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arage Inc.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Garage Inc.는 1998년에 발매된 메탈리카의 커버 앨범으로, 밴드의 이전 커버곡과 새로운 커버곡들을 담고 있다. 이 앨범은 1997년 투어 이후 "블랙 앨범" 이후의 앨범들과는 다른 시도를 하고자 제작되었으며, 다이아몬드 헤드, 블랙 사바스, 블루 오이스터 컬트 등 밴드에 영향을 준 아티스트들의 곡들을 커버했다. 앨범 발매를 기념하여 "Garage Barrage Tour"가 개최되었으며, 앤톤 코르빈이 촬영한 사진을 사용한 앨범 표지와 소책자가 포함된 패키징으로 발매되었다. Garage Inc.는 평론가들로부터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으며, 빌보드 200에서 2위로 데뷔했다. 수록곡인 "Whiskey in the Jar"는 제42회 그래미상에서 최우수 하드 록 퍼포먼스 상을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메탈리카의 음반 - Beyond Magnetic
Beyond Magnetic은 메탈리카가 Death Magnetic 음반 제작 당시 녹음한 4곡을 모아 발매한 EP로, 팬들에게 선물하는 의미로 공개되었으며 상업적인 성공을 거두었다. - 메탈리카의 음반 - St. Anger
St. Anger는 2003년에 발매된 메탈리카의 여덟 번째 정규 앨범으로, 베이시스트의 탈퇴와 멤버의 알코올 중독 치료 등의 어려움 속에서 제작되었으며, 스네어 드럼 사운드와 기타 솔로 부재 등으로 비판을 받았지만 빌보드 200 차트 1위를 기록하고 그래미 어워드 최우수 메탈 퍼포먼스상을 수상했다. - 1998년 컴필레이션 음반 - The Best of 1980–1990
《The Best of 1980–1990》는 U2의 1980년대 히트곡들을 모은 베스트 앨범으로, 더블 디스크와 싱글 디스크 두 가지 버전으로 발매되어 전 세계적인 성공과 함께 여러 국가에서 높은 차트 순위와 플래티넘 인증을 받았다. - 1998년 컴필레이션 음반 - Chef Aid: The South Park Album
Chef Aid: The South Park Album은 사우스 파크 시리즈의 노래와 다양한 아티스트들의 참여곡을 모아 1998년 발매된 사운드트랙 앨범으로, 쇼에 등장하는 오리지널 곡 확장 버전과 사우스 파크에서 영감을 받은 다양한 아티스트들의 트랙이 수록되어 여러 국가에서 차트 상위권에 진입하고 플래티넘 인증을 받았다. - 메탈리카 - 제임스 헷필드
제임스 헷필드는 1963년 캘리포니아에서 태어난 미국의 음악가로, 헤비 메탈 밴드 메탈리카의 리드 보컬, 리듬 기타리스트, 공동 창립 멤버이며, 알코올 중독으로 재활 치료를 받고 공연 중 화상 사고를 겪었으며, 뛰어난 기타 연주 실력으로 많은 곡을 작곡하고 영화 등 다양한 활동을 한다. - 메탈리카 - Beyond Magnetic
Beyond Magnetic은 메탈리카가 Death Magnetic 음반 제작 당시 녹음한 4곡을 모아 발매한 EP로, 팬들에게 선물하는 의미로 공개되었으며 상업적인 성공을 거두었다.
Garage Inc. - [음악]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장르 | 헤비 메탈 하드 록 스래시 메탈 |
발매일 | 미국: 1998년 11월 24일 일본: 1998년 12월 2일 |
녹음 장소 | 디스크 1: 캘리포니아주 사우살리토 더 플랜트 스튜디오 디스크 2: 1984년 - 1995년 (여러 지역의 스튜디오) |
레이블 | 미국: 엘렉트라 레코드 영국/유럽 연합: 버티고 레코드 |
길이 | 136분 38초 |
제작 | |
프로듀서 | 제임스 헷필드 밥 락 라스 울리히 메탈리카 마크 휘태커 |
싱글 | |
싱글 1 | Turn the Page |
싱글 1 발매일 | 1998년 11월 16일 |
싱글 2 | Whiskey in the Jar |
싱글 2 발매일 | 1999년 2월 1일 |
싱글 3 | Die, Die My Darling |
싱글 3 발매일 | 1999년 6월 7일 |
관련 음반 | |
이전 음반 | Reload |
이전 음반 발매년도 | 1997년 |
다음 음반 | St. Anger |
다음 음반 발매년도 | 2003년 |
차트 성적 | |
스웨덴 | 1위 |
독일 | 1위 |
노르웨이 | 1위 |
핀란드 | 1위 |
미국 | 2위 |
호주 | 2위 |
오스트리아 | 3위 |
뉴질랜드 | 3위 |
네덜란드 | 8위 |
프랑스 | 9위 |
벨기에 (플란데런 지역) | 9위 |
스위스 | 10위 |
일본 | 18위 |
영국 | 29위 |
벨기에 (왈롱 지역) | 31위 |
2. 제작 배경
메탈리카가 샌디에고의 쿠어스 원형 극장에서 Poor Re-Touring Me 투어의 북미 일정을 마친 다음 날, 커버 앨범 녹음을 위해 스튜디오로 향했다.[6] 라르스 울리히는 "블랙 앨범을 시작으로 ''Load''와 ''ReLoad''까지 연달아 세 개의 꽤 진지한 앨범"을 낸 후, 뭔가 다른 것을 하고 싶었다고 설명했다. 다른 사람의 곡을 가져와 "[원곡 아티스트가 했던 것과는 다른, 매우 메탈리카다운] 무언가로 바꾸는" 전통이 있었기에 커버 작업을 하는 것이 더 쉬울 것이라고 생각했다.[7] 밴드는 싱글 B-사이드와 1987년 EP ''The $5.98 E.P. - Garage Days Re-Revisited'' 등 다양한 릴리스에 걸쳐 많은 커버곡을 녹음했기에, 새롭게 녹음된 커버 버전과 함께 "모두 쉽게 들을 수 있도록 깔끔하게 포장"하기로 결정했다.[7][8]
Garage Barrage Tour영어는 메탈리카가 1998년 11월에 앨범 발매를 기념하여 5번 공연한 투어이다. 커버곡이라는 콘셉트를 받아들여, 밴드의 세트리스트는 그들의 경력 전반에 걸친 커버곡들로만 구성되었다. 메탈리카의 곡들은 메탈리카 트리뷰트 밴드인 배터리(Battery)가 오프닝 밴드로 연주했다.[1]
''Garage Inc.''의 표지에는 안톤 코르빈이 촬영한 정비공 복장의 메탈리카가 등장했다. 밴드는 이 프로젝트의 내용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담은 소책자를 원했고, 디자이너 앤디 에어픽스는 샌프란시스코에 있는 울리히의 메탈리카 기념품 카탈로그를 뒤져 32페이지 분량의 소책자를 만들었다. 에어픽스는 1998년 메탈리카의 헤드샷과 트레이싱지에 적힌 트랙 목록이 담긴 ''Garage Days Re-Revisited''의 앞면을 수정하여 뒷면 표지도 디자인했다.[10]
올뮤직의 Stephen Thomas Erlewine은 5점 만점에 4점을 부여하며 "초기 메탈리카만큼 생생하지는 않지만, 로드 및 리로드보다는 들을 가치가 있다"고 평가했다.[75] ''CD저널''은 "전작, 전전작에서 새로운 방향성에 도전했던 그들이, 다음 단계로 나아가기 전에 몸을 풀고 싶어했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편안한 분위기가 느껴진다"라고 평가했다.[52]
이 앨범은 두 장의 CD로 구성되어 있으며, 첫 번째 CD는 1998년에 새로 녹음한 커버곡들을, 두 번째 CD는 이전에 발매되었던 B-사이드 및 절판된 EP 등을 수록하고 있다.
"New Recordings '98" 디스크의 11곡 중 Lynyrd Skynyrd의 "Tuesday's Gone" 버전은 예외였다. 이 곡은 1997년 12월 18일 방송된 라디오 프로그램 "Don't Call Us, We'll Call You"를 위해 Les Claypool, John Popper 및 Gary Rossington 등 여러 게스트와 함께 어쿠스틱 스튜디오 라이브로 녹음했다.[9][53][54]
앨범 타이틀은 『마스터 오브 퍼펫츠』(1986년) 수록곡 "Damage, Inc."와, 1998년 당시 절판되었던 EP 『The $5.98 E.P.: Garage Days Re-Revisited』(1987년)의 자기 패러디이다.[71] 본작에는 『메탈 가라지』의 전곡도 수록되었다.[72]
3. Garage Barrage Tour
4. 패키징
5. 반응 및 평가
''롤링 스톤''은 5점 만점에 별 4개를 주면서 "앨범은 엄청나게 하드하지만, 메탈리카의 좋은 본성이 드러나는 것을 놓칠 수 없다"고 평가했다.[17] ''엔터테인먼트 위클리''는 "메탈리카의 다음 '제대로 된' 앨범이 나와야 이 차고로의 여행이 그들의 에너지를 재충전했는지 알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모든 것을 고려해 볼 때, Garage Inc.는 때때로 신나는 기쁨의 질주다"라고 평가하며 B- 등급을 매겼다.[14] ''CMJ''는 "여전히 '메탈리카' 초기 시절의 청소년적 고뇌에 공감하는 사람들은 Garage Inc.에서 마음에 드는 것을 많이 찾을 것이다"라고 언급했다.
2005년, 이 앨범은 ''록 하드'' 잡지의 ''역대 최고의 록 & 메탈 앨범 500''에서 500위에 올랐다.[19]
미국 빌보드 200에서는 가스 브룩스의 『더블 라이브』에 밀려 첫 등장 2위를 기록했다.[73] 수록곡 「위스키 인 더 자」는 제42회 그래미상에서 최우수 하드 록 퍼포먼스상을 수상했다.[74] 독일 앨범 차트에서는 첫 등장 1위를 기록했고, 43주 연속으로 100위 안에 들었다.[56]
6. 수록곡
메탈리카가 커버한 곡들은 다음과 같다:
'''DISC 1:''' 1998년 새롭게 녹음된 곡들제목 작사/작곡 원곡 아티스트 (년도) 재생 시간 Free Speech for the Dumb - 프리 스피치 포 더 덤 켈빈 모리스, 앤서니 로버츠, 로이 웨인라이트, 개리 말로니 디스차지 (1982) 2:35 It's Electric - 잇츠 일렉트릭 숀 해리스, 브라이언 타틀러 다이아몬드 헤드 (1980) 3:33 Sabbra Cadabra - 사브라 카다브라 오지 오스본, 토니 아이오미, 기저 버틀러, 빌 워드 블랙 사바스 (1973) 6:20 Turn the Page - 턴 더 페이지 밥 시거 밥 시거 (1973) 6:06 Die, Die My Darling - 다이, 다이 마이 달링 글렌 단지그 미스피츠 (1984) 2:29 Loverman - 러버맨 닉 케이브 닉 케이브 앤 더 배드 씨즈 (1994) 7:52 Mercyful Fate - 머시풀 페이트 킹 다이아몬드, 행크 셔먼 머시풀 페이트 (1982, 1983) 11:11 Astronomy - 어스트로노미 샌디 펄먼영어, 조 부샤드, 앨버트 부샤드 블루 오이스터 컬트 (1974) 6:37 Whiskey in the Jar - 위스키 인 더 자 전통ga 씬 리지 (1972) 5:04 Tuesdays Gone - 튜스데이즈 건 로니 반 잰트, 앨런 콜린스 레너드 스키너드 (1973) 9:05 The More I See - 더 모어 아이 씨 켈빈 모리스, 피터 파틸, 로이 웨인라이트, 개리 말로니 디스차지 (1984) 4:49
'''DISC 2:'''제목 원곡 아티스트 비고 Helpless - 헬프리스 다이아몬드 헤드 The $5.98 E.P.: Garage Days Re-Revisited (1987) 수록 The Small Hours - 더 스몰 아워스 홀로코스트 The $5.98 E.P.: Garage Days Re-Revisited (1987) 수록 The Wait - 더 웨이트 킬링 조크 The $5.98 E.P.: Garage Days Re-Revisited (1987) 수록 Crash Course in Brain Surgery - 크래시 코스 인 브레인 서저리 벗지 The $5.98 E.P.: Garage Days Re-Revisited (1987) 수록 Last Caress / Green Hell - 라스트 카레스/그린 헬 미스피츠 The $5.98 E.P.: Garage Days Re-Revisited (1987) 수록 Am I Evil? - 앰 아이 이블? 다이아몬드 헤드 Creeping Death 싱글 B-Side (1984) 수록 Blitzkrieg - 블리츠크리크 블리츠크리크 Creeping Death 싱글 B-Side (1984) 수록 Breadfan - 브레드팬 벗지 B-Sides & One-Offs (1988–1991), 《Harvester of Sorrow》 싱글 수록 The Prince - 더 프린스 다이아몬드 헤드 B-Sides & One-Offs (1988–1991), 《Harvester of Sorrow》 싱글 및 《...And Justice For All》 일본판 앨범 보너스 트랙 수록 Stone Cold Crazy - 스톤 콜드 크레이지 퀸 B-Sides & One-Offs (1988–1991), 《Enter Sandman》 싱글 수록 So What? - 소 왓 Anti-Nowhere League B-Sides & One-Offs (1988–1991), 《The Unforgiven》 싱글 및 《Metallica》 일본판 앨범 보너스 트랙 수록 Killing Time - 킬링 타임 Sweet Savage B-Sides & One-Offs (1988–1991), 《The Unforgiven》 싱글 수록 Overkill - 오버킬 모터헤드 Motörheadache (1995) 수록 Damage Case - 데미지 케이스 모터헤드 Motörheadache (1995) 수록 Stone Dead Forever - 스톤 데드 포에버 모터헤드 Motörheadache (1995) 수록 Too Late Too Late - 투 레이트 투 레이트 모터헤드 Motörheadache (1995) 수록
6. 1. DISC 1
이 앨범을 위해 1998년 9월부터 10월까지 녹음된 곡들이다 ("Tuesday's Gone" 제외).[6] 라르스 울리히는 "블랙 앨범"부터 ''Load''와 ''ReLoad''까지 연달아 세 개의 꽤 진지한 앨범"을 낸 후, 뭔가 다른 것을 하고 싶었다고 설명했다.[7] 다른 사람의 곡을 가져와 "[원곡 아티스트와는 다른, 매우 메탈리카다운] 무언가로 바꾸는" 전통이 있었기에 커버 작업이 더 쉬웠다.[7]
제목 | 작사/작곡 | 원곡 아티스트 (년도) | 재생 시간 |
---|---|---|---|
Free Speech for the Dumb | Garry Maloney, Kevin "Cal" Morris, Tony "Bones" Roberts, Roy "Rainy" Wainwright | 디스차지 (1982) | 2:36 |
It's Electric | Sean Harris, Brian Tatler | 다이아몬드 헤드 (1980) | 3:34 |
Sabbra Cadabra | 오지 오스본, 토니 아이오미, 기저 버틀러, 빌 워드 | 블랙 사바스 (1973) | 6:20 |
Turn the Page | 밥 시거 | 밥 시거 (1973) | 6:06 |
Die, Die My Darling | 글렌 단지 | 미스피츠 (1984) | 2:29 |
Loverman | 닉 케이브 | 닉 케이브 앤 더 배드 씨즈 (1994) | 7:53 |
Mercyful Fate | 킹 다이아몬드, Hank Shermann | 머시풀 페이트 (1982, 1983) | 11:11 |
Astronomy | 조 부샤드, 앨버트 부샤드, 샌디 펄먼 | 블루 오이스터 컬트 (1974) | 6:37 |
Whiskey in the Jar | Traditional arr. 에릭 벨, 브라이언 다우니, 필 라이노트 | 전통 (inspired by 씬 리지's version in 1972) | 5:05 |
Tuesdays Gone | 앨런 콜린스, 로니 반 잔트 | 레너드 스키너드 (1973) | 9:06 |
The More I See | Maloney, Morris, Peter "Pooch" Purtill, Wainwright | 디스차지 (1984) | 4:49 |
- "Sabbra Cadabra"는 블랙 사바스의 곡 "A National Acrobat"의 일부분을 포함하고 있다.
- "Mercyful Fate"는 "Satan's Fall", "Curse of the Pharaohs", "A Corpse Without Soul", "Into the Coven", "Evil"의 메들리이다.
- "Tuesday's Gone"은 1997년 12월 18일 KSJO에서 방송된 "Don't Call Us, We'll Call You" 라디오 방송 중에 녹음되었다.[20]
- "The More I See"는 3:23에 끝나고 잠시 침묵 후 로빈 트로워의 동명의 앨범에 수록된 "Bridge of Sighs"의 짧은 세그먼트가 히든 트랙으로 포함되어 있다.
- "Free Speech for the Dumb", "Loverman", "Astronomy", "The More I See", "Bridge of Sighs"는 라이브로 연주된 적이 없다.[21]
6. 2. DISC 2
메탈리카가 밴드 초창기 시절에 영감을 받았던 아티스트들의 B-사이드 곡들을 모아놓은 것이다.[7][8]메탈리카는 샌디에이고의 쿠어스 원형 극장에서 Poor Re-Touring Me 투어의 북미 일정을 마친 다음 날, 커버 버전의 새 앨범 녹음을 시작하기 위해 스튜디오로 향했다.[6] 라르스 울리히는 "블랙 앨범을 시작으로 ''Load''와 ''ReLoad''까지 연달아 세 개의 꽤 진지한 앨범"을 낸 후, 뭔가 다른 것을 하고 싶어했다고 말했다. 다른 사람의 곡을 가져와서 "[원곡 아티스트가 했던 것과는 다른, 매우 메탈리카다운] 무언가로 바꾸는" 전통이 있었기에 커버 작업을 하는 것이 더 쉬웠다고 설명했다.[7]
제목 | 원곡 아티스트 | 비고 |
---|---|---|
Helpless | 다이아몬드 헤드 | The $5.98 E.P.: Garage Days Re-Revisited (1987) 수록 |
The Small Hours | 홀로코스트 | The $5.98 E.P.: Garage Days Re-Revisited (1987) 수록 |
The Wait | 킬링 조크 | The $5.98 E.P.: Garage Days Re-Revisited (1987) 수록 |
Crash Course in Brain Surgery | 벗지 | The $5.98 E.P.: Garage Days Re-Revisited (1987) 수록 |
Last Caress / Green Hell | 미스피츠 | The $5.98 E.P.: Garage Days Re-Revisited (1987) 수록, 아이언 메이든의 〈Run to the Hills〉 끝부분 패러디 포함[6] |
Am I Evil? | 다이아몬드 헤드 | Creeping Death 싱글 B-Side (1984) 수록 |
Blitzkrieg | 블리츠크리크 | Creeping Death 싱글 B-Side (1984) 수록 |
Breadfan | 벗지 | B-Sides & One-Offs (1988–1991), 《Harvester of Sorrow》 싱글 수록 |
The Prince | 다이아몬드 헤드 | B-Sides & One-Offs (1988–1991), 《Harvester of Sorrow》 싱글 및 《...And Justice For All》 일본판 앨범 보너스 트랙 수록[1] |
Stone Cold Crazy | 퀸 | B-Sides & One-Offs (1988–1991), 《Enter Sandman》 싱글 수록[1] |
So What? | Anti-Nowhere League | B-Sides & One-Offs (1988–1991), 《The Unforgiven》 싱글 및 《Metallica》 일본판 앨범 보너스 트랙 수록, 한국 라이선스 판에서는 심의 때문에 도입부 욕설 삐 소리 처리[1] |
Killing Time | Sweet Savage | B-Sides & One-Offs (1988–1991), 《The Unforgiven》 싱글 수록 |
Overkill | 모터헤드 | Motörheadache (1995) 수록 |
Damage Case | 모터헤드 | Motörheadache (1995) 수록 |
Stone Dead Forever | 모터헤드 | Motörheadache (1995) 수록 |
Too Late Too Late | 모터헤드 | Motörheadache (1995) 수록 |
6. 2. 1. The $5.98 E.P. - Garage Days Re-Revisited (1987)
메탈리카가 초창기에 커버했던 곡들을 모아 놓은 EP이다.수록곡은 다음과 같다.[1]
곡명 | 원곡 아티스트 | 원곡 수록 앨범 (발매 연도) |
---|---|---|
Helpless | 다이아몬드 헤드 | Lightning to the Nations (1980년) |
The Small Hours | 홀로코스트 | Live (Hot Curry & Wine) (1983년) |
The Wait | 킬링 조크 | Killing Joke (1980년) |
Crash Course in Brain Surgery | 벗지 | In for the Kill (1974년) |
Last Caress/Green Hell | 미스피츠 | Beware (1980년) / Earth A.D./Wolfs Blood (1983년) |
〈Last Caress / Green Hell〉은 아이언 메이든의 곡 〈Run to the Hills〉의 끝부분을 패러디했다.[6]
6. 2. 2. Creeping Death B-사이드 (1984)
메탈리카가 Creeping Death 싱글 B-Side로 1984년에 발표한 곡들이다.제목 | 작사/작곡 | 원곡 아티스트 | 재생 시간 |
---|---|---|---|
Am I Evil? | 숀 해리스(Sean Harris), 브라이언 태틀러(Brian Tatler) | 다이아몬드 헤드 (1980) | 7:50 |
Blitzkrieg | 이안 존스(Ian Jones), 짐 시로토(Jim Sirotto), 브라이언 로스(Brian Ross) | 블리츠크리크 (1981) | 3:37 |
6. 2. 3. B-사이드 및 미수록곡 (1988–1993)
Breadfan영어, The Prince영어, Stone Cold Crazy영어, So What영어, Killing Time영어은 1988년에서 1993년 사이에 메탈리카가 커버한 곡들이다.- Breadfan영어과 The Prince영어는 《Harvester of Sorrow》 싱글에 수록되었다. The Prince영어는 《...And Justice For All》 일본판 앨범 보너스 트랙으로도 수록되었다.[1]
- Stone Cold Crazy영어는 《Enter Sandman》 싱글에 수록되었다.[1]
- So What?영어과 Killing Time영어은 《The Unforgiven》 싱글에 수록되었다. So What?영어은 《Metallica》 일본판 앨범 보너스 트랙으로도 수록되었으며, 한국 라이선스 판에서는 심의 때문에 도입부 욕설이 '삐' 소리로 처리되었다.[1]
제목 | 원곡 아티스트 | 수록 싱글/앨범 |
---|---|---|
Breadfan영어 | 벗지 | 《Harvester of Sorrow》 싱글 |
The Prince영어 | 다이아몬드 헤드 | 《Harvester of Sorrow》 싱글, 《...And Justice For All》 일본판 앨범 |
Stone Cold Crazy영어 | 퀸 | 《Enter Sandman》 싱글 |
So What?영어 | Anti-Nowhere League | 《The Unforgiven》 싱글, 《Metallica》 일본판 앨범 |
Killing Time영어 | Sweet Savage | 《The Unforgiven》 싱글 |
6. 2. 4. Motörheadache (Hero of the Day 한정판 CD 싱글 B-사이드) (1996)
Overkill영어[13], Damage Case영어[14], Stone Dead Forever영어[15], Too Late Too Late영어[16]는 모터헤드의 곡을 커버한 것이다. 이 곡들은 1995년 더 플랜트 스튜디오에서 라이브로 녹음되었다.[13]7. 참여 인물
'''메탈리카'''
- 제임스 헷필드 - 보컬, 기타[76]
- 라스 울리히 - 드럼[76]
- 커크 해밋 - 기타[76]
- 제이슨 뉴스테드 - 베이스, 백 보컬[76]
- 클리프 버튼 - 베이스 (‘Am I Evil?’, ‘Blitzkrieg’)[76]
'''〈Tuesday's Gone〉 참여 게스트'''[76]
- 페퍼 키넌 (코로전 오브 컨포미티) - 리드 보컬
- 제리 캔트렐(앨리스 인 체인스) - 기타
- 숀 키니(앨리스 인 체인스) - 타악기
- Jim Martin(페이스 노 모어) - 기타
- John Popper (블루스 트래블러) - 하모니카
- 게리 로싱턴 (레너드 스키너드) - 기타
- Les Claypool (프라이머스) - 밴조
'''스탭'''[76]
음반 | 역할 | 담당 |
---|---|---|
DISC 1 | 프로듀서 | 밥 락, 제임스 헷필드, 라스 울리히 |
기술자 | Randy Staub, Brian Dobbs | |
보조 기술자 | Chris Manning, Kent Matcke, Leff Lefferts | |
디지털 에디트 | Paul DeCarli, Mike Gillies | |
녹음, 믹싱 | The Plant 스튜디오 (트랙 10 제외) | |
믹싱 | Randy Staub, Mike Fraser | |
마스터링 | 조지 마리노 (Sterling Sound) | |
DISC 2 | 프로듀서(1~7, 10) | 메탈리카 |
기술자(1~5) | Csaba "The Hut" Petocz | |
프로듀서(6, 7) | Mark Whitaker | |
기술자(6, 7) | Jeffrey "Nick" Norman | |
기술자(8, 9) | 마이크 클링크, Toby "Rage" Wright | |
믹싱(8, 9) | 플레밍 라스무센 | |
기술자(10) | Toby "Rage" Wright | |
프로듀서(11, 12) | 밥 락, 제임스 헷필드, 라스 울리히 | |
기술(11, 12), 믹싱(13~16) | Randy Staub | |
공통 | 리마스터링(13~16) | 조지 마리노 (Sterling Sound) |
기타 | 앨범 디자인 | Andie Airfix(Satori) |
앨범 커버 사진, 32페이지 부클릿 | 안톤 코르빈 | |
앨범 뒷 커버 사진 | Ross Halfin | |
사진 | Mark Leialoha | |
라이너 노츠 | David Fricke |
8. 차트 성적
순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