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JL-3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JL-3는 중국이 개발한 잠수함 발사 탄도 미사일(SLBM)이다. DF-41 지상형 ICBM을 잠수함 버전으로 개량한 것으로, 096형 잠수함에 탑재될 예정이다. 2018년 시험 발사를 시작했으며, 2022년 미국 해군은 094형 잠수함이 JL-3으로 재무장되었다고 보고했다. JL-3는 무게 60톤, 사거리 12,000km이며 MIRV 다탄두 10발을 탑재할 수 있다. 중국의 핵무기 정책에서 핵 보복 공격의 핵심 무기가 될 것으로 추정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화인민공화국의 핵무기 - DF-21
    DF-21은 중국의 둥펑 계획에 따라 개발된 고체 연료 방식의 중거리 탄도 미사일로, 사거리 연장과 정밀도 향상을 거쳤으며, 특히 DF-21D는 세계 최초의 대함 탄도 미사일로 미국의 항공모함 전력에 대한 접근 거부 능력 획득을 목표로 개발되어 사우디아라비아에도 수출되었다.
  • 중화인민공화국의 핵무기 - CJ-10
    CJ-10은 중국이 개발한 아음속 순항 미사일로, 최대 사거리는 1,500km이며, H-6K 폭격기에서 발사 시 3,000km까지 도달하여 하와이 미군 기지를 공격할 수 있다.
  • 잠수함 발사 탄도 미사일 - 스커드
    스커드는 소련이 개발한 단거리 탄도 미사일 시리즈로, 다양한 탄두를 탑재할 수 있으며 이동식 발사대를 이용하여 기동성을 확보했고, 여러 분쟁에서 사용되었으며, 여러 국가에서 개량형 및 파생형을 개발하여 운용하고 있다.
  • 잠수함 발사 탄도 미사일 - 대한민국의 SLBM 개발 사업
    대한민국의 SLBM 개발 사업은 북한의 핵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추진된 잠수함 발사 탄도 미사일 개발 계획으로, 2021년 SLBM 탑재 잠수함 실전 배치를 통해 SLBM 운용 능력을 확보하고 사거리를 800km까지 증강했다.
  • 중화인민공화국의 미사일 - DF-16
    DF-16은 중국이 개발한 탄도 미사일로, 2단 고체연료를 사용하며 사거리는 1,200km이고 DF-11, DF-15의 후속으로 개발되어 2010년대 초반에 실전 배치되었다.
  • 중화인민공화국의 미사일 - DF-2
    DF-2는 소련 미사일을 기반으로 중국에서 개발된 최초의 중거리 탄도 미사일로, 핵탄두 탑재를 목표로 개발되었으며 개량형인 DF-2A는 중국 최초의 핵미사일 시스템으로 실전 배치되어 핵확산 논란을 일으키기도 했다.
JL-3
개요
종류SLBM
원산지중화인민공화국
생산 정보
사용2022년
사용 국가중국인민해방군 해군
설계
설계 시기(정보 없음)
제조사(정보 없음)
생산 시기(정보 없음)
수량(정보 없음)
파생형(정보 없음)
제원
무게(정보 없음)
길이(정보 없음)
부품 길이(정보 없음)
너비(정보 없음)
높이(정보 없음)
직경(정보 없음)
승무원(정보 없음)
탄두
탄두MIRV
탄두 무게(정보 없음)
폭발 방식(정보 없음)
위력(정보 없음)
동력
엔진(정보 없음)
엔진 출력(정보 없음)
추력대중량비(정보 없음)
변속기(정보 없음)
탑재량(정보 없음)
현가 장치(정보 없음)
지상고(정보 없음)
날개폭(정보 없음)
추진체고체 연료 로켓
연료 용량(정보 없음)
사거리약 5,400해리 (9,900km)
최고 고도(정보 없음)
고도(정보 없음)
깊이(정보 없음)
부스트(정보 없음)
속도(정보 없음)
유도
유도 방식항성 관성과 베이더우
조종(정보 없음)
정확도(정보 없음)
플랫폼
발사 플랫폼094형 잠수함
수송(정보 없음)

2. 역사

DF-41 지상형 ICBM을 잠수함 버전으로 개량한 것이다. 094형 잠수함의 후속함인 096형 잠수함에 탑재될 계획이며, 096형 잠수함은 2020년 이후에 건조될 계획이다.

중국은 공개적인 핵무기 정책으로 핵선제공격인 제1격은 포기하고, 핵보복공격인 제2격만을 선언하고 있다. 제1격은 지상배치형 ICBM, 제2격은 잠수함용 SLBM이 주된 무기체계이므로, JL-3가 중국군의 핵심적인 핵무기가 될 것으로 추측된다. JL-2는 사거리가 짧아서 먼 바다로 나가기 전에는 미국 뉴욕을 타격할 수 없었지만, JL-3는 보하이 만에서 발사해서 곧바로 뉴욕까지 도달한다.

2. 1. 시험 발사

2018년 7월 5일, 중국 정부가 보하이 만 해역을 항행 금지구역으로 설정하면서 JL-3 시험발사를 한 것으로 보인다. 2018년 11월 말, 잠수함에서 최초 시험발사에 성공했으며,[8] 같은 해 11월 24일 보하이해에서 이루어진 최초 시험 발사는 발사관의 콜드 런치 사출 시스템 테스트였을 가능성이 높다.[6]

2019년 6월 2일, 오전 2시 30분부터 정오까지 보하이 만 일대를 항행 금지 구역으로 설정해 선박 통행을 제한했는데, 항행 금지 공고는 통행 제한 3분 전인 오전 2시 27분에 갑작스럽게 이루어졌다. 이는 094형 잠수함에서 JL-3 시험발사를 한 것으로 보인다.

익명의 중국 소식통에 따르면, 032형 잠수함이 처음 세 번의 시험 발사를 수행했으며, 2019년 12월에 094형 잠수함이 네 번째 발사를 수행했다.[4] 2020년, 익명의 중국 소식통은 JL-3과 096형의 개발이 미사일 개발 속도를 높이기 위해 분리되었으며, 미사일을 잠수함에 통합하는 데 최소 5년이 걸릴 것이라고 보도했다.[4]

2022년 11월, 미국 해군은 094형이 JL-3으로 재무장되었다고 보고했다.[5]

3. 제원

구분JL-1JL-2JL-3
무게15톤42톤60톤
사거리2000km8000km12000km
탄두MIRV 3발MIRV 10발



JL-3는 9000km 이상[6] 또는 10000km의 사거리를 가진 고체 연료 미사일로 알려져 있다.[1]

CSIS는 탑재량이 3개의 핵탄두일 것으로 보고 있다.[7]

4. 중국의 핵전략

중국은 공개적인 핵무기 정책으로 핵 선제공격인 제1격은 포기하고, 핵 보복공격인 제2격만을 선언하고 있다.[8] 제1격은 지상 배치형 ICBM, 제2격은 잠수함용 SLBM이 주된 무기체계이다. 즉 JL-3가 중국군의 핵심적인 핵무기가 될 것으로 추측된다. JL-2는 사거리가 짧아서 먼바다로 나가기 전에는 미국 뉴욕을 타격할 수 없었다. JL-3는 보하이 만에서 발사해서 곧바로 뉴욕까지 도달한다.

참조

[1] 간행물 Annual Report To Congress: Military and Security Developments Involving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2023 https://media.defens[...] 2023-10-19
[2] 웹사이트 China Has Put Longer-Range ICBMs on Its Nuclear Subs, US Says https://www.bloomber[...] 2022-11-18
[3] 간행물 Annual Report To Congress: Military and Security Developments Involving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2022 https://media.defens[...] 2022-11-29
[4] 뉴스 China nuclear missile development steps up a gear with test of weapon capable of hitting US mainland https://www.scmp.com[...] 2020-01-04
[5] 웹사이트 China Has Put Longer-Range ICBMs on Its Nuclear Subs, US Says https://www.bloomber[...] 2022-11-18
[6] 웹사이트 China Flight Tests New JL-3 SLBM https://missilethrea[...] Center for Strategic and International Studies 2018-12-21
[7] 논문 How is China Modernizing its Nuclear Forces? https://www.csis.org[...] 2019-12-10
[8] 뉴스 중국, 사정 1만2000km 3세대 SLBM 쥐랑-3 시험발사 성공 뉴시스 2018-12-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