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KeSPA 드림리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KeSPA 드림리그는 한국e스포츠협회(KeSPA)가 주관한 2군 e스포츠 리그이다. 2008년 2군 평가전을 시작으로 2009-2011년까지 정규 리그 형태로 진행되었다. 2008년 1, 2차 2군 평가전과 2009년 3차 2군 평가전을 거쳐, 2009-2010 시즌부터 정식 리그로 출범했다. 09-10 시즌에는 CJ 엔투스가 우승을 차지했으며, 10-11 시즌에는 CJ 엔투스가 다시 우승을 차지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 - SK텔레콤 스타크래프트 II 프로리그 2014
    SK텔레콤 스타크래프트 II 프로리그 2014는 군단의 심장으로 진행된 한국 프로리그로, 중계사 변경, 팀 해체 및 합류 등의 변화 속에서 KT 롤스터가 우승, CJ 엔투스와 진에어 그린윙스가 공동 3위를 기록했다.
  •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 - 진에어 그린윙스
    진에어 그린윙스는 2011년 창단된 대한민국의 프로게임단으로, 스타크래프트 II 프로리그에서 강세를 보였으나 리그 오브 레전드 팀은 2020년 해체되었다.
  • E스포츠에 관한 - 월드 사이버 게임즈 2001
    월드 사이버 게임즈 2001은 2001년에 개최된 e스포츠 대회이며, 스타크래프트: 브루드 워 등 여러 게임이 정식 종목으로 진행되었고, 임요환이 스타크래프트: 브루드 워 종목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
  • E스포츠에 관한 - 한규종
    한규종은 대한민국의 전직 스타크래프트, 스타크래프트 II 프로게이머이자 전 KT 롤스터 코치로, 선수 시절 KeSPA Cup 아마추어 입상 및 KPGA TOUR 3위 등의 경력이 있으며, 코치로서는 SK플래닛 스타크래프트 II 프로리그 12-13에서 팀을 3위로 이끌었다.
KeSPA 드림리그
KeSPA 드림리그
KeSPA 드림리그 로고
KeSPA 드림리그 로고
정보
종목스타크래프트 II
리그 오브 레전드
유형프로 리그
주최한국e스포츠협회 (KeSPA)
운영한국e스포츠협회 (KeSPA)
기간2014년 ~ 2015년
참가 팀 수10개 팀 (2014년)
리그 진행
2014 시즌정규 시즌: 2014년 5월 12일 ~ 7월 23일
포스트 시즌: 2014년 7월 30일 ~ 8월 6일
2015 시즌1라운드: 2015년 3월 10일 ~ 5월 7일
2라운드: 2015년 5월 12일 ~ 7월 16일
역대 리그
2014 시즌 우승삼성 갤럭시
2015 시즌 우승CJ 엔투스

2. 역대 2군 평가전 (드림리그의 전신)

2군 평가전은 프로리그에 참가하는 팀들의 2군 선수들이 참가하여 실력을 겨루는 리그로, KeSPA 드림리그의 전신이다.

2. 1. 2008 1차 2군 평가전

2007년 12월 10일부터 2008년 1월 10일까지 진행되었다. STX SouL은 불참했다. 2008 1차 2군 평가전 다승왕은 정명훈이 차지했다.

순위승패승점
1SK텔레콤 T17승 2패+10
2KTF 매직엔스6승 3패+3
3MBC게임 히어로5승 4패+2
4CJ 엔투스5승 4패+1
5한빛 스타즈4승 5패+3
6이스트로4승 5패0
7삼성전자 칸4승 5패-3
8르까프 OZ4승 5패-4
9온게임넷 스파키즈3승 6패-5
10위메이드 폭스3승 6패-7


2. 2. 2008 2차 2군 평가전

2008년 5월 1일부터 2008년 7월 3일까지 진행되었다. 로스터는 최소 4명에서 최대 10명까지 가능했으며, 프로리그 1군 로스터에 포함된 1군 선수 중 최대 5명까지 로스터에 포함될 수 있었다. 다승왕은 노영훈이 차지했다.

순위승패승점
1KTF 매직엔스13승 7패+13
2CJ 엔투스13승 7패+6
3STX SouL12승 8패+13
4한빛 스타즈12승 8패+9
5르까프 OZ12승 8패+5
6위메이드 폭스10승 10패+4
7온게임넷 스파키즈9승 11패-3
8MBC게임 히어로8승 12패-6
9이스트로8승 12패-11
10SK텔레콤 T18승 12패-12
11삼성전자 칸5승 15패-18


2. 3. 2009 3차 2군 평가전

리그 기간은 2009년 4월 16일부터 2009년 6월 18일까지였다. 경기 승패와 상관없이 5세트까지 진행되었다. STX SouL은 불참했다. 2009 3차 2군평가전 다승왕은 김성대, 최호선이었다.

순위승패승점
1SK텔레콤 T113승 5패+15
2CJ 엔투스12승 6패+22
3하이트 스파키즈12승 6패-3
4이스트로10승 8패+13
5웅진 스타즈10승 8패+4
6KT 매직엔스10승 8패-2
7MBC게임 히어로7승 11패-10
8위메이드 폭스7승 11패-10
9화승 OZ6승 12패-8
10삼성전자 칸3승 15패-24


3. 드림리그

드림리그는 2군 평가전을 계승하여 정식으로 출범한 2군 리그이다.

KeSPA 드림리그 09-10 시즌은 2009년 11월 26일부터 2010년 6월 17일까지 진행되었다. 5전 3선승제, 종족별 의무 출전제가 적용되었으며, 신한은행 프로리그 09-10시즌 1라운드 공식맵과 동일한 맵을 사용하였다. 김민철이 다승왕을 차지했으며, CJ 엔투스가 우승, 웅진 스타즈가 준우승, SK텔레콤 T1이 3위, 위메이드 폭스가 4위를 기록했다.

KeSPA 드림리그 10-11 시즌은 2010년 12월 23일부터 2011년 6월 2일까지 진행되었다. 5세트 동시 진행 후 승자연전방식(ACE 결정전 없음)으로 경기 방식이 변경되었고, 신한은행 프로리그 10-11시즌 2라운드와 동일한 맵을 사용하였다. 종족별 의무 출전제가 적용되었으며, 준프로게이머 및 아마추어 선수도 등록 가능했다. 위메이드 폭스는 불참하였다. 김성현(당시 STX SouL 소속)이 다승왕을 차지했으며, CJ 엔투스가 우승, STX SouL이 준우승, 화승 OZ가 3위, 웅진 스타즈가 4위를 기록하였다.

3. 1. 09-10 시즌

KeSPA 드림리그 09-10 시즌은 2009년 11월 26일부터 2010년 6월 17일까지 진행되었다. 1, 2라운드 풀리그(팀당 16경기, 총 110경기)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신한은행 프로리그 09-10시즌 1라운드 공식맵과 동일한 맵을 사용하였다. 경기 방식은 5전 3선승제였고, 종족별 의무 출전제가 적용되었다.

김민철이 다승왕을 차지했으며, CJ 엔투스가 우승, 웅진 스타즈가 준우승, SK텔레콤 T1이 3위, 위메이드 폭스가 4위를 기록했다.

3. 1. 1. 1Round 순위

순위경기수승률게임차득실차득점실점벌점주의경고
1CJ 엔투스108280%-142713000
2웅진 스타즈108280%-102616010
3SK텔레콤 T1107370%1.0112513131
4KT 롤스터106460%1.062216000
5화승 OZ105550%1.032016121
6위메이드 폭스105550%0.0-31922010
6MBC게임 히어로105550%0.0-32022121
8이스트로104640%1.0-71522000
9하이트 스파키즈103730%1.0-71825000
10삼성전자 칸103730%0.0-111425000
11STX SouL101910%2.0-161127010


3. 1. 2. 개인다승 순위표

순위이름종족출전수승률
1김민철Zerg웅진 스타즈1412286%
2장윤철ProtossCJ 엔투스11110100%
3장민철ProtossMBC게임 히어로1110191%
3정우용TerranCJ 엔투스1410471%
5최호선TerranSK텔레콤 T1129375%
6황병영TerranKT 롤스터169756%
7이승석ZergSK텔레콤 T1108280%
8유영진TerranCJ 엔투스118373%
9한두열ZergCJ 엔투스138562%
10백승혁Terran화승 OZ97278%


3. 1. 3. 포스트시즌 결과

준플레이오프 - 2010년 6월 24일
SK텔레콤 T14 – 1위메이드 폭스
플레이오프 - 2010년 7월 1일
웅진 스타즈4 – 1SK텔레콤 T1
결승전 - 2010년 7월 8일
CJ 엔투스4 – 2웅진 스타즈


3. 2. 10-11 시즌

KeSPA 드림리그 10-11 시즌은 2010년 12월 23일부터 2011년 6월 2일까지 진행되었다. 1, 2라운드 풀리그(팀당 14경기, 총 56경기)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신한은행 프로리그 10-11시즌 2라운드와 동일한 맵을 사용하였다.

경기 방식은 5세트 동시 진행 후 승자연전방식(ACE 결정전 없음)으로 변경되었다. 로스터는 종족별 의무 출전제가 적용되었으며, 준프로게이머 및 아마추어 선수도 등록 가능했다. 위메이드 폭스는 불참하였다.

개인 다승왕은 김성현(당시 STX SouL 소속)이 차지했다.

최종 순위는 CJ 엔투스가 우승, STX SouL이 준우승, 화승 OZ가 3위, 웅진 스타즈가 4위를 기록하였다.

3. 2. 1. 순위

순위경기수승률게임차득실차득점실점벌점주의경고
1CJ 엔투스1411378.6%-256237010
2화승 OZ1410471.4%1.0136046121
3STX SouL149564.3%2.0116048121
4웅진 스타즈147750%4.005151000
5KT 롤스터146842.9%5.0-94957121
6MBC게임 히어로145935.7%6.0-114455010
7SK텔레콤 T1145935.7%6.0-174257222
8삼성전자 칸1431121.4%8.0-184966131


3. 2. 2. 개인다승 순위표

순위이름종족출전수승률
1김성현TerranSTX SouL3126584%
2김유진Protoss화승 OZ2820871%
3정영재TerranSK텔레콤 T12517868%
4하늘Protoss화승 OZ2015575%
5한지원Zerg삼성전자 칸26131350%
6한두열ZergCJ엔투스1512380%
6정우용TerranCJ 엔투스1712571%
6유영진TerranCJ 엔투스2012860%
6조기석Terran삼성전자 칸2012860%
10노준규Terran웅진 스타즈1811761%


3. 2. 3. 포스트시즌 결과

준플레이오프 - 2011년 5월 19일
STX SouL5 – 2웅진 스타즈
플레이오프 - 2011년 5월 26일
화승 OZ2 – 5STX SouL
결승전 - 2011년 6월 2일
CJ 엔투스5 – 3STX SouL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