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Let England Shake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Let England Shake》는 PJ 하비의 2011년 발매 앨범이다. 이 앨범은 하비가 가사를 먼저 쓰고 곡을 붙이는 방식으로 제작되었으며, 해럴드 핀터, T.S. 엘리엇, 살바도르 달리, 프란시스코 데 고야, 더 도어스, 더 포그스, 벨벳 언더그라운드, 스탠리 큐브릭, 켄 로치, 아리 폴먼의 작품 등에서 영향을 받았다. 앨범은 영국 음반 차트 8위, 미국 빌보드 200 차트 32위에 올랐으며, 평론가들의 극찬을 받으며 2011년 최고의 앨범으로 선정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일랜드 레코드 음반 - Pop (U2의 음반)
    1997년 발매된 U2의 9번째 스튜디오 앨범 《Pop》은 전자 음악과 샘플링을 활용한 실험적인 사운드를 특징으로 하며, 긍정적 평가와 상업적 성공을 거두었으나 멤버들은 최종 결과물에 실망했고, 앨범의 실험적인 시도는 U2의 음악적 경향에 영향을 미쳤다.
  • 아일랜드 레코드 음반 - Boy (음반)
    U2의 데뷔 음반 《소년 (Boy)》는 스티브 릴리화이트가 프로듀싱하고 10대의 사춘기 전환을 주제로 실험적인 사운드 효과를 특징으로 하며, "I Will Follow"와 같은 싱글을 통해 상업적인 성공과 비평가들의 호평을 받으며 U2의 독창적인 사운드를 확립했다.
  • 2011년 음반 - Let's Fly
    B1A4의 데뷔 앨범인 Let's Fly는 타이틀곡 'O.K'를 포함한 총 6곡이 수록되었으며, 가온 앨범 차트 6위를 기록했다.
  • 2011년 음반 - 21 (아델의 음반)
    《21》은 2011년에 발매된 아델의 두 번째 스튜디오 앨범으로, 실패한 연애의 감정을 담아 분노, 슬픔, 후회 등 이별 후의 감정 변화를 보여주며, 평론가들의 극찬과 상업적 성공을 거두어 그래미상 6개 부문을 수상했다.
  • 콘셉트 음반 - In the Wee Small Hours
    1955년 프랭크 시나트라가 발표한 《In the Wee Small Hours》는 실연의 아픔과 새벽의 고독을 주제로 한 콘셉트 앨범으로, 그의 대표작 중 하나이자 "성숙한" 보컬 스타일의 시작을 알리는 작품으로 평가받으며, 넬슨 리들의 편곡과 시나트라의 개인적인 경험이 담긴 애절한 감성 표현이 특징이다.
  • 콘셉트 음반 - The Wall
    The Wall은 핑크 플로이드의 록 오페라 앨범으로, 록 스타 핑크의 삶을 통해 버려짐, 폭력, 고립과 같은 주제를 탐구하며, 멤버들의 경험을 바탕으로 제작되어 상업적 성공과 함께 다양한 형태로 각색되었다.
Let England Shake - [음악]에 관한 문서
음반 정보
PJ Harvey - Let England Shake 음반 커버
Let England Shake 음반 커버
음반명Let England Shake
음반 종류정규 음반
가수명PJ 하비
레이블아일랜드 레코드
배그런트 레코드
발매일2011년 2월 14일
녹음 기간2010년 4월–5월
장르포크 록
길이40분 15초
녹음 장소아이프 교회, 도싯 주, 영국
프로듀서플러드
믹 하비
존 패리쉬
PJ 하비
이전 음반A Woman a Man Walked By
이전 음반 발매 연도2009년
다음 음반The Hope Six Demolition Project
다음 음반 발매 연도2016년
싱글
싱글 1The Words That Maketh Murder
싱글 1 발매일2011년 2월 7일
싱글 2The Glorious Land
싱글 2 발매일2011년 4월 18일
싱글 3Written on the Forehead
싱글 3 발매일2011년

2. 배경 및 개발

하비는 이 앨범의 가사를 먼저 쓴 다음 곡을 붙였다. 그녀는 해럴드 핀터, T.S. 엘리엇의 시와 살바도르 달리와 프란시스코 데 고야의 작품, 더 도어스, 더 포그스, 벨벳 언더그라운드의 음악, 스탠리 큐브릭, 켄 로치, 아리 폴먼의 영화를 영향을 준 것으로 언급했다.[6] 또한 갈리폴리 전역을 포함한 분쟁의 역사를 연구하고, 이라크아프가니스탄의 민간인과 군인들의 현대 증언을 읽었다고 말했다.

이 앨범 작업을 하기 몇 년 전, 몇몇 솔로 공연에서 하비는 오토하프를 연주하기 시작했다. 2011년 지역 신문 《브리드포트 뉴스》에 그녀는 다음과 같이 말했다. "나는 오토하프가 내는, 이 색다르고, 방대하고, 폭넓은 사운드를 정말 즐겼어요. 꽤 섬세한 소리지만, 마치 손가락 끝에 오케스트라 전체를 가지고 있는 것 같죠. 오토하프로 많은 곡을 쓰기 시작했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이 앨범은 2년 반에 걸쳐 만들어졌기 때문에) ... 제 작곡은 다른 기타를 실험하고, 이전에 한 번도 실험해 본 적이 없는 다양한 사운드 응용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방향으로 옮겨갔어요."[6][7]

새로운 앨범의 보컬 스타일에 대해 하비는 "풍부하고 강하며 성숙한 목소리로 [그 노래들을] 부르면 완전히 잘못된 것처럼 들렸을 거예요. 그래서 천천히 그 목소리를 찾아야 했고, 이 목소리는 거의 내레이터 역할을 하면서 발달하기 시작했어요."라고 말했다.[6]

2. 1. 가사 및 작곡

PJ 하비는 앨범의 가사를 먼저 쓰고 곡을 붙였다. 해럴드 핀터, T.S. 엘리엇의 시와 살바도르 달리, 프란시스코 데 고야의 작품, 더 도어스, 더 포그스, 벨벳 언더그라운드의 음악, 스탠리 큐브릭, 켄 로치, 아리 폴먼의 영화에서 영향을 받았다고 언급했다.[6] 또한 갈리폴리 전역을 포함한 분쟁의 역사를 연구하고, 이라크아프가니스탄의 민간인과 군인들의 현대 증언을 읽었다고 말했다.[6]

몇몇 솔로 공연에서 하비는 오토하프를 연주하기 시작했다. 2011년 지역 신문 《브리드포트 뉴스》에 그녀는 "오토하프가 내는, 이 색다르고, 방대하고, 폭넓은 사운드를 정말 즐겼어요. 꽤 섬세한 소리지만, 마치 손가락 끝에 오케스트라 전체를 가지고 있는 것 같죠."라고 말했다.[6][7] 오토하프로 많은 곡을 쓰기 시작했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이 앨범은 2년 반에 걸쳐 만들어졌기 때문에) 그녀의 작곡은 다른 기타를 실험하고, 이전에 한 번도 실험해 본 적이 없는 다양한 사운드 응용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방향으로 옮겨갔다고 언급했다.[6][7]

새로운 앨범의 보컬 스타일에 대해 하비는 "풍부하고 강하며 성숙한 목소리로 [그 노래들을] 부르면 완전히 잘못된 것처럼 들렸을 거예요. 그래서 천천히 그 목소리를 찾아야 했고, 이 목소리는 거의 내레이터 역할을 하면서 발달하기 시작했어요."라고 말했다.[6]

2. 2. 악기 및 보컬 스타일

3. 녹음

2009년 3월, 하비는 스피너와의 인터뷰에서 앨범의 데모를 녹음했으며 2010년 초에 녹음할 계획이라고 밝히며 다음과 같이 언급했다. "제가 할 수 있는 말은 꽤 만족스럽다는 것입니다. 이전 작품과는 완전히 다른 것이기 때문입니다. 만약 제가 그렇게 했다면, 저에게는 성공한 셈입니다. 이미 그렇게 느끼고 있고, 행복합니다. 제 자신을 반복하지 않아서 매우 기쁩니다."[8]

하비는 2009년 중반 존 패리쉬와 함께 ''A Woman a Man Walked By'' 투어를 하던 중 베를린의 녹음 스튜디오를 찾았지만, 대신 도싯주 브리드포트 근처 아이프에 있는 세인트 피터 교회에서 녹음하기로 결정했다.[9] 그녀는 '브리드포트 뉴스'에 "현재 이 교회를 예술 공간으로 운영하는 분이 공연이나 리허설을 위해 사용하고 싶으면 언제든지 좋다고 몇 번 말씀하셨던 기억이 나서, 그분에게 접근하여 사용할 수 있는지 여쭤봤어요."라고 말했다.[6]

이 앨범은 2010년 4월과 5월에 5주 동안 교회에서 녹음되었으며,[6] 오랜 협력자인 존 패리쉬와 믹 하비가 참여했고, 플러드와 함께 공동 프로듀싱을 맡았다. 드러머 장마크 부티는 나중에 파트를 추가했다. 음반의 대부분은 라이브로 녹음되었으며,[6] 하비는 녹음을 상당히 즉흥적으로 진행했다고 묘사하며 이렇게 말했다. "그들이 자신의 감정을 담아낼 수 있도록 여지를 주고 싶었습니다. 보통 저는 모든 것을 계획하고 어떤 악기를 사용할지 알고 있었죠. 이번에는 주로 한두 개의 악기와 목소리로 노래의 데모를 만들었고, 그게 전부였습니다. 그래서 기본적으로 코드와 두어 개의 색소폰 멜로디, 몇 개의 보컬 멜로디를 가지고 교회로 갔습니다. 마치 라이브 공연을 위해 리허설을 하는 것처럼 노래를 리허설했고, 두 번 정도 리허설을 했을 때 플러드가 녹음을 시작했습니다."[6] 이 세션은 엔지니어 롭 키르완이 녹음했다.

이 앨범은 하비가 음반에서 처음으로 색소폰을 사용한 작품이다.

3. 1. 녹음 장소

PJ 하비는 2009년 중반 존 패리쉬와 함께 ''A Woman a Man Walked By'' 투어를 하던 중 베를린의 녹음 스튜디오를 찾았지만, 대신 도싯주 브리드포트 근처 아이프에 있는 세인트 피터 교회에서 녹음하기로 결정했다.[9] 2010년 4월과 5월에 5주 동안 교회에서 녹음이 진행되었는데,[6] 오랜 협력자인 존 패리쉬와 믹 하비가 참여했고, 플러드와 함께 공동 프로듀싱을 맡았다. 드러머 장마크 부티는 나중에 파트를 추가했다.[6] 음반의 대부분은 라이브로 녹음되었으며,[6] 하비는 녹음을 상당히 즉흥적으로 진행했다고 묘사했다.

3. 2. 프로듀싱 및 참여진

PJ 하비는 존 패리쉬, 믹 하비, 플러드 등 오랜 협력자들과 함께 앨범을 작업했다.[66] 이들은 프로듀싱, 연주, 믹싱 등 다양한 분야에서 앨범의 완성도를 높이는 데 기여했다.[66] 특히, 존 패리쉬와 믹 하비는 추가 프로듀서로도 참여하여 앨범의 전반적인 사운드를 구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66]

4. 발매

아일랜드 레코드사(Island Records)를 통해 첫 번째 싱글 "The Words That Maketh Murder"가 2011년 1월 17일 디지털 음원으로, 2011년 2월 7일에는 비닐 레코드(앨범 녹음 세션에서 나온 미수록곡 "The Guns Called Me Back Again"과 함께)로 발매되었다. 앨범은 2011년 2월 14일 (유럽, 기타 지역)과 2월 15일 (캐나다, 미국)에 발매되었다. 아일랜드 레코드사가 유럽, 캐나다, 기타 지역에서 앨범을 발매한 반면, 미국에서는 배그런트 레코드사(Vagrant Records)에서 발매했다. 이 앨범은 여러 플랫폼에서 디지털 다운로드, CD, 그리고 LP로 이용 가능하다.

2021년 12월, 폴리 지안 하비(Polly Jean Harvey)는 2022년 1월 28일에 앨범의 데모 디스크와 함께 앨범의 비닐 재발매를 발표했다.

4. 1. 싱글 발매

앨범 발매에 앞서 첫 번째 싱글 "The Words That Maketh Murder"가 아일랜드 레코드사(Island Records)를 통해 2011년 1월 17일 디지털 음원으로, 2011년 2월 7일에는 비닐 레코드(앨범 녹음 세션에서 나온 미수록곡 "The Guns Called Me Back Again"과 함께)로 발매되었다. 앨범은 2011년 2월 14일 (유럽, 기타 지역)과 2월 15일 (캐나다, 미국)에 발매되었다. 아일랜드 레코드사가 유럽, 캐나다, 기타 지역에서 앨범을 발매한 반면, 미국에서는 배그런트 레코드사(Vagrant Records)에서 발매했다. 이 앨범은 여러 플랫폼에서 디지털 다운로드, CD, 그리고 LP로 이용 가능하다.

2021년 12월, 폴리 지안 하비(Polly Jean Harvey)는 2022년 1월 28일에 앨범의 데모 디스크와 함께 앨범의 비닐 재발매를 발표했다.

4. 2. 앨범 발매 및 포맷

아일랜드 레코드사(Island Records)를 통해 첫 번째 싱글 "The Words That Maketh Murder"가 2011년 1월 17일 디지털 음원으로, 2011년 2월 7일에는 비닐 레코드(앨범 녹음 세션에서 나온 미수록곡 "The Guns Called Me Back Again"과 함께)로 발매되었다. 앨범은 2011년 2월 14일 (유럽, 기타 지역)과 2월 15일 (캐나다, 미국)에 발매되었다. 아일랜드 레코드사가 유럽, 캐나다, 기타 지역에서 앨범을 발매한 반면, 미국에서는 배그런트 레코드사(Vagrant Records)에서 발매했다. 이 앨범은 여러 플랫폼에서 디지털 다운로드, CD, 그리고 LP로 이용 가능하다.

2021년 12월, 폴리 지안 하비(Polly Jean Harvey)는 2022년 1월 28일에 앨범의 데모 디스크와 함께 앨범의 비닐 재발매를 발표했다.

4. 3. 재발매

2021년 12월, 폴리 지안 하비는 2022년 1월 28일에 앨범의 데모 디스크와 함께 앨범의 비닐 재발매를 발표했다.

5. 영화

PJ 하비는 2008년 런던에서 시머스 머피(Seamus Murphy영어)의 "어둠은 보인다(A Darkness Visible)" 전시회를 본 후, "아프가니스탄에서 겪은 그의 경험에 대해 더 이야기하고 싶어" 머피에게 연락했다.[6] 공동 작업은 발전하여, 머피는 2010년 7월에 홍보 사진을 찍었고, 2011년 1월에는 Let England Shake 앨범의 각 곡에 대한 동영상 촬영을 완료했다.[14] 2011년 7월 14일부터 17일까지 12편의 영화는 여러 영국 축제에서 상영되었다.[15][16] 머피의 단편 영화는 2011년 12월 12일 ''Let England Shake: 시머스 머피의 12편의 단편 영화''라는 제목으로 DVD로 출시되었다.[17]

5. 1. 시머스 머피와의 협업

PJ 하비는 2008년 런던에서 시머스 머피(Seamus Murphy영어)의 "어둠은 보인다(A Darkness Visible)" 전시회를 본 후, 머피에게 연락했다.[6] 하비는 "아프가니스탄에서 겪은 그의 경험에 대해 더 이야기하고 싶어" 했다.[6] 공동 작업은 발전하여, 머피는 2010년 7월에 홍보 사진을 찍었고, 2011년 1월에는 Let England Shake 앨범의 각 곡에 대한 동영상 촬영을 완료했다.[14] 2011년 7월 14일부터 17일까지 12편의 영화는 여러 영국 축제에서 상영되었다.[15][16] 머피의 단편 영화는 2011년 12월 12일 ''Let England Shake: 시머스 머피의 12편의 단편 영화''라는 제목으로 DVD로 출시되었다.[17]

5. 2. 영화 상영 및 DVD 발매

PJ 하비는 2008년 런던에서 시머스 머피의 "어둠은 보인다(A Darkness Visible)" 전시회를 본 후, "아프가니스탄에서 겪은 그의 경험에 대해 더 이야기하고 싶어" 머피에게 연락했다.[6] 공동 작업은 발전하여, 머피는 2010년 7월에 홍보 사진을 찍었고, 2011년 1월에 앨범의 각 곡에 대한 동영상 촬영을 완료했다.[14] 2011년 7월 14일부터 17일까지 12편의 영화(전체 또는 개별적으로)가 여러 영국 축제에서 처음 상영되었다.[15][16]

2011년 12월 12일, 머피의 단편 영화는 ''Let England Shake: 시머스 머피의 12편의 단편 영화''라는 제목으로 DVD로 출시되었다.[17]

6. 투어 및 라이브 공연

PJ 하비는 2009년 7월 베스티벌 음악 축제에서 앨범 수록곡 두 곡을 처음 공개했는데, 이는 그 해 하비의 유일한 라이브 공연이었다.[18] 2010년 4월에는 BBC One의 ''앤드루 마 쇼''에 출연하여 당시 총리였던 고든 브라운 앞에서 "Let England Shake"를 공연하고 인터뷰를 가졌다.[7][19]

2010년 12월 18일, 하비는 앨범이 녹음된 도싯주 에이프의 성 베드로 교회에서 새 앨범의 곡들과 이전 앨범의 곡들을 연주하는 쇼를 열어 앨범을 미리 선보였다.[20]

2011년 10월 31일 런던 로열 앨버트 홀에서 공연하는 PJ 하비와 그녀의 밴드


2011년 2월 유럽 투어를 시작으로, 4월에는 미국 투어를 진행했고, 여름에는 페스티벌 일정이 잡혀 있었다.[23] 2011년 2월 14일 파리 "라 마로키네리"에서의 라이브 공연은 Deezer[23]와 Arte를 통해 라이브 웹캐스트로 스트리밍되었다.[21] 2011년 7월 12일, Arte는 2011년 2월 파리 올림피아에서 열린 라이브 공연을 73분 분량으로 녹화하여 텔레비전으로 방송했다.[22] 앨범 홍보를 위한 주요 라이브 공연 날짜 (전체 목록은 아님):[23]

6. 1. 초기 공연

PJ 하비는 2009년 7월 베스티벌 음악 축제에서 앨범 수록곡 두 곡을 처음 공개했는데, 이는 그 해 하비의 유일한 라이브 공연이었다.[18] 2010년 4월에는 BBC One의 ''앤드루 마 쇼''에 출연하여 당시 총리였던 고든 브라운 앞에서 "Let England Shake"를 공연하고 인터뷰를 가졌다.[7][19]

2010년 12월 18일, 하비는 앨범이 녹음된 도싯주 에이프의 성 베드로 교회에서 새 앨범의 곡들과 이전 앨범의 곡들을 연주하는 쇼를 열었다.[20] 2011년 2월에는 유럽 투어가, 4월에는 미국 투어가 예정되어 있었고, 여름에는 페스티벌 일정이 잡혀 있었다.[23] 2011년 2월 14일 파리 "라 마로키네리"에서의 라이브 공연은 Deezer[23]와 Arte를 통해 라이브 웹캐스트로 스트리밍되었다.[21] 2011년 7월 12일, Arte는 2011년 2월 파리 올림피아에서 열린 라이브 공연을 73분 분량으로 녹화하여 텔레비전으로 방송했다.[22]

6. 2. 정규 투어

PJ 하비는 2009년 7월 베스티벌 음악 축제에서 앨범 수록곡 2곡을 처음 공개했는데, 이는 그 해 하비의 유일한 라이브 공연이었다.[18] 2010년 4월에는 BBC One의 ''앤드루 마 쇼''에 출연하여 당시 총리였던 고든 브라운 앞에서 "Let England Shake"를 공연했다.[7][19] 2010년 12월 18일, 앨범이 녹음된 도싯주 에이프의 성 베드로 교회에서 새 앨범과 이전 앨범의 곡들을 연주하는 쇼를 열어 앨범을 미리 선보였다.[20]

2011년 2월 유럽 투어를 시작으로, 4월에는 미국 투어를 진행했고, 여름에는 페스티벌 일정이 잡혀 있었다.[23] 2011년 2월 14일 파리 "라 마로키네리"에서의 라이브 공연은 Deezer[23]와 Arte를 통해 라이브 웹캐스트로 스트리밍되었다.[21] 2011년 7월 12일, Arte는 2011년 2월 파리 올림피아에서 열린 라이브 공연을 73분 분량으로 녹화하여 텔레비전으로 방송했다.[22]

6. 3. 라이브 방송

PJ 하비는 2009년 7월 베스티벌 음악 축제에서 앨범 수록곡 2곡을 처음 공개했으며, 이는 그 해 하비의 유일한 라이브 공연이었다.[18] 2010년 4월, 하비는 BBC One의 ''앤드루 마 쇼''에 출연하여 당시 총리였던 고든 브라운 앞에서 "Let England Shake"를 공연했다.[7][19]

2010년 12월 18일, 하비는 앨범이 녹음된 도싯주 에이프의 성 베드로 교회에서 새 앨범과 이전 앨범의 곡들을 연주하는 쇼를 열었다.[20] 2011년 2월에는 유럽 투어, 4월에는 미국 투어가 진행되었고, 여름에는 페스티벌 참가가 예정되어 있었다. 2011년 2월 14일 파리 "라 마로키네리"에서의 공연은 Deezer[23]와 Arte를 통해 라이브 웹캐스트로 스트리밍되었다.[21] 2011년 7월 12일, Arte는 2011년 2월 파리 올림피아에서 열린 라이브 공연을 73분 분량으로 녹화하여 TV로 방송했다.[22]

7. 평가

《Let England Shake》는 발매와 동시에 주요 음악 매체들로부터 광범위한 찬사를 받았다.[27] 메타크리틱에서는 42개의 리뷰를 바탕으로 평균 86점을 기록하며 "만장일치 찬사"를 받았다.[27]

올뮤직의 헤더 페어스는 이 앨범을 "이전과는 확연히 다른 일련의 곡들"이라 평하며 "그 복잡성은 하비의 가장 영리하게 만들어진 작품 중 하나"라고 덧붙였다.[28] NME의 마이크 윌리엄스는 "프랜시스 포드 코폴라는 전쟁 영화를 만들 수 있고, 어니스트 헤밍웨이는 전쟁 소설을 쓸 수 있다. 그리고 도싯 출신의 41세 폴리 제인 하비는 전쟁 앨범을 만들었다."라며 극찬했다.[29] 모조의 피터 파피데스는 《Let England Shake》를 "기묘하게 시의적절한 작품"이라 칭하며, 하비가 "그녀의 가장 강력한 모습"을 보여준다고 평했다.[30] Q의 빅토리아 세갈은 앨범의 "놀라운 가사"와 "환상적인 음악"을 칭찬했다.[31] 언컷의 앤드루 뮬러는 《Let England Shake》를 이 잡지의 이달의 앨범으로 선정하며, "분노와 열정으로 불타오르는, 매혹된 만큼 미쳐버린 누군가의 사운드"라고 칭했다.[32]

가디언알렉시스 페트리디스는 하비를 "그녀의 창의적인 정점"에 있다고 표현했고,[33] 데일리 텔레그래프의 닐 맥코믹은 "최고조에 달한 싱어송라이터의 심오하고 진지한 작품"이라 칭했다.[34] 인디펜던트의 앤디 길은 "피와 전투로 세워진 그녀의 조국에 대한 초상"이라 묘사하며 "그녀의 최고의 앨범일지도 모른다"고 말했다.[35] 스핀의 아만다 페트루시치는 앨범의 "피 묻고 강력한" 사운드를 칭찬했으며,[36] 슬랜트 매거진의 제시 카탈도는 《Let England Shake》가 "하비가 자율성을 가지고 군림하는 비할 데 없는 음악 세계"를 창조한다고 말했다.[37] 피치포크 편집자 스콧 플라겐호프는 이 앨범을 "최고의 신규 음악"으로 선정하며, "보편적이고 필수적이며 강력하고 명확하게 표현되었다"고 언급했다.[38] 로버트 크리스트가우MSN 뮤직에 기고한 글에서 이 앨범을 "잘 만들어졌지만 불필요하게 절제된 반전 노래 모음곡"이라고 평가했다.[39] 롤링 스톤은 엇갈린 평가와 함께 별 3개의 평점을 줬다.[40] 스튜어트 매코니는 라디오 타임스에 "그녀의 모든 음반은 흥미롭고 독특했지만, 제 생각에는 ''Let England Shake''만큼 압도적이고 내면적이며, 다른 힘을 가진 것은 없었습니다."라고 썼다.[41]

이 앨범은 죽기 전에 꼭 들어야 할 앨범 1001 책에도 수록되었다.[42]

''Let England Shake''는 여러 매체에서 호평을 받았다.[96][97] ''NME''[43], ''The Quietus''[45], musicOMH[46], ''Mojo''[47], 가디언[48] 등은 2011년 최고의 앨범 1위로 선정했다. ''Q''[44]는 2위, ''Drowned in Sound''[49]는 3위, ''피치포크''[50]는 4위에 선정했다. ''The Wire''[52]는 올해 최고의 릴리스 50선에서 21위로 선정했다.

출판 매체수상 내역순위
NME2011년 최고의 앨범 50선1[43]
Q2011년 최고의 앨범 50선2[44]
The Quietus올해의 앨범 20111[45]
musicOMH2011년 최고의 앨범 50선1[46]
Mojo2011년 최고의 앨범 50선1[47]
가디언2011년 최고의 앨범 50선1[48]
Drowned in Sound2011년 가장 좋아하는 앨범3[49]
피치포크2011년 최고의 앨범 50선4[50]
피치포크2010년대 최고의 앨범 200선144[51]
The Wire올해 최고의 릴리스 50선21[52]
NME10년간 최고의 앨범 100선4[53]


7. 1. 비평가들의 반응

《Let England Shake》는 발매와 동시에 주요 음악 매체들로부터 광범위한 찬사를 받았다.[27] 메타크리틱에서는 42개의 리뷰를 바탕으로 평균 86점을 기록하며 "만장일치 찬사"를 받았다.[27]

올뮤직의 헤더 페어스는 이 앨범을 "이전과는 확연히 다른 일련의 곡들"이라 평하며 "그 복잡성은 하비의 가장 영리하게 만들어진 작품 중 하나"라고 덧붙였다.[28] NME의 마이크 윌리엄스는 "프랜시스 포드 코폴라는 전쟁 영화를 만들 수 있고, 어니스트 헤밍웨이는 전쟁 소설을 쓸 수 있다. 그리고 도싯 출신의 41세 폴리 제인 하비는 전쟁 앨범을 만들었다."라며 극찬했다.[29] 모조의 피터 파피데스는 《Let England Shake》를 "기묘하게 시의적절한 작품"이라 칭하며, 하비가 "그녀의 가장 강력한 모습"을 보여준다고 평했다.[30] Q의 빅토리아 세갈은 앨범의 "놀라운 가사"와 "환상적인 음악"을 칭찬했다.[31] 언컷의 앤드루 뮬러는 《Let England Shake》를 이 잡지의 이달의 앨범으로 선정하며, "분노와 열정으로 불타오르는, 매혹된 만큼 미쳐버린 누군가의 사운드"라고 칭했다.[32]

가디언알렉시스 페트리디스는 하비를 "그녀의 창의적인 정점"에 있다고 표현했고,[33] 데일리 텔레그래프의 닐 맥코믹은 "최고조에 달한 싱어송라이터의 심오하고 진지한 작품"이라 칭했다.[34] 인디펜던트의 앤디 길은 "피와 전투로 세워진 그녀의 조국에 대한 초상"이라 묘사하며 "그녀의 최고의 앨범일지도 모른다"고 말했다.[35] 스핀의 아만다 페트루시치는 앨범의 "피 묻고 강력한" 사운드를 칭찬했으며,[36] 슬랜트 매거진의 제시 카탈도는 《Let England Shake》가 "하비가 자율성을 가지고 군림하는 비할 데 없는 음악 세계"를 창조한다고 말했다.[37] 피치포크 편집자 스콧 플라겐호프는 이 앨범을 "최고의 신규 음악"으로 선정하며, "보편적이고 필수적이며 강력하고 명확하게 표현되었다"고 언급했다.[38] 로버트 크리스트가우MSN 뮤직에 기고한 글에서 이 앨범을 "잘 만들어졌지만 불필요하게 절제된 반전 노래 모음곡"이라고 평가했다.[39] 롤링 스톤은 엇갈린 평가와 함께 별 3개의 평점을 줬다.[40] 스튜어트 매코니는 라디오 타임스에 "그녀의 모든 음반은 흥미롭고 독특했지만, 제 생각에는 ''Let England Shake''만큼 압도적이고 내면적이며, 다른 힘을 가진 것은 없었습니다."라고 썼다.[41]

이 앨범은 죽기 전에 꼭 들어야 할 앨범 1001 책에도 수록되었다.[42]

7. 2. 수상 내역

''Let England Shake''는 여러 매체에서 호평을 받았다.[96][97] ''NME''[43], ''The Quietus''[45], musicOMH[46], ''Mojo''[47], 가디언[48] 등은 2011년 최고의 앨범 1위로 선정했다. ''Q''[44]는 2위, ''Drowned in Sound''[49]는 3위, ''피치포크''[50]는 4위에 선정했다. ''The Wire''[52]는 올해 최고의 릴리스 50선에서 21위로 선정했다.

출판 매체수상 내역순위
NME2011년 최고의 앨범 50선1[43]
Q2011년 최고의 앨범 50선2[44]
The Quietus올해의 앨범 20111[45]
musicOMH2011년 최고의 앨범 50선1[46]
Mojo2011년 최고의 앨범 50선1[47]
가디언2011년 최고의 앨범 50선1[48]
Drowned in Sound2011년 가장 좋아하는 앨범3[49]
피치포크2011년 최고의 앨범 50선4[50]
피치포크2010년대 최고의 앨범 200선144[51]
The Wire올해 최고의 릴리스 50선21[52]
NME10년간 최고의 앨범 100선4[53]


8. 상업적 성과

''Let England Shake''는 첫 주 22,468장의 판매고를 올리며 영국 음반 차트 8위로 진입했다.[54] 이는 그녀의 이전 앨범 ''화이트 초크''의 첫 주 판매량인 14,000장의 추정치를 넘어선 것이다. ''Let England Shake''는 하비의 10위권 진입 앨범 중 두 번째이며, 1993년 5월 ''Rid of Me''가 3위에 오른 이후 18년 만에 처음이다.[55] 이 앨범은 또한 미국 ''빌보드'' 200 차트에서 약 18,000장의 판매고로 32위로 진입했다.[56]

2011년 9월 머큐리 상을 수상한 후, ''Let England Shake''는 영국 음반 차트 24위로 재진입했다.[57] 앨범 판매량은 시상식 이후 1,100% 증가했으며[58] 이후 영국에서 100,000장 이상 출하되어 골드 인증을 받았다.[59] 이 앨범은 또한 10,000장 이상 판매되어 덴마크에서도 골드 인증을 받았다.[60] 2011년 12월 기준으로 이 앨범은 영국에서 약 130,000장, 2016년 3월 기준으로 미국에서 86,000장이 판매되었다.[61] 2017년 9월 기준으로 영국에서 173,000장이 판매되었다.[63]

8. 1. 차트 성적

''Let England Shake''는 첫 주 22,468장의 판매고를 올리며 영국 음반 차트 8위로 진입했다.[54] 이는 이전 앨범 ''화이트 초크''의 첫 주 판매량인 14,000장을 넘어선 것이다.[55] ''Let England Shake''는 Rid of Me가 3위에 오른 이후 18년 만에 10위권 안에 진입한 두 번째 앨범이다.[55] 미국 빌보드 200 차트에서는 약 18,000장의 판매고로 32위에 올랐다.[56]

2011년 9월 머큐리 상을 수상한 후, ''Let England Shake''는 영국 음반 차트 24위로 재진입했다.[57] 앨범 판매량은 시상식 이후 1,100% 증가했으며,[58] 이후 영국에서 100,000장 이상 출하되어 골드 인증을 받았다.[59] 덴마크에서도 10,000장 이상 판매되어 골드 인증을 받았다.[60] 2011년 12월 기준으로 영국에서 약 130,000장,[61] 2016년 3월 기준으로 미국에서 86,000장이 판매되었다.[61] 2017년 9월 기준으로 영국에서 173,000장이 판매되었다.[63]

차트 (2011)최고 순위
오스트레일리아 ARIA 앨범 차트[67]6
오스트리아 Ö3 앨범 차트[68]15
벨기에 앨범 차트 (플란데런)[69]4
벨기에 얼터너티브 앨범 차트 (플란데런)[69]3
벨기에 미드프라이스 앨범 차트 (플란데런)[69]6
벨기에 앨범 차트 (왈로니아)[70]8
캐나디안 앨범 차트[71]23
덴마크 앨범 차트[72]3
네덜란드 앨범 차트[73]14
핀란드 앨범 차트[74]7
프랑스 SNEP 앨범 차트[75]6
독일 앨범 차트[76]20
아일랜드 앨범 차트[77]7
이탈리아 FIMI 앨범 차트[78]57
일본 오리콘 앨범 차트[79]151
뉴질랜드 RIANZ 앨범 차트[80]12
노르웨이 앨범 차트[81]2
폴란드 OLiS 앨범 차트[82]30
포르투갈 AFP 앨범 차트[83]8
스페인 앨범 차트[84]20
스웨덴 앨범 차트[85]6
스위스 히트파라데 앨범 차트[86]4
영국 음반 차트[87]8
미국 빌보드 200[88]32
미국 빌보드 얼터너티브 앨범[88]6
미국 빌보드 인디펜던트 앨범[88]7
미국 빌보드 록 앨범[88]6



연도싱글최고 순위
벨기에[70]
2011"The Last Living Rose"39



차트 (2011년)순위
영국 음반 차트 (OCC)[89]89
벨기에 음반 차트 (플란데르)[90]82
프랑스 음반 (SNEP)[91]136
덴마크 음반 차트[92]63
스웨덴 음반 차트[93]83


8. 2. 판매량 및 인증

Let England Shake영어는 2011년 영국에서 173,000장[94], 미국에서 86,000장[95]이 판매되었다. 2011년 영국과[63] 2012년 덴마크에서 골드 인증을 받았다.

9. 곡 목록

PJ 하비가 작곡한 12개의 곡이 수록되어 있다.[64][65] 수록곡들은 전쟁과 관련된 다양한 주제를 다룬다. 대표적인 수록곡으로는 앨범과 동명의 곡인 "렛 잉글랜드 셰이크(Let England Shake)", "마지막 살아있는 장미(The Last Living Rose)", "더 글로리어스 랜드(The Glorious Land)", "살인을 만드는 말들(The Words That Maketh Murder)", "모두와 모든 것(All and Everyone)", "전함 언덕에서(On Battleship Hill)", "잉글랜드(England)", "어두운 곳에서(In the Dark Places)", "쓴 나뭇가지(Bitter Branches)", "철사에 매달려(Hanging in the Wire)", "이마에 쓰여진(Written on the Forehead)", "지구의 색(The Colour of the Earth)"이 있다. 아이튠즈 예약 구매 보너스 트랙으로는 "총이 다시 나를 불렀네(The Guns Called Me Back Again)"가 제공되었다.[64]

번호제목길이
1렛 잉글랜드 셰이크(Let England Shake)3:09
2마지막 살아있는 장미(The Last Living Rose)2:21
3더 글로리어스 랜드(The Glorious Land)3:34
4살인을 만드는 말들(The Words That Maketh Murder)3:45
5모두와 모든 것(All and Everyone)5:39
6전함 언덕에서(On Battleship Hill)4:07
7잉글랜드(England)3:11
8어두운 곳에서(In the Dark Places)2:59
9쓴 나뭇가지(Bitter Branches)2:29
10철사에 매달려(Hanging in the Wire)2:42
11이마에 쓰여진(Written on the Forehead)3:39
12지구의 색(The Colour of the Earth)2:33



;아이튠즈 예약 구매[64] 보너스 트랙

총이 다시 나를 불렀네(The Guns Called Me Back Again) (2:45)

;아이튠즈[65] 보너스 자료


  • 나이팅게일(The Nightingale) (4:13)
  • 마지막 살아있는 장미(The Last Living Rose) (비디오) (2:50)
  • 살인을 만드는 말들(The Words That Maketh Murder) (비디오) (4:25)

9. 1. 정규 앨범 수록곡

PJ 하비가 작곡한 12개의 곡이 수록되어 있다.[64][65] 수록곡들은 전쟁과 관련된 다양한 주제를 다룬다. 대표적인 수록곡으로는 앨범과 동명의 곡인 "렛 잉글랜드 셰이크(Let England Shake)", "마지막 살아있는 장미(The Last Living Rose)", "더 글로리어스 랜드(The Glorious Land)", "살인을 만드는 말들(The Words That Maketh Murder)", "모두와 모든 것(All and Everyone)", "전함 언덕에서(On Battleship Hill)", "잉글랜드(England)", "어두운 곳에서(In the Dark Places)", "쓴 나뭇가지(Bitter Branches)", "철사에 매달려(Hanging in the Wire)", "이마에 쓰여진(Written on the Forehead)", "지구의 색(The Colour of the Earth)"이 있다. 아이튠즈 예약 구매 보너스 트랙으로는 "총이 다시 나를 불렀네(The Guns Called Me Back Again)"가 제공되었다.[64]

번호제목길이
1렛 잉글랜드 셰이크(Let England Shake)3:09
2마지막 살아있는 장미(The Last Living Rose)2:21
3더 글로리어스 랜드(The Glorious Land)3:34
4살인을 만드는 말들(The Words That Maketh Murder)3:45
5모두와 모든 것(All and Everyone)5:39
6전함 언덕에서(On Battleship Hill)4:07
7잉글랜드(England)3:11
8어두운 곳에서(In the Dark Places)2:59
9쓴 나뭇가지(Bitter Branches)2:29
10철사에 매달려(Hanging in the Wire)2:42
11이마에 쓰여진(Written on the Forehead)3:39
12지구의 색(The Colour of the Earth)2:33


9. 2. 보너스 트랙

아이튠즈 예약 구매자에게는 보너스 트랙 "The Guns Called Me Back Again"이 제공되었다.[64]

10. 참여진

'''음악가'''[66]


  • PJ 하비 – 보컬, 기타 (2, 3, 5, 7, 8, 11, 12), 오토하프 (1, 4, 5, 12), 색소폰 (1, 2, 4, 5, 8), 시터 (6), 바이올린 (7)
  • 존 패리쉬 – 기타 (2–4, 6, 9, 10, 12), 드럼 (1, 2, 5, 7–9, 12), 퍼커션 (3, 4, 6, 11), 트롬본 (1, 2, 4, 5, 8), 로드 (1, 8, 11), 멜로트론 (1, 7, 12), 실로폰 (1), 백 보컬 (2–6, 8, 9, 11, 12)
  • 믹 하비 – 보컬 (12), 기타 (8, 9, 11), 베이스 (4), 드럼 (2, 4, 11), 퍼커션 (4, 6, 11), 베이스 하모니카 (1, 4, 5, 8, 9), 피아노 (1, 6, 10), 오르간 (2, 5, 7, 8), 로즈 (3, 6), 실로폰 (9), 백 보컬 (2–6, 8–12)
  • 장-마르크 부티 – 드럼 (3, 6, 8, 10, 12), 백 보컬 (3, 5, 6, 8)


'''게스트 음악가'''[66]

  • 새미 허든 – 백 보컬 (8, 12)
  • 그레타 베를린 – 백 보컬 (8, 12)
  • 루시 로버츠 – 백 보컬 (8, 12)


'''기술'''[66]

  • 플러드 – 프로듀서, 믹싱
  • 롭 키르완 – 엔지니어, 녹음
  • 스테파노 데 실바 – 마스터링
  • 캐서린 마크스 – 믹싱 어시스턴트
  • 존 캣린 – 믹싱 어시스턴트
  • 존 패리쉬 – 추가 프로듀서
  • 믹 하비 – 추가 프로듀서
  • PJ 하비 – 추가 프로듀서


'''디자인'''[66]

  • 롭 크레인 – 레이아웃, 디자인
  • PJ 하비 – 레이아웃, 디자인, 드로잉
  • 미셸 헤닝 – 커버 디자인
  • 시머스 머피 – 사진
  • 캣 스티븐스 – 사진

10. 1. 음악가

PJ 하비는 보컬, 기타, 오토하프, 색소폰, 시터, 바이올린 등 다양한 악기를 연주했다.[66] 존 패리쉬는 기타, 드럼, 퍼커션, 트롬본, 로드, 멜로트론, 실로폰, 백 보컬을 담당했다.[66] 믹 하비는 보컬, 기타, 베이스, 드럼, 퍼커션, 베이스 하모니카, 피아노, 오르간, 로즈, 실로폰, 백 보컬 등 여러 역할을 맡았다.[66] 장-마르크 부티는 드럼과 백 보컬에 참여했다.[66] 게스트 음악가로 새미 허든, 그레타 베를린, 루시 로버츠가 백 보컬로 참여했다.[66]

10. 2. 기술진

《Let England Shake》의 제작에는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이 참여했다.[66] 플러드가 프로듀서와 믹싱을 담당했고,[66] 롭 키르완이 엔지니어 및 녹음을 맡았다.[66] 스테파노 데 실바는 마스터링을,[66] 캐서린 마크스와 존 캣린은 믹싱 어시스턴트를 담당했다.[66] PJ 하비를 비롯하여 존 패리쉬와 믹 하비는 추가 프로듀서로 참여했다.[66]

10. 3. 디자인

참조

[1] 웹사이트 PJ Harvey's Eype Church album to be released (From Dorset Echo) http://www.dorsetech[...] 2011-01-12
[2] 뉴스 The Cure and PJ Harvey at Bestival, review https://www.telegrap[...] 2011-09-12
[3] 웹사이트 Music Critic Top 10 Lists – Best Albums of 2011 – Metacritic https://www.metacrit[...] 2011-12-17
[4] 웹사이트 PJ Harvey Wins the 2011 Mercury Music Prize https://newsfeed.tim[...] 2011-09-07
[5] 웹사이트 PJ Harvey goes her own sweet winning ways https://www.telegrap[...] 2011-09-07
[6] 웹사이트 Bridport: Local rock star PJ Harvey talks to the News http://www.bridportn[...] 2011-01-26
[7] 웹사이트 PJ Harvey Enlists Autoharp for New Album, Song http://www.twentyfou[...] twentyfourbit 2010-04-19
[8] 웹사이트 PJ Harvey Already Working on New Solo Album – Spinner UK http://www.spinnermu[...] Spinnermusic.co.uk 2009-03-03
[9] 웹사이트 PJ Harvey's Eype Church album to be released http://www.dorsetech[...] dorsetecho.co.uk 2011-01-12
[10] 웹사이트 PJ Harvey – The Words That Maketh Murder http://www.discogs.c[...] Discogs 2011-02-07
[11] 웹사이트 PJ Harvey – Let England Shake http://www.discogs.c[...] Discogs
[12] 웹사이트 PJ Harvey's new album ''Let England Shake'' coming February 15th on Vagrant Records! http://www.vagrant.c[...] Vagrant Records 2010-11-29
[13] 웹사이트 PJ Harvey Announces Let England Shake Vinyl Reissue, Shares Demo https://pitchfork.co[...] 2021-12-02
[14] 웹사이트 The Man Who Maketh Polly Jean's Movies | The House Next Door https://www.slantmag[...] Slantmagazine.com 2011-01-24
[15] 웹사이트 PJ HARVEY 'LET ENGLAND SHAKE' FILMS TO SCREEN AT UK FESTIVALS THIS SUMMER http://www.stereoboa[...] stereoboard.com Music Blog 2011-06-14
[16] 웹사이트 PJ Harvey 'Let England Shake' films to play at festivals http://www.digitalsp[...] 2011-06-14
[17] 웹사이트 PJ Harvey to release 'Let England Shake' short films on DVD https://www.nme.com/[...] 2011-11-30
[18] 뉴스 PJ Harvey debuts new songs at Camp Bestival 2009-07-28
[19] 웹사이트 PJ Harvey performs new track in front of Gordon Brown – video https://www.nme.com/[...] 2010-04-19
[20] 웹사이트 PJ HARVEY http://www.wordmagaz[...] 2010-12-20
[21] 간행물 PJ Harvey For Live Webcast http://thequietus.co[...] 2011-02-10
[22] 웹사이트 télé : PJ Harvey à l'Olympia 2011 sur Arte ce soir (in French) http://www.atticaweb[...] Attica webzine 2011-07-12
[23] 웹사이트 PJ Harvey Plans Live Webcast https://pitchfork.co[...] Pitchfork Media 2011-02-10
[24] 웹사이트 Reviews for Let England Shake by PJ Harvey http://www.anydecent[...] 2019-12-25
[25] 간행물 Let England Shake https://ew.com/artic[...] 2012-09-07
[26] 뉴스 Album review: PJ Harvey's 'Let England Shake' http://latimesblogs.[...] 2011-02-14
[27] 웹사이트 Reviews for Let England Shake by PJ Harvey https://www.metacrit[...] 2011-02-16
[28] 웹사이트 Let England Shake – PJ Harvey https://www.allmusic[...] 2017-03-27
[29] 저널 PJ Harvey – 'Let England Shake' https://www.nme.com/[...] 2011-02-14
[30] 저널 Cool Brittania http://www.pjharvey.[...] 2011-02-14
[31] 저널 PJ Harvey: Let England Shake http://www.pjharvey.[...] 2011-02-14
[32] 저널 Album Review: PJ Harvey – Let England Shake http://www.uncut.co.[...] 2011-02-14
[33] 뉴스 PJ Harvey: Let England Shake – review https://www.theguard[...] 2011-02-14
[34] 뉴스 PJ Harvey: Let England Shake, review https://www.telegrap[...] 2011-02-14
[35] 뉴스 Album: PJ Harvey, Let England Shake (Island) https://www.independ[...] 2011-02-14
[36] 논문 PJ Harvey, 'Let England Shake' (Vagrant) http://www.spin.com/[...] 2012-03-20
[37] 웹사이트 PJ Harvey: Let England Shake https://www.slantmag[...] 2011-12-19
[38] 웹사이트 PJ Harvey: Let England Shake https://pitchfork.co[...] 2011-12-19
[39] 웹사이트 An Horse/PJ Harvey http://www.robertchr[...] 2012-03-20
[40] 간행물 Let England Shake https://www.rollings[...] 2011-02-16
[41] 뉴스 Maconie's People Radio Times 2011-03-19
[42] 서적 1001 Albums You Must Hear Before You Die: Revised and Updated Edition Universe 2014
[43] 웹사이트 NME's 50 Best Albums Of 2011 https://stereogum.co[...] 2011-12-26
[44] 웹사이트 Florence + The Machine named Q's album of 2011 – listen now http://news.qthemusi[...] 2011-12-26
[45] 간행물 Here Be Monsters: Quietus Albums Of The Year 2011 http://thequietus.co[...] 2014-11-08
[46] 웹사이트 musicOMH's Top 50 Albums of 2011 http://www.albumofth[...] 2011-12-26
[47] 웹사이트 MOJO's Top 50 Albums Of 2011 https://stereogum.co[...] 2011-12-26
[48] 뉴스 The best albums of 2011: 50-11 https://www.theguard[...] 2011-12-01
[49] 간행물 The Top 50 Albums of 2011 http://drownedinsoun[...] 2014-11-08
[50] 웹사이트 The Top 50 Albums of 2011 https://pitchfork.co[...] 2016-04-15
[51] 웹사이트 The 200 Best Albums of the 2010s https://pitchfork.co[...] 2019-10-09
[52] 간행물 2011 Rewind: Releases of the Year 11–50 https://reader.exact[...] 2012-01
[53] 웹사이트 The Best Albums of The Decade: The 2010s https://www.nme.com/[...] 2022-07-16
[54] 웹사이트 Brits help Adele to equal Lennon record http://www.musicweek[...] 2011-03-01
[55] 웹사이트 1993-05-08 Top 40 Official UK Albums Archive | Official Charts https://www.official[...] 2012-03-31
[56] 뉴스 Forget the awards -- Mumford & Sons, Bieber, Lady Antebellum among Grammy sales winners http://latimesblogs.[...] 2012-03-31
[57] 웹사이트 2011-09-17 Top 40 Official UK Albums Archive | Official Charts https://www.official[...] 2012-03-30
[58] 웹사이트 PJ Harvey 'Let England Shake' sales soar by 1,000% following Mercury Prize win http://www.digitalsp[...] 2012-03-31
[59] 웹사이트 Let England Shake – certified awards http://www.bpi.co.uk[...] 2011-12-04
[60] 웹사이트 Certificeringer | ifpi.dk http://www.ifpi.dk/?[...] 2012-03-31
[61] 웹사이트 Record of the Day – Record of the Day http://www.recordoft[...] 2011-12-19
[62] 웹사이트 Upcoming Releases http://hitsdailydoub[...] HITS Digital Ventures
[63] 웹사이트 Mercury Prize: The best-selling winning albums https://www.official[...] Official Charts 2021-10-09
[64] 웹사이트 VAGRANT | News http://vagrant.com/n[...] 2012-03-20
[65] 웹사이트 iTunes – Music – Let England Shake (Plus Videos) by PJ Harvey https://itunes.apple[...] 2012-03-20
[66] LP Let England Shake Island Records
[67] 웹사이트 PJ Harvey – Let England Shake http://australian-ch[...] Hung Medien 2012-03-20
[68] 웹사이트 PJ Harvey – Let England Shake http://austrianchart[...] Hung Medien 2012-03-20
[69] 웹사이트 PJ Harvey – Let England Shake https://www.ultratop[...] Hung Medien 2012-03-20
[70] 웹사이트 Discographie PJ Harvey http://www.ultratop.[...] Hung Medien 2013-07-11
[71] 간행물 PJ Harvey – Chart History: Canadian Albums https://www.billboar[...] Prometheus Global Media 2013-07-11
[72] 웹사이트 PJ Harvey – Let England Shake https://danishcharts[...] Hung Medien 2012-03-20
[73] 웹사이트 PJ Harvey – Let England Shake http://dutchcharts.n[...] Hung Medien 2012-03-20
[74] 웹사이트 PJ Harvey – Let England Shake http://finnishcharts[...] Hung Medien 2012-03-20
[75] 웹사이트 PJ Harvey – Let England Shake http://lescharts.com[...] Hung Medien 2012-03-20
[76] 웹사이트 Album – PJ Harvey, Let England Shake https://web.archive.[...] Bundesverband Musikindustrie 2012-03-20
[77] 웹사이트 Top 75 Artist Album, Week Ending 17 February 2011 https://web.archive.[...] GfK 2013-07-11
[78] 웹사이트 Classifica settimanale WK 8 (dal 21-02-2011 al 27-02-2011) https://web.archive.[...] Federation of the Italian Music Industry 2013-07-11
[79] 웹사이트 PJハーヴェイのCDアルバムランキング、PJハーヴェイのプロフィールならオリコン芸能人事典 http://www.oricon.co[...] Oricon 2013-07-11
[80] 웹사이트 PJ Harvey – Let England Shake https://charts.nz/sh[...] Hung Medien 2012-03-20
[81] 웹사이트 PJ Harvey – Let England Shake http://norwegianchar[...] Hung Medien 2012-03-20
[82] 웹사이트 Oficjalna lista sprzedaży: 28 February 2011 http://olis.onyx.pl/[...] Polish Society of the Phonographic Industry 2013-07-11
[83] 웹사이트 PJ Harvey – Let England Shake http://portuguesecha[...] Hung Medien 2012-03-20
[84] 웹사이트 PJ Harvey – Let England Shake http://spanishcharts[...] Hung Medien 2012-03-20
[85] 웹사이트 PJ Harvey – Let England Shake http://swedishcharts[...] Hung Medien 2012-03-20
[86] 웹사이트 PJ Harvey – Let England Shake http://hitparade.ch/[...] Hung Medien 2012-03-20
[87] 웹사이트 PJ Harvey | Artist http://www.officialc[...] British Phonographic Industry 2012-03-20
[88] 웹사이트 Let England Shake – PJ Harvey: Awards https://www.allmusic[...] Rovi Corporation 2013-07-11
[89] 웹사이트 End Of Year Chart 2011 http://www.ukchartsp[...] Official Charts Company 2021-04-25
[90] 웹사이트 Charts Vlaanderen – Jaarlijsten: Jaaroverzichten 2011 http://www.ultratop.[...] Hung Medien 2011-12-29
[91] 웹사이트 Classement Albums – année 2011 http://www.snepmusiq[...] Syndicat National de l'Édition Phonographique 2022-07-02
[92] 웹사이트 År 2011: Album Top-100 https://web.archive.[...] IFPI Denmark 2012-01-23
[93] 웹사이트 Årslista Album – År 2011 https://web.archive.[...] Swedish Recording Industry Association 2012-01-25
[94] 웹인용 Mercury Prize: The best-selling winning albums https://www.official[...] Official Charts 2020-09-22
[95] 웹인용 Upcoming Releases http://hitsdailydoub[...] HITS Digital Ventures
[96] 웹인용 Let England Shake by PJ Harvey reviews http://www.anydecent[...] 2019-12-25
[97] 웹인용 Reviews for Let England Shake by PJ Harvey https://www.metacrit[...] 2011-02-16
[98] 웹인용 Let England Shake – PJ Harvey https://www.allmusic[...] 2017-03-27
[99] 뉴스 PJ Harvey: Let England Shake, review https://web.archive.[...] The Daily Telegraph 2011-02-11
[100] 저널 Let England Shake https://web.archive.[...] 2011-02-18
[101] 뉴스 PJ Harvey: Let England Shake – review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2011-02-10
[102] 뉴스 Album review: PJ Harvey's 'Let England Shake' http://latimesblogs.[...] Los Angeles Times 2011-02-14
[103] 웹인용 An Horse/PJ Harvey http://www.robertchr[...] 2011-05-06
[104] 저널 PJ Harvey – 'Let England Shake' https://web.archive.[...] 2011-02-09
[105] 웹인용 PJ Harvey: Let England Shake https://pitchfork.co[...] 2011-02-15
[106] 저널 Let England Shake https://www.rollings[...] 2011-02-15
[107] 저널 PJ Harvey, 'Let England Shake' (Vagrant) http://www.spin.com/[...] 2011-02-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