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NU 변종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GNU 변종은 GNU 시스템을 위해 개발된 다양한 운영 체제를 의미하며, 여러 커널을 기반으로 한다. GNU Hurd는 GNU 시스템을 위한 두 개의 공식 커널 중 하나로, 데비안 GNU/Hurd, Arch Hurd 등이 존재한다. Linux 커널 기반의 GNU 변종은 GNU/Linux라고 불리며, FSF는 GNU 자유 시스템 배포 지침을 준수하는 리눅스 배포판을 권장한다. BSD 커널을 사용하는 Debian GNU/kFreeBSD, Debian GNU/NetBSD도 있었으나, GNU 프로젝트는 현재 BSD 운영 체제를 지지하지 않는다. OpenSolaris 커널을 사용하는 Nexenta OS는 GNU 변종으로 간주되지 않으며, XNU (Darwin) 커널을 사용하는 GNU Darwin, Windows NT 커널을 사용하는 Cygwin, MinGW, Windows Subsystem for Linux 등이 GNU 변종에 포함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자유 소프트웨어 운영체제 - MS-DOS
MS-DOS는 마이크로소프트가 개발한 개인용 컴퓨터용 디스크 운영 체제로, IBM PC의 표준 운영 체제로 널리 사용되었으며, 단일 작업 환경과 명령줄 인터페이스를 특징으로 한다. - 자유 소프트웨어 운영체제 - CP/M
CP/M은 게리 킬달이 개발한 8비트 마이크로컴퓨터용 운영체제로, 플로피 디스크 기반의 다양한 하드웨어 플랫폼에서 작동하며, 뛰어난 이식성과 방대한 소프트웨어 라이브러리를 바탕으로 1980년대 초반 널리 사용되었으나, MS-DOS의 부상으로 시장 점유율을 잃었지만 MS-DOS와 초기 윈도우 운영체제에 영향을 미쳤다. - GNU 프로젝트 소프트웨어 - GNU 코어 유틸리티
GNU 코어 유틸리티는 유닉스 계열 운영체제에서 파일, 셸, 텍스트 조작을 위한 기본적인 명령어 모음으로, GNU 파일 유틸리티에서 시작하여 3개의 패키지가 통합되어 발전했으며 셸 스크립트 및 시스템 관리에 필수적인 도구를 제공한다. - GNU 프로젝트 소프트웨어 - GNU 허드
GNU 허드는 유닉스 운영 체제를 대체하는 것을 목표로 개발된 GNU 프로젝트의 커널로, 마이크로커널 기반의 서버-클라이언트 아키텍처를 사용하며, 파일 시스템 기능을 확장하는 트랜슬레이터 개념을 제공한다.
GNU 변종 | |
---|---|
명칭 | |
종류 | 운영 체제 |
커널 | 리눅스(Linux) (다른 커널도 사용 가능) |
기반 | GNU |
라이선스 | 다양한 자유 소프트웨어 라이선스 |
특징 | |
기술 | 패키지 관리, Hurd, glibc, 셸 |
사용 분야 | 데스크톱, 서버, 임베디드 시스템 등 |
개발 | |
개발 모델 | 오픈 소스 모델 |
기타 | |
파생 | 다양한 GNU/리눅스 배포판 |
2. Hurd 커널
Hurd는 GNU 프로젝트의 공식 커널이다. Linux-libre가 공식 GNU 패키지가 되기 전까지 GNU 시스템을 위해 자체적으로 개발되었다.
데비안 GNU/Hurd와 Arch Hurd 등의 GNU Hurd 기반 운영체제가 개발되었다.
2. 1. Hurd 커널의 특징
Hurd는 Linux-libre가 공식적인 GNU 패키지가 되기 전, GNU 시스템을 위해 GNU가 자체적으로 개발하던 커널이었다. 데비안 GNU/Hurd는 Debian 7.0 (Wheezy)에서 기술 프리뷰로 출시될 예정이었으나, 시스템이 충분히 성숙되지 못해 실현되지 못했다[34]. 그러나 Debian GNU/Hurd의 유지보수 담당자들은 Debian 7.0 출시에 맞춰 비공식 릴리스를 공개하기로 결정했다. Debian GNU/Hurd는 여전히 실무에 사용하기에는 성능과 안정성 문제가 있다고 여겨지며, 자바나 X.org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와 그래픽 드라이버 구현이 불충분하다는 문제도 있다[35]. Debian 패키지의 약 3분의 2가 Hurd로 이식되었다[36].2. 2. Debian GNU/Hurd

Hurd는 GNU 시스템을 위해 개발된 두 개의 공식 커널 중 하나이며, Linux-libre가 공식 GNU 패키지가 되기 전까지 유일한 공식 커널이었다. 데비안 GNU/Hurd는 데비안 7.0 Wheezy와 함께 기술 프리뷰로 출시될 예정이었으나, 시스템의 미성숙한 상태로 인해 계획이 폐기되었다.[8] 그러나 데비안 GNU/Hurd의 유지보수 담당자들은 데비안 7.0 출시일에 비공식 릴리스를 발표하기로 결정했다. 데비안 GNU/Hurd는 아직 프로덕션 시스템에서 기대되는 성능과 안정성을 제공하는 것으로 간주되지 않는다. 해결되지 않은 문제 중에는 자바 및 X.org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불완전한 구현과 제한적인 하드웨어 드라이버 지원이 있다.[9] 데비안 패키지의 약 3분의 2가 Hurd로 포팅되었다.[10]
2. 3. Arch Hurd
Arch Hurd는 Arch Linux를 GNU Hurd 시스템으로 포팅한 프로젝트로, Intel P6 아키텍처에 최적화된 패키지를 사용한다. 이 프로젝트의 목표는 GNU Hurd에서 BSD 스타일의 init 스크립트, pacman 패키지 관리자, 롤링 릴리스, 간단한 설정 등 Arch Linux와 유사한 사용자 환경을 제공하는 것이다. Arch Hurd는 최소한 가끔 사용할 정도로 안정적인 시스템을 목표로 했으며, 평가 목적으로 LiveCD를 제공하고 LiveCD 및 일반 설치 가이드를 제공했다.[11][12][13]3. Linux 커널
자유 소프트웨어 재단(FSF)과 그 지지자들은 리눅스 커널이 GNU 시스템 소프트웨어와 함께 배포되는 운영 체제를 지칭하기 위해 GNU/Linux 또는 GNU+Linux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이러한 리눅스 배포판에는 GNU 패키지 및 프로그램과 리눅스가 함께 설치된다. 이 용어가 배포판에 대해 공식적으로 사용된 가장 주목할 만한 예는 데비안 GNU/Linux이다.[14]
2018년 기준으로 GNU 프로젝트에서 일반적인 사용을 위해 권장하는 유일한 GNU 변종은 자유 시스템 배포 지침을 준수하는 리눅스 배포판이며, 대부분 "GNU/Linux"로 지칭하고 (데비안처럼) 실제로는 디블롭된 버전의 리눅스 커널 (Linux-libre 커널)을 사용하며 주류 리눅스 커널을 사용하지 않는다.
3. 1. GNU/Linux 명칭 논쟁

GNU/Linux 또는 GNU+Linux라는 용어는 FSF와 그 지지자들이 리눅스 커널이 GNU 시스템 소프트웨어와 함께 배포되는 운영 체제를 지칭하기 위해 사용한다. 이러한 리눅스 배포판은 GNU 패키지 및 프로그램과 리눅스의 주요 설치 기반이다. 이 용어가 배포판에 대해 공식적으로 사용된 가장 주목할 만한 예는 데비안 GNU/Linux이다.
2018년 기준으로 GNU 프로젝트에서 일반적인 사용을 위해 권장하는 유일한 GNU 변종은 자유 시스템 배포 지침을 준수하는 리눅스 배포판이며, 대부분 "GNU/Linux"로 지칭하고 (데비안처럼) 실제로는 디블롭된 버전의 리눅스 커널 (Linux-libre 커널)을 사용하며 주류 리눅스 커널을 사용하지 않는다.[14]
3. 2. 주요 GNU/Linux 배포판
자유 소프트웨어 재단(FSF)과 그 지지자들은 리눅스 커널과 함께 GNU의 시스템 소프트웨어를 사용하고 있음을 나타내기 위해 GNU/Linux 또는 GNU+Linux라는 단어를 사용한다. 이러한 리눅스 배포판에서는 리눅스 커널 외에도 기본적인 GNU 패키지 및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배포판 중 GNU/Linux라는 단어를 사용하는 것으로 가장 유명한 것은 데비안 GNU/Linux이다.[14]2018년 기준으로 GNU 프로젝트에서 일반적인 사용을 위해 권장하는 유일한 GNU 변종은 자유 시스템 배포 지침을 준수하는 리눅스 배포판이며, 대부분 "GNU/Linux"로 지칭하고 (데비안처럼) 실제로는 디블롭된 버전의 리눅스 커널 (Linux-libre 커널)을 사용하며 주류 리눅스 커널을 사용하지 않는다.
4. BSD 커널
Debian GNU/kFreeBSD는 IA-32 및 x86-64 컴퓨터용 운영 체제로, FreeBSD 커널에 데비안의 패키지 관리 시스템과 GNU 소프트웨어를 결합한 것이다. kFreeBSD의 'k'는 '커널(kernel)'의 약자이다.[37] 2011년 2월 6일 Debian Squeeze (6.0)로 공식 출시되었다.[38]
Debian GNU/NetBSD는 GNU 사용자 영역을 NetBSD에 이식한 실험적인 시스템으로, 공식 출시되지 않았다. IA-32[39]와 DEC Alpha[40] 아키텍처로의 이식이 진행되었지만, 2002년부터 유지 보수가 이루어지지 않아 현재는 다운로드도 불가능하다.[41]
2020년 9월 현재, GNU 프로젝트는 어떤 BSD 운영 체제도 권장하거나 지지하지 않는다.[21]
4. 1. Debian GNU/kFreeBSD

Debian GNU/kFreeBSD는 IA-32 및 x86-64 컴퓨터 아키텍처를 위한 운영 체제이다. 데비안 패키지 관리와 FreeBSD 커널을 사용하는 GNU 배포판이다. ''kFreeBSD''의 ''k''는 ''커널 오브''(kernel of)의 약자이며,[15] 완전한 FreeBSD 운영 체제의 커널만 사용한다는 사실을 반영한다. 이 운영 체제는 2011년 2월 6일 데비안 스퀴즈(6.0)와 함께 공식 출시되었다.[16] 더 이상 유지 관리되지 않는 Ging은 Debian GNU/kFreeBSD 라이브 CD 중 하나였다.[17]
4. 2. Debian GNU/NetBSD
Debian GNU/NetBSD는 GNU 사용자 공간 응용 프로그램을 NetBSD 커널에 포팅하는 실험적인 작업이었다. 공식 출시 버전은 없었지만, IA-32[18] 및 DEC Alpha[19] 아키텍처에 대한 포팅 작업이 진행되었다. 그러나 2002년부터 활발한 유지 관리가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더 이상 다운로드할 수 없다.[20]5. OpenSolaris (Illumos) 커널
넥센타 OS는 GNU 유저랜드(libc는 OpenSolaris의 것을 사용)와 데비안의 패키징 및 구성을 OpenSolaris 커널과 결합한 배포판이다. IA-32 및 x86-64 기반 시스템에서 사용할 수 있었다. 넥센타 시스템즈가 이 프로젝트를 시작하여 개발을 후원했다.[22] 넥센타 OS는 OpenSolaris libc를 사용하기 때문에 GNU 변종으로 간주되지 않는다. 여러 Illumos 배포판은 기본적으로 GNU 유저랜드를 사용한다.[23]
5. 1. 넥센타 OS
넥센타 OS는 OpenSolaris 커널에 데비안의 패키지 관리 시스템과 GNU의 사용자 공간(단, libc는 OpenSolaris의 것을 사용)을 결합한 최초의 배포판이다. 넥센타는 IA-32 및 x86-64 아키텍처 모두에서 사용할 수 있다. 이 프로젝트는 넥센타 시스템즈(Nexenta Systems)에 의해 시작되었으며, 개발에 대한 지속적인 지원을 받았다[42]。넥센타는 OpenSolaris의 libc를 사용하기 때문에 GNU의 파생으로 간주되지 않을 수도 있다. 여러 Illumos 배포판은 GNU의 사용자 공간을 기본적으로 사용한다[43]。6. XNU (Darwin) 커널
GNU 다윈 및 Darwin 문서를 참고하라.
7. Windows NT 커널
Cygwin은 윈도우를 위한 POSIX API 기능을 C 라이브러리 형태로 제공하는 호환성 계층이며, GNU 및 기타 유닉스 계열 프로그램 배포판이다. 1995년 Cygnus Solutions(현재 레드햇)에서 처음 출시되었다.
2016년 마이크로소프트와 캐노니컬은 윈도우 10에 리눅스 커널 호출을 윈도우 NT 호출로 변환하는 공식적인 호환성 계층을 추가했다. 이는 와인과 반대되는 방식이다. 이를 통해 ELF 실행 파일을 수정 없이 윈도우에서 실행할 수 있으며, 윈도우 커널 위에서 웹 개발자들에게 더 익숙한 GNU 유저랜드를 제공한다.[24][25][26] 이러한 조합은 리눅스 커널이 없지만 "Windows용 Linux"라고 불린다.
7. 1. Cygwin
Cygwin 프로젝트는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에서 POSIX API의 기능을 C 라이브러리 형태로 제공하는 호환 레이어 프로젝트로, GNU 및 기타 유닉스 계열 프로그램을 함께 제공한다. 최초 릴리스는 1995년 시그너스 솔루션스(현재 레드햇의 일부)에 의해 이루어졌다.[24]7. 2. MinGW
MinGW(Minimalist GNU for Windows)는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에서 POSIX API의 기능을 C 라이브러리 형태로 제공하는 호환 레이어 프로젝트로, GNU 및 기타 유닉스 계열 프로그램을 함께 제공한다. 1995년 레드햇의 일부인 시그너스 솔루션스에 의해 최초 릴리스되었다.7. 3. Windows Subsystem for Linux (WSL)
2016년, 마이크로소프트와 캐노니컬은 윈도우 10에 리눅스 커널 호출을 윈도우 NT 호출로 변환하는 공식적인 호환성 계층을 추가했다. 이는 와인과 반대되는 방식이다. 이를 통해 ELF 실행 파일을 수정 없이 윈도우에서 실행할 수 있으며, 윈도우 커널 위에서 웹 개발자들에게 더 익숙한 GNU 유저랜드를 제공한다.[24][25][26] 이러한 조합은 리눅스 커널이 없지만 "Windows용 Linux"라고 불린다.
참조
[1]
웹사이트
Guix: A New Package Manager & GNU Distribution - Phoronix
https://www.phoronix[...]
2018-04-02
[2]
웹사이트
Source Code & GPL Open Source
https://web.archive.[...]
2018-04-08
[3]
뉴스
The GNU Operating System
http://en.linuxrevie[...]
2018-04-02
[4]
웹사이트
Outreachy internships working with GNU Guix
https://www.outreach[...]
2018-04-02
[5]
뉴스
13 Lightweight Linux Distributions to Give Your Old PC a New Lease of Life
https://www.makeuseo[...]
2018-04-02
[6]
웹사이트
Linux and the GNU Project
https://www.gnu.org/[...]
Free Software Foundation
2007-06-19
[7]
웹사이트
What is Debian?
http://www.debian.or[...]
2007-07-11
[8]
문서
List of potential release architektures for Debian Wheezy
http://release.debia[...]
[9]
문서
GNU Hurd news
https://www.gnu.org/[...]
[10]
문서
Debian Wiki: Debian GNU/Hurd
http://wiki.debian.o[...]
[11]
간행물
Graphical livecd - Desktop packages
http://www.archhurd.[...]
2011-12-08
[12]
간행물
A month of the Hurd: CD images.
https://www.gnu.org/[...]
2011-12-08
[13]
웹사이트
The Hurd: GNU's quest for the perfect kernel
https://lwn.net/Arti[...]
2011-12-08
[14]
웹사이트
Free GNU/Linux distributions
https://www.gnu.org/[...]
2017-12-22
[15]
웹사이트
Debian GNU/kFreeBSD FAQ
http://wiki.debian.o[...]
[16]
웹사이트
Debian 6.0 Squeeze released
http://www.debian.or[...]
[17]
웹사이트
The Ging FAQ
https://web.archive.[...]
2008-02-22
[18]
웹사이트
Debian GNU/NetBSD
http://www.debian.or[...]
Debian.org
2012-07-20
[19]
웹사이트
Debian GNU/NetBSD for Alpha
http://www.debian.or[...]
Debian.org
2012-07-20
[20]
웹사이트
Debian GNU/*BSD News
http://www.debian.or[...]
Debian.org
2012-07-20
[21]
웹사이트
Explaining Why We Don't Endorse Other Systems
https://www.gnu.org/[...]
2020-09-02
[22]
웹사이트
Unix Portal:Nexenta OS - Nexenta OpenSolaris
https://web.archive.[...]
2007-06-20
[23]
웹사이트
Distributions
http://wiki.illumos.[...]
[24]
잡지
Why Microsoft Making Linux Apps Run on Windows Isn't Crazy
https://www.wired.co[...]
2018-04-08
[25]
웹사이트
Frequently Asked Questions (FAQ)
https://docs.microso[...]
2018-04-08
[26]
웹사이트
Thoughts on GNU/kWindows — GNU programs running natively on top of the Windows kernel
https://medium.com/@[...]
2018-04-08
[27]
웹사이트
Guix: A New Package Manager & GNU Distribution - Phoronix
https://www.phoronix[...]
2018-04-02
[28]
웹사이트
Source Code & GPL Open Source
https://www.snom.com[...]
2018-04-08
[29]
뉴스
The GNU Operating System
http://en.linuxrevie[...]
2018-04-02
[30]
웹사이트
Outreachy internships working with GNU Guix
https://www.outreach[...]
2018-04-02
[31]
뉴스
13 Lightweight Linux Distributions to Give Your Old PC a New Lease of Life
https://www.makeuseo[...]
2018-04-02
[32]
웹사이트
Linux and the GNU Project
https://www.gnu.org/[...]
Free Software Foundation
2007-06-19
[33]
웹사이트
What is Debian?
https://www.debian.o[...]
2007-07-11
[34]
문서
List of potential release architektures for Debian Wheezy
http://release.debia[...]
[35]
문서
GNU Hurd news
https://www.gnu.org/[...]
[36]
문서
Debian Wiki: Debian GNU/Hurd
http://wiki.debian.o[...]
[37]
웹사이트
Debian GNU/kFreeBSD FAQ
http://wiki.debian.o[...]
2019-12-07
[38]
웹사이트
Debian 6.0 Squeeze released
http://www.debian.or[...]
2019-12-07
[39]
웹사이트
Debian GNU/NetBSD
http://www.debian.or[...]
Debian.org
2012-07-20
[40]
웹사이트
Debian GNU/NetBSD for Alpha
http://www.debian.or[...]
Debian.org
2012-07-20
[41]
웹사이트
Debian GNU/*BSD News
http://www.debian.or[...]
Debian.org
2012-07-20
[42]
웹사이트
Unix Portal:Nexenta OS - Nexenta OpenSolaris
http://www.gnusolari[...]
Sponsors & Support
2007-07-22
[43]
웹사이트
Distributions
http://wiki.illumos.[...]
2019-12-07
[44]
뉴스
Why Microsoft Making Linux Apps Run on Windows Isn't Crazy
https://www.wired.co[...]
2018-04-08
[45]
웹사이트
Frequently Asked Questions (FAQ)
https://docs.microso[...]
2018-04-08
[46]
웹사이트
Thoughts on GNU/kWindows — GNU programs running natively on top of the Windows kernel
https://medium.com/@[...]
2018-04-08
[47]
웹인용
Guix: A New Package Manager & GNU Distribution - Phoronix
https://www.phoronix[...]
2018-04-02
[48]
웹인용
Source Code & GPL Open Source
https://www.snom.com[...]
2018-04-08
[49]
뉴스
The GNU Operating System
http://en.linuxrevie[...]
2018-04-02
[50]
웹인용
Outreachy internships working with GNU Guix
https://www.outreach[...]
2018-04-02
[51]
뉴스
13 Lightweight Linux Distributions to Give Your Old PC a New Lease of Life
https://www.makeuseo[...]
2018-04-02
[52]
웹인용
Linux and the GNU Project
https://www.gnu.org/[...]
Free Software Foundation
2007-07-22
[53]
웹인용
What is Debian?
http://www.debian.or[...]
2007-07-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