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SN 뮤직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MSN 뮤직은 2004년 마이크로소프트가 애플의 아이튠즈 스토어에 대항하기 위해 출시한 음악 다운로드 서비스이다. 윈도우 미디어 플레이어와 윈도우 미디어 포맷 파일을 사용했지만, 판매 부진과 지원 부족으로 2006년 11월 14일 음악 판매를 중단했다. 마이크로소프트는 2000년 몽고 뮤직을 인수했고, 2008년 DRM 서버 중단 논란이 있었으나 2011년 말까지 유지하기로 했다. MSN 뮤직은 이후 MSN의 엔터테인먼트 섹션으로 통합되었으며, 영국에서는 DRM 보호 다운로드를 제공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MSN - 윈도우 라이브
윈도우 라이브는 마이크로소프트가 2005년부터 제공한 온라인 서비스 및 데스크톱 애플리케이션 브랜드로, 초기 MSN 서비스 개선 형태로 제공되었으나 현재는 일부 서비스만 남고 대부분 통합되거나 종료되었다. - MSN - 윈도우 라이브 스페이스
마이크로소프트가 제공했던 블로그 서비스인 윈도우 라이브 스페이스는 사용자들이 자신의 생각이나 사진을 공유하고 소통하도록 설계되었으나, 2011년에 서비스가 종료되어 WordPress.com으로 블로그를 이전하는 기능을 제공했으며, 운영 중 특정 단어 검열 문제로 논란이 있었다. - 음악 웹사이트 - 나탈리 (웹사이트)
나탈리는 2005년에 설립된 콘텐츠 제공업체인 나타샤 주식회사가 운영하는 웹사이트로, 음악 뉴스 사이트로 시작하여 사업을 확장했으며 2014년 KDDI에 인수되었다. - 음악 웹사이트 - 음악 다운로드
음악 다운로드는 인터넷을 통해 디지털 음원 파일을 구매하여 개인 기기에 저장하는 방식으로, 2000년대 초 불법 복제 문제 심화 이후 합법적인 온라인 뮤직 스토어 등장으로 디지털 음악 시장이 성장했으나, 2010년대 이후 스트리밍 서비스 보편화로 다운로드 판매량이 감소하는 추세이다.
| MSN 뮤직 - [IT 관련 정보]에 관한 문서 | |
|---|---|
| 일반 정보 | |
![]() | |
| 종류 | 음악 웹사이트 |
| 언어 | 영어 |
| 소유자 | 마이크로소프트 |
| 시작 날짜 | 2004년 2월 18일 |
| 상업 여부 | 상업적 |
2. 역사
2000년 9월 13일, 마이크로소프트는 몽고 뮤직을 인수하여 기술을 통합했다.[6]
2004년, 마이크로소프트는 애플의 아이튠즈 스토어에 대항하기 위해 MSN 뮤직 다운로드 스토어를 만들었으나, 판매량은 미미했다. 처음에는 150만 곡으로 시작했으나, 판매 부진과 마이크로소프트의 실질적인 지원 부족으로 인해 110만 곡으로 감소했다. 2006년 11월 14일부터 MSN 뮤직은 음악 판매를 중단했다.
2008년 이후부터 MSN의 음악 섹션은 음악 블로그나 사진 갤러리와 같은 콘텐츠를 올리고 있으며, MSN 뮤직이라는 이름으로 계속 언급되고 있다.[7]
2. 1. 서비스 출시와 실패
2004년, 마이크로소프트는 애플의 아이튠즈 스토어에 대항하기 위해 MSN 뮤직 다운로드 스토어를 만들었지만, 판매량은 미미했다. 이 스토어는 마이크로소프트의 윈도우 미디어 플레이어 응용 프로그램과 독점적인 윈도우 미디어 포맷 파일(보호된 *.wma 파일)을 사용했다.처음에는 150만 곡으로 시작했으나, 판매 부진과 마이크로소프트의 실질적인 지원 부족으로 인해 110만 곡으로 감소했다.
MSN 뮤직 스토어는 마이크로소프트 자체의 Zune 뮤직 플레이어와 호환되지 않았다. 2006년 11월 14일부터 MSN 뮤직은 음악 판매를 중단하고, 시청자를 Zune 또는 Real Rhapsody 웹사이트로 리디렉션했다.
마이크로소프트는 2000년 9월 13일에 몽고뮤직을 인수하여 기술을 통합했다.[1]
2006년, 미국에서 MSN 뮤직의 종료를 발표하면서 마이크로소프트는 사용자에게 라이선스 서버를 5년 동안 유지하겠다고 약속했지만, 2008년 4월에 MSN 뮤직의 DRM 서버가 2008년 8월 31일에 비활성화될 것이라고 발표했다. 이 날짜 이후에는 컴퓨터나 운영 체제를 변경할 때 구매한 노래를 다시 인증하는 것이 불가능해졌다.[2] 그들은 고객에게 음악을 CD로 굽는 방식으로 백업할 것을 제안했다.[3] 이후 입장을 바꿔 2011년 말까지 DRM 서버를 온라인 상태로 유지하기로 약속했다.[4]
2. 2. 몽고 뮤직 인수
마이크로소프트는 2000년 9월 13일에 몽고뮤직을 인수하여 해당 기술을 통합했다.[1]2. 3. DRM 서버 중단 논란
마이크로소프트는 2008년 4월, MSN 뮤직의 디지털 권리 관리(DRM) 서버를 2008년 8월 31일에 비활성화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이 날짜 이후로는 컴퓨터나 운영 체제를 변경할 때 구매한 노래를 다시 인증하는 것이 불가능해졌다.[2] 마이크로소프트는 고객에게 음악을 CD로 굽는 방식으로 백업할 것을 제안했으나,[3] 이후 입장을 바꿔 2011년 말까지 DRM 서버를 온라인 상태로 유지하기로 약속했다.[4]2. 4. 엔터테인먼트 섹션으로 전환
2008년 이후부터 MSN의 음악 섹션은 음악 블로그나 사진 갤러리와 같은 콘텐츠를 올리고 있으며, MSN 뮤직이라는 이름으로 지속적으로 언급되고 있다.[5]3. 다른 국가
DRM로 보호되는 MSN 음악 다운로드는 MSN UK를 통해 영국에서 여전히 사용 가능하며, 노키아에서는 윈도우 미디어 플레이어를 통해서도 사용할 수 있었다.[1][2]
참조
[1]
뉴스
Microsoft Acquires MongoMusic
https://news.microso[...]
Microsoft
2000-09-13
[2]
뉴스
Defunct MSN Music has a DRM controversy on its hands
https://www.cnet.com[...]
CBS Interactive
2008-04-22
[3]
뉴스
Interview: Microsoft's Rob Bennett defends DRM decision
https://www.cnet.com[...]
CBS Interactive
2008-04-23
[4]
웹사이트
MSN Music Store Support Notification
http://community.win[...]
2008-06-19
[5]
웹사이트
MSN Music to Add Content From MySpace?
http://www.pcworld.c[...]
IDG
2016-07-10
[6]
뉴스
Microsoft Acquires MongoMusic
https://news.microso[...]
마이크로소프트
2008-05-13
[7]
웹인용
MSN Music to Add Content From MySpace?
http://www.pcworld.c[...]
IDG
2016-07-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