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이노텍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LG이노텍은 1970년 금성알프스전자로 설립되어 TV용 튜너 생산을 시작한 전자부품 회사이다. 1990년대부터 소형 정밀 모터 등 고부가가치 제품 생산을 통해 성장했으며, 2000년 LG이노텍으로 사명을 변경했다. 카메라 모듈, 디스플레이 부품, 차량 전장 부품, 반도체 기판 등을 생산하며, 2008년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되었다. 2011년 모바일 기기용 카메라모듈 시장에서 세계 1위를 기록했으며, 2024년에는 한국재료연구원과 협력하여 중희토류 금속이 필요 없는 고성능 자석을 개발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76년 설립된 전자 기업 - 삼성SDI
삼성SDI는 1970년 삼성NEC로 설립되어 1999년 현재 사명으로 변경된 대한민국의 기업으로, 2차전지 사업 진출 후 전기차 배터리, ESS용 전지, 전자재료 등으로 사업 영역을 확장했으며, 본사는 경기도 용인시에 위치한다. - 1976년 설립된 전자 기업 - 애플
애플은 스티브 잡스 등이 1976년 설립한 다국적 기술 기업으로, 혁신적인 제품 출시로 성장했으나 위기도 겪었으며, 현재는 다양한 기기와 서비스를 제공하며 사회적 이슈에도 직면하고 있다. - 대한민국의 전자 기업 - SK하이닉스
SK하이닉스는 1983년 현대전자로 설립되어 SK그룹에 인수된 대한민국의 반도체 제조 기업으로, DRAM, NAND 플래시, CIS 등 메모리 반도체 분야에서 세계적인 경쟁력을 갖추고 HBM과 같은 고성능 메모리 반도체 개발에 주력하며 AI 시대를 선도하고 있다. - 대한민국의 전자 기업 - 코웨이
코웨이는 1989년 설립된 대한민국의 생활가전 기업으로 정수기, 공기청정기 등을 제조, 판매, 렌탈하며 웅진그룹 계열사였다가 MBK 파트너스, 웅진그룹을 거쳐 현재는 넷마블에 인수되었고, 렌탈 비즈니스 모델과 코디 서비스, 해외 시장 진출, 디자인 경쟁력 강화, 기술 혁신 추구를 통해 성장하고 있다. - LG그룹 - LG에너지솔루션
LG에너지솔루션은 전기차 배터리 시장 성장에 따라 LG화학에서 분사되어 2022년 상장한 배터리 전문 기업으로, 글로벌 완성차 업체에 배터리를 공급하며 시장을 확대하고 있지만, 일부 차량에서 화재가 발생하여 리콜 사태를 겪기도 했다. - LG그룹 - LG유플러스
LG유플러스는 1996년 LG텔레콤으로 설립되어 유무선 통신, IPTV, B2B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대한민국의 통신 회사로, 2010년 LG데이콤, LG파워콤을 흡수 합병하여 현재의 사명이 되었으며 5G, LTE, CDMA 등 무선 통신 기술을 활용한다.
| LG이노텍 - [회사]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 |
| 회사 이름 |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
| 로마자 표기 | LG Innotek Jusikhoesa |
| 설립일 | 1970년 2월 |
| 이전 회사 이름 | 금성정밀공업 (1976년 ~ 1983년) 금성정밀 (1983년 ~ 1995년) LG정밀 (1995년 ~ 2000년) |
| 본사 위치 | 서울특별시 |
| 산업 | 전자 부품 제조 |
| 제품 | 카메라 모듈 볼 그리드 어레이 |
| 모회사 | LG전자 (40.8%) |
| 웹사이트 | LG이노텍 |
| 재무 정보 | |
| 자본금 | 118,335,535,000원 (2020년 12월) |
| 매출액 | 9,541,789,540,547원 (2020년) |
| 영업이익 | 681,019,009,060원 (2020년) |
| 순이익 | 236,127,867,008원 (2020년) |
| 자산 총액 | 6,038,600,271,628원 (2020년 12월) |
| 종업원 수 | 10,827명 (2020년 12월) |
| 주주 정보 | |
| 주요 주주 | LG전자: 40.79% 국민연금공단: 10.06% |
| 추가 정보 | |
| 자회사 | 이노위드주식회사 |
| 주요 사업 | 모바일/자동차/디스플레이/사물인터넷(IoT)/반도체 분야의 소재·부품 제조 |
2. 역사
1970년 8월, 금성알프스전자로 설립되어 국내 최초로 TV용 튜너를 생산하였다. 1995년 1월 LG전자부품(주)으로 상호를 변경했고, 같은 해 품질경영시스템 국제표준 인증인 ISO9001과 ISO9002를 획득해 글로벌 수준 품질기반을 갖췄다. 1999년 3월 방산사업을 영위하던 LG정밀(주)과 LG C&D(주)가 합병하여 LG정밀(주)이 존속법인이 되었고, 같은 해 7월에는 국내 최초로 지상방송수신용 디지털튜너를 개발했다. 1990년부터 소형 정밀모터 등 고부가가치제품 생산을 시작하며 성장에 박차를 가했으며, 1994년 중국 후이저우 법인과 미국 판매법인을 설립해 글로벌 시장 공략 전초 기지를 마련했다.
2000년 5월, LG이노텍(주)으로 사명을 변경하고, 11월에는 TV용 튜너 생산기지인 인도네시아 법인을 설립했다. 2004년 7월 시스템 사업부(방산사업)를 LIG 그룹에 매각하고 전자부품사업에 집중했다. 2005년에는 카메라모듈사업에 진출하여 1년 만에 세계 최소형 자동 초점 200만 화소 카메라모듈을 개발했으며, 같은 해 폴란드 법인을 설립해 유럽 시장 공략 거점을 마련했다. 2007년 차량용 제동모터(ABS Motor)를 생산하며 차량 전장부품사업을 본격화했고, 2008년 7월 유가증권시장에 상장했다.
2009년 7월, LG마이크론을 흡수 합병해 디스플레이•반도체 기판소재 분야로 사업을 확대했다. 2010년에는 연매출 4조원을 돌파했으며 다우존스 지속가능경영지수(DJSI Korea)에 첫 편입됐다. 2011년 모바일 기기용 카메라모듈 시장에서 세계 1위에 올랐으며, 2012년에는 세계 최초로 커버유리 완전일체형 터치스크린 패널(G2 TSP) 양산에 성공하고 연매출 5조원을 돌파했다. 2013년에는 세계 최초 6인치 웨이퍼 UV LED 양산 및 1300만 화소 OIS 카메라모듈 양산에 성공하며 연매출 6조원을 넘어섰다. 2014년에는 희토류 프리 듀얼 클러치 변속기(DCT)용 모터를 개발했다.
2015년에는 스마트폰용 송신모듈(Tx)을 양산하고, 카메라모듈 누적 판매 10억 4천만개를 돌파했으며, 조리개값 F1.8 1600만화소 OIS 카메라모듈을 양산했다. 2019년 5월 기준 시가총액은 2조 5,915억 원으로 코스피 상장기업 중 96위를 기록했다. 2024년 10월, 한국재료연구원과 협력하여 중희토류 금속이 필요 없는 고성능 자석을 개발했다고 발표했다.
2. 1. 설립 초기 (1970년대 ~ 1990년대)
1970년 8월, 금성알프스전자로 설립되어 국내 최초로 TV용 튜너를 생산하였다. 1995년 1월 LG전자부품(주)으로 상호를 변경했고, 같은 해 품질경영시스템 국제표준 인증인 ISO9001과 ISO9002를 획득해 글로벌 수준 품질기반을 갖췄다. 1999년 3월 방산사업을 영위하던 LG정밀(주)과 LG C&D(주)가 합병하여 LG정밀(주)이 존속법인이 되었고, 같은 해 7월에는 국내 최초로 지상방송수신용 디지털튜너를 개발했다. 1990년부터 소형 정밀모터 등 고부가가치제품 생산을 시작하며 성장에 박차를 가했으며,1994년 중국 후이저우 법인과 미국 판매법인을 설립해 글로벌 시장 공략 전초 기지를 마련했다.2. 2. 성장 및 사업 확장 (2000년대 ~ 현재)
2000년 5월, LG이노텍(주)으로 사명을 변경하고, 11월에는 TV용 튜너 생산기지인 인도네시아 법인을 설립했다. 2004년 7월 시스템 사업부(방산사업)를 LIG 그룹에 매각하고 전자부품사업에 집중했다.[4] 2005년에는 카메라모듈사업에 진출하여 1년 만에 세계 최소형 자동 초점 200만 화소 카메라모듈을 개발했으며, 같은 해 폴란드 법인을 설립해 유럽 시장 공략 거점을 마련했다. 2007년 차량용 제동모터(ABS Motor)를 생산하며 차량 전장부품사업을 본격화했고, 2008년 7월 유가증권시장에 상장했다.2009년 7월, LG마이크론을 흡수 합병해 디스플레이•반도체 기판소재 분야로 사업을 확대했다.[5] 2010년에는 연매출 4조원을 돌파했으며 다우존스 지속가능경영지수(DJSI Korea)에 첫 편입됐다. 2011년 모바일 기기용 카메라모듈 시장에서 세계 1위에 올랐으며, 2012년에는 세계 최초로 커버유리 완전일체형 터치스크린 패널(G2 TSP) 양산에 성공하고 연매출 5조원을 돌파했다. 2013년에는 세계 최초 6인치 웨이퍼 UV LED 양산 및 1300만 화소 OIS 카메라모듈 양산에 성공하며 연매출 6조원을 넘어섰다. 2014년에는 희토류 프리 듀얼 클러치 변속기(DCT)용 모터를 개발했다.
2015년에는 스마트폰용 송신모듈(Tx)을 양산하고, 카메라모듈 누적 판매 10억 4천만개를 돌파했으며, 조리개값 F1.8 1600만화소 OIS 카메라모듈을 양산했다. 2019년 5월 기준 시가총액은 2조 5,915억 원으로 코스피 상장기업 중 96위를 기록했다. 2024년 10월, 한국재료연구원과 협력하여 중희토류 금속이 필요 없는 고성능 자석을 개발했다고 발표했다.[6]
3. 주요 제품 및 기술
3. 1. 카메라 모듈
3. 2. 디스플레이 부품
3. 3. 차량 전장 부품
3. 4. 반도체 기판
3. 5. 기타
4. 글로벌 사업 현황
참조
[1]
뉴스
LG Innotek releases film-type chip substrate for metaverse devices
https://www.koreatim[...]
2023-02-15
[2]
뉴스
(LEAD) LG Innotek 2022 net up 10.3 pct on demand for auto components
https://en.yna.co.kr[...]
2023-01-25
[3]
뉴스
LG Innotek reliance on Apple's custom renders it vulnerable
https://asia.nikkei.[...]
2022-09-25
[4]
뉴스
LIG Nex1 triggers IPO as Korea tensions ease
https://www.financea[...]
2015-08-30
[5]
뉴스
LG Innotek Targeting $3.5 Billion in Revenue
https://www.koreatim[...]
2010-01-24
[6]
웹사이트
LG Innotek develops high-performance magnet without heavy rare-earth metals
https://koreajoongan[...]
20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