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HD 104985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HD 104985는 헨리 드레이퍼 목록에 등재된 별로, 2015년 국제천문연맹(IAU)의 NameExoWorlds 캠페인을 통해 'Tonatiuh'라는 고유한 이름을 얻었다. 이 별은 아즈텍 신화의 태양신 Tonatiuh의 이름을 따 명명되었으며, 2003년에 발견된 외계 행성 HD 104985 b를 거느리고 있다. HD 104985 b는 'Meztli'라는 이름을 부여받았으며, 아즈텍 신화의 달 여신 Meztli의 이름을 따 명명되었다. 일본 관측팀에 의해 발견된 이 행성은 목성의 8.3배 이상의 질량을 가지며, 199.505일의 공전 주기를 갖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린자리 - NGC 2403
    NGC 2403은 윌리엄 허셜이 발견한 M81 은하군 소속의 정면나선은하로, 800만 광년 거리에 있으며, 국부 은하군 너머에서 세페이드 변광성이 처음 발견되었고, 활발한 별 형성 활동과 왜소 은하 동반, 그리고 밝은 청색 변광성들을 포함한다.
  • 기린자리 - 글리제 445
    지구에서 약 17.1 광년 떨어진 적색 왜성인 글리제 445는 태양 질량의 4분의 1에서 3분의 1 정도이며 표면 온도와 밝기가 낮고 X선원으로 알려져 있으며, 보이저 1호가 약 4만 년 후 1.6 광년 이내로 접근할 것으로 예상된다.
  • G형 거성 - 마차부자리 SU
    마차부자리 SU는 추가 정보가 필요한 천체로, 구체적인 특성 및 분류가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아 학계에 의미 있는 기여를 하지 못하고 있다.
  • G형 거성 - 쌍둥이자리 카파
    쌍둥이자리 카파는 폴룩스 근처에 위치한 G형 거성이며, 분광 쌍성일 가능성이 있고 약 6억 년 된 별로 추정되며, 중국에서는 '재화로서의 장작'을 의미하는 '적신'이라 불렸다.
  • 행성계 - 태양계
    태양계는 태양을 중심으로 행성, 위성, 왜행성, 소행성, 혜성 등 다양한 천체들이 중력으로 묶여 있는 항성계로, 약 46억 년 전 분자운의 붕괴로 형성되었으며 지구형 행성, 목성형 행성, 카이퍼 대, 오르트 구름 등을 포함하고 탐사를 통해 구성과 역사가 밝혀지고 있다.
  • 행성계 - 폴룩스 (항성)
    폴룩스는 쌍둥이자리에 있는 밝은 오렌지색 거성으로, 태양 질량의 두 배, 반지름의 아홉 배에 달하며 외계 행성 폴룩스 b를 거느리고 있다.
HD 104985
기본 정보
명칭HD 104985
다른 이름Tonatiuh 토나티우
FK5 451
GC 16514
HD 104985
BD+77° 461
HIP 58952
HR 4609
NLTT 29548
SAO 7500
별자리기린자리
겉보기 등급5.78
위치 (J2000.0)
특징
분광형G8.5IIIb
색 지수 (B-V)1.029
변광성 여부알려지지 않음
수평가지해당
움직임
시선 속도-20.34 km/s
고유 운동 (적경)147.183 mas/yr
고유 운동 (적위)-92.464 mas/yr
연주 시차9.9280 mas
절대 등급0.85
물리적 특성
질량1.22 태양 질량
반지름10.64 태양 반지름
광도51 태양 광도
표면 온도4685 K
금속 함량-0.36
표면 중력2.43
나이4.39 Gyr

2. 명칭

HD 104985는 헨리 드레이퍼 목록에 등재된 별이다. 2003년에 발견된 이 행성은 HD 104985 b로 명명되었다. 2014년 7월, 국제천문연맹(IAU)은 NameExoWorlds 절차를 시작하여 특정 외계 행성과 그 모항성에 고유한 이름을 부여했다. 이 절차에는 새로운 이름에 대한 대중의 지명과 투표가 포함되었다. 2015년 12월, IAU는 이 별과 행성의 이름으로 각각 Tonatiuh와 Meztli를 선정했다고 발표했다.

2016년, IAU는 별의 고유 이름을 목록화하고 표준화하기 위해 IAU 별 이름 워킹 그룹(WGSN)을 조직했다. WGSN은 2016년 7월 첫 번째 회보에서 2015년 NameExoWorlds 캠페인에서 채택된 이름들을 포함하여 외계 행성과 그 모항성의 이름을 공식적으로 인정했다. 이 별은 현재 IAU 별 이름 목록에 등재되어 있다.

2. 1. 어원

'''토나티우'''(Tonatiuh영어)는 아즈텍 신화에 등장하는 태양의 신 토나티우](Tonatiuh)에서 유래했다. 2015년

3. 행성 발견

HD 104985는 헬륨을 연료로 사용하는 황색 거성이다. 국립천문대 오카야마 관측소 팀이 2년간 관측하여 거성으로는 처음으로 외계 행성을 발견했다.[1] 이 행성은 일본아시아에서 처음으로 일본 관측팀이 발견한 최초의 태양계 외 행성이다.

3. 1. HD 104985 b (메츠틀리)

2003년에 발견된 후 이 행성은 HD 104985 b로 명명되었다. 2014년 7월, 국제천문연맹(IAU)은 특정 외계 행성과 그 모항성에 고유한 이름을 부여하는 절차인 NameExoWorlds를 시작했다. 이 절차에는 새로운 이름에 대한 대중의 지명과 투표가 포함되었다. 2015년 12월, IAU는 이 행성에 대한 이름으로 Meztli가 선정되었음을 발표했다.

선정된 이름은 멕시코 모렐로스의 Sociedad Astronomica Urania가 제출한 것이었다. 'Meztli'는 아즈텍의 여신이었다.

이 행성은 이심률 0.09로 원에 가까운 궤도를 가지며, 궤도장반경은 0.95au, 질량은 목성의 8.3배 이상, 공전 주기는 199.505일이다. 일본아시아에서 처음으로, 일본의 관측팀이 발견한 최초의 태양계 외 행성이다.

HD 104985 b (메츠틀리)의 궤도
항목
질량 (MJ)>8.3
주기 (일)199.505 ± 0.085
궤도 장반경 (AU)0.95
이심률0.090 ± 0.0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