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HD 41004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HD 41004는 K1V형 주계열성인 HD 41004 A와 적색 왜성 HD 41004 B로 구성된 이중성계이다. HD 41004 A는 겉보기 등급 8.65의 오렌지색 별이며, HD 41004 B는 겉보기 등급 12.33의 적색 왜성이다. HD 41004 A에는 목성 질량의 2.56배에 달하는 외계 행성 HD 41004 Ab가 존재하며, HD 41004 B에는 HD 41004 Bb라는 갈색 왜성이 존재하는데, Bb는 발견 당시 알려진 어떤 외계 행성보다 모항성에 가까이 붙어 공전하는 천체였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화가자리 - HD 40307
    HD 40307은 지구에서 42광년 떨어진 오렌지색 왜성으로, 태양 질량의 약 75%이며, 2008년 3개의 슈퍼지구 발견 후 2012년 추가 발견으로 총 6개의 행성을 거느리고 있고, 일부 행성은 생명체 거주가능 영역에 위치한다.
  • 화가자리 - 캅테인의 별
    캅테인의 별은 야코뷔스 캅테인이 발견한 큰 고유 운동을 보이는 준왜성이었으나, 현재는 슈퍼지구형 외계 행성 존재가 부정되고 있다.
  • K형 주계열성 - 백조자리 61
    백조자리 61은 11.36광년 거리에 있는, 큰 고유 운동과 시차 측정으로 유명한 '베셀의 별'이라고도 불리는 K형 주계열성 쌍성계이다.
  • K형 주계열성 - 허큘리스자리 14
    허큘리스자리 14는 태양 질량의 약 98%를 가진 K0V형 적색 왜성으로, 최소 두 개의 행성(14 헤르쿨리스 b, 14 헤르쿨리스 c)을 거느리고 있으며, 세 번째 행성 후보도 존재하나 별의 자기 활동과 관련되었을 가능성이 있고, 14 헤르쿨리스 c에 대한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을 이용한 직접 영상 관측이 계획되어 있다.
  • M형 주계열성 - 적색왜성
    적색왜성은 태양 질량의 8%~50% 정도의 작고 차가운 별로, 느린 핵융합 속도로 수명이 매우 길며 우주에서 가장 흔한 별이지만, 외계행성의 생명체 거주 가능성은 여러 요인으로 논란이 있다.
  • M형 주계열성 - 황새치자리 AB
    황새치자리 AB는 두 개의 쌍성계가 상호작용하며 공전하는 사중성계로, 주성 A는 강력한 자기장과 흑점 활동을 보이며, B와 C, 그리고 B는 Ba와 Bb로 나뉘는 반성을 가지고 황새치자리 AB 이동성군에 속한다.
HD 41004
관측 정보
기원J2000
별자리화가자리
적경05시 59분 49.65018초
적위-48° 14′ 22.8883″
겉보기 등급8.65 (8.82 + 12.51)
특징
분광형K1V + M2V
B-V 색 지수0.887 ± 0.013
변광성해당 없음
측성 정보
시선 속도+42.36 ± 0.14 km/s
고유 운동 (적경)−43.418 (± 0.115) mas/yr
고유 운동 (적위)+65.333 (± 0.123) mas/yr
시차25.6106 ± 0.1043 mas
절대 등급5.60
세부 정보
출처Sousa2018
구성 요소 1A
구성 요소 2B
질량0.89 ± 0.07 M☉
질량20.4 M☉
반지름1.04 ± 0.02+0.03 R☉
광도0.629 ± 0.008 L☉
표면 중력4.34 ± 0.11
온도5255 ± 52 K
금속 함량0.15 ± 0.03
자전 속도1.0 ± 1.2 km/s
나이해당 없음
식별 부호
명칭CD−48°2083
HD 41004
HIP 28393
PPM 310291
SAO 217660
WDS J05598-4814
SIMBADHD+41004

2. 구성원

HD 41004 시스템은 주성 A와 동반성 B, 그리고 각각의 동반 천체로 이루어져 있다.

주성 A 주위에는 2004년 Zucker 연구진이 발견한 외계 행성 HD 41004 Ab가 공전하고 있다.

동반성 B 주위에는 갈색 왜성으로 추정되는 HD 41004 Bb가 공전한다. 이 천체는 발견 당시 모항성에 매우 가까이 붙어 공전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2020년 Bb의 자기권에서 사이클로트론 복사를 탐색했지만 발견되지 않았는데, 이는 행성의 자기장이 약하거나 관측 당시 방출 원뿔이 지구를 향하지 않았기 때문일 수 있다.[2]

2. 1. HD 41004 A

주성 HD 41004 '''A'''는 오렌지색 주계열성으로 분광형은 K1V이며, 겉보기 등급은 8.65이다. 이 항성 주위에서는 2004년 HD 41004 Ab 행성이 발견되었다. 이 행성은 주성으로부터 약 1.70 천문 단위 떨어져 공전한다.

2. 1. 1. HD 41004 Ab

HD 41004 '''Ab'''는 최소 질량이 목성 질량의 2.54 ± 0.74 배에 해당하는 외계 행성이다. 이 행성은 어머니 항성 HD 41004 A로부터 평균 1.70 천문단위(AU) 떨어져 있으며, 공전 주기는 963 ± 38일이다.

HD 41004 Ab는 Zucker 등 연구진에 의해 발견되어 2004년에 발표되었다. 이 행성의 가장 큰 특징은 궤도 이심률이 0.74 ± 0.20으로 매우 크다는 점이다. 이는 동반성 HD 41004 B의 중력적 영향 때문으로 추정되며, 이로 인해 HD 41004 Ab는 항성에 가장 가까울 때는 0.44 AU까지 접근했다가 가장 멀 때는 2.96 AU까지 물러나는 극단적인 타원 궤도를 그린다.

2. 2. HD 41004 B

HD 41004 '''B'''는 겉보기 등급 12.33의 적색 왜성으로 분광형은 M2V이다. 이 별은 갈색 왜성으로 추정되는 동반 천체 HD 41004 Bb를 거느리고 있다.

2. 2. 1. HD 41004 Bb

HD 41004 Bb는 갈색 왜성으로 분류될 수 있는 천체로, 어머니 항성인 HD 41004 B에 매우 가까이 붙어 돌고 있다. 발견 당시에는 알려진 어떤 외계 행성이나 갈색 왜성보다도 어머니 항성에 가까이 공전하는 천체였다. 어머니 항성과의 거리는 0.0177 AU이며, 공전 주기는 약 1.3(정확히는 1.328300 ± 0.000012일)에 불과하다. 공전 속도는 초당 145km로, 이는 지구 공전 속도의 약 5배에 달하는 빠른 속도이다. HD 41004 Bb의 최소 질량은 목성 질량의 18.37 ± 0.22배 이상으로 추정되며, 궤도 이심률은 0.081 ± 0.012로 거의 원형에 가깝다. 이처럼 낮은 이심률은 동반성 HD 41004 A의 중력 영향을 받음에도 불구하고, 어머니 항성 HD 41004 B로부터 받는 강한 기조력이 이를 상쇄하기 때문인 것으로 설명된다.

2020년, 이 천체의 자기권에서 사이클로트론 복사를 탐색하려는 시도가 있었으나 관측되지 않았다. 이는 HD 41004 Bb의 자기장이 약하거나, 관측 당시 방출 원뿔이 지구 방향을 향하지 않았기 때문일 수 있다.[2]

3. 발견 및 연구

HD 41004 Ab 행성은 Zucker 연구진에 의해 발견되어 2004년에 발표되었다. 이 행성의 최소 질량은 목성 질량의 2.56배 이상이며, 주성인 HD 41004 A로부터 약 1.70 천문 단위(AU) 떨어진 거리에서 공전한다. 공전 주기는 약 963일이며, 궤도 이심률은 0.74로 매우 높은 편이다.

HD 41004 A b의 궤도 요소
요소
질량≥2.54 ± 0.74 MJ
공전 주기 (P)963 ± 38 일
긴반지름 (a)1.70 AU
이심률 (e)0.74 ± 0.20



HD 41004 Bb는 갈색 왜성으로, 발견 당시 알려진 어떤 외계 행성이나 갈색 왜성보다 동반성인 HD 41004 B에 더 가까이 공전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공전 거리는 약 0.0177 AU에 불과하며, 공전 주기는 약 1.3일, 공전 속도는 145 km/s에 달한다. 주성 HD 41004 A의 중력 영향에도 불구하고, HD 41004 Bb의 궤도는 동반성 HD 41004 B의 강한 조석 효과로 인해 거의 원형을 유지한다. 2020년에는 Bb의 자기권에서 방출될 것으로 예상되는 사이클로트론 복사를 탐색했지만 발견되지 않았다. 이는 이 갈색 왜성의 자기장이 약하거나, 관측 당시 방출 방향이 지구를 향하지 않았을 가능성을 시사한다.[2]

HD 41004 B b의 궤도 요소
요소
질량≥18.37 ± 0.22 MJ
공전 주기 (P)1.328300 ± 0.000012 일
긴반지름 (a)0.0177 AU
이심률 (e)0.081 ± 0.012


참조

[1] 논문 Orbital Stability of Circumstellar Planets in Binary Systems
[2] 논문 In search of radio emission from exoplanets: GMRT observations of the binary system HD 410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