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hnny I Hardly Knew Ye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Johnny I Hardly Knew Ye"는 전쟁의 비극성을 노래하는 아일랜드 민요이다. 이 노래는 전쟁으로 인해 몸과 마음이 망가진 병사의 모습을 묘사하며, 그의 아내가 그를 알아보지 못하는 상황을 통해 전쟁의 허무함과 비인간성을 강조한다. 19세기부터 불려온 이 노래는 20세기에 들어 반전 운동의 상징으로 자리 잡았으며, 조안 바에즈, 드롭킥 머피스 등 여러 음악가들에 의해 다양한 형태로 재해석되어 불렸다. 이 곡은 영화, 드라마, 게임 등 다양한 대중문화 콘텐츠에 사용되었으며, 소설의 제목으로도 활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영국령 실론 - 영국 동인도 회사
영국 동인도 회사는 1600년 설립된 무역 회사로, 초기에는 동인도 지역과의 향신료 무역을 독점했으나 인도에 집중하며 무굴 제국의 허가 하에 인도 내륙에 거점을 마련하고, 플라시 전투와 벅사르 전투 승리 후 벵골 지역 지배권을 장악하며 식민 통치 기구로 변모했으나 세포이 항쟁 이후 영국 정부에 의해 통치권이 회수되어 1874년 해산되었다. - 1867년 노래 - 하느님 아일랜드에 축복을
"하느님 아일랜드를 축복하소서"는 19세기 아일랜드 민족주의 운동의 상징으로, 아일랜드 독립에 대한 열망과 민족 정체성을 나타내는 노래이며, 역사적 사건들과 연관되어 스포츠 응원가나 대중문화 작품에도 활용되었다. - 1867년 노래 - 단풍잎이여 영원하라
"단풍잎이여 영원하라"는 1960년대 캐나다에서 큰 인기를 얻어 비공식 국가로 여겨졌으나, 프랑스계 캐나다인들의 반발과 가사 수정 과정을 거치며 캐나다 국가적 정체성 형성에 기여한 알렉산더 뮤어 작곡의 곡이다. - 권주가 - The Parting Glass
The Parting Glass는 17세기 스코틀랜드와 아일랜드에서 유래된 작별 노래로, 떠나가는 손님에게 술 한 잔을 권하는 풍습에서 비롯되었으며 다양한 음악가와 매체에서 재해석되어 널리 알려져 있다. - 권주가 - Self Esteem
Self Esteem은 오프스프링이 1994년에 발표한 앨범 《Smash》의 싱글곡으로, 여러 국가 차트 진입, 뮤직비디오 인기, 비디오 게임 및 커버 등으로 상업적 성공을 거두었다.
Johnny I Hardly Knew Ye | |
---|---|
곡 정보 | |
제목 | あのジョニーはもういない (아노 조니-와 모우 이나이) |
원제 | Johnny I Hardly Knew Ye (조니 아이 하들리 뉴 예) |
종류 | 영어 대중 전통 노래 |
발표 연도 | 1867년 |
작사가 | 조세프 B. 조지건 |
언어 | 영어 |
2. 가사
Johnny I Hardly Knew Ye영어는 여러 가수들에 의해 다양한 버전으로 불려왔다.
- "With your drums and guns and drums and guns"(드럼과 총, 드럼과 총으로)는 때때로 "With your drums and guns and guns and drums"(드럼과 총, 총과 드럼으로) 또는 "We had guns and drums and drums and guns"(우리는 총과 드럼, 드럼과 총을 가졌네)로 불리는데, 이는 드롭킥 머피스 버전에서 나타난다.
- "Why did ye run from me and the child?"(왜 나와 아이에게서 도망쳤나?)는 때때로 "Why did ye skedaddle from me and the child?"(왜 나와 아이에게서 잽싸게 도망쳤나?)로 대체된다.
- "Where are the legs with which you run?"(네가 달리던 다리는 어디 갔나?)는 때때로 "Where are the legs that used to run?"(달리던 다리는 어디 갔나?)로 대체되며, 종종 "When you went to carry a gun"(총을 가지러 갈 때)에서 "When first you went to carry a gun"(처음 총을 가지러 갈 때)로 바뀌기도 하는데, 이는 클랜시 형제가 부른 버전에서 나타난다.
- 일부 버전에서는 마지막 가사가 다음과 같이 불린다.
They're rolling out the guns again, hurroo, hurroo
They're rolling out the guns again, hurroo, hurroo
They're rolling out the guns again
But they won't take back our sons again
No they'll never take back our sons again
Johnny, I'm swearing to ye.
- 스티리 스팬은 1976년 앨범 ''로켓 코티지''에 "Fighting For Strangers"(낯선 이를 위한 싸움)라는 노래로 이 곡을 각색하여 녹음했다. 그들의 버전은 상당히 다르지만, "Johnny, what've they done to you"(조니, 그들이 너에게 무슨 짓을 한 거야) 또는 "Johnny what'll happen to you"(조니, 너에게 무슨 일이 일어날 거야)라는 후렴구를 사용한다. 다른 유사점은 마지막 절에 있다.
You haven't an arm, you haven't a leg
The enemy nearly slew you
You'll have to go out on the streets to beg
Oh, poor Johnny, what've they done to you?
- 더 클래시의 1978년 앨범 ''Give 'Em Enough Rope''에 수록된 "English Civil War"(영국 내전)는 원곡의 멜로디와 가사를 차용했다.
- 럭비 응원가 "I Met a Whore in the Park(공원에서 창녀를 만났네)"는 이 곡의 멜로디를 따른다.
- 네덜란드 노래 "Vannacht"(반나흐트)는 파테르 모에스크룬(Pater Moeskroen)에 의해 이 곡의 멜로디로 불린다.
- PJ 하비의 2011년 노래 "Let England Shake"는 "Indeed your dancing days are done"(정말로 너의 춤추는 날들은 끝났네)라는 구절을 수정하여 포함하고 있다.
- 2001년 영화 ''럭 오브 더 아이리시''의 악당들은 승리 축하 행사에서 이 노래를 불렀다.
- 피들러스 그린의 1995년 앨범 ''King Shepherd''에 수록된 "Hip Hurray"(힙 허레이)는 다른 멜로디와 추가 가사를 사용하여 원곡에 대한 반성을 담아 일부 가사를 유지했다.
- 마크 건과 제이미 하우저(Jamie Haeuser)는 2014년 앨범 ''How America Saved Irish Music''에 이 곡을 녹음했다.
2. 1. 원곡 가사
원문 | 한국어 번역 |
---|---|
2. 2. 한국어 번역 가사
사랑스러운 아시로 가는 길에, 휴루, 휴루
사랑스러운 아시로 가는 길에
내 손에는 지팡이, 눈에는 눈물
애처로운 아가씨가 울부짖는 소리가 들렸네,
조니, 당신을 거의 알아보지 못하겠어요.
드럼 소리와 총 소리, 총 소리와 드럼 소리와 함께, 휴루, 휴루
드럼 소리와 총 소리, 총 소리와 드럼 소리와 함께, 휴루, 휴루
드럼 소리와 총 소리, 총 소리와 드럼 소리와 함께
적들이 당신을 거의 죽일 뻔했지
오, 내 사랑, 당신은 너무 이상해 보여요
조니, 당신을 거의 알아보지 못하겠어요.
예전의 그 부드러운 눈은 어디 갔나요, 휴루, 휴루
예전의 그 부드러운 눈은 어디 갔나요, 휴루, 휴루
예전의 그 부드러운 눈은 어디 갔나요
내 마음을 그렇게 유혹했을 때?
왜 나와 아이를 버리고 도망쳤나요?
오 조니, 당신을 거의 알아보지 못하겠어요.
예전의 그 다리는 어디 갔나요, 휴루, 휴루
예전의 그 다리는 어디 갔나요, 휴루, 휴루
예전의 그 다리는 어디 갔나요
총을 들러 갔을 때
정말 당신의 춤추는 날은 끝났어요
오 조니, 당신을 거의 알아보지 못하겠어요.
집에 돌아온 당신을 보니 기뻐요, 휴루, 휴루
집에 돌아온 당신을 보니 기뻐요, 휴루, 휴루
집에 돌아온 당신을 보니 기뻐요
실론 섬에서 돌아왔으니
살은 없고 뼈만 남았네
오 조니, 당신을 거의 알아보지 못하겠어요.
팔도 없고, 다리도 없네, 휴루, 휴루
팔도 없고, 다리도 없네, 휴루, 휴루
팔도 없고, 다리도 없네,
팔도 없고 뼈도 없는, 닭도 없는 달걀이 되었네,
구걸할 그릇을 들고 다녀야 할 텐데,
오 조니, 당신을 거의 알아보지 못하겠어요.
또 다시 총을 꺼내고 있네, 휴루, 휴루
또 다시 총을 꺼내고 있네, 휴루, 휴루
또 다시 총을 꺼내고 있네,
하지만 다시는 우리의 아들을 데려가지 못할 거야,
아니, 다시는 우리의 아들을 데려가지 못할 거야,
조니, 맹세할게.
2. 3. 다양한 버전의 가사
Johnny I Hardly Knew Ye영어는 여러 가수들이 다양한 버전으로 불렀다.- 반복되는 후렴구 "With your drums and guns and drums and guns"(드럼과 총, 드럼과 총으로)는 때때로 "With your drums and guns and guns and drums"(드럼과 총, 총과 드럼으로) 또는 "We had guns and drums and drums and guns"(우리는 총과 드럼, 드럼과 총을 가졌네)로 불리는데, 이는 드롭킥 머피스 버전에서 나타난다.
- "Why did ye run from me and the child?"(왜 나와 아이에게서 도망쳤나?)는 때때로 "Why did ye skedaddle from me and the child?"(왜 나와 아이에게서 잽싸게 도망쳤나?)로 대체된다.
- "Where are the legs with which you run?"(네가 달리던 다리는 어디 갔나?)는 때때로 "Where are the legs that used to run?"(달리던 다리는 어디 갔나?)로 대체되며, 종종 "When you went to carry a gun"(총을 가지러 갈 때)에서 "When first you went to carry a gun"(처음 총을 가지러 갈 때)로 바뀌기도 하는데, 이는 클랜시 형제가 부른 버전에서 나타난다.
- 일부 버전에서는 마지막 가사가 다음과 같이 불린다.
:\'\'They\'re rolling out the guns again, hurroo, hurroo\'\'
:\'\'They\'re rolling out the guns again, hurroo, hurroo\'\'
:\'\'They\'re rolling out the guns again\'\'
:\'\'But they won\'t take back our sons again\'\'
:\'\'No they\'ll never take back our sons again\'\'
:\'\'Johnny, I\'m swearing to ye.\'\'
- 스티리 스팬은 1976년 앨범 ''로켓 코티지''에 "Fighting For Strangers"(낯선 이를 위한 싸움)라는 노래로 이 곡을 각색하여 녹음했다. 이 버전은 원곡과 상당히 다르지만, "Johnny, what\'ve they done to you"(조니, 그들이 너에게 무슨 짓을 한 거야) 또는 "Johnny what\'ll happen to you"(조니, 너에게 무슨 일이 일어날 거야)라는 후렴구를 사용한다. 다른 유사점은 마지막 절에 있다.
:\'\'You haven\'t an arm, you haven\'t a leg\'\'
:\'\'The enemy nearly slew you\'\'
:\'\'You\'ll have to go out on the streets to beg\'\'
:\'\'Oh, poor Johnny, what\'ve they done to you?\'\'
- 더 클래시의 1978년 앨범 ''Give 'Em Enough Rope''에 수록된 "English Civil War"(영국 내전)는 원곡의 멜로디와 가사를 차용했다.
- PJ 하비의 2011년 노래 "Let England Shake"는 "Indeed your dancing days are done"(정말로 너의 춤추는 날들은 끝났네)라는 구절을 수정하여 포함하고 있다.
- 피들러스 그린의 1995년 앨범 ''King Shepherd''에 수록된 "Hip Hurray"(힙 허레이)는 다른 멜로디와 추가 가사를 사용하여 원곡에 대한 반성을 담아 일부 가사를 유지했다.
- 마크 건과 제이미 하우저(Jamie Haeuser)는 2014년 앨범 ''How America Saved Irish Music''에 이 곡을 녹음했다.
3. 역사
"Johnny I Hardly Knew Ye"는 19세기 초에 등장한 아일랜드 민요이다. 이 노래는 전쟁에 참여한 군인이 돌아왔을 때, 그의 몸과 마음에 남은 상처를 다룬다.
이 노래는 여러 시대를 거치며 다양한 버전으로 불려왔다. 다음은 이 곡을 녹음한 가수/밴드 및 앨범의 일부이다.
연도 | 가수/밴드 | 앨범 |
---|---|---|
1959 | 토미 메이컴 | The Newport Folk Festival, Vol. 1 |
1960 | 버드 & 트래비스 | ...In Concert |
1961 | 클랜시 브라더스 앤 토미 메이컴 | |
1961 | 채드 미첼 트리오 | ("When Johnny Comes Marching Home Again"과 혼합) |
1961 | 모린 오하라 | |
1963 | 애니타 카터 | |
1965 | The Leprechauns | "14 Irish Folk Songs" |
1969 | 프리다 보카라 | Un jour, un enfant |
1972 | 미상 | To Lord Byron |
1977 | 라이언스 팬시 | Brand New Songs |
1982 | 수잔 던 | 피아노포르테와 함께하는 리사이틀[8] |
1986 | 벤자민 룩손(보컬)과 빌 크로푸트(반조) | "Folksongs at Tanglewood" |
1986 | 이스터하우스 | Contenders |
1989 | 해미쉬 임라치 | Portrait LP |
1991 | 건즈 앤 로지스 | Civil War (노래 시작 부분에서 멜로디 일부 휘파람) |
1993 | 조안 바에즈 | 희귀, 라이브 & 클래식 |
1994 | 블라드 테페스 | "Wladimir's March" (기악 인트로 트랙) |
1994 | 크랜베리스 | "좀비" (후렴구 언급)[9] |
2001 | 더 토서스 | Communication & Conviction: Last Seven Years |
2002 | 아일라 세인트 클레어 | Amazing Grace – anthems to inspire |
2002 | 페이 링겔 | Hot Chestnuts |
2002 | 글렌 야브러 | Here We Go Baby! |
2003 | 아이리쉬 로버스 | Live In Concert |
2006 | "심슨 가족" 시즌 18의 5번째 에피소드 | |
2007 | 드롭킥 머피스 | The Meanest of Times |
2008 | 카란 케이시 | Ships in the Forest |
2008 | 트레이시 스미스 | Taverns and Tall Ships |
2009 | 자니스 이안 | Essential Janis Ian |
2009 | 수잔 맥키언과 로린 스클람버그 | Saints & Tzadiks |
2011 | 두윤 | Shark in You |
2012 | Foreign Feathers | It Could Be Worse |
2012 | 빈티지 와인 | Drums and Guns |
2013 | 패티 듀크 | Patty Duke Sings Folk Songs – Time to Move On |
2013 | 산티아노 | Mit Den Gezeiten |
2013 | 마리사 앤더슨 | Traditional and Public Domain Songs |
2014 | 고르마차 | Libation |
2016 | 더 맥마이너스 | Country Cross |
2017 | 피로셔스 도그 | The Red Album |
2017 | 토이펠스탄츠 | Camera Obscura |
2019 | 더 볼로코스 | The Bolokos (숨겨진 트랙) |
2024 | 플랫라인 로커스 | Six Feet Down |
3. 1. 20세기: 반전 노래로의 변모
20세기에 들어서면서, "Johnny I Hardly Knew Ye"는 단순한 군인의 귀환을 묘사하는 노래에서 전쟁의 참혹함과 무의미함을 고발하는 반전(反戰) 노래로 그 의미가 확장되었다. 특히, 베트남 전쟁을 비롯한 여러 전쟁과 갈등 상황에서 이 노래는 반전 운동의 상징적인 노래로 자리 잡았다.조안 바에즈는 1970년대 초중반 베트남 전쟁에 반대하는 자신의 신념을 표현하기 위해 이 노래를 콘서트에서 자주 불렀다.[9] 그녀의 공연은 이 노래가 가진 반전 메시지를 널리 알리는 데 크게 기여했다. 이 외에도 여러 음악가들이 다양한 형태로 이 노래를 불렀으며, 이는 반전 및 평화 시위 현장에서 널리 불리는 계기가 되었다.
3. 2. 21세기: 현대적 재해석
드롭킥 머피스(Dropkick Murphys)는 후렴구 "With your drums and guns and drums and guns"(드럼과 총, 드럼과 총으로)를 "With your drums and guns and guns and drums"(드럼과 총, 총과 드럼으로)로 바꿔 불렀다.[1] 클랜시 형제(The Clancy Brothers)는 "When you went to carry a gun"(총을 가지러 갈 때)를 "When first you went to carry a gun"(처음 총을 가지러 갈 때)로 바꿔 불렀다.[2]스티리 스팬(Steeleye Span)은 1976년 앨범 ''로켓 코티지(Rocket Cottage)''에 "Fighting For Strangers"(낯선 이를 위한 싸움)라는 노래로 이 곡을 각색하여 녹음했는데, "Johnny, what've they done to you"(조니, 그들이 너에게 무슨 짓을 한 거야)라는 후렴구를 사용한다.[3]
더 클래시(The Clash)는 1978년 앨범 ''Give 'Em Enough Rope''(기브 뎀 이너프 로프)에 수록된 "English Civil War"(영국 내전)에서 원곡의 멜로디와 가사를 차용했다.[4]
PJ 하비(PJ Harvey)는 2011년 노래 "Let England Shake"(렛 잉글랜드 셰이크)에서 "Indeed your dancing days are done"(정말로 너의 춤추는 날들은 끝났네)라는 구절을 수정하여 포함했다.[5]
2001년 영화 ''럭 오브 더 아이리시(The Luck of the Irish)''의 악당들은 승리 축하 행사에서 이 노래를 불렀다.[6]
피들러스 그린(Fiddler's Green)은 1995년 앨범 ''King Shepherd''에 수록된 "Hip Hurray"(힙 허레이)에서 다른 멜로디와 추가 가사를 사용, 원곡에 대한 반성을 담아 일부 가사를 유지했다.
마크 건(Marc Gunn)과 제이미 하우저(Jamie Haeuser)는 2014년 앨범 ''How America Saved Irish Music''에 이 곡을 녹음했다.
케네스 오도넬과 데이비드 파워스가 쓴 책 ''우리가 거의 몰랐던 조니''(1972)는 존 F. 케네디의 짧았던 대통령직에 관한 내용을 담고 있다.
저메인 그리어의 ''아빠, 우리는 당신을 거의 몰랐어요''(런던, 1989)와 에드나 오브라이언의 ''조니, 나는 당신을 거의 몰랐어요''(런던, 1977)도 이 노래의 제목을 사용했다.
다음은 이 곡을 녹음한 가수/밴드 및 앨범 목록이다.
연도 | 가수/밴드 | 앨범 |
---|---|---|
1959 | 토미 메이컴 | The Newport Folk Festival, Vol. 1 |
1960 | 버드 & 트래비스 | ...In Concert |
1961 | 클랜시 브라더스 앤 토미 메이컴 | |
1961 | 채드 미첼 트리오 | ("When Johnny Comes Marching Home Again"과 혼합) |
1961 | 모린 오하라 | |
1963 | 애니타 카터 | |
1965 | The Leprechauns | "14 Irish Folk Songs" |
1969 | 프리다 보카라 | Un jour, un enfant |
1972 | 미상 | To Lord Byron |
1977 | 라이언스 팬시 | Brand New Songs |
1982 | 수잔 던 | 피아노포르테와 함께하는 리사이틀[8] |
1986 | 벤자민 룩손(보컬)과 빌 크로푸트(반조) | "Folksongs at Tanglewood" |
1986 | 이스터하우스 | Contenders |
1989 | 해미쉬 임라치 | Portrait LP |
1991 | 건즈 앤 로지스 | Civil War (노래 시작 부분에서 멜로디 일부 휘파람) |
1994 | 블라드 테페스 | "Wladimir's March" (기악 인트로 트랙) |
1993 | 조안 바에즈 | 희귀, 라이브 & 클래식 |
1994 | 크랜베리스 | "좀비" (후렴구 언급)[9] |
2001 | 더 토서스 | Communication & Conviction: Last Seven Years |
2002 | 아일라 세인트 클레어 | Amazing Grace – anthems to inspire |
2002 | 페이 링겔 | Hot Chestnuts |
2002 | 글렌 야브러 | Here We Go Baby! |
2003 | 아이리쉬 로버스 | Live In Concert |
2006 | "심슨 가족" 시즌 18의 5번째 에피소드 | |
2007 | 드롭킥 머피스 | The Meanest of Times |
2008 | 카란 케이시 | Ships in the Forest |
2008 | 트레이시 스미스 | Taverns and Tall Ships |
2009 | 자니스 이안 | Essential Janis Ian |
2009 | 수잔 맥키언과 로린 스클람버그 | Saints & Tzadiks |
2011 | 두윤 | Shark in You |
2012 | Foreign Feathers | It Could Be Worse |
2012 | 빈티지 와인 | Drums and Guns |
2013 | 패티 듀크 | Patty Duke Sings Folk Songs – Time to Move On |
2013 | 산티아노 | Mit Den Gezeiten |
2013 | 마리사 앤더슨 | Traditional and Public Domain Songs |
2014 | 고르마차 | Libation |
2016 | 더 맥마이너스 | Country Cross |
2017 | 피로셔스 도그 | The Red Album |
2017 | 토이펠스탄츠 | Camera Obscura |
2019 | 더 볼로코스 | The Bolokos (숨겨진 트랙) |
2024 | 플랫라인 로커스 | Six Feet Down |
4. 음악적 특징
이 노래는 경쾌하고 빠른 멜로디를 가지고 있지만, 가사의 내용은 전쟁의 비극과 참혹함을 담고 있어 대조를 이룬다. When Johnny Comes Marching Home영어과 같이 유사한 멜로디를 가진 다른 노래들과 비교되기도 한다.[7] 1961년 채드 미첼 트리오는 When Johnny Comes Marching Home Again영어과 이 곡을 혼합하여 발표하기도 했다.
5. 대중문화에 미친 영향
대중문화에서 "Johnny I Hardly Knew Ye"는 다양한 방식으로 활용되었다. 특히 영화, 드라마, 게임, 소설 등에서 이 노래의 멜로디나 가사가 차용되거나 제목이 패러디되는 경우가 많았다.
분야 | 제목 | 설명 |
---|---|---|
영화 및 드라마 | 럭 오브 더 아이리시 | 2001년 영화로 악당들이 승리 축하 행사 때 이 노래를 불렀다.[1] |
게임 | Give 'Em Enough Rope | 더 클래시의 1978년 앨범으로, 수록곡 "English Civil War"는 원곡의 멜로디와 가사를 차용했다. |
소설 | 우리가 거의 몰랐던 조니 | 케네스 오도넬과 데이비드 파워스가 1972년에 출판한 책으로, 존 F. 케네디의 짧았던 대통령직에 관한 내용을 담고 있다. |
소설 | 아빠, 우리는 당신을 거의 몰랐어요 | 저메인 그리어의 책 (런던, 1989) |
소설 | 조니, 나는 당신을 거의 몰랐어요 | 에드나 오브라이언의 책 (런던, 1977) |
5. 1. 영화 및 드라마
2001년 영화 ''럭 오브 더 아이리시(The Luck of the Irish)''에서 악당들이 승리 축하 행사 때 이 노래를 불렀다.[1]5. 2. 게임
이 노래는 게임에서 직접적으로 등장하지는 않지만, 원곡의 멜로디와 가사를 차용한 다른 노래가 게임에 사용되었다.- 더 클래시(The Clash)의 1978년 앨범 ''Give 'Em Enough Rope''(기브 뎀 이너프 로프)에 수록된 "English Civil War"(영국 내전)는 원곡의 멜로디와 가사를 차용했다.
5. 3. 소설
참조
[1]
서적
Lighter 2012
[2]
웹사이트
"Johnny I Hardly Knew Ya"
http://video.google.[...]
2021-10-23
[3]
웹사이트
JOHNNY, I HARDLY KNEW YE - Irish American Song Lyrics, MP3s, Chords, Sheet Music
http://www.irish-son[...]
2021-10-23
[4]
서적
Lighter 2012
[5]
서적
Lighter 2012
[6]
웹사이트
The Clancy Brothers & Tommy Makem – Johnny I Hardly Knew You
https://genius.com/T[...]
[7]
웹사이트
Frida Boccara - Un Jour, Un Enfant
https://www.discogs.[...]
2021-10-23
[8]
웹사이트
SUSAN DUNN - Johnny We Hardly Knew Ye
https://www.youtube.[...]
YouTube
2021-10-23
[9]
웹사이트
Internationally-famous anti-war anthem 'Johnny I hardly Knew Ye' is based on ancient Sri Lankan uprising against the British
https://www.newstrai[...]
2018-07-28
[10]
서적
ベスト・オブ・ジャニス・イアン
https://ndlsearch.nd[...]
国立国会図書館
2010-12-01
[11]
서적
反戦歌 戦争に立ち向かった歌たち
アルファベータブックス
2018-03
[12]
서적
反戦歌 戦争に立ち向かった歌たち
アルファベータブックス
2018-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