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He's the DJ, I'm the Rapper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He's the DJ, I'm the Rapper》는 DJ Jazzy Jeff & The Fresh Prince의 1987년 데뷔 힙합 앨범이다. 이 앨범은 샘플링과 인용 기법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힙합 음악의 특징을 잘 보여주며, "Brand New Funk" 등의 싱글로 상업적 성공을 거두었다. 앨범은 LP, 카세트 테이프, CD 등 다양한 형태로 발매되었으며, CD 버전에서는 일부 트랙이 제외되기도 했다. 음악 평론가들로부터 엇갈린 평가를 받았지만, 빌보드 차트 등에서 높은 순위를 기록하며 힙합 음악의 발전에 기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자이브 레코드 음반 - The Love Movement
    A Tribe Called Quest의 1998년 앨범 《더 러브 무브먼트》는 미니멀한 R&B와 재즈 사운드를 기반으로 사랑을 테마로 하며, 여러 아티스트의 피처링 참여, 발매 전 그룹 해체 발표, 상업적 성공, 골드 인증, 그래미상 후보 지명, 한국 힙합 영향, 표절 논란 등의 특징을 가진다.
  • 자이브 레코드 음반 - Beats, Rhymes and Life
    A Tribe Called Quest의 1996년 앨범 《비츠, 라임스 앤드 라이프》는 멤버 구성 및 음악적 변화와 더불어 다양한 주제의 가사로 호평과 비판을 동시에 받았으며, 상업적 성공을 거두었다.
  • 1988년 음반 - Rattle and Hum
    《Rattle and Hum》은 U2의 1987년 조슈아 트리 투어를 기록한 다큐멘터리 영화 사운드트랙이자 라이브 앨범으로, 라이브 공연과 새로운 스튜디오 녹음을 통해 비틀즈, 밥 딜런, B.B. 킹 등 여러 아티스트의 곡을 재해석하며 미국 뿌리 음악에 대한 밴드의 탐구와 음악적 전환점을 보여준다.
  • 1988년 음반 - It Takes a Nation of Millions to Hold Us Back
    퍼블릭 에너미의 두 번째 정규 앨범인 It Takes a Nation of Millions to Hold Us Back은 더 밤 스쿼드의 혁신적인 프로듀싱, 척 D의 사회 비판적인 가사, 플래버 플래브의 독특한 스타일이 결합되어 힙합 역사에 큰 영향을 미친 앨범으로, 평론가들의 극찬과 상업적 성공을 거두며 '역대 최고의 앨범'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
He's the DJ, I'm the Rapper - [음악]에 관한 문서
음반 정보
종류스튜디오
아티스트DJ 재지 제프 & 더 프레시 프린스
음반 커버
음반 커버
발매일1988년 3월 29일
녹음 년도1987년
녹음 장소배터리, 런던, 영국
스튜디오 4, 필라델피아
장르힙합
길이72:19 (CD)
85:10 (LP 및 카세트)
레이블자이브
RCA
프로듀서DJ 재지 제프
더 프레시 프린스
피트 "Q" 해리스
브라이언 "척" 뉴
이전 음반Rock the House
이전 음반 발매일1987년
다음 음반And in This Corner...
다음 음반 발매일1989년
싱글
싱글 1Brand New Funk
싱글 1 발매일1987년 12월 2일
싱글 2Parents Just Don't Understand
싱글 2 발매일1988년 2월 17일
싱글 3A Nightmare on My Street
싱글 3 발매일1988년 8월 1일
평가
올뮤직링크
크리스트가우의 소비자 가이드B−
피치포크7.2/10
스푸트니크뮤직4/5

2. 음악적 특징

''He's the DJ, I'm the Rapper''는 힙합 역사상 최초의 더블 앨범으로, DJ Jazzy Jeff & The Fresh Prince의 음악적 특징을 잘 보여준다. 이 앨범은 전반적으로 밝고 경쾌한 분위기를 유지하며, 팝 랩 스타일을 기반으로 한다.

프레시 프린스(The Fresh Prince)의 랩은 명확한 발음과 뛰어난 스토리텔링 능력이 특징이다. 그는 Parents Just Don't Understand와 같이 일상적인 경험이나 청소년기의 고민을 유머러스하고 재치 있게 풀어내어 많은 공감을 얻었다. 가사는 욕설이나 폭력적인 내용 없이 건전하고 라디오 친화적이어서, 당시 다른 힙합 그룹들과 차별화되었다.

재지 제프(Jazzy Jeff)의 역할 역시 앨범의 성공에 결정적이었다. 그는 혁신적인 스크래칭 기술과 정교한 비트 메이킹 실력을 선보였다. 특히 다양한 장르의 음악을 샘플링하여 풍성하고 다채로운 사운드를 만들어냈으며, 이는 앨범의 음악적 깊이를 더했다. 그의 디제잉은 단순한 반주를 넘어 곡의 중요한 부분을 구성하는 요소로 작용했다.

이 앨범은 멜로디 라인이 비교적 명확하고 리듬이 흥겨워 힙합 팬뿐만 아니라 일반 대중에게도 쉽게 다가갈 수 있었다. 당시 주류였던 하드코어 랩이나 정치적 메시지가 강한 힙합과는 다른, 대중적이고 유쾌한 접근 방식으로 힙합 음악의 저변을 넓히는 데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2. 1. 샘플링 및 인용


  • '''"A Nightmare on My Street"'''
  • * 찰스 번스타인의 영화 ''나이트메어'' 주제가

  • '''"As We Go"'''
  • * 허니 드리퍼스의 "Impeach the President"

  • '''"Parents Just Don't Understand"'''
  • * 피터 프램튼의 "Won't You Be My Friend"

  • '''"Live At Union Square (November 1986)"'''
  • * 셰릴 린의 "Got to Be Real"
  • * 인크레더블 봉고 밴드의 "Apache"
  • * 허먼 켈리 앤 라이프의 "Dance To The Drummer's Beat"

3. 싱글

이 앨범의 첫 번째 싱글인 "Brand New Funk"는 홍보용으로만 발매되어 상업적인 성공을 거두지는 못했다. 그러나 두 번째 싱글인 "Parents Just Don't Understand"는 최초의 그래미상 랩 퍼포먼스 부문을 수상하는 쾌거를 이루었으며, 미국 빌보드 핫 100 차트에서 12위까지 올랐다.[8] 앨범의 세 번째 싱글인 "Nightmare on My Street" 역시 미국 빌보드 핫 100에서 15위를 기록하며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 이 곡은 원래 영화 ''나이트메어 4 - 꿈의 지배자''의 사운드트랙에 포함될 예정이었으나, 영화 제작진 측에서 최종적으로 사용하지 않기로 결정했다. 이 때문에 이후 발매된 앨범의 바이닐(LP)에는 "이 곡은 해당 영화 사운드트랙의 일부가 아니며, ''나이트메어'' 영화 시리즈와 관련된 어떠한 권한이나 라이선스, 제휴 관계도 없다"는 내용의 경고 스티커가 붙기도 했다.

4. 트랙 목록

이 앨범은 더블 앨범 형식으로 발매되었으며, 두 번째 디스크(C면과 D면)는 "보너스 스크래치 앨범"으로 표기되었다. 발매 매체(LP, 카세트, CD)에 따라 트랙 구성에 차이가 있다. 2017년에는 보너스 트랙이 포함된 2CD 세트로 재발매되었다.[9]

4. 1. 원본 LP 및 카세트 발매

더블 앨범으로 발매되었지만, C면과 D면은 "보너스 스크래치 앨범"으로 표기되었다.

'''A면'''

#제목작곡가길이
1A Nightmare on My Street윌 스미스, 제프리 타운스, 피트 해리스6:08
2Here We Go Again스미스, 타운스, 해리스4:01
3Brand New Funk스미스, 타운스4:04
4Time to Chill스미스, 타운스4:25
5Charlie Mack (First Out of the Limo)스미스, 타운스4:46



'''B면'''

#제목작곡가길이
6As We Go스미스, 타운스6:00
7Parents Just Don't Understand스미스, 타운스, 해리스5:35
8Pump Up the Bass스미스, 타운스5:13
9Let's Get Busy, Baby스미스, 타운스, 해리스4:06
10Another Special Announcement스미스, 타운스, 해리스2:12



'''C면'''

#제목작곡가길이
11Live at Union Square, November 1986 (Live)타운스4:07
12D.J. on the Wheels타운스3:36
13My Buddy스미스, 클라렌스 홈즈3:40
14Rhythm Trax-House Party Style스미스, 타운스4:39



'''D면'''

#제목작곡가길이
15Hes the D.J., Im the Rapper스미스, 타운스6:10
16Hip Hop Dancer's Theme타운스3:48
17Jazzy's in the House타운스4:10
18Human Video Game스미스, 타운스, 홈즈5:40


4. 2. 원본 CD 발매

오리지널 CD 버전에서는 "Nightmare on My Street", "As We Go", "D.J. on the Wheels" 및 마지막 네 곡("He's the D.J., I'm the Rapper", "Hip Hop Dancer's Theme", "Jazzy's in the House", "Human Video Game")이 편집된 형태로 수록되었고, "Another Special Announcement"는 완전히 제외되었다. 독일판 CD에서는 "Another Special Announcement" 대신 "Jazzy's in the House"와 "Human Video Game"이 제외되었다.

2017년 9월 8일, Real Gone Music은 소니 뮤직 엔터테인먼트로부터 라이선스를 받아 이 앨범의 완전한 바이닐 버전을 기반으로 한 2CD 세트를 재발매했다. 이 재발매 버전에는 보너스 트랙도 포함되었다.[9]

5. 평가

wikitext

전문가 평가
매체점수
AllMusic5/5[14]
Robert ChristgauB−[15]
Pitchfork7.2/10[16]
Sputnikmusic4/5[17]


6. 수상 및 인증

앨범의 두 번째 싱글인 "Parents Just Don't Understand"는 최초로 신설된 그래미상 랩 퍼포먼스 부문을 수상했으며, 미국 빌보드 핫 100 차트에서 12위를 기록했다.[8]

이 앨범은 상업적으로도 성공하여 다음과 같은 음반 판매량 인증을 받았다.

음반 판매량 인증
지역인증인증 내역
캐나다플래티넘
미국플래티넘3x 플래티넘


7. 차트 성적

이 앨범은 상업적으로 큰 성공을 거두었으며, 여러 국가의 음악 차트에서 좋은 성적을 기록했다.

앨범 발매 전 홍보용으로 공개된 첫 번째 싱글 "Brand New Funk"는 별다른 상업적 성과를 내지 못했다. 하지만 두 번째 싱글인 "Parents Just Don't Understand"는 미국 빌보드 핫 100 차트에서 12위를 기록하고, 최초의 그래미상 랩 퍼포먼스 부문을 수상하는 등 큰 성공을 거두었다.[8] 이어서 발매된 세 번째 싱글인 "Nightmare on My Street" 역시 빌보드 핫 100 차트 15위에 오르며 인기를 끌었다. 이 곡은 원래 영화 ''나이트메어 4 - 꿈의 지배자''의 사운드트랙에 포함될 예정이었으나 최종적으로 제외되었고, 이로 인해 앨범의 일부 바이닐 버전에는 관련 경고 스티커가 부착되기도 했다.

앨범 자체도 미국을 비롯한 여러 국가의 주요 음악 차트에서 상위권에 오르며 상업적 성공을 증명했다.

7. 1. 주간 차트

순위오스트레일리아 앨범 (ARIA)[10]131캐나다 앨범 (RPM)[11]97뉴질랜드 앨범47영국 앨범68미국 빌보드 2004미국 탑 R&B/힙합 앨범5


7. 2. 연말 차트

차트 (1988년)순위
미국 빌보드 200[12]27
미국 Top R&B/힙합 앨범 (빌보드)[13]14


참조

[1] 웹사이트 Recording Industry Association of America http://riaa.com/gold[...] 2015-03-29
[2] AllMusic link https://www.allmusic[...]
[3] 웹사이트 DJ Jazzy Jeff & The Fresh Prince http://www.robertchr[...] Robert Christgau 1988-03-29
[4] 웹사이트 DJ Jazzy Jeff & The Fresh Prince - He's the DJ, I'm the Rapper https://pitchfork.co[...] Pitchfork Media
[5] 웹사이트 DJ Jazzy Jeff and the Fresh Prince - He's the DJ, I'm the Rapper (album review ) - Sputnikmusic https://www.sputnikm[...]
[6] 서적 SPIN https://books.google[...] SPIN Media LLC 1999-12
[7] 웹사이트 RIAA Searchable Database - "DJ Jazzy Jeff" http://riaa.com/gold[...] Recording Industry Association of America 2008-11-10
[8] 뉴스 The Globalization of Beats & Rhymes http://www.popmatter[...] PopMatters 2006-06-20
[9] 웹사이트 Real Gone Music - News - DJ Jazzy Jeff and the Fresh Prince: He's the DJ, I'm the Rapper (Expanded Edition) (2CD-Set) http://www.realgonem[...]
[10] 웹사이트 DJ Jazzy Jeff & The Fresh Prince ARIA chart history https://imgur.com/a/[...] ARIA 2024-07-20
[11] 간행물 RPM 100 Albums http://www.collectio[...] 1988-10-15
[12] 간행물 Billboard 200 Albums – Year-End 1988 https://www.billboar[...]
[13] 간행물 1988 The Year in Music & Video https://worldradiohi[...] 1988-12-24
[14] AllMusic link https://www.allmusic[...]
[15] 웹인용 DJ Jazzy Jeff & The Fresh Prince http://www.robertchr[...] Robert Christgau 1988-03-29
[16] 웹인용 DJ Jazzy Jeff & The Fresh Prince - He's the DJ, I'm the Rapper https://pitchfork.co[...] Pitchfork Media
[17] 웹인용 DJ Jazzy Jeff and the Fresh Prince - He's the DJ, I'm the Rapper (album review ) - Sputnikmusic https://www.sputnikm[...]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