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HD 4208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HD 4208은 외계 행성 HD 4208 b를 거느린 항성이다. 2001년 케크 망원경을 이용한 시선 속도 측정으로 HD 4208 b가 발견되었다. HD 4208 b는 목성보다 약간 작은 질량을 가지며, 궤도 이심률이 작아 원에 가까운 궤도를 돈다. 2019년 국제천문연맹(IAU)의 Name ExoWorlds 프로젝트를 통해 HD 4208은 '코치볼카', HD 4208 b는 '숄로틀란'으로 명명되었다. 이 이름들은 니카라과의 호수 이름에서 유래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각가자리 - 조각가자리 은하
    조각가자리에 위치한 막대 나선 은하인 조각가자리 은하(NGC 253)는 1783년 캐롤라인 허셜에 의해 발견되었으며, 조각가자리 은하군에서 가장 밝고, 우리 은하에서 비교적 가까워 관측이 용이하며, 중심부의 초대질량 블랙홀과 활발한 별 형성 활동이 특징이다.
  • 조각가자리 - NGC 300
    NGC 300은 조각가자리에 위치한 Sc형 나선 은하로, 국부 은하군 바깥 가장자리에 있으며 풀려 있는 나선팔, 밝은 성단, 활발한 별 형성 활동, 그리고 다양한 종류의 별들과 가스, 먼지, 성운, 성단 등의 구성 요소를 가지고 있고, NGC 300-OT와 SN 2010da를 비롯한 여러 신성과 초신성이 발견되었다.
  • G형 주계열성 - 뱀자리 람다
    뱀자리 람다는 태양 질량의 약 2.7배인 분광형 A2V 주계열성으로, 외계 행성 람다 뱀자리 b를 거느리고 있으며 과거 분광 쌍성일 가능성이 있었으나 현재는 외계 행성계로 확인되었다.
  • G형 주계열성 - 센타우루스자리 알파
    센타우루스자리 알파는 지구에서 가장 가까운 별계인 삼중성계로, 태양과 유사한 황색 왜성 A(리길 켄타우루스)와 A보다 작고 어두운 오렌지색 왜성 B(톨리만), 그리고 멀리 떨어져 중력적으로 연결된 적색 왜성 C(프록시마 센타우리)로 구성되어 있으며, 프록시마 센타우리 주위를 도는 두 개의 행성이 확인되었다.
  • 행성계 - 태양계
    태양계는 태양을 중심으로 행성, 위성, 왜행성, 소행성, 혜성 등 다양한 천체들이 중력으로 묶여 있는 항성계로, 약 46억 년 전 분자운의 붕괴로 형성되었으며 지구형 행성, 목성형 행성, 카이퍼 대, 오르트 구름 등을 포함하고 탐사를 통해 구성과 역사가 밝혀지고 있다.
  • 행성계 - 폴룩스 (항성)
    폴룩스는 쌍둥이자리에 있는 밝은 오렌지색 거성으로, 태양 질량의 두 배, 반지름의 아홉 배에 달하며 외계 행성 폴룩스 b를 거느리고 있다.
HD 4208
기본 정보
별칭코시볼카
별자리조각가자리
적경00시 44분 26.6507초
적위-26도 30분 56.4582초
겉보기 등급7.78
분광형G7V Fe-1 CH-0.5
B-V 색지수0.664 ± 0.004
시선 속도+56.77 ± 0.09 km/s
고유 운동 (적경)313.484 ± 0.064 밀리초/년
고유 운동 (적위)149.500 ± 0.047 밀리초/년
연주시차29.2163 밀리초각
절대 등급5.23
특징
질량0.883 ± 0.024 M☉
반지름0.846 ± 0.028 R☉
표면 중력 (log g)4.501 ± 0.036
광도0.71 ± 0.004 L☉
표면 온도5717 ± 33 K
금속 함량 ([Fe/H])-0.28 ± 0.02
나이6.6 ± 2.1 Gyr
자전 속도4.4 km/s
식별 정보
명칭코시볼카
기타 명칭BD-27°223, GJ 9024, HD 4208, HIP 3479, LTT 410, SAO 166526
데이터베이스 식별자 (SIMBAD)HD+4208
데이터베이스 식별자 (ARICNS)02478
데이터베이스 식별자 (EPE)HD+4208
행성계
행성b / 숄로틀란
질량0.810 ± 0.014/0.015 Mjup (최소)
공전 주기832.97 ± 2.15/1.89 일
궤도 장반축1.662 ± 0.015 AU
궤도 이심률0.042 ± 0.039/0.029

2. 행성계

2001년, 케크 망원경을 이용한 시선 속도 측정 결과, HD 4208 주위를 공전하는 외계 행성 HD 4208 b가 발견되었다.

HD 4208 b의 궤도
변수
최소 질량> 0.804 ± 0.073 MJ
공전 주기828.0 ± 8.1 일
궤도 장반경1.650 ± 0.096 AU
이심률0.052 ± 0.040


2. 1. HD 4208 b

HD 4208 b는 켁 망원경을 이용해 캘리포니아-카네기 행성탐사팀이 발견한 외계 행성이다. 이 행성은 목성보다 약간 질량이 작지만, 이는 최소 질량값에 기반한 것으로 궤도경사각이 밝혀질 경우 그 질량은 목성보다 훨씬 더 클 가능성이 있다. 어머니 항성으로부터의 거리는 1.67 AU태양 ~ 화성 거리보다 조금 더 멀다. 공전궤도 이심률은 매우 작아 정원에 가깝다. 이 행성에 지구 정도 질량의 큰 위성이 존재한다고 해도, 생명체가 자라나기에는 온도가 너무 낮을 것으로 보고 있다. 만약 이 존재한다고 하더라도, 마치 목성의 위성 유로파처럼 얼어 있는 표면 밑에 물이 존재할 것으로 보고 있다.

2. 1. 1. 물리적 특징

HD 4208 b는 켁 망원경을 이용, 캘리포니아-카네기 행성탐사팀이 발견하였다. 이 행성은 목성보다 약간 질량이 작지만, 이는 최소 질량값에 기반한 것으로 궤도경사각이 밝혀질 경우 그 질량은 목성보다 훨씬 더 클 가능성이 있다. 어머니 항성으로부터의 거리는 1.67 AU태양 ~ 화성 거리보다 조금 더 멀다. 공전궤도 이심률은 매우 작아 정원에 가깝다. 불운하게도 만약 이 행성에 지구 정도 질량의 큰 위성이 존재한다고 해도, 생명체가 자라나기에는 온도가 너무 낮을 것으로 보고 있다. 만약 이 존재한다고 하더라도, 마치 목성의 위성 유로파처럼 얼어 있는 표면 밑에 물이 존재할 것으로 보고 있다.

HD 4208 b의 궤도
변수
최소 질량> 0.804 ± 0.073 MJ
공전 주기828.0 ± 8.1 일
궤도 장반경1.650 ± 0.096 AU
이심률0.052 ± 0.040


2. 1. 2. 궤도

HD 4208 b는 켁 망원경을 이용하여 캘리포니아-카네기 행성탐사팀이 발견하였다. 이 행성은 목성보다 약간 질량이 작지만, 이는 최소 질량값에 기반한 것으로 궤도경사각이 밝혀질 경우 그 질량은 목성보다 훨씬 더 클 가능성이 있다. 어머니 항성으로부터의 거리는 1.67 AU태양 ~ 화성 거리보다 조금 더 멀다. 공전궤도 이심률은 매우 작아 정원에 가깝다. 불운하게도 만약 이 행성에 지구 정도 질량의 큰 위성이 존재한다고 해도, 생명체가 자라나기에는 온도가 너무 낮을 것으로 보고 있다. 만약 이 존재한다고 하더라도, 마치 목성의 위성 유로파처럼 얼어 있는 표면 밑에 물이 존재할 것으로 보고 있다.

b (솔로틀란)
질량> 0.804 ± 0.073 MJ
공전 주기828.0 ± 8.1 일
긴반지름1.650 ± 0.096 AU
궤도 이심률0.052 ± 0.040



2. 1. 3. 생명체 존재 가능성

HD 4208 b는 켁 망원경을 이용, 캘리포니아-카네기 행성탐사팀이 발견하였다. 이 행성은 목성보다 약간 질량이 작지만, 이는 최소 질량값에 기반한 것으로 궤도경사각이 밝혀질 경우 그 질량은 목성보다 훨씬 더 클 가능성이 있다. 어머니 항성으로부터의 거리는 1.67 천문단위태양 ~ 화성 거리보다 조금 더 멀다. 공전궤도 이심률은 매우 작아 정원에 가깝다. 불운하게도 만약 이 행성에 지구 정도 질량의 큰 위성이 존재한다고 해도, 생명체가 자라나기에는 온도가 너무 낮을 것으로 보고 있다. 만약 이 존재한다고 하더라도, 마치 목성의 위성 유로파처럼 얼어 있는 표면 밑에 물이 존재할 것으로 보고 있다.

3. 명칭

2019년 국제천문연맹의 "IAU100 Name ExoWorlds 프로젝트"를 통해 HD 4208계는 니카라과에 배정되었다. 니카라과는 국내 공모를 통해 해당 항성계의 이름을 제안했고, 국제천문연맹은 2019년 12월 17일 이를 승인하였다. 이에 따라 HD 4208은 코치볼카, HD 4208 b는 숄로틀란으로 명명되었다. 이 이름들은 니카라과에 있는 널리 알려진 수역의 나와틀어 명칭에서 유래했다.

3. 1. 니카라과의 명명

2019년 국제천문연맹의 "IAU100 Name ExoWorlds 프로젝트"로 HD 4208 항성계는 니카라과에 배정되었다. 니카라과는 국내 공모를 통해 해당 항성계의 이름을 제안했고, 국제천문연맹은 2019년 12월 17일 이를 승인하였다. 이에 따라 HD 4208은 코치볼카, HD 4208 b는 숄로틀란으로 명명되었다.

3. 1. 1. 어원

2019년, 전 세계 모든 국가 또는 지역에 하나의 외계 행성계를 명명할 기회를 제공하는 "IAU100 Name ExoWorlds 프로젝트"에서 HD 4208계는 니카라과에 할당되었다. 이 프로젝트는 "국제천문연맹 100주년 사업"의 일환으로, 니카라과 국내에서 선정된 외행성과 그 주성에 고유명을 국제천문연맹(IAU)에 제안하여 승인받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2019년 12월 17일, IAU는 최종 결과를 발표했고, HD 4208은 '''코치볼카''', HD 4208 b는 '''숄로틀란'''으로 명명되었다. 이 이름들은 니카라과에 있는 널리 알려진 수역의 나와틀어 명칭에서 유래했다. 코치볼카는 중앙 아메리카 최대의 호수인 니카라과 호의 나와틀어 호칭이며, 숄로틀란은 신의 상징 및 동물의 피난처를 상징하는 니카라과에서 두 번째로 큰 호수인 마나과 호의 나와틀어 호칭이다.

참조

[1] 웹사이트 Approved names http://www.nameexowo[...] 2020-01-02
[2] 웹사이트 International Astronomical Union {{!}} IAU https://www.iau.org/[...] 2020-01-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