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에어 그린윙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진에어 그린윙스는 2011년 창단되어 스타크래프트 II와 리그 오브 레전드 종목에서 활동한 e스포츠 프로게임단이다. 2016년 스타크래프트 II 프로리그 통합 우승을 달성했으며, 김유진, 조성주, 이병렬 등의 선수가 활약했다. 리그 오브 레전드 팀은 IEM 시즌 7 쾰른에서 우승했으나, 2020년 LCK 프랜차이즈 가입 실패와 재정적 어려움으로 인해 창단 8년 만에 해체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해체한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임단 - 삼성 갤럭시 (e스포츠)
삼성 갤럭시는 2000년 창단되어 스타크래프트, 리그 오브 레전드 등 다양한 종목에서 значимые 발자취를 남긴 대한민국의 프로게임단이었으나, 2017년 리그 오브 레전드 팀 매각 후 해체되었다. - 해체한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임단 - MVP (e스포츠)
MVP는 2010년 창단된 대한민국의 e스포츠 프로게임단으로, 여러 종목에서 활동하며 다양한 우승 및 본선 진출 성적을 거두었으나 2020년 해체되었다. - 해체한 스타크래프트 II 프로게임단 - KT 롤스터
KT 롤스터는 1999년 12월 30일에 창단된 e스포츠 프로게임단으로, 스타크래프트, 리그 오브 레전드 등 다양한 종목에서 활동하며, 리그 오브 레전드 팀을 중심으로 운영하고 있다. - 해체한 스타크래프트 II 프로게임단 - 삼성 갤럭시 (e스포츠)
삼성 갤럭시는 2000년 창단되어 스타크래프트, 리그 오브 레전드 등 다양한 종목에서 значимые 발자취를 남긴 대한민국의 프로게임단이었으나, 2017년 리그 오브 레전드 팀 매각 후 해체되었다. -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 - SK텔레콤 스타크래프트 II 프로리그 2014
SK텔레콤 스타크래프트 II 프로리그 2014는 군단의 심장으로 진행된 한국 프로리그로, 중계사 변경, 팀 해체 및 합류 등의 변화 속에서 KT 롤스터가 우승, CJ 엔투스와 진에어 그린윙스가 공동 3위를 기록했다. -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 - KT 롤스터
KT 롤스터는 1999년 12월 30일에 창단된 e스포츠 프로게임단으로, 스타크래프트, 리그 오브 레전드 등 다양한 종목에서 활동하며, 리그 오브 레전드 팀을 중심으로 운영하고 있다.
진에어 그린윙스 - [스포츠팀]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진에어 그린윙스 |
영문 이름 | JIN AIR GREENWINGS |
모기업 | 진에어 |
창단일 (스타크래프트 II) | 2011년 11월 4일 |
창단일 (리그 오브 레전드) | 2012년 |
해체일 (리그 오브 레전드) | 2020년 11월 17일 |
해체일 (스타크래프트 II) | 2020년 11월 30일 |
조직 | |
대표이사 | 최정호 |
종목 | |
종목 |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오브 레전드 |
2. 역사
진에어 그린윙스는 2016년 프로리그가 중단되기 전까지 KeSPA가 인정한 7개의 팀 중 하나였으며, 2016년 이후에도 스타크래프트 II를 계속 플레이한 유일한 프로리그 팀이었다. 진에어 그린윙스는 김유진(sOs), 조성주(Maru), 이병렬(Rogue), 조성호(Trap), 장현우(Creator) 덕분에 강력한 한국 스타크래프트 II 팀 중 하나였다. 2014년부터 2020년까지 진에어 그린윙스는 9번의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토너먼트, 3번의 인텔 익스트림 마스터즈 시즌, 2번의 스타크래프트 II 월드 챔피언십 시리즈 결승전에서 우승했으며, 두 번 모두 김유진이 우승했다.
2020년 11월 30일, 진에어는 리그 오브 레전드 LCK 프랜차이즈에 참여하지 못하게 되면서, 스타크래프트 2 팀과 리그 오브 레전드 팀을 공식적으로 해체했다.[16]
== 게임단 창단의 배경 (2011) ==
2010-11시즌 종료 후, 위메이드 폭스, 화승 OZ, MBC게임 히어로 등 3개 프로게임단이 해체되면서, 이들 팀의 주축 선수들을 중심으로 제8프로게임단이 창단되었다. 이는 선수들의 프로게이머 활동 기회를 보장하고 프로리그를 안정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KeSPA의 결정이었다.
선수 이름 | 종족 | 이전 팀 |
---|---|---|
스타크래프트 1군 소속 | ||
이제동 | Zerg | 화승 OZ |
염보성 | Terran | MBC게임 히어로 |
전태양 | Terran | 위메이드 폭스 |
박준오 | Zerg | 화승 OZ |
김재훈 | Protoss | MBC게임 히어로 |
박수범 | Protoss | MBC게임 히어로 |
하재상 | Protoss | MBC게임 히어로 |
김도욱 | Terran | 화승 OZ |
이병렬 | Zerg | 화승 OZ |
== 초기 활동 및 발전 (2012-2013) ==
제8프로게임단은 2012 시즌을 앞두고 선수 영입 및 코치진 보강을 통해 전력을 강화했다. OGN 엔투스의 프로토스 진영화, 전 MBC게임의 저그 김민규를 영입하고, T1의 코치였던 차지훈(현 감독)을 영입했다.[16] 또한, BATOO 스타리그 08-09 4강 진출자인 SouL의 저그 조일장을 영입했다.
SK플래닛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 시즌 1에서는 7위를 기록했고, SK플래닛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 시즌2에서는 염보성, 전태양과 진영화의 활약으로 창단 첫 포스트시즌에 진출했으나, T1과의 준플레이오프에서 패배했다.[16]
2012 시즌 이후 진영화와 박수범이 은퇴, 염보성이 팀 리퀴드로 이적했고, 이제동은 이블 지니어스로 1년간 임대되었다.[16] SK플래닛 스타크래프트 II 프로리그 12-13에서는 8개 팀 중 7위에 그쳤다.[16]
2013년 7월 10일, 진에어와 네이밍 라이트 후원 계약을 체결하며 팀명을 '진에어 그린윙스'로 변경했다.[16] 이와 함께 LCK 서머 2013에서 활동하던 HGD팀과 ESG팀을 영입하며 리그 오브 레전드 종목을 신설, 전 웅진 스타즈의 프로토스 김유진과 전 프라임의 테란 조성주를 영입했다.[16]
== 스타크래프트 II 팀의 전성기 (2014-2016) ==
진에어 그린윙스는 2013년 7월 10일 진에어와 프로게임단 네이밍 라이트 후원식을 체결하면서 '''진에어 그린윙스'''로 출범하였다.[16] 이후 전 웅진 스타즈의 프로토스 김유진과 전 프라임의 테란 조성주를 영입하며 전력을 보강했다.
SK텔레콤 스타크래프트 II 프로리그 2014에서 2번의 라운드 우승(2라운드, 4라운드)과 통합 공동 3위를 기록하며 강팀으로 부상했다. SK텔레콤 스타크래프트 II 프로리그 2015에서는 통합 준우승을 차지했다.
2016년에는 SK텔레콤 스타크래프트 II 프로리그 2016 2라운드와 3라운드에서 연이어 우승을 차지하였고, 마침내 팀 창단 후 처음이자 마지막 통합 우승을 달성하며 유종의 미를 거두었다.[17]
진에어 그린윙스는 김유진(sOs), 조성주(Maru), 이병렬(Rogue), 조성호(Trap), 장현우(Creator) 등의 활약으로 강력한 한국 스타크래프트 II 팀 중 하나였다.
2016년 프로리그가 중단되기 전까지 KeSPA가 인정한 7개의 팀 중 하나였으며, 2016년 이후에도 스타크래프트 II를 계속 플레이한 유일한 프로리그 팀이었다.
== 리그 오브 레전드 팀의 도전과 좌절 (2013-2020) ==
2013년 7월 10일, 진에어는 LCK 서머 2013에서 활동 중이던 HGD팀과 ESG팀을 인수하며 리그 오브 레전드(LoL) 종목을 신설했다.[16] Eat Sleep Game과 Hoon Good Day의 로스터를 영입하여 각각 진에어 그린윙스 팰컨스, 진에어 그린윙스 스텔스를 창단했다. 팰컨스에는 미소, Reapered, Raven, Roar, StarLast가 합류했고, 스텔스에는 HooN, TrAce, ActScene, ŁØAÐ, IceBear가 합류했다. 창단 이후 IEM 시즌 7 쾰른에서 우승하고, IEM 시즌 7 월드 챔피언십 4강, NLB 4강에 3번 진출하는 등 긍정적인 성과를 거두었다.[16] 그러나 두 팀 모두 롤드컵 진출에는 실패했다.
2014년, 진에어 혼성팀은 SK텔레콤 LTE-A LoL 마스터즈 2014에 참가했지만, 정규 시즌 5위를 기록하며 플레이오프 진출에 실패했다. 스텔스와 팰콘스 모두 2014 시즌 한국 지역 선발전 진출에 필요한 서킷 포인트를 획득하지 못해, 두 팀 모두 롤드컵 진출에 실패했다.
OGN 규정 변경으로 인해 2015년, 두 팀은 진에어 그린윙스로 합병되었다.[1] TrAce, Chaser, Winged, GBM, Pilot, Cpt Jack, Chei, XD가 로스터에 합류했다. 2015 SBENU 챔피언스 스프링 정규 시즌에서 4위를 차지하여 플레이오프에 진출했으나, 1라운드에서 CJ 엔투스에게 3–0으로 패배하여 시즌 4위를 기록했다. 2015 SBENU e 챔피언스 서머 정규 시즌에서는 6위를 차지, 10 서킷 포인트를 획득했지만 플레이오프 진출에는 실패했다. 하지만 2015 시즌 한국 지역 선발전에 진출하여 결승까지 진출했으나, KT 롤스터에게 3–1로 패하며 롤드컵 진출에 실패했다.
GBM은 2015 케스파컵 로스터에서 제외되었고, NRG e스포츠에 합류했다.[2] 진에어는 2015 LoL 케스파컵에 참가하여 8강에서 CJ 엔투스에게 2–0으로 패했다. 인텔 익스트림 마스터즈 시즌 X - 산호세에 초청받아 5–8위를 기록했다.[3] 2016년 12월, Pilot과 Blanc가 PSG e스포츠에 합류했다.[4]
이후 진에어 그린윙스의 성적은 점차 하락하기 시작했다. 2019년 스프링 시즌에는 15연패를 기록했다가, 3월 7일 아프리카 프릭스를 상대로 승리하며 연패를 끊었다.[5][6] 그러나 결국 시즌 최하위로 마감하여 LCK 승강전을 치르게 되었고, ES 샤크스를 상대로 승리하며 LCK로 복귀했다.[7][8] 서머 시즌에는 18연패를 기록하며 단 한 번의 매치 승리 없이 시즌을 마감했다.[9][10] 2019 시즌 전체 성적은 1승 35패였다. 다시 한번 LCK 승강전을 치렀으나, 한화생명 e스포츠와의 경기에서 패배하여 리그 오브 레전드 챌린저스 코리아로 강등되었다.[11]
챌린저스로 강등된 이후 CK 스프링 2020에서 7위에 그쳤으나, CK 서머 2020 승강전에서 승리하며 잔류에 성공했다. CK 서머 2020에서는 정규시즌 1위를 기록하며 결승에 직행했으나, 어썸 스피어에 패배하며 준우승을 차지했다.
2020년, 진에어는 LCK 프랜차이즈 리그 가입에 실패하면서, 결국 LoL 팀은 창단 8년 만에 해체되었다.[16]
== 해체 (2020) ==
2020년 11월 30일, 진에어 그린윙스는 재정적인 어려움과 리그 오브 레전드 팀의 LCK 프랜차이즈 합류 실패 등의 이유로 창단 8년 만에 해체를 결정했다.[16] 이는 2016년 프로리그가 중단되기 전까지 KeSPA가 인정한 7개의 팀 중 하나이자, 2016년 이후에도 스타크래프트 II를 계속 플레이한 유일한 프로리그 팀의 퇴장이었다.[16] 진에어 그린윙스는 김유진(sOs), 조성주(Maru), 이병렬(Rogue), 조성호(Trap), 장현우(Creator) 등의 활약으로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9회 우승, 인텔 익스트림 마스터즈 시즌 3회 우승, 스타크래프트 II 월드 챔피언십 시리즈 결승전 2회 우승(모두 김유진 우승)이라는 기록을 남겼다.
2. 1. 게임단 창단의 배경 (2011)
2010-11시즌 종료 후, 위메이드 폭스, 화승 OZ, MBC게임 히어로 등 3개 프로게임단이 해체되면서, 이들 팀의 주축 선수들을 중심으로 제8프로게임단이 창단되었다. 이는 선수들의 프로게이머 활동 기회를 보장하고 프로리그를 안정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한국e스포츠협회의 결정이었다.선수 이름 | 종족 | 이전 팀 |
---|---|---|
스타크래프트 1군 소속 | ||
이제동 | Zerg | 화승 OZ |
염보성 | Terran | MBC게임 히어로 |
전태양 | Terran | 위메이드 폭스 |
박준오 | Zerg | 화승 OZ |
김재훈 | Protoss | MBC게임 히어로 |
박수범 | Protoss | MBC게임 히어로 |
하재상 | Protoss | MBC게임 히어로 |
김도욱 | Terran | 화승 OZ |
이병렬 | Zerg | 화승 OZ |
2. 2. 초기 활동 및 발전 (2012-2013)
제8프로게임단은 2012 시즌을 앞두고 선수 영입 및 코치진 보강을 통해 전력을 강화했다. OGN 엔투스의 프로토스 진영화, 전 MBC게임의 저그 김민규를 영입하고, T1의 코치였던 차지훈(현 감독)을 영입했다.[16] 또한, BATOO 스타리그 08-09 4강 진출자인 SouL의 저그 조일장을 영입했다.SK플래닛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 시즌 1에서는 7위를 기록했고, SK플래닛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 시즌2에서는 염보성, 전태양과 진영화의 활약으로 창단 첫 포스트시즌에 진출했으나, T1과의 준플레이오프에서 패배했다.[16]
2012 시즌 이후 진영화와 박수범이 은퇴, 염보성이 팀 리퀴드로 이적했고, 이제동은 이블 지니어스로 1년간 임대되었다.[16] SK플래닛 스타크래프트 II 프로리그 12-13에서는 8개 팀 중 7위에 그쳤다.[16]
2013년 7월 10일, 진에어와 네이밍 라이트 후원 계약을 체결하며 팀명을 '진에어 그린윙스'로 변경했다.[16] 이와 함께 LCK 서머 2013에서 활동하던 HGD팀과 ESG팀을 영입하며 리그 오브 레전드 종목을 신설, 전 웅진 스타즈의 프로토스 김유진과 전 프라임의 테란 조성주를 영입했다.[16]
2. 3. 스타크래프트 II 팀의 전성기 (2014-2016)
진에어 그린윙스는 2013년 7월 10일 진에어와 프로게임단 네이밍 라이트 후원식을 체결하면서 '''진에어 그린윙스'''로 출범하였다.[16] 이후 전 웅진 스타즈의 프로토스 김유진과 전 프라임의 테란 조성주를 영입하며 전력을 보강했다.SK텔레콤 스타크래프트 II 프로리그 2014에서 2번의 라운드 우승(2라운드, 4라운드)과 통합 공동 3위를 기록하며 강팀으로 부상했다. SK텔레콤 스타크래프트 II 프로리그 2015에서는 통합 준우승을 차지했다.
2016년에는 SK텔레콤 스타크래프트 II 프로리그 2016 2라운드와 3라운드에서 연이어 우승을 차지하였고, 마침내 팀 창단 후 처음이자 마지막 통합 우승을 달성하며 유종의 미를 거두었다.[17]
진에어 그린윙스는 김유진(sOs), 조성주(Maru), 이병렬(Rogue), 조성호(Trap), 장현우(Creator) 등의 활약으로 강력한 한국 스타크래프트 II 팀 중 하나였다.
2016년 프로리그가 중단되기 전까지 KeSPA가 인정한 7개의 팀 중 하나였으며, 2016년 이후에도 스타크래프트 II를 계속 플레이한 유일한 프로리그 팀이었다.
2. 4. 리그 오브 레전드 팀의 도전과 좌절 (2013-2020)
2013년 7월 10일, 진에어는 LCK 서머 2013에서 활동 중이던 HGD팀과 ESG팀을 인수하며 리그 오브 레전드(LoL) 종목을 신설했다.[16] Eat Sleep Game과 Hoon Good Day의 로스터를 영입하여 각각 진에어 그린윙스 팰컨스, 진에어 그린윙스 스텔스를 창단했다. 팰컨스에는 미소, Reapered, Raven, Roar, StarLast가 합류했고, 스텔스에는 HooN, TrAce, ActScene, ŁØAÐ, IceBear가 합류했다. 창단 이후 IEM 시즌 7 쾰른에서 우승하고, IEM 시즌 7 월드 챔피언십 4강, NLB 4강에 3번 진출하는 등 긍정적인 성과를 거두었다.[16] 그러나 두 팀 모두 롤드컵 진출에는 실패했다.2014년, 진에어 혼성팀은 SK텔레콤 LTE-A LoL 마스터즈 2014에 참가했지만, 정규 시즌 5위를 기록하며 플레이오프 진출에 실패했다. 스텔스와 팰콘스 모두 2014 시즌 한국 지역 선발전 진출에 필요한 서킷 포인트를 획득하지 못해, 두 팀 모두 롤드컵 진출에 실패했다.
OGN 규정 변경으로 인해 2015년, 두 팀은 진에어 그린윙스로 합병되었다.[1] TrAce, Chaser, Winged, GBM, Pilot, Cpt Jack, Chei, XD가 로스터에 합류했다. 2015 SBENU 챔피언스 스프링 정규 시즌에서 4위를 차지하여 플레이오프에 진출했으나, 1라운드에서 CJ 엔투스에게 3–0으로 패배하여 시즌 4위를 기록했다. 2015 SBENU e 챔피언스 서머 정규 시즌에서는 6위를 차지, 10 서킷 포인트를 획득했지만 플레이오프 진출에는 실패했다. 하지만 2015 시즌 한국 지역 선발전에 진출하여 결승까지 진출했으나, KT 롤스터에게 3–1로 패하며 월드 챔피언십 진출에 실패했다.
GBM은 2015 케스파컵 로스터에서 제외되었고, NRG e스포츠에 합류했다.[2] 진에어는 2015 LoL 케스파컵에 참가하여 8강에서 CJ 엔투스에게 2–0으로 패했다. 인텔 익스트림 마스터즈 시즌 X - 산호세에 초청받아 5–8위를 기록했다.[3] 2016년 12월, Pilot과 Blanc가 PSG e스포츠에 합류했다.[4]
이후 진에어 그린윙스의 성적은 점차 하락하기 시작했다. 2019년 스프링 시즌에는 15연패를 기록했다가, 3월 7일 아프리카 프릭스를 상대로 승리하며 연패를 끊었다.[5][6] 그러나 결국 시즌 최하위로 마감하여 LCK 승강전을 치르게 되었고, ES 샤크스를 상대로 승리하며 LCK로 복귀했다.[7][8] 서머 시즌에는 18연패를 기록하며 단 한 번의 매치 승리 없이 시즌을 마감했다.[9][10] 2019 시즌 전체 성적은 1승 35패였다. 다시 한번 LCK 승강전을 치렀으나, 한화생명 e스포츠와의 경기에서 패배하여 리그 오브 레전드 챌린저스 코리아로 강등되었다.[11]
챌린저스로 강등된 이후 CK 스프링 2020에서 7위에 그쳤으나, CK 서머 2020 승강전에서 승리하며 잔류에 성공했다. CK 서머 2020에서는 정규시즌 1위를 기록하며 결승에 직행했으나, 어썸 스피어에 패배하며 준우승을 차지했다.
2020년, 진에어는 LCK 프랜차이즈 리그 가입에 실패하면서, 결국 LoL 팀은 창단 8년 만에 해체되었다.[16]
2. 5. 해체 (2020)
2020년 11월 30일, 진에어 그린윙스는 재정적인 어려움과 리그 오브 레전드 팀의 LCK 프랜차이즈 합류 실패 등의 이유로 창단 8년 만에 해체를 결정했다.[16] 이는 2016년 프로리그가 중단되기 전까지 KeSPA가 인정한 7개의 팀 중 하나이자, 2016년 이후에도 스타크래프트 II를 계속 플레이한 유일한 프로리그 팀의 퇴장이었다.[16] 진에어 그린윙스는 김유진(sOs), 조성주(Maru), 이병렬(Rogue), 조성호(Trap), 장현우(Creator) 등의 활약으로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9회 우승, 인텔 익스트림 마스터즈 시즌 3회 우승, 스타크래프트 II 월드 챔피언십 시리즈 결승전 2회 우승(모두 김유진 우승)이라는 기록을 남겼다.2. 6. 스타크래프트 II
2011년 11월 4일 주훈을 감독으로, 한상용을 코칭스태프로 임명하고 종족별 상위랭커를 포함한 9명의 선수 지명으로 '''제8프로게임단'''이 창단되었다. 창단 멤버로는 이제동, 염보성, 전태양, 박준오, 김재훈, 박수범, 하재상, 김도욱, 이병렬 등이 있었다. 2012년 5월부터 2013년 7월까지는 한상용이 감독 임시직을 맡았다.[18] 2013년 7월 10일 진에어와 프로게임단 네이밍 라이트 후원식을 체결, '''진에어 그린윙스'''가 출범하였다. 이후 2013년 10월 1일 차지훈 감독이 선임되었다.진에어 그린윙스 시절 주요 선수로는 김유진(sOs), 조성주(Maru), 이병렬(Rogue), 조성호(Trap), 장현우(Creator) 등이 있다. 특히, 장현우는 2015년 11월 17일 팀에 합류했다.[13]
2014년 4월 1일 SK텔레콤 스타크래프트 II 프로리그 2014 2라운드에서 우승하였고, 2014년 7월 8일 SK텔레콤 스타크래프트 II 프로리그 2014 4라운드에서 우승하였다. 이후 2016년에는 5월 21일 SK텔레콤 스타크래프트 II 프로리그 2016 2라운드 우승, 7월 31일 SK텔레콤 스타크래프트 II 프로리그 2016 3라운드 우승을 거쳐 9월 3일 SK텔레콤 스타크래프트 II 프로리그 2016 통합 우승[17]을 달성하였다.
2. 7. 리그 오브 레전드
진에어 그린윙스는 2013년 12월 13일 창단되어 리그 오브 레전드 팀을 운영했다.[18] 초대 감독은 한상용 감독이었으며, 2019년 11월 19일부터 2020년 11월 17일까지는 차지훈 감독이 팀을 이끌었다.[18]진에어 그린윙스는 과거 스텔스와 팰컨스 두 개의 형제팀을 운영했다. 스텔스 팀은 HooN(김훈), TrAce(여창동), ActScene(연형모), ŁØAÐ(나건우), IceBear(권지민) 등이 속해 있었고, 팰컨스 팀은 Miso(김재훈), Reapered(복한규), Raven(박성준), Roar(오장원), StarLast(한진희) 등이 활동했다. 이후 통합 팀에서는 이상욱(TaNa), 엄성현(UmTi), 이찬주(Yaharong) 등이 주요 선수로 활약했다.
주요 대회 성적으로는 '''IEM 시즌 7 쾰른 우승''', 스베누 리그 오브 레전드 챔피언스 코리아 스프링 2015 4위, 롯데 꼬깔콘 리그 오브 레전드 챔피언스 코리아 스프링 2016 4위, '''네네치킨 리그 오브 레전드 챌린저스 코리아 서머 2015 리그 2 우승''' 등이 있다.
3. 팀명 변천사
제8프로게임단은 2011년부터 2013년까지 활동했던 프로게임단이다. 2013년, 진에어가 팀을 인수하면서 진에어 그린윙스로 팀명이 변경되었다.
리그 오브 레전드 팀은 ahq Korea로 창단되어 훈수좋은날(HGD)을 거쳐 진에어 그린윙스 스텔스로 이어졌다. Eat Sleep Gaming(ESG)은 진에어 그린윙스 팰컨스로 팀명을 변경했다. 이후 두 팀은 진에어 그린윙스로 통합되었다.
4. 우승 기록
4. 1. 스타크래프트 II
진에어 그린윙스는 SK텔레콤 스타크래프트 II 프로리그 2014에서 2라운드와 4라운드에서 우승하며 최종 3위를 기록하였다. 2015 시즌에는 준우승을 거두었다. SK텔레콤 스타크래프트 II 프로리그 2016에서는 2라운드와 3라운드에서 연이어 우승을 차지하고 통합 우승까지 달성하였다.4. 2. 리그 오브 레전드
IEM 시즌 7 쾰른에서 우승을 차지하였다. 또한 네네치킨 리그 오브 레전드 챌린저스 코리아 서머 2015 리그 2에서 우승하였다.5. 각주
참조
[1]
웹사이트
Chains of Despair: the tale of the Jin Air Green Wings
http://www.thescoree[...]
2015-09-05
[2]
웹사이트
GBM left off Jin Air Green Wings roster for KeSPA Cup
http://www.thescoree[...]
2015-11-06
[3]
웹사이트
Jin Air Green Wings receive invite to IEM San Jose
http://www.thescoree[...]
2015-10-08
[4]
웹사이트
PSG Esports Announce League of Legends Roster
http://www.dexerto.c[...]
Dexerto
2016-12-14
[5]
웹사이트
Jin Air Green Wings defeat Afreeca, breaking 15-series losing streak
https://dotesports.c[...]
2019-03-07
[6]
웹사이트
Jin Air Greenwings Grace after the team's losing streak: "I don't really feel too much...I think I did okay."
https://korizon.net/[...]
2019-03-07
[7]
웹사이트
League of Legends: JAG H-Dragon on the LCK Summer Promotion and His Homework for the Next Split
https://www.invenglo[...]
2019-04-21
[8]
웹사이트
KT Rolster, Jin Air GW retain LCK spot after 2019 Summer Promotion
https://www.dailyesp[...]
2019-04-22
[9]
웹사이트
Jin Air Green Wings make history as the first LCK team to end a split 0-18
https://dotesports.c[...]
2019-08-16
[10]
웹사이트
Race to the bottom: Why Jin Air's 2019 is almost as bad as Shanghai's 2018
https://dotesports.c[...]
2019-08-20
[11]
웹사이트
League of Legends: Hanwha Life Esports Survives from Promotions/Relegations
https://www.invenglo[...]
2019-09-11
[12]
웹사이트
Jin Air Green Wings League of Legends team disbands
https://www.invenglo[...]
2020-11-17
[13]
웹사이트
Creator joins Jin Air Green Wings
http://www.thescoree[...]
2015-11-17
[14]
웹사이트
Jin Air Green Wings Starcraft 2 team disbands
https://www.invenglo[...]
2020-11-30
[15]
웹사이트
JAG League team will be ending contracts with the coaching staff and the players.
https://twitter.com/[...]
2020-11-17
[16]
뉴스
진에어, e스포츠 세 번째 네이밍 후원
http://esports.daily[...]
데일리e스포츠
[17]
문서
마지막 프로리그 우승팀이다.
[18]
문서
주훈감독은 2012년 5월부터 제8게임단 재창단시까지 운영팀장으로 활동하게 되면서 임시적으로 한상용 수석코치가 감독역할을 대신하였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