = 포르투갈 세군다 디비상
'''Pos.''' = 순위; '''Pl''' = 경기; '''W''' = 승; '''D''' = 무; '''L''' = 패; '''GS''' = 득점; '''GA''' = 실점; '''P''' = 승점
3. 경기장
4. 선수
포지션 이름 국적 임대 정보 DF 베르나르두 비탈 DF 루카스 아프리쿠 FW 호드리구 마르틴스 MF 세르지뉴 FW 알레한드로 마르케스 유벤투스 MF 프란시스쿠 제라우데스 GK 치아구 GK 페드루 실바 DF 라신 콜리 MF 주앙 카르발류 올림피아코스 DF 샤킬 데로스 DF 페드루 알바로 MF 모르 은디아예 FW 질손 타바레스 DF 주앙지뉴 MF 로렌츠 로제 MF 메크셰르 MF 유리 타바레스 FW 주앙 카를루스 DF 치아구 산투스 MF 치아구 아라우주 FW 엘리송 DF 곤살루 에스테베스 스포르팅 MF 제임스 리 시리키 GK 다니 피게이라
4. 1. 현재 선수 명단 (2024년 8월 기준)
2024년 8월 기준 선수 명단은 다음과 같다.[22]
번호 | 포지션 | 이름 | 국적 |
---|---|---|---|
1 | GK | 케빈 차모로 | |
3 | DF | 이스마엘 시에라 | |
5 | DF | 엘리아킴 망갈라 | |
6 | MF | 얀드로 오레야나 | |
7 | MF | 비니시우스 자노셀루 | |
8 | MF | 미첼 | |
9 | FW | 알레한드로 마르케스 | |
10 | MF | 조던 홀스그로브 | |
11 | FW | 헬데르 코스타 | |
12 | MF | 주앙 카르발류 | |
14 | FW | 야니스 베그라위 | |
17 | FW | 파브리시우 가르시아 | |
18 | DF | 곤살루 코스타 | |
19 | FW | 안드레 락시미칸 | |
20 | DF | 바그네르 피나 | |
22 | DF | 페드루 카르발류 | |
23 | DF | 페드루 알바로 | |
24 | DF | 페드루 아마랄 | |
25 | DF | 펠릭스 바허 | |
26 | MF | 포 온도아 | |
27 | GK | 호엘 로블레스 | |
44 | DF | 케빈 보마 | |
71 | DF | 볼네이 펠테스 | |
88 | MF | 셰카 | |
92 | FW | 이스라엘 살라자르 |
4. 2. 유명 선수
- 토미슬라브 이브코비치sr (1993)
- 파울루 산투스pt (2009-2010)
- 에우데르 크리스토방pt (1989-1992)
- 파울루 페레이라pt (1998-2000)
- 페드루 호베르투 실바 보텔료|페드루 보텔료pt (2016)
- 엘윈 산체스es (1991-1992)
- 루이스 비지가우pt (1994-1995)
- 하비에르 발보아es (2013-2015)
- 마테우스 곤사우베스 사비우|마테우스 사비우pt (2018)
- 페드루 파울레타pt (1995-1996)
- 크리스티안 코에라 디오니시오|크리스티안pt (1993-1994)
- 클레베 라우베 피네이루|클레베pt (2014-2015, 2016-2019)
- 메시노 료타로일본어 (2019-2020)
5. 역대 감독
GD 이스토릴 프라이아를 거쳐간 감독들 중에는 훗날 포르투갈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을 역임하며 유로 2016 우승을 이끈 페르난두 산투스[1]와 2010년대 중후반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직을 수행했던 파울루 벤투의 스승으로 알려진 마르쿠 실바[2] 등이 있다.
이름 | 국적 | 임기 |
---|---|---|
아우구스토 실바 | 1942년 ~ 1945년 | |
리포 헤르츠카 | 1946년 ~ 1947년 | |
야노스 비리 | 1947년 ~ 1949년 | |
지미 헤이건 | 1973년 ~ 1975년 | |
안토니우 메데이로스 | 1975년 ~ 1977년 | |
호세 토레스 | 1979년 ~ 1981년 | |
지미 헤이건 | 1981년 ~ 1982년 | |
마리우 윌슨 | 1983년 ~ 1984년 | |
안토니우 메데이로스 | 1984년 | |
마리우 윌슨 | 1984년 ~ 1986년 | |
안토니우 피달구 | 1986년 ~ 1987년 | |
페르난두 산투스 | 1987년 ~ 1994년[1] | |
카를루스 마누엘 | 1994년 ~ 1996년 | |
이시드로 베아투 | 1996년 ~ 1998년 | |
루이 아과스 | 1998년 ~ 1999년 | |
미네르비누 피에트라 | 1999년 ~ 2000년 | |
호세 라샤웅 | 2000년 ~ 2001년 | |
호세 모라이스 | 2001년 ~ 2002년 | |
울리세스 모라이스 | 2002년 11월 1일 ~ 2004년 8월 23일 | |
리투스 | 2004년 8월 24일 ~ 2005년 6월 30일 | |
다우투 파키라 | 2005년 7월 1일 ~ 2006년 1월 5일 | |
마르코 파울루 | 2006년 1월 6일 ~ 2006년 1월 27일 | |
리투스 | 2006년 1월 28일 ~ 2007년 5월 24일 | |
툴리파 | 2007년 5월 28일 ~ 2008년 9월 24일 | |
마누엘 피뉴 (임시) | 2008년 9월 25일 ~ 2008년 9월 29일 | |
조앙 카를루스 페레이라 | 2008년 9월 30일 ~ 2009년 5월 25일 | |
엘데르 크리스토바웅 | 2009년 7월 1일 ~ 2009년 9월 28일 | |
프로페서 네카 | 2009년 9월 29일 ~ 2010년 5월 10일 | |
비니시우스 에우트로피우 | 2010년 5월 14일 ~ 2011년 9월 27일 | |
마르쿠 실바 | 2011년 9월 28일 ~ 2014년 5월 12일[2] | |
호세 쿠세이루 | 2014년 5월 24일 ~ 2015년 3월 3일 | |
파비아누 소아레스 | 2015년 3월 5일 ~ 2016년 12월 10일 | |
페드로 고메스 카르모나 | 2016년 12월 13일 ~ 2017년 3월 8일 | |
페드루 에마누엘 | 2017년 3월 8일 ~ 2017년 10월 21일 | |
필리페 페드루 (임시) | 2017년 10월 22일 ~ 2017년 11월 12일 | |
이보 비에이라 | 2017년 11월 13일 ~ 2018년 6월 30일 | |
루이스 프레이레 | 2018년 7월 1일 ~ 2019년 1월 21일 | |
브루노 발타자르 | 2019년 1월 22일 ~ 2019년 6월 30일 | |
티아고 페르난데스 | 2019년 7월 1일 ~ 2020년 1월 6일 | |
페드루 두아르테 | 2020년 1월 8일 ~ 2020년 6월 30일 | |
브루노 핀에이루 | 2020년 7월 1일 ~ 2022년 6월 30일 | |
넬손 베리시모 | 2022년 7월 1일 ~ 2023년 2월 24일 | |
히카르두 소아레스 | 2023년 2월 28일 ~ 2023년 6월 8일 | |
알바로 파체코 | 2023년 7월 1일 ~ 2023년 9월 24일 | |
바스코 세아브라 | 2023년 9월 25일 ~ 현재 | |
이안 캐스로 | 2024년 ~ 현재 |
6. 유럽 대회 성적
GD 이스토릴 프라이아는 2013-14 시즌과 2014-15 시즌에 UEFA 유로파리그에 참가했다. 2013-14 시즌에는 3차 예선에서 하포엘 라마트간(이스라엘)을 합계 1-0으로 꺾고, 플레이오프에서 파싱(오스트리아)을 합계 4-1로 이기며 본선 조별리그에 진출했다. 조별리그 H조에서는 세비야(스페인), 프라이부르크(독일), 슬로반 리베레츠(체코)를 상대로 3무 3패, 승점 3점으로 4위를 기록했다.[15] 2014-15 시즌에는 조별리그 E조에서 PSV 에인트호번(네덜란드), 파나티나이코스(그리스), 디나모 모스크바(러시아)를 만나 1승 2무 3패, 승점 5점으로 3위를 기록했다.
시즌 | 대회 | 라운드 | 상대 | 홈 | 원정 | 합계 |
---|---|---|---|---|---|---|
2013-14 | UEFA 유로파리그 | 3차 예선 | הפועל רמת גן|하포엘 라마트간he (이스라엘) | 0-0 | 1-0 | 1-0 |
플레이오프 | FC Pasching|파싱de (오스트리아) | 2-0 | 2-1 | 4-1 | ||
H조 | Sevilla FC|세비야es (스페인) | 1-2 | 1-1 | 4위 | ||
FC Slovan Liberec|슬로반 리베레츠cs (체코) | 1-2 | 1-2 | ||||
SC Freiburg|프라이부르크de (독일) | 0-0 | 1-1 | ||||
2014-15 | UEFA 유로파리그 | E조 | PSV Eindhoven|PSV 에인트호번nl (네덜란드) | 3-3 | 0-1 | 3위 |
Παναθηναϊκός|파나티나이코스el (그리스) | 2-0 | 1-1 | ||||
Динамо Москва|디나모 모스크바ru (러시아) | 1-2 | 0-1 |
7. 우승 기록
GD 이스토릴 프라이아의 우승 기록은 다음과 같다.
종류 | 대회 | 횟수 | 시즌 |
---|---|---|---|
2부 리그 | 리가 포르투갈 2 | 3 | 2003–04, 2011–12, 2020–21 |
7. 1. 국내 대회
- 타사 드 포르투갈
- * 준우승 (1): 1943–44
- 타사 다 리가
- * 준우승 (1): 2023–24
- 리가 포르투갈 2
- * '''우승 (3):''' 2003–04, 2011–12, 2020–21
- 포르투갈 세컨드 디비전
- * '''우승 (5):''' 1941–42, 1943–44, 1945–46, 1974–75, 2002–03
- 리가 인터칼라르
- * '''우승 (1):''' 2009–10
- FPF 컵
- * 준우승 (1): 1976–77
- AF 리스본 1부 리그
- * '''우승 (1):''' 1968–69
- LPFP 리가 포르투갈 2 올해의 선수
- * 2011–12: 리카
- * 2020–21: 미겔 크레스포
- LPFP 리가 포르투갈 2 올해의 신인 선수
- * 2020–21: 안드레 비디갈
- LPFP 리가 포르투갈 2 올해의 골키퍼
- * 2011–12: 바그네르
- * 2020–21: 다니 피게이라
- LPFP 리가 포르투갈 2 올해의 감독
- * 2011–12: 마르쿠 시우바
시즌 | 디비전 | 순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컵 | 리그 컵 | 비고 |
---|---|---|---|---|---|---|---|---|---|---|---|---|
1944–45 | 1부 | 7 | 18 | 6 | 4 | 8 | 44 | 34 | 16 | 1라운드 | ||
1945–46 | 2부 | – | – | – | – | – | – | – | – | 1라운드 | ||
1946–47 | 1부 | 5 | 26 | 16 | 1 | 9 | 96 | 55 | 33 | 미개최 | ||
1947–48 | 1부 | 4 | 26 | 16 | 4 | 6 | 91 | 49 | 36 | 8강 | ||
1948–49 | 1부 | 5 | 26 | 12 | 5 | 9 | 76 | 54 | 29 | 1라운드 | ||
1949–50 | 1부 | 12 | 26 | 7 | 7 | 12 | 50 | 59 | 21 | 미개최 | ||
1950–51 | 1부 | 11 | 26 | 10 | 1 | 15 | 53 | 58 | 21 | 8강 | ||
1951–52 | 1부 | 9 | 26 | 8 | 5 | 13 | 49 | 61 | 21 | 1라운드 | ||
1952–53 | 1부 | 14 | 26 | 5 | 4 | 17 | 28 | 64 | 14 | 1라운드 | 강등 | |
1975–76 | 1부 | 8 | 30 | 10 | 8 | 12 | 31 | 45 | 28 | 8강 | ||
1976–77 | 1부 | 11 | 30 | 6 | 13 | 11 | 26 | 36 | 25 | 4라운드 | ||
1977–78 | 1부 | 11 | 30 | 8 | 9 | 13 | 25 | 36 | 25 | 4라운드 | ||
1978–79 | 1부 | 11 | 30 | 8 | 10 | 12 | 24 | 42 | 26 | 5라운드 | ||
1979–80 | 1부 | 14 | 30 | 5 | 11 | 14 | 18 | 37 | 21 | 4라운드 | 강등 | |
1980–81 | 2부.S | 1 | 30 | 17 | 9 | 4 | 48 | 20 | 43 | 4라운드 | 승격 | |
1981–82 | 1부 | 12 | 30 | 7 | 10 | 13 | 30 | 41 | 24 | 5라운드 | ||
1982–83 | 1부 | 11 | 30 | 9 | 8 | 13 | 26 | 39 | 26 | 6라운드 | ||
1983–84 | 1부 | 14 | 30 | 6 | 9 | 15 | 22 | 51 | 21 | 8강 | ||
1990–91 | 2부 | 2 | 38 | 17 | 12 | 9 | 48 | 28 | 46 | 4라운드 | 승격 | |
1991–92 | 1부 | 10 | 34 | 10 | 10 | 14 | 34 | 54 | 30 | 4라운드 | ||
1992–93 | 1부 | 13 | 34 | 9 | 12 | 13 | 29 | 41 | 30 | 4라운드 | ||
1993–94 | 1부 | 18 | 34 | 5 | 8 | 21 | 22 | 57 | 18 | 4라운드 | 강등 | |
1994–95 | 2부 | 5 | 34 | 16 | 9 | 9 | 39 | 20 | 41 | 4라운드 | ||
1995–96 | 2부 | 12 | 34 | 12 | 8 | 14 | 52 | 42 | 44 | 5라운드 | ||
1996–97 | 2부 | 7 | 34 | 13 | 8 | 13 | 34 | 35 | 47 | 8강 | ||
1997–98 | 2부 | 7 | 34 | 11 | 13 | 10 | 40 | 39 | 46 | 6라운드 | ||
1998–99 | 2부 | 18 | 34 | 6 | 10 | 18 | 23 | 50 | 28 | 3라운드 | 강등 | |
1999–00 | 2부S | 4 | 38 | 18 | 3 | 7 | 67 | 40 | 67 | 4라운드 | ||
2000–01 | 2부S | 12 | 38 | 14 | 11 | 13 | 45 | 46 | 53 | 6라운드 | ||
2001–02 | 2부S | 5 | 38 | 17 | 8 | 13 | 46 | 44 | 59 | 2라운드 | ||
2002–03 | 2부S | 1 | 38 | 25 | 8 | 5 | 74 | 29 | 83 | 3라운드 | 승격 | |
2003–04 | 2부 | 1 | 34 | 20 | 7 | 7 | 63 | 40 | 67 | 8강 | 승격 | |
2004–05 | 1부 | 17 | 34 | 8 | 6 | 20 | 38 | 55 | 30 | 5라운드 | 강등 | |
2005–06 | 2부 | 9 | 34 | 11 | 12 | 11 | 44 | 43 | 45 | 5라운드 | ||
2006–07 | 2부 | 10 | 30 | 10 | 7 | 13 | 30 | 35 | 37 | 4라운드 | ||
2007–08 | 2부 | 7 | 30 | 11 | 8 | 11 | 41 | 38 | 41 | 3라운드 | 2라운드 | |
2008–09 | 2부 | 4 | 30 | 12 | 8 | 10 | 41 | 37 | 44 | 3라운드 | 2라운드 | |
2009–10 | 2부 | 11 | 30 | 7 | 14 | 9 | 26 | 29 | 35 | 2라운드 | 세컨드 그룹 스테이지 | |
2010–11 | 2부 | 10 | 30 | 9 | 11 | 10 | 36 | 31 | 38 | 3라운드 | 세컨드 그룹 스테이지 | |
2011–12 | 2부 | 1 | 30 | 16 | 9 | 5 | 40 | 20 | 57 | 5라운드 | 세컨드 그룹 스테이지 | 승격 |
2012–13 | 1부 | 5 | 30 | 13 | 6 | 11 | 47 | 37 | 45 | 3라운드 | 세컨드 그룹 스테이지 | 유로파 리그 진출 |
2013–14 | 1부 | 4 | 30 | 15 | 9 | 6 | 42 | 26 | 54 | 8강 | 세컨드 그룹 스테이지 | 유로파 리그 진출 |
2014–15 | 1부 | 12 | 34 | 9 | 13 | 12 | 38 | 56 | 40 | 3라운드 | 세컨드 그룹 스테이지 | |
2015–16 | 1부 | 8 | 34 | 13 | 8 | 13 | 40 | 41 | 47 | 8강 | 2라운드 | |
2016–17 | 1부 | 10 | 34 | 10 | 8 | 16 | 34 | 42 | 38 | 준결승 | 2라운드 | |
2017–18 | 1부 | 18 | 34 | 8 | 6 | 20 | 29 | 61 | 30 | 3라운드 | 2라운드 | 강등 |
2018–19 | 2부 | 3 | 34 | 16 | 6 | 12 | 49 | 42 | 54 | 3라운드 | 세컨드 그룹 스테이지 | |
2019–20 | 2부 | 4 | 24 | 11 | 3 | 9 | 35 | 26 | 39 | 3라운드 | 2라운드 | |
2020–21 | 2부 | 1 | 34 | 20 | 10 | 4 | 55 | 26 | 70 | 준결승 | 8강 | 승격 |
참조
[1]
뉴스
Estoril
https://www.thefinal[...]
2012-07-12
[2]
뉴스
Grupo Desportivo Estoril Praia
https://web.archive.[...]
gdestorilpraia.net
2012-07-12
[3]
뉴스
António Coimbra da Mota
https://www.thefinal[...]
2012-07-12
[4]
뉴스
Liga Orangina 2011/2012
http://www.zerozero.[...]
2012-07-12
[5]
웹사이트
Vencedores dos Prémios Oficiais
http://www.lpfp.pt/n[...]
LPFP
2012-07-06
[6]
웹사이트
Licá eleito o melhor jogador da Liga de Honra 2011/2012
https://web.archive.[...]
A Bola
2012-07-05
[7]
뉴스
Taça de Portugal 1943/1944
http://www.zerozero.[...]
2012-07-12
[8]
뉴스
Portuguese League 1944/45
https://www.thefinal[...]
2012-07-12
[9]
뉴스
Campeonato de Lisboa 1945/46
https://www.thefinal[...]
2012-07-12
[10]
뉴스
Portuguese League 1952/53
https://www.thefinal[...]
2012-07-12
[11]
뉴스
2ª Divisão de Honra 1998/1999
https://www.thefinal[...]
2012-07-12
[12]
뉴스
SuperLiga 2004/2005
http://www.zerozero.[...]
2012-07-12
[13]
뉴스
Estoril está de regresso à Liga!
https://web.archive.[...]
2012-05-06
[14]
뉴스
Estoril festejou subida à Liga (com fotos)
https://web.archive.[...]
2012-05-07
[15]
뉴스
Classificação detalhada
http://www.lpfp.pt/l[...]
2013-05-19
[16]
웹사이트
Real Salt Lake Players Set for Short-Term Training Stints in Europe
https://www.rsl.com/[...]
2023-05-07
[17]
뉴스
António Coimbra da Mota
https://www.thefinal[...]
2012-07-10
[18]
뉴스
Grupo Desportivo Estoril Praia [Reserve Squad]
https://www.thefinal[...]
2012-07-11
[19]
뉴스
Estádio António Coimbra da Mota
http://gloriasdopass[...]
2007-05-14
[20]
뉴스
Selecções definem locais de estágio
http://www.record.xl[...]
2004-01-06
[21]
뉴스
Selecção Nacional – Sub-21 – Época 2011/2012
https://www.fpf.pt/p[...]
2012-07-10
[22]
웹사이트
Equipa Principal
https://estorilpraia[...]
[23]
뉴스
António Coimbra da Mota
https://www.thefinal[...]
2012-07-10
[24]
뉴스
Estoril
https://www.thefinal[...]
2012-07-12
[25]
뉴스
Grupo Desportivo Estoril Praia
https://web.archive.[...]
gdestorilpraia.net
2012-07-12
[26]
웹사이트
セビージャ突破、エストリルは敗退
http://jp.uefa.com/u[...]
UEFA.com
2013-11-28
[27]
웹사이트
Plantel Principal
http://estorilpraia.[...]
2021-07-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