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Guckkasten (음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Guckkasten》은 2010년 4월 20일에 발매된 밴드 국카스텐의 정규 1집 앨범이다. 기존에 발매되었던 《Before Regular Album》의 데이터 손실로 인한 미흡한 완성도를 보완하기 위해 재녹음, 재편곡 과정을 거쳐 발매되었다. 앨범에는 〈거울〉, 〈미로〉, 〈꼬리〉 등 총 13곡이 수록되어 있으며, 앨범 수록곡과 참여 스텝에 대한 정보가 담겨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국카스텐의 음반 - Tagträume
    Tagträume는 국카스텐의 수록곡으로, 연주곡 〈Tagträume〉는 음반 버전과 음원 버전이 다르며, 앨범 재킷 디자인은 최규석이, 앨범 프로듀싱은 국카스텐이 담당했다.
  • 국카스텐의 음반 - Guckkasten (Before Regular Album)
    《Guckkasten (Before Regular Album)》은 2008년에 발매된 밴드 국카스텐의 데뷔 앨범으로, 하현우가 작사, 작곡에 참여하고 국카스텐 멤버들이 편곡한 12곡이 수록되어 있으며, 하드디스크 손상 사고 이후 팬들의 요청으로 임시 CD를 토대로 발매되었고, 초회반은 1500장 한정판으로 제작되었다.
  • 국카스텐 - Time After Time
    Time After Time 공연은 12월 30일과 31일에 걸쳐 1부, 2부, 앵콜곡으로 구성되었으며, 이청희(기타), 에이브(키보드), 김훈식(퍼커션), 이예랑(가야금), 안찬섭(코러스) 등의 세션 멤버가 참여했고, 12월 31일 공연에는 아리랑 세션 연주가 특별 공연으로 추가되었다.
  • 국카스텐 - Tagträume
    Tagträume는 국카스텐의 수록곡으로, 연주곡 〈Tagträume〉는 음반 버전과 음원 버전이 다르며, 앨범 재킷 디자인은 최규석이, 앨범 프로듀싱은 국카스텐이 담당했다.
  • 2010년 음반 - 〈라지온!〉스페셜!
    《라지온!》스페셜!은 TV 애니메이션 《케이온!》의 웹 라디오 프로그램 《라지온!》의 특별판 CD로, 《케이온!》과 《라지온!》의 활동을 돌아보는 총집편 형식이며, 성우들의 악기 연습 과정, 에피소드, 공개 녹음 이벤트 등이 담겨있다.
  • 2010년 음반 - Chasing the Grail
    《Chasing the Grail》은 2010년 발매된 포지의 헤비 메탈 앨범으로, 히트시커스 차트 6위에 올랐으며 하드 록과 헤비 메탈의 균형, 다채로운 곡 구성, 그리고 다양한 세션 뮤지션 참여로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Guckkasten (음반) - [음악]에 관한 문서
음반 정보
가수명국카스텐
국카스텐 - Guckkasten
발매년월일2010년 4월 20일
포맷CD
음반 종류정규 음반
장르
언어한국어
길이62:31
레이블미러볼 뮤직
프로듀서국카스텐
음반 순서
이전 음반Guckkasten (Before Regular Album) (2009년)
현재 음반Guckkasten (2010년)
다음 음반FRAME (2014년)

2. 배경

기존에 발매된 《Before Regular Album》은 녹음 과정 중 데이터 손실로 인해 음반 완성도를 완벽하게 구현하지 못한 채 발매되었다. 2010년 4월 20일, 전곡을 재녹음・재편곡하여 국카스텐만의 독창적인 사운드를 펼칠 수 있게 되면서 진정한 국카스텐 정규 1집으로 재탄생되었다. 루비살롱 레코드는 이전 앨범 구매자들을 위해 리레코딩 앨범으로 교환해주는 리콜제를 시행하였으며, 앨범 교환 행사는 발매일인 2010년 4월 20일부터 2개월간 진행되었다. 이전 앨범과는 재생 시간과 트랙 배치가 다르며, 히든 트랙인 〈꼬리〉의 어쿠스틱 버전이 추가된 것을 제외하면 앨범 전체 수록곡은 같다.

3. 수록곡


4. 참여 스텝

역할이름
프로듀서국카스텐
녹음 스튜디오톤 스튜디오 (Tone Studio)
녹음이태섭, 고정은, 임홍진
믹싱, 마스터링김대성
앨범 아트워크민영, 혜영, 현우
사진마인팩토리 김지영
이그제큐티브 프로듀서이규영
모든 곡 작곡국카스텐
모든 곡 작사하현우


5. 곡 해석

사전적 의미해석
거울물체의 형상을 비추어 볼 수 있게 만든 물건거울 속에 비친 자아의 균열과 상실, 혼란을 노래한 곡이다.
Violet Wand (바이올렛 완드)(특히 마법사, 점쟁이의) 제비꽃 지팡이절망과 고통으로 가득 찬 불안정한 삶에서 벗어나고 싶은 마음을 노래한 곡이다.
미로방향을 알 수 없게 되어 있는 길인생의 불확실성과 혼란을 은유하는 곡이다.
Faust (파우스트)독일의 문호 괴테가 악마와 계약한 파우스트의 전설을 극화한 희곡괴테의 《파우스트》를 읽고 쓴 곡으로, 권태에서 벗어나기 위한 한 남자의 절규를 표현했다.
Rafflesia (라플레시아)나무 뿌리에 기생하는 악취 나는 거대한 꽃라플레시아 아르놀디(Rafflesia arnoldii)라는 식물에 하현우가 스스로를 비유해 표현한 곡이다.
Vitriol (비트리올)황산염의 옛 용어파울로 코엘료의 소설 《베로니카, 죽기로 결심하다》에 나오는 비트리올 중독에서 영감을 받아 쓴 곡으로, 사람을 무기력하게 만드는 증세를 통해 어리고 여린 자신을 위로하는 노래이다.
Gavial (가비알)인도 악어전규호의 기타 멜로디를 하현우가 따라 부르다 만들어진 곡으로, 하현우가 군 복무 시절 꿈에서 영감을 받아 작곡했다.
Limbo (림보)(limbusla로부터 유래된) 지옥의 변방삶과 죽음의 경계, 불확실한 현실을 표현한 곡이다.
Mandrake (만드레이크)맨드레이크라고 불리는 인간이 되고 싶어하는 전설 속 식물맨드레이크를 통해 불완전함 속에서 완벽을 추구하는 자신의 모습을 형상화하여 노래했다.
Sink Hole (싱크홀)거대한 땅꺼짐 현상자신이 소유하고 있던 모든 것들이 한순간에 사라져버릴 수 있다는 허무함을 표현한 곡이다.
꼬리동물의 꽁무니에 가늘고 길게 내밀어 뻗친 부분도마뱀의 꼬리처럼 계속해서 자라나는 욕망과 망상을 꼬리에 비유해 표현한 곡이다.
Toddle (토들)아장아장 걷다김기범과 하현우가 경기도 안산에서 강원도 횡성까지 걸어갔던 경험을 바탕으로 만들어진 곡으로, 삶의 여정을 아장아장 걷는 아기에 비유하여 표현하였다.


5. 1. 거울

Mirror영어는 거울 속에 비친 자아의 균열과 상실, 혼란을 노래한 곡으로, 중독성 있는 기타 리프가 특징이다. 하현우는 샤워하러 목욕탕에 들어갔다가 거울을 보고 영감을 얻어 이 곡을 작곡했다고 밝혔다.

하현우는 "국카스텐 결성 초기에 만들어진 곡으로, 거울에 투영된 자아의 균열과 상실, 혼란을 노래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5. 2. Violet Wand

Violet Wand영어는 절망과 고통으로 가득 찬 불안정한 삶에서 벗어나고 싶은 마음을 담은 곡이다. 하현우는 "불안정한 삶의 질곡에서 벗어나고 싶지만, 자신과 상대방에게 절망과 고통을 안기며 스스로를 조금씩 갉아먹는 우리들의 모습을 노래했다"라고 밝혔다. 또한 "이 노래가 시작할 때 기타 연주는 앙칼지고, 베이스 연주는 능청스럽습니다. 곡의 후반으로 갈수록 두려움을 향해 끝없이 질주하고 분열하는 느낌으로 표현해보았다"라고 덧붙였다.

5. 3. 미로

〈미로〉는 방향을 알 수 없게 되어 있는 길, 즉 미로를 통해 인생의 불확실성과 혼란을 은유하는 곡이다.

5. 4. Faust

괴테의 희곡 《파우스트》에서 영감을 받아 쓴 곡으로, 권태에서 벗어나기 위한 한 남자의 절규를 표현했다. 하현우는 "삶이 앞에 있다. 시선을 거꾸로 할 때 그 때 삶 속에 죽음이 보인다"라는 글귀를 모토로 이 곡을 만들었으며, 권태와 죽음, 그리고 본능적으로 눈이 떠지는 찰나의 깨어남을 노래했다고 밝혔다.

5. 5. Rafflesia

다른 식물의 뿌리나 줄기에 기생하며 심한 악취를 풍기는 라플레시아 아르놀디(Rafflesia arnoldii)라는 식물에 하현우가 스스로를 비유해 표현한 곡이다.

5. 6. Vitriol

파울로 코엘료의 소설 《베로니카, 죽기로 결심하다》에 나오는 '비트리올 중독'에서 영감을 받아 쓴 곡이다. 비트리올 증후군은 사람을 무기력하게 만드는 증세로, 학교 졸업 후 직장을 얻고, 차를 사고, 결혼하여 아이를 낳아 잘 살고 있음에도 왜 그런지에 대해 잘 모르게 된다고 한다. 이 곡은 스스로를 고장 난 불량품이라 여기며 방 안에서 유령이 되어버린, 어리고 여린 자신을 위로하는 노래이다. 원망하듯 터지는 후렴이 듣는 이의 가슴을 저미게 만드는 눈물과도 같은, 마술 같은 곡이라고 한다.

5. 7. Gavial

이 곡은 전규호의 기타 멜로디를 하현우가 따라 부르다 만들어졌다. 하현우는 군 복무 시절 꿈에서 작은 악어 세 마리를 보았는데, 그 악어를 외할머니 앞마당에 울타리를 쳐서 기르는 꿈이었다. 꿈에서 악어에게 먹다 남은 쓰레기를 던져 주었더니 몸집이 커져 울타리를 넘어 자신을 잡아먹었고, 잠에서 깨어 인상 깊었던 내용을 적어 나가면서 이 곡을 썼다고 한다.

5. 8. Limbo

limbusla로부터 유래된 지옥의 변방을 뜻하며, 삶과 죽음의 경계, 불확실한 현실을 표현한 곡이다.

5. 9. Mandrake

맨드레이크는 인간이 되고 싶어하는 전설 속 식물이다. 하현우는 맨드레이크를 통해 불완전함 속에서 완벽을 추구하는, 아직도 너무나 많은 것이 결핍되어 있는 자신의 모습을 형상화하여 노래했다.

5. 10. Sink Hole

거대한 땅꺼짐 현상인 싱크홀을 통해, 자신이 소유하고 있던 모든 것들이 한순간에 사라져버릴 수 있다는 허무함을 표현한 곡이다. 하현우는 "우리가 평소 소유하고 있다고 믿고 있던 자신을 둘러싼 혹은 이미 자신을 완성시킨 소유물들이 어느 한 순간 남김없이 사라질 수 있다는 내용이에요."라고 설명했다.

5. 11. 꼬리

도마뱀의 꼬리처럼 계속해서 자라나는 욕망과 망상을 꼬리에 비유해 표현한 곡이다. 하현우는 "내재된 욕망과 쾌락의 덩어리, 허상의 갈취, 착각과 이기심을 잘라도 잘라도 계속해서 자라나 '이리저리 흔들어대는 꼬리'로 형상화시켜 표현했습니다."라고 설명했다.

5. 12. Toddle

이 곡은 국카스텐의 멤버 김기범과 하현우가 경기도 안산에서 강원도 횡성까지 걸어갔던 경험을 바탕으로 만들어졌다. 삶의 여정을 아장아장 걷는 아기에 비유하여 표현하였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