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TSC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ATSC(Advanced Television Systems Committee)는 미국의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 표준을 개발한 단체이다. 1982년에 설립되었으며, 1990년대 미국에서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 도입을 위해 ATSC 표준을 개발했다. ATSC 표준은 최대 1920×1080 픽셀 크기의 와이드스크린 16:9 이미지를 지원하며, 돌비 디지털 5.1 채널 서라운드 사운드를 제공한다. 대한민국은 2001년에 ATSC를 디지털 방송 표준으로 채택하여 2012년에 아날로그 방송을 종료하고 디지털 전환을 완료했다. ATSC는 다양한 디스플레이 해상도, 종횡비, 프레임 속도를 지원하며, MPEG-2 및 H.264/MPEG-4 AVC 비디오 코덱을 지원한다. ATSC 2.0은 출시되지 않았고, ATSC 3.0은 더 많은 서비스와 향상된 대역폭 효율성 및 압축 성능을 제공하며 기존 버전과의 역호환성은 없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ATSC - 디지털 표준 텔레비전
디지털 표준 텔레비전(SDTV)은 아날로그 TV의 디지털화를 위해 개발된 표준으로, 디지털 TV 방송과 DVD 플레이어 등에서 사용되며, 고스트 현상과 노이즈를 제거하지만 수신 불량 시 블록 현상이 발생할 수 있고, DVB, ATSC, ISDB 등의 표준이 이를 지원하며 다양한 해상도로 국가별 정의 기준에 차이가 있지만 여러 분야에서 활용된다. - ATSC - ATSC 3.0
ATSC 3.0은 고효율 물리 계층, OFDM 변조, LDPC FEC 코드를 사용하는 차세대 방송 기술 표준으로, 다양한 비디오 형식을 지원하고 암호화, 디지털 워터마킹, 긴급 재난 경보 시스템 등의 기능을 제공하며 대한민국이 세계 최초로 상용화했다. - 텔레비전 전송 표준 - SÉCAM
SECAM은 프랑스에서 개발된 아날로그 컬러 텔레비전 방송 방식으로, PAL에 비해 수직 색 해상도가 낮고 아날로그 편집이 어려운 단점이 있으며, 프랑스의 옛 식민지, 일부 동유럽 국가, 소련 등에서 사용되었으나 현재는 사용 국가가 크게 감소하였다. - 텔레비전 전송 표준 - 텔레비전 방송 시스템
텔레비전 방송 시스템은 텔레비전 방송에 사용되는 다양한 기술적 표준을 포괄하며, 과거 아날로그 시스템은 주사선 수, 프레임 속도, 채널 대역폭 등의 차이와 NTSC, PAL, SECAM 등의 컬러 표준으로 다양했지만 현재는 디지털 방송으로 전환되어 아날로그 시스템은 대부분 사라졌다. - MPEG - MPEG-1 오디오 레이어 II
MPEG-1 오디오 레이어 II (MP2)는 디지털 오디오 압축 표준으로, 디지털 오디오 방송,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디지털 비디오 방송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며, MUSICAM 오디오 코덱을 기반으로 하고, MP3와 비교하여 시간 해상도가 높고 오류에 대한 강인성이 강한 특징을 가진다. - MPEG - 고급 오디오 부호화
고급 오디오 부호화(AAC)는 MP3 후속 코덱으로 설계되어 더 나은 음질을 제공하며, ISO/IEC 표준으로 다양한 프로파일과 기술을 통해 발전하여 아이튠즈 스토어, 유튜브, 디지털 방송 등에서 널리 활용되는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 압축 표준이다.
| ATSC | |
|---|---|
| 개요 | |
| 종류 | 디지털 텔레비전 표준 |
| 개발 | ATSC |
| 국가 | 미국 |
| 역사 | |
| 개발 시작 | 1980년대 후반 |
| 개발 목적 | 기존 아날로그 NTSC 시스템을 대체하기 위함 |
| 최초 표준 | 1996년 |
| 최초 표준 내용 | 고화질 텔레비전 (HDTV) 지원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 서비스 |
| 이후 개발 | ATSC 2.0 ATSC 3.0 |
| 기술 사양 | |
| 비디오 코덱 | MPEG-2 H.264/MPEG-4 AVC H.265/HEVC |
| 오디오 코덱 | 돌비 디지털 (AC-3) 돌비 디지털 플러스 (E-AC-3) AAC |
| 변조 방식 | 8-VSB (지상파) QAM (케이블) |
| 특징 | |
| 장점 | 고화질 영상 다채널 오디오 데이터 방송 양방향 서비스 |
| 단점 | 아날로그 방송 대비 전파 도달 거리 짧음 수신 환경에 민감 |
| 버전 | |
| ATSC 1.0 | 초기 표준 |
| ATSC 2.0 | 양방향 서비스 및 모바일 TV 지원 |
| ATSC 3.0 | IP 기반 전송 4K UHD HDR 차세대 오디오 향상된 모바일 수신 |
| 활용 | |
| 적용 국가 | 미국 캐나다 멕시코 대한민국 기타 국가 |
| 방송 서비스 | 지상파 디지털 텔레비전 케이블 디지털 텔레비전 모바일 디지털 텔레비전 |
| 관련 단체 | |
| 개발 및 표준화 | ATSC (Advanced Television Systems Committee) |
| 기타 | |
| 참고 | 디지털 텔레비전 지상파 디지털 텔레비전 |
2. 역사
1982년에 고급 텔레비전 시스템 위원회(Advanced Television Systems Committee, ATSC)가 설립되어 미국의 디지털 텔레비전을 위한 ATSC 표준을 개발했다.[39]
ATSC 표준은 다양한 해상도, 화면 비율, 프레임 속도를 지원하여 고화질(HD) 및 표준 화질(SD) 방송이 모두 가능하다. ATSC 표준은 A/''x''(x는 표준 번호)로 표시되며 ATSC 웹사이트(ATSC.org)에서 무료로 내려받을 수 있다.
그랜드 얼라이언스(Grand Alliance)가 개발한 시스템을 구현한 ATSC 표준 A/53은 1995년에 발표되었으며, 1996년 미국 연방통신위원회(Federal Communications Commission)에서 채택되었다. 이 표준은 2009년에 개정되었다. 2008년에는 ATSC 표준 A/72가 승인되어 ATSC 시스템에 H.264/MPEG-4 AVC 비디오 코딩을 도입했다.
ATSC는 돌비 디지털(Dolby Digital)의 Dolby AC-3 형식을 사용하여 5.1 채널 서라운드 사운드를 지원한다.
MPEG 비디오 코딩, AC-3 오디오 코딩, 8VSB 변조를 포함한 ATSC의 여러 요소는 특허를 받았다.[1] 디지털 TV 수신기당 최대 50USD로 추산되는 특허 라이선스 비용[2]은 제조업체들의 불만을 야기했다.[3]
3. 기술 표준
ATSC는 돌비 디지털(Dolby Digital)의 AC-3 형식을 사용하여 5.1 채널 서라운드 사운드를 지원하며, 다양한 보조 데이터 방송 서비스도 제공될 수 있다.[1]
ATSC의 많은 부분은 특허를 받았으며,[1] 디지털 TV 수신기당 최대 50USD로 추산되는 특허 라이선스 비용[2]은 제조업체의 불만을 야기했다.[3]
ATSC 시스템은 여러 가지 다른 디스플레이 해상도, 종횡비, 그리고 프레임 속도를 지원하며, 해상도, 스캔 방식(프로그레시브 또는 인터레이스), 초당 프레임(또는 필드) 수로 나눌 수 있다.
전송을 위해 ATSC는 MPEG 전송 스트림을 사용하며, 188바이트 MPEG 전송 스트림 패킷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한다.
ATSC 표준은 크레스트 팩터가 작고, 커버 영역당 전력 소모가 적다는 점에서 주거지가 광범위한 지역에 산재하는 경우에 적합하지만, 단일 반송파 방식이기 때문에 다중경로 간섭에 약하며, 도시 지역 수신이나 이동 수신에는 적합하지 않다.
3. 1. 영상
3/4프로그레시브 25 인터레이스 25 (50 필드/초) 480 4:3 또는 16:9 SMPTE 259M
2/3프로그레시브 25 인터레이스 25 (50 필드/초) 352 4:3 또는 16:9 SMPTE 259M
1/2프로그레시브 25 인터레이스 25 (50 필드/초) 288 352 4:3 또는 16:9 CIF 프로그레시브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