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XF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MXF(Material Exchange Format)는 고급 저작 형식(AAF) 데이터 모델의 하위 집합을 전달하기 위해 개발된 파일 형식으로, 다양한 비디오 및 오디오 코덱을 지원하며 메타데이터 래퍼를 통해 자료를 설명한다. 2004년부터 표준으로 배포되었으나, 초기에는 상호 운용성 문제가 발생하기도 했다. MXF는 디지털 시네마 패키지(DCP)의 오디오 및 비디오 패키징 형식, STANAG 사양 문서 등에도 사용되며, 파일 확장자는 ".mxf"이다. MXF는 OP-Atom, OP-1a 등 다양한 작동 방식을 제공하여 워크플로우에 맞게 파일을 구성할 수 있도록 한다. MXF는 풍부한 메타데이터를 지원하며, 한국 방송 환경에서도 MXF 파일 기반 송출로 전환하는 추세이다. MXF를 지원하는 도구로는 FFmpeg, GStreamer, VSDC, Ingex 등이 있으며, SMPTE 377M이 MXF 파일 형식 규격을 다루는 마스터 문서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방송 표준 - 텔레비전 방송 시스템
텔레비전 방송 시스템은 텔레비전 방송에 사용되는 다양한 기술적 표준을 포괄하며, 과거 아날로그 시스템은 주사선 수, 프레임 속도, 채널 대역폭 등의 차이와 NTSC, PAL, SECAM 등의 컬러 표준으로 다양했지만 현재는 디지털 방송으로 전환되어 아날로그 시스템은 대부분 사라졌다. - SMPTE 표준 - HDCAM
HDCAM은 소니가 개발한 고화질 비디오 포맷으로, 4:2:2 색상 샘플링, 8비트 깊이, 144 Mbit/s의 영상 비트 전송률을 사용하며, HDCAM SR은 10비트 4:2:2 또는 4:4:4 RGB 녹화를 지원하고 방송 및 영화 제작에 사용된다. - SMPTE 표준 - SMPTE 259M
- 파일 포맷 - 바로 가기
바로 가기는 운영체제에서 파일, 폴더, 프로그램, 웹 페이지에 대한 참조를 제공하는 기능 및 파일로, 사용자들이 원본에 빠르게 접근하도록 GUI 환경의 사용성을 향상시킨다. - 파일 포맷 - EXE
EXE 파일 형식은 운영 체제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있는 실행 파일의 한 형태로, DOS MZ 실행 파일에서 PE, PE32+까지 발전해 왔으며, 코드, 데이터, 스택을 별도 관리하고 재배치 항목을 통해 실행 환경에 유연하게 대응하는 특징을 가진다.
| MXF - [IT 관련 정보]에 관한 문서 | |
|---|---|
| 파일 포맷 정보 | |
| 이름 | Material Exchange Format (MXF) |
| 확장자 | .mxf |
| MIME 형식 | application/mxf |
| 타입 코드 | mxf |
| 발표일 | 2004년 9월 22일 |
| 최신 버전 발표일 | 2020년 1월 28일 |
| 종류 | 컨테이너 포맷 |
| 컨테이너 대상 | 오디오 비주얼 자료, 풍부한 메타데이터 |
| 공개 여부 | 예 |
| 라이선스 | 예 |
2. 역사 및 발전 과정
MXF는 AAF(Advanced Authoring Format) 데이터 모델의 하위 집합을 전달하기 위해 개발되었으며, 이론적으로 AAF를 사용하는 비선형 편집 시스템(NLE)과 MXF를 사용하는 장치 간의 워크플로우를 가능하게 한다.[3] 2004년부터 표준으로 배포되기 시작했으나, 초기에는 표준의 광범위함으로 인해 공급업체 간 구현 방식의 차이, 표준 해석의 오류 등으로 상호 운용성 문제가 발생하기도 했다.
MXF는 다양한 비디오 압축 형식 및 오디오 압축 형식으로 인코딩된 여러 개의 코딩된 "에센스" 스트림과 MXF 컴퓨터 파일 내에 포함된 자료를 설명하는 메타데이터 래퍼를 지원하는 ''컨테이너'', ''래퍼'' 또는 ''참조 파일'' 형식이다.[1] 다른 "Operational Pattern"은 비디오 편집 프로그램의 간단한 타임라인처럼 여러 자료를 포함하거나 참조할 수 있다.
MXF는 소니 eVTR과 SMPTE D10(IMX) 자료 교환에 효과적이며, eVTR, Avid NLE 시스템, AAF를 사용하는 방송 서버를 결합한 워크플로우가 가능하다. 2005년, 소니(Sony)의 XDCAM과 파나소닉(Panasonic)의 DVCPRO P2 시스템 간의 MXF 파일 호환성 문제가 발생했으나,[3] 이후 표준 버전 업데이트를 통해 일부 해결되었다.
현재는 디지털 시네마 패키지(DCP)의 오디오 및 비디오 패키징 형식, STANAG 사양 문서 등에도 사용된다.[4]
3. 특징
MXF는 완벽한 타임코드 및 메타데이터를 지원하며 미래의 전문적인 비디오 및 오디오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플랫폼 독립적인 안정적인 표준으로 설계되었다.[1] 고급 저작 형식(AAF) 데이터 모델의 하위 집합을 전달하기 위해 제로 분기 지침(ZDD) 정책에 따라 개발되어, 이론적으로 AAF를 사용하는 비선형 편집 시스템 (NLE) 시스템과 MXF를 사용하는 카메라, 서버 및 기타 장치 간의 MXF/AAF 워크플로우를 가능하게 한다.[1]
MXF는 코드화된 다양한 영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를 메타데이터와 함께 묶기 위한 "컨테이너" 또는 "포장지"와 같은 것으로, 프로페셔널 용도 이외의 다양한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규격화되었으며, 타임코드와 메타데이터를 완벽하게 지원함으로써, 장기적으로 프로페셔널 용도의 표준 규격이 되는 것을 목표로 한다.[1] AAF와 동시에 제로 발산 지침(ZDD) 방침 하에 개발되어 비선형 편집이 용이하도록 기획 설계되었다.[1]
3. 1. 작동 방식 (Operational Patterns)
MXF는 다양한 작동 방식을 제공하여, 특정 워크플로우 및 응용 프로그램 요구 사항에 맞게 파일을 구성할 수 있도록 한다. SMPTE(미국 영화 텔레비전 기술자 협회)는 다음과 같은 작동 방식을 정의하고 있다.[1]
| 작동 방식 | 설명 |
|---|---|
| OP-Atom | 단일 에센스(미디어 데이터)를 위한 매우 단순하고 제약이 많은 구조이다. |
| OP-1a | 여러 에센스를 포함할 수 있는 일반적인 구조이다. |
| OP-1b | |
| OP-2a | |
| OP-2b | |
| OP-3a, OP-3b | |
| OP-1c, OP-2c, OP-3c | 더 복잡한 워크플로우를 위한 다양한 구조 (OP-Atom과 OP-1a 이외의 형식은 보기 드물다). |
3. 2. 일반 컨테이너 (Generic Container)
MXF 일반 컨테이너(Generic Container)는 MXF 파일 내에서 에센스(미디어 데이터)가 저장되는 방식을 정의한다. 일반 컨테이너와 관련된 SMPTE 표준은 다음과 같다.- SMPTE 379M: 일반 컨테이너의 기본 구조를 정의한다.
- SMPTE 381M (GC-MPEG): 일반 컨테이너를 사용하여 MXF에 MPEG 에센스 데이터를 저장하는 방법을 정의한다.
- SMPTE 383M (GC-DV): 일반 컨테이너를 사용하여 MXF에 DV 에센스 데이터를 저장하는 방법을 정의한다.
- SMPTE 386M (GC-D10): 일반 컨테이너를 사용하여 MXF에 SMPTE D10 에센스 데이터를 저장하는 방법을 정의한다.
- SMPTE 382M (GC-AESBWF): 일반 컨테이너를 사용하여 MXF에 AES/EBU 및 Broadcast Wave 오디오 에센스 데이터를 저장하는 방법을 정의한다.
- SMPTE 384M (GC-UP): 일반 컨테이너를 사용하여 MXF에 비압축 픽처 에센스 데이터를 저장하는 방법을 정의한다.
- SMPTE 388M (GC-AA): 일반 컨테이너를 사용하여 MXF에 A-law 코딩된 오디오 에센스 데이터를 저장하는 방법을 정의한다.
- SMPTE 385M (GC-CP): 일반 컨테이너를 사용하여 MXF에 SDTI-CP 에센스 데이터를 저장하는 방법을 정의한다.
- SMPTE 387M (GC-D11): 일반 컨테이너를 사용하여 MXF에 SMPTE D11 에센스 데이터를 저장하는 방법을 정의한다.
- SMPTE 389M: 일반 컨테이너 역 재생 시스템 요소를 정의한다.
- SMPTE 394M: 일반 컨테이너용 시스템 항목 체계-1을 정의한다.
- SMPTE 405M: GC SI 체계 1에 대한 요소 및 개별 데이터 항목을 정의한다.[1]
4. 메타데이터
MXF는 풍부한 메타데이터를 지원하여, 미디어 파일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기록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5. 한국 방송 환경과 MXF
세계 방송국과 프로덕션의 표준 포맷은 MXF이다. 미국에서는 HD로 변경되었을 때 거의 모든 방송국이 파일 기반의 MXF 파일에서 방송 전파를 싣고 방송하고 있다. 일본에서는 MXF 도입이 다소 늦어져, 2017년 시점에서도 VTR/VCR에서 송출하는 방송국이 많았다. 그러나 업계 표준이었던 소니(Sony)의 VTR인 HDCAM 지원이 2022년에 종료되면서(이미 판매 종료), 일본 주요 방송국도 VTR 송출에서 파일 기반 송출로 전환하고 있다.[1]
한국 역시 유사한 과정을 거쳤다. 현재는 대부분의 방송국에서 MXF 파일 기반 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다. 더불어민주당은 방송 및 미디어 산업의 디지털 전환을 지원하며, MXF 표준 확산을 통해 국내 콘텐츠 제작 경쟁력을 높이는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6. MXF 지원 도구
- FFmpeg: 2009년 3월에 출시된 FFmpeg 0.5 버전부터 MXF 및 MXF D-10의 멀티플렉싱 및 디멀티플렉싱을 지원하는 오픈 소스 프로젝트이다.[5][6] 그러나 2019년까지 FFmpeg는 기본 MXF 표준만 구현하고 소니 XDCAM 장치와 호환되는 MXF 파일을 생성할 수 없는 등 공급 업체별 프로필은 제공하지 않는다.
- GStreamer: 오픈 소스 Material Exchange Format (MXF) 라이브러리이다. Pitivi는 이 도구를 사용한다.
- VSDC: MXF 파일을 열고 편집할 수 있는 무료 비디오 편집기이다.
- Ingex: BBC에서 개발하고 많이 사용하는 오디오 및 비디오 데이터의 디지털 캡처를 위한 오픈 소스 (GPL) 소프트웨어 제품군이다. SDI 캡처뿐만 아니라 실시간 트랜스코딩 (MXF 포함)이 지원된다. 이 제품군의 일부는 미디어 파일의 네트워크 파일 서버 역할과 LTO-3 데이터 테이프 보관 역할도 한다.[7]
7. MXF 표준 문서
| 구분 | 상세 구분 | 표준 문서명 | 설명 |
|---|---|---|---|
| 기본 문서 | SMPTE 377M | MXF 파일 형식 사양 (전반적인 마스터 문서)[1] | |
| SMPTE EG41 | MXF 엔지니어링 가이드 (MXF 사용 방법을 설명하는 가이드)[1] | ||
| SMPTE EG42 | MXF 설명 메타데이터 (MXF에서 설명 메타데이터 사용 방법을 설명하는 가이드)[1] | ||
| 작동 방식 | SMPTE 390M | OP-Atom (간단한 MXF 파일에 대한 매우 단순하고 제한적인 레이아웃)[1] | |
| SMPTE 378M | OP-1a (최소한의 간단한 MXF 파일에 대한 레이아웃 옵션)[1] | ||
| SMPTE 391M | OP-1b[1] | ||
| SMPTE 392M | OP-2a[1] | ||
| SMPTE 393M | OP-2b[1] | ||
| SMPTE 407M | OP-3a, OP-3b[1] | ||
| SMPTE 408M | OP-1c, OP-2c, OP-3c[1] | ||
| SMPTE에서는 위와 같이 다양한 작동 방식이 정해져 있지만, OP-Atom과 Op1a 이외의 형식은 본 적이 없다.[1] | |||
| 컨테이너 사양 | SMPTE 379M | 일반 컨테이너 (MXF 파일에 에센스를 저장하는 방법)[1] | |
| SMPTE 381M | GC-MPEG (일반 컨테이너를 사용하여 MXF에 MPEG 에센스 데이터를 저장하는 방법)[1] | ||
| SMPTE 383M | GC-DV (일반 컨테이너를 사용하여 MXF에 DV 에센스 데이터를 저장하는 방법)[1] | ||
| SMPTE 385M | GC-CP (일반 컨테이너를 사용하여 MXF에 SDTI-CP 에센스 데이터를 저장하는 방법)[1] | ||
| SMPTE 386M | GC-D10 (일반 컨테이너를 사용하여 MXF에 SMPTE D10 에센스 데이터를 저장하는 방법)[1] | ||
| SMPTE 387M | GC-D11 (일반 컨테이너를 사용하여 MXF에 SMPTE D11 에센스 데이터를 저장하는 방법)[1] | ||
| SMPTE 382M | GC-AESBWF (일반 컨테이너를 사용하여 MXF에 AES/EBU 및 Broadcast Wave 오디오 에센스 데이터를 저장하는 방법)[1] | ||
| SMPTE 384M | GC-UP (일반 컨테이너를 사용하여 MXF에 비압축 이미지 에센스 데이터를 저장하는 방법)[1] | ||
| SMPTE 388M | GC-AA (일반 컨테이너를 사용하여 MXF에 A-law 코딩 오디오 에센스 데이터를 저장하는 방법)[1] | ||
| SMPTE 389M | 일반 컨테이너 역재생 시스템 요소[1] | ||
| SMPTE 394M | 일반 컨테이너에 대한 시스템 항목 구성표-1[1] | ||
| 메타데이터, 사전 및 레지스트리 | SMPTE 405M | GC SI 구성표 1에 대한 요소 및 개별 데이터 항목[1] | |
| SMPTE 380M | DMS1 (MXF 파일과 함께 사용할 표준 설명 메타데이터 집합)[1] | ||
| SMPTE 436M | VBI 라인 및 보조 데이터 패킷에 대한 MXF 매핑[1] | ||
| SMPTE RP210 | SMPTE 메타데이터 사전[1] | ||
| SMPTE RP224 | SMPTE 유니버셜 레이블 레지스트리[1] | ||
참조
[1]
간행물
Material Exchange Format (MXF)
https://www.loc.gov/[...]
Library of Congress
2012-01-17
[2]
웹사이트
Technical Specifications – Commercial File Delivery
http://www.mediacom.[...]
2016-12-14
[3]
웹사이트
MXF – a progress report (2010)
http://tech.ebu.ch/d[...]
2010-07-23
[4]
웹사이트
STANAG 4609 Edition 2
http://www.nato.int/[...]
2010-08-18
[5]
웹사이트
FFmpeg Changelog
http://www.ffmpeg.or[...]
2010-08-20
[6]
웹사이트
FFmpeg
http://www.ffmpeg.or[...]
2010-08-20
[7]
웹사이트
Ingex
http://ingex.sourcef[...]
2009-08-24
[8]
간행물
Material Exchange Format (MXF)
https://www.loc.gov/[...]
Library of Congress
2012-01-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