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MPEG-7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MPEG-7은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설명하고 검색하기 위한 표준으로, ISO/IEC 15938로 지정되었다. MPEG-7은 여러 파트로 구성되며, 각 파트는 시스템, 설명 정의 언어, 시각, 오디오, 멀티미디어 설명 스키마 등 특정 부분을 다룬다. 이 표준은 디스크립터, 기술 스키마, 기술 정의 언어, 시스템 도구 등 다양한 도구를 사용하여 콘텐츠를 기술하며, 디지털 도서관, 멀티미디어 디렉토리 서비스, 전자 상거래 등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다. 그러나 MPEG-7은 의미론적 격차로 인해 기계가 데이터를 완전히 이해하는 데 한계가 있으며, 관련 표준으로는 MXF가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컨테이너 포맷 - 오디오 비디오 인터리브
    오디오 비디오 인터리브(AVI)는 마이크로소프트가 개발한 멀티미디어 컨테이너 포맷으로, RIFF 파일 형식의 하위 분류에 속하며 다양한 코덱을 사용하여 오디오/비디오 데이터를 저장하고 동영상 파일을 구성하는 데 활용된다.
  • 컨테이너 포맷 - WAV
    WAV는 IBM과 마이크로소프트가 정의한 RIFF를 기반으로 하는 오디오 파일 형식으로, 주로 비압축 오디오인 LPCM 형식을 사용하며 윈도우 운영 체제에서 기본적으로 지원되고 전문적인 오디오 작업 및 방송국에서 표준 오디오 포맷으로 사용된다.
  • MPEG - ATSC
    ATSC는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 표준을 개발하는 미국 기관으로, 1996년 ATSC 1.0 표준이 채택된 후 H.264 코덱을 지원하는 개정판이 승인되었으며, 미국을 비롯한 여러 국가에서 디지털 방송 전환에 사용되었으나 특허 문제와 기술적 한계, 국가별 적용 차이 등의 이슈가 있고, 최근에는 ATSC 3.0이 개발되어 도입되고 있다.
  • MPEG - MPEG-1 오디오 레이어 II
    MPEG-1 오디오 레이어 II (MP2)는 디지털 오디오 압축 표준으로, 디지털 오디오 방송,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디지털 비디오 방송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며, MUSICAM 오디오 코덱을 기반으로 하고, MP3와 비교하여 시간 해상도가 높고 오류에 대한 강인성이 강한 특징을 가진다.
  • ISO/IEC 표준 - 프로젝트 관리
    프로젝트 관리는 제한된 자원 내에서 특정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상호 연관된 작업들을 계획, 실행, 모니터링 및 종료하는 일시적인 활동으로, 범위, 시간, 비용, 품질, 리스크 관리가 중요하며, 프로젝트 관리자는 표준 및 방법론을 활용하여 프로젝트의 성공을 책임진다.
  • ISO/IEC 표준 - ISO/IEC 646
    ISO/IEC 646는 ASCII 기반의 7비트 문자 인코딩 표준으로, 국가별 변형이 존재했으나, 최종 개정판은 ASCII와 호환되도록 정의되었고, 현재는 ITU-T 권고 T.50 IRA가 현행 표준으로 유지되고 있다.
MPEG-7
MPEG-7
정식 명칭ISO/IEC 15938
종류비디오 코딩 표준
담당MPEG
발표일2002년

2. 파트

MPEG-7 (ISO/IEC 15938)은 여러 파트로 구성된다. 각 파트는 전체 표준의 특정 부분을 다룬다.[14][16]

MPEG-7 파트[14][16][4][6]
파트번호최초 공개일
(첫 판)
마지막
공개일
(에디션)
마지막
개정일
주제설명
파트 1[https://www.iso.org/standard/34228.html ISO/IEC 15938-1]200220022006시스템MPEG-7 아키텍처 프레임워크, MPEG-7 콘텐츠의 전달 - TeM (Textual format for MPEG-7), MPEG-7 기술의 바이너리 포맷(BiM)[17][7]
파트 2[https://www.iso.org/standard/34229.html ISO/IEC 15938-2]20022002Description definition language영어
파트 3[https://www.iso.org/standard/34230.html ISO/IEC 15938-3]200220022010Visual영어
파트 4[https://www.iso.org/standard/34231.html ISO/IEC 15938-4]200220022006Audio영어
파트 5[https://www.iso.org/standard/34232.html ISO/IEC 15938-5]200320032015Multimedia description schemes영어
파트 6[https://www.iso.org/standard/35364.html ISO/IEC 15938-6]200320032011Reference software영어
파트 7[https://www.iso.org/standard/35365.html ISO/IEC 15938-7]200320032011Conformance testing영어
파트 8[https://www.iso.org/standard/37778.html ISO/IEC TR 15938-8]200220022011Extraction and use of MPEG-7 descriptions영어
파트 9[https://www.iso.org/standard/40392.html ISO/IEC 15938-9]200520052012Profiles and levels영어
파트 10[https://www.iso.org/standard/40527.html ISO/IEC 15938-10]20052005Schema definition영어
파트 11[https://www.iso.org/standard/42114.html ISO/IEC TR 15938-11]200520052012MPEG-7 profile schemas영어
파트 12[https://www.iso.org/standard/61195.html ISO/IEC 15938-12]20082012Query format영어
파트 13[https://www.iso.org/standard/65393.html ISO/IEC 15938-13]20152015Compact descriptors for visual search영어


2. 1. 파트별 상세 내용

wikitable

MPEG-7 파트[14][16][4][6]
파트번호최초 공개일
(첫 판)
마지막
공개일
(에디션)
마지막
개정일
주제설명
파트 1[https://www.iso.org/standard/34228.html ISO/IEC 15938-1]200220022006시스템MPEG-7 아키텍처 프레임워크, MPEG-7 콘텐츠의 전달 - TeM (MPEG-7용 텍스트 형식), MPEG-7 기술의 바이너리 포맷(BiM)[17][7]
파트 2[https://www.iso.org/standard/34229.html ISO/IEC 15938-2]20022002Description definition language영어
파트 3[https://www.iso.org/standard/34230.html ISO/IEC 15938-3]200220022010Visual영어
파트 4[https://www.iso.org/standard/34231.html ISO/IEC 15938-4]200220022006Audio영어
파트 5[https://www.iso.org/standard/34232.html ISO/IEC 15938-5]200320032015Multimedia description schemes영어
파트 6[https://www.iso.org/standard/35364.html ISO/IEC 15938-6]200320032011Reference software영어
파트 7[https://www.iso.org/standard/35365.html ISO/IEC 15938-7]200320032011Conformance testing영어
파트 8[https://www.iso.org/standard/37778.html ISO/IEC TR 15938-8]200220022011Extraction and use of MPEG-7 descriptions영어
파트 9[https://www.iso.org/standard/40392.html ISO/IEC 15938-9]200520052012Profiles and levels영어
파트 10[https://www.iso.org/standard/40527.html ISO/IEC 15938-10]20052005Schema definition영어
파트 11[https://www.iso.org/standard/42114.html ISO/IEC TR 15938-11]200520052012MPEG-7 profile schemas영어
파트 12[https://www.iso.org/standard/61195.html ISO/IEC 15938-12]20082012Query format영어
파트 13[https://www.iso.org/standard/65393.html ISO/IEC 15938-13]20152015Compact descriptors for visual search영어


2. 1. 1. 파트 1: 시스템

MPEG-7 아키텍처 프레임워크나 MPEG-7 콘텐츠 전송, 바이너리 포맷(BiM)에 대한 정보가 제공된 소스에 없기 때문에 해당 내용을 생성할 수 없습니다.

2. 1. 2. 파트 2: DDL (Description Definition Language)

XML 기반의 언어로, 디스크립터 간의 구조적 관계를 정의한다.

2. 1. 3. 파트 3: Visual

MPEG-7 파트 3은 시각적 특징 기술자를 정의한다.

2. 1. 4. 파트 4: Audio

MPEG-7 오디오 프레임워크는 오디오 응용 분야에 대한 광범위하고 다양한 접근 방식을 제공한다. 저수준의 샘플별 값에서부터 고수준의 의미론적 정보에 이르기까지, MPEG-7은 오디오 특징 기술자를 정의한다.

2. 1. 5. 파트 5: Multimedia Description Schemes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구조 및 의미 관계를 기술하기 위한 스키마를 정의한다.

2. 1. 6. 파트 6: Reference Software

MPEG-7 표준 구현을 위한 참조 소프트웨어가 제공된다.

2. 1. 7. 파트 7: Conformance Testing

MPEG-7 표준 준수 여부를 검사하는 방법을 정의한다.

2. 1. 8. 파트 8: Extraction and Use of MPEG-7 Descriptions

MPEG-7 기술 정보를 추출하고 사용하는 방법에 대한 내용은 원본 소스에 제공되지 않았습니다. 따라서 요약에 기반하여 내용을 생성하는 것은 불가능하며, 주어진 정보 내에서만 내용을 작성해야 하는 규칙에 위배됩니다. 빈 섹션을 출력합니다.

2. 1. 9. 파트 9: Profiles and Levels

파트 9는 특정 응용 분야에 필요한 프로파일 및 레벨을 정의한다.

2. 1. 10. 파트 10: Schema Definition

(소스 내용 없음)

2. 1. 11. 파트 11: MPEG-7 Profile Schemas

MPEG-7 프로파일 스키마는 존재하지 않습니다. 주어진 원본 소스에 관련 내용이 없으므로, 섹션 내용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

2. 1. 12. 파트 12: Query Format

MPEG-7 질의 형식은 정의되어 있지 않다.
(소스 내용 없음)

3. MPEG-7 도구

각기 다른 도구와 MPEG-7 프로세스 간 관계.


MPEG-7은 콘텐츠를 효과적으로 기술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도구를 사용한다:

  • '''디스크립터(Descriptor, D):''' 구문론적, 의미론적으로 정의된 특징의 표현이다. 하나의 객체가 여러 디스크립터로 묘사될 수 있다.
  • '''기술 스키마(Description Schemes, DS):''' 구성 요소 간의 구조 및 의미 관계를 지정하며, 이러한 구성 요소는 디스크립터(D) 또는 기술 스키마(DS)일 수 있다.
  • '''기술 정의 언어(Description Definition Language, DDL):''' 디스크립터 간의 구조적 관계를 정의하는 데 사용되는 XML 기반 언어이다. 기술 스키마의 생성 및 수정, 그리고 새로운 디스크립터(D)의 생성을 가능하게 한다.
  • '''시스템 도구:''' 이러한 도구는 디스크립터의 이진화, 동기화, 전송 및 저장과 관련이 있다. 또한 지적 재산 보호도 다룬다.

3. 1. 주요 도구

MPEG-7은 다음과 같은 도구를 사용한다:

  • '''디스크립터(Descriptor, D):''' 구문론적, 의미론적으로 정의된 특징의 표현이다. 하나의 객체가 여러 디스크립터로 묘사될 수 있다.
  • '''기술 스키마(Description Schemes, DS):''' 구성 요소 간의 구조 및 의미 관계를 지정하며, 이러한 구성 요소는 디스크립터(D) 또는 기술 스키마(DS)일 수 있다.
  • '''기술 정의 언어(Description Definition Language, DDL):''' 디스크립터 간의 구조적 관계를 정의하는 데 사용되는 XML 기반 언어이다. 기술 스키마의 생성 및 수정, 그리고 새로운 디스크립터(D)의 생성을 가능하게 한다.
  • '''시스템 도구:''' 이러한 도구는 디스크립터의 이진화, 동기화, 전송 및 저장과 관련이 있다. 또한 지적 재산 보호도 다룬다.


4. 응용 분야

MPEG-7 표준은 다양한 응용 분야 및 응용 도메인에서 활용될 수 있다. 주요 응용 분야는 다음과 같다.


  • 디지털 도서관: 이미지/비디오 카탈로그, 음악 사전 등에 활용된다.
  • 멀티미디어 디렉토리 서비스: 전화번호부 등이 있다.
  • 방송 미디어 선택: 라디오 및 TV 채널 선택에 사용된다.
  • 멀티미디어 편집: 개인 맞춤형 전자 뉴스 서비스, 미디어 저작 등에 활용된다.
  • 보안 서비스: 교통 관리, 생산 체인 등에서 사용된다.
  • 전자 상거래: 제품 검색 프로세스 등에 활용된다.
  • 문화 서비스: 미술관, 박물관 등에서 활용된다.
  • 교육 응용 분야에도 활용된다.
  • 생의학 응용 분야에도 활용된다.
  • 지능형 멀티미디어 응용 프로그램은 저수준 멀티미디어 시맨틱스를 공식 표현 및 자동화된 추론을 통해 활용한다.

4. 1. 주요 응용 분야

MPEG-7 표준은 다양한 응용 분야 및 응용 도메인에서 활용될 수 있다. 주요 응용 분야는 다음과 같다.

  • 디지털 도서관: 이미지/비디오 카탈로그, 음악 사전 등에 활용된다.
  • 멀티미디어 디렉토리 서비스: 전화번호부 등이 있다.
  • 방송 미디어 선택: 라디오 및 TV 채널 선택에 사용된다.
  • 멀티미디어 편집: 개인 맞춤형 전자 뉴스 서비스, 미디어 저작 등에 활용된다.
  • 보안 서비스: 교통 관리, 생산 체인 등에서 사용된다.
  • 전자 상거래: 제품 검색 프로세스 등에 활용된다.
  • 문화 서비스: 미술관, 박물관 등에서 활용된다.
  • 교육 응용 분야에도 활용된다.
  • 생의학 응용 분야에도 활용된다.
  • 지능형 멀티미디어 응용 프로그램은 저수준 멀티미디어 시맨틱스를 공식 표현 및 자동화된 추론을 통해 활용한다.

5. 한계

MPEG-7은 XML 스키마 (XSD)로 작성되어 반구조적 데이터를 구성한다. 예를 들어, XML로 MPEG-7을 사용하여 주석이 달린 영화의 러닝 타임은 기계 판독 가능 데이터이므로, 소프트웨어 에이전트는 러닝 타임을 나타내는 숫자가 양의 정수임을 알 수 있지만, 이러한 데이터는 기계 해석 가능하지 않다(에이전트가 이해할 수 없음). 왜냐하면 "의미론적 격차"로 알려진 의미론 (의미)을 전달하지 않기 때문이다.[9]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MPEG-7 XML 스키마를 MPEG-7 표준의 용어에 해당하는 구조적 데이터인 웹 온톨로지 언어 (OWL)에 매핑하려는 많은 시도가 있었다 (MPEG-7Ontos, COMM, SWIntO 등). 그러나 이러한 매핑은 실제 "의미론적 격차"를 해결하지 못했는데, 그 이유는 낮은 수준의 비디오 특징만으로는 비디오 의미론을 나타내기에 부적절하기 때문이다.[9][10] 즉, 색상 분포와 같이 자동 추출된 비디오 특징에 주석을 다는 것은 실제 시각적 내용의 의미를 제공하지 않는다.[10]

6. 관련 표준

MXFSMPTE에 정의된 프로페셔널 디지털 비디오와 오디오 미디어를 위한 컨테이너 포맷이다.

7. 대한민국에서의 MPEG-7 활용 및 전망

참조

[1] 웹사이트 ISO/IEC 15938-1:2002 - Information technology -- Multimedia content description interface -- Part 1: Systems https://www.iso.org/[...] 2009-10-31
[2] 웹사이트 About MPEG - Achievements http://mpeg.chiarigl[...] chiariglione.org 2009-10-31
[3] 웹사이트 Terms of Reference http://mpeg.chiarigl[...] chiariglione.org 2009-10-31
[4] 웹사이트 MPEG standards - Full list of standards developed or under development http://mpeg.chiarigl[...] chiariglione.org 2009-10-31
[5] 웹사이트 Complete Protocol dictionary, glossary and reference - M http://www.networkdi[...] 2009-12-26
[6] 웹사이트 MPEG-7 (Multimedia content description interface) http://kikaku.itscj.[...] 2009-11-10
[7] 웹사이트 MPEG-7 Overview (version 10) http://mpeg.chiarigl[...] chiariglione.org 2009-11-01
[8] 웹사이트 MPEG-7 Ontology http://mpeg7.org/ 2017-06-29
[9] 서적 Proceedings of the Eighth Workshop on Exploiting Semantic Annotations in Information Retrieval https://unisa.alma.e[...]
[10] 서적 Using Metadata to Integrate and Apply Digital Media McGraw-Hill 1998
[11] 웹인용 ISO/IEC 15938-1:2002 - Information technology -- Multimedia content description interface -- Part 1: Systems https://www.iso.org/[...] 2009-10-31
[12] 웹인용 About MPEG - Achievements http://mpeg.chiarigl[...] chiariglione.org 2009-10-31
[13] 웹인용 Terms of Reference http://mpeg.chiarigl[...] chiariglione.org 2009-10-31
[14] 웹인용 MPEG standards - Full list of standards developed or under development http://mpeg.chiarigl[...] chiariglione.org 2009-10-31
[15] 웹인용 Complete Protocol dictionary, glossary and reference - M http://www.networkdi[...] 2009-12-26
[16] 웹인용 MPEG-7 (Multimedia content description interface) http://kikaku.itscj.[...] 2009-11-10
[17] 웹인용 MPEG-7 Overview (version 10) http://mpeg.chiarigl[...] chiariglione.org 2009-11-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