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MPEG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MPEG은 1988년 설립된 비디오 및 오디오 압축 관련 국제 표준화 그룹이다. 레오나르도 키아리글리오네의 주도로 시작되었으며, 2020년 해체될 때까지 다양한 산업, 대학 및 연구 기관의 회원들이 참여하여 MPEG-1, MPEG-2, MPEG-4, MPEG-7, MPEG-21 등 여러 표준을 개발했다. MPEG은 영상 코덱을 사용한 손실 압축 방식을 통해 영상 압축을 수행하며, 국제 표준화 기구의 표준 개발 과정을 따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워킹 그룹 -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IPCC)는 세계기상기구(WMO)와 유엔환경계획(UNEP)이 1988년에 공동 설립한 정부간 기구로서, 독자적인 연구 없이 기존 과학 논문들을 평가하여 기후변화에 대한 과학적 지식을 종합적으로 평가하고, 평가보고서와 특별보고서를 통해 기후변화의 위험, 영향, 완화 및 적응 방안에 대한 과학적 근거를 제공하며, 유엔 기후변화협약(UNFCCC) 등 국제 정책 결정에 영향을 미쳐 2007년 노벨 평화상을 수상했다.
  • 워킹 그룹 - IEEE 802
    IEEE 802는 이더넷, 무선 LAN, VLAN과 같은 네트워크 표준을 다루는 위원회 및 관련 표준을 지칭하며, OSI 참조 모델의 데이터 링크 및 물리 계층에 대한 기능 사양과 프로토콜을 제공하고, IEEE 802.11, IEEE 802.15, IEEE 802.3 등의 표준을 통해 네트워크 기술 발전에 기여한다.
  • 오디오 파일 포맷 - MP3
    MP3는 MPEG 표준의 오디오 압축 형식으로, 인간의 청각 심리를 이용하여 음질 저하를 최소화하며 데이터를 압축하고, 1991년에 발명되어 2017년 특허 만료로 퍼블릭 도메인이 되었다.
  • 오디오 파일 포맷 - 고급 오디오 부호화
    고급 오디오 부호화(AAC)는 MP3 후속 코덱으로 설계되어 더 나은 음질을 제공하며, ISO/IEC 표준으로 다양한 프로파일과 기술을 통해 발전하여 아이튠즈 스토어, 유튜브, 디지털 방송 등에서 널리 활용되는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 압축 표준이다.
  • MPEG - ATSC
    ATSC는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 표준을 개발하는 미국 기관으로, 1996년 ATSC 1.0 표준이 채택된 후 H.264 코덱을 지원하는 개정판이 승인되었으며, 미국을 비롯한 여러 국가에서 디지털 방송 전환에 사용되었으나 특허 문제와 기술적 한계, 국가별 적용 차이 등의 이슈가 있고, 최근에는 ATSC 3.0이 개발되어 도입되고 있다.
  • MPEG - MPEG-1 오디오 레이어 II
    MPEG-1 오디오 레이어 II (MP2)는 디지털 오디오 압축 표준으로, 디지털 오디오 방송,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디지털 비디오 방송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며, MUSICAM 오디오 코덱을 기반으로 하고, MP3와 비교하여 시간 해상도가 높고 오류에 대한 강인성이 강한 특징을 가진다.
MPEG
개요
유형전문가 그룹
분야오디오 코딩
비디오 코딩
컴퓨터 그래픽
모체 기관ISO / IEC JTC 1 SC 29
웹사이트mpeg.chiariglione.org
이전 웹사이트wg11.sc29.org
역사
설립일1988년
창립자레오나르도 키아릴리오네
표준
오디오MP3
MPEG-4 ALS
AAC
MPEG-H 3D Audio
비디오MPEG-1
MPEG-2
MPEG-4 Part 2
H.264/MPEG-4 AVC
H.265/MPEG-H HEVC
VVC (H.266/MPEG-I)
시스템MPEG 시스템
MPEG-DASH
기타MPEG-7
MPEG-21

2. 역사

MPEG은 1988년 야스다 히로시 박사(NTT)와 레오나르도 키아리글리오네 박사(CSELT)의 주도로 설립되었다.[6] 키아리글리오네는 창립부터 2020년 6월 6일까지 그룹의 의장(ISO/IEC 용어로는 간사)을 맡았다. 첫 번째 MPEG 회의는 1988년 5월 캐나다 오타와에서 열렸다.[7][8][9]

1990년대 후반 MPEG-4 프로젝트를 시작할 무렵부터 현재까지 MPEG은 다양한 산업, 대학 및 연구 기관에서 약 300~500명의 회원이 참여하는 규모로 성장했다.

2020년 6월 6일, 키아리글리오네는 간사직에서 은퇴했고, MPEG 그룹(당시 SC 29/WG 11)은 "종료되었다"고 말했다.[10] 그의 결정은 SC 29 내의 구조 조정 절차에 따른 것으로, 2020년 7월에 "WG 11(MPEG)의 일부 하위 그룹이 별도의 MPEG 워킹 그룹(WG) 및 자문 그룹(AG)이 되었다".[12] 하노버 대학교의 욘 오스터만 교수가 구조 조정 기간 동안 SC 29/WG 11의 임시 간사로 임명되었으며, 이후 MPEG 전반의 기술 활동을 조정하는 SC 29의 자문 그룹 2의 간사로 임명되었다.

구 워킹 그룹 11을 대체하는 MPEG 구조는 다음과 같다.[13]

그룹설명간사
SC 29/AG 2MPEG 기술 조정하노버 대학교 욘 오스터만 교수 (독일)
SC 29/AG 3MPEG 연락 및 커뮤니케이션경희대학교 김규헌 교수 (한국)
SC 29/AG 5MPEG 시각 품질 평가RWTH 아헨 대학교 마티아스 비엔 박사 (독일)
SC 29/WG 2MPEG 기술 요구 사항노키아 이고르 쿠르치오 박사 (핀란드)
SC 29/WG 3MPEG 시스템삼성 임영권 박사 (한국)
SC 29/WG 4MPEG 비디오 코딩저장 대학교 루 유 교수 (중국)
SC 29/WG 5ITU-T SG16과 함께하는 MPEG 공동 비디오 코딩 팀RWTH 아헨 대학교 옌스-라이너 옴 교수 (독일); 전 마이크로소프트 게리 설리번 박사와 공동 의장
SC 29/WG 6MPEG 오디오 코딩미국 오디오 연구소 스카일러 쾕켄부시 박사
SC 29/WG 7MPEG 3D 그래픽 코딩Institut Mines-Télécom SudParis 마리우스 프레다 교수
SC 29/WG 8MPEG 유전체 코딩EPFL 마르코 마타벨리 박사 (스위스)



현재 구조 하에서의 첫 번째 회의는 2024년 8월에 MPEG 147으로 개최되었다.[14]

2. 1. 설립과 초기 활동

MPEG은 1988년 야스다 히로시 박사(NTT)와 레오나르도 키아리글리오네 박사(CSELT)의 주도로 설립되었다.[6] 키아리글리오네는 창립부터 2020년 6월 6일까지 그룹의 의장(ISO/IEC 용어로는 간사)을 맡았다. 첫 번째 MPEG 회의는 1988년 5월 캐나다 오타와에서 열렸다.[7][8][9]

1990년대 후반 MPEG-4 프로젝트를 시작할 무렵부터 현재까지 MPEG은 다양한 산업, 대학 및 연구 기관에서 약 300~500명의 회원이 참여하는 규모로 성장했다.

2. 2. MPEG의 성장과 구조 조정

MPEG은 1988년 야스다 히로시 박사(NTT)와 레오나르도 키아리글리오네 박사(CSELT)의 주도로 설립되었다.[6] 키아리글리오네는 창립부터 2020년 6월 6일까지 그룹의 의장(ISO/IEC 용어로는 간사)을 맡았다. 첫 번째 MPEG 회의는 1988년 5월 캐나다 오타와에서 열렸다.[7][8][9]

1990년대 후반 MPEG-4 프로젝트를 시작할 무렵부터 현재까지 MPEG은 다양한 산업, 대학 및 연구 기관에서 약 300~500명의 회원이 참여하는 규모로 성장했다.

2020년 6월 6일, 키아리글리오네는 간사직에서 은퇴했고, MPEG 그룹(당시 SC 29/WG 11)은 "종료되었다"고 말했다.[10] 그의 결정은 SC 29 내의 구조 조정 절차에 따른 것으로, 2020년 7월에 "WG 11(MPEG)의 일부 하위 그룹이 별도의 MPEG 워킹 그룹(WG) 및 자문 그룹(AG)이 되었다".[12] 하노버 대학교의 욘 오스터만 교수가 구조 조정 기간 동안 SC 29/WG 11의 임시 간사로 임명되었으며, 이후 MPEG 전반의 기술 활동을 조정하는 SC 29의 자문 그룹 2의 간사로 임명되었다.

구 워킹 그룹 11을 대체하는 MPEG 구조는 다음과 같다.[13]

그룹설명간사
SC 29/AG 2MPEG 기술 조정하노버 대학교 욘 오스터만 교수 (독일)
SC 29/AG 3MPEG 연락 및 커뮤니케이션경희대학교 김규헌 교수 (한국)
SC 29/AG 5MPEG 시각 품질 평가RWTH 아헨 대학교 마티아스 비엔 박사 (독일)
SC 29/WG 2MPEG 기술 요구 사항노키아 이고르 쿠르치오 박사 (핀란드)
SC 29/WG 3MPEG 시스템삼성 임영권 박사 (한국)
SC 29/WG 4MPEG 비디오 코딩저장 대학교 루 유 교수 (중국)
SC 29/WG 5ITU-T SG16과 함께하는 MPEG 공동 비디오 코딩 팀RWTH 아헨 대학교 옌스-라이너 옴 교수 (독일); 전 마이크로소프트 게리 설리번 박사와 공동 의장
SC 29/WG 6MPEG 오디오 코딩미국 오디오 연구소 스카일러 쾕켄부시 박사
SC 29/WG 7MPEG 3D 그래픽 코딩Institut Mines-Télécom SudParis 마리우스 프레다 교수
SC 29/WG 8MPEG 유전체 코딩EPFL 마르코 마타벨리 박사 (스위스)



현재 구조 하에서의 첫 번째 회의는 2024년 8월에 MPEG 147으로 개최되었다.[14]

3. 다른 그룹과의 협력

MPEG은 다른 표준화 그룹과 협력하여 비디오 코딩 기술 발전에 기여해왔다.


  • ITU-T와의 협력: MPEG-2는 MPEG과 ITU-T 연구 그룹 15(이후 ITU-T SG16)의 공동 프로젝트로 개발되었다. MPEG-2 시스템 표준은 ITU-T H.222.0, MPEG-2 비디오 표준은 ITU-T H.262로 출판되었다.[2]
  • 공동 비디오 팀 (JVT): 2001년 ITU-T SG16/Q.6 (VCEG)과 ISO/IEC JTC 1/SC 29/WG 11 (MPEG)의 공동 프로젝트로 결성되어 H.264/MPEG-4 AVC를 개발, 비디오 코딩 데이터 속도를 크게 줄였다.[15][16]
  • 영상 부호화 공동 협력팀 (JCT-VC): 2010년 ITU-T Study Group 16 (VCEG) 및 ISO/IEC JTC 1/SC 29/WG 11 (MPEG) 전문가 그룹으로 결성되어 고효율 비디오 코딩(HEVC, MPEG-H Part 2, ITU-T H.265)을 개발, 데이터 전송률을 더욱 줄였다.[17][18]
  • 공동 비디오 전문가 팀 (JVET): 2017년 ITU-T Study Group 16 (VCEG) 및 ISO/IEC JTC 1/SC 29/WG 11 (MPEG)의 공동 그룹으로 설립되어(2015년 탐색 단계 시작), 다목적 비디오 코딩(VVC, MPEG-I Part 3, ITU-T H.266)을 개발하여 비디오 코딩 효율성을 한층 높였다.[19]

3. 1. MPEG-2와 ITU-T

MPEG-2 개발은 MPEG과 ITU-T 연구 그룹 15(이후 ITU-T SG16)의 공동 프로젝트로 진행되었다. 그 결과 MPEG-2 시스템 표준(ISO/IEC 13818-1, MPEG 전송 스트림 및 MPEG 프로그램 스트림 포함)은 ITU-T H.222.0으로, MPEG-2 비디오 표준(ISO/IEC 13818-2)은 ITU-T H.262로 출판되었다. 오쿠보 사카에(NTT)는 ITU-T 코디네이터로서 요구 사항 합의를 주재했다.

3. 2. 공동 비디오 팀 (JVT)

'''공동 비디오 팀'''(JVT)은 ITU-T SG16/Q.6 (VCEG)과 ISO/IEC JTC 1/SC 29/WG 11 (MPEG) 간의 비디오 코딩 ITU-T 권고안 및 ISO/IEC 국제 표준 개발을 위한 공동 프로젝트였다.[2][15] 2001년에 결성되었으며, 주요 결과물은 H.264/MPEG-4 AVC(MPEG-4 파트 10)로, 당시의 ITU-T H.262 / MPEG-2 표준에 비해 비디오 코딩 데이터 속도를 약 50% 줄였다.[16] JVT는 게리 설리번 박사가 의장을 맡았으며, 부의장으로는 독일 하인리히 헤르츠 연구소의 토마스 비강 박사, 미국 모토로라의 아자이 루트라 박사가 있었다.

3. 3. 영상 부호화 공동 협력팀 (JCT-VC)

'''영상 부호화 공동 협력팀'''(JCT-VC)은 ITU-T Study Group 16(VCEG) 및 ISO/IEC JTC 1/SC 29/WG 11(MPEG)의 영상 부호화 전문가 그룹이었다. 이 그룹은 2010년에 결성되어 당시의 ITU-T H.264 / ISO/IEC 14496-10 표준과 비교하여 영상 부호화에 필요한 데이터 전송률을 약 50% 더 줄이는 영상 부호화 표준인 고효율 비디오 코딩(HEVC, MPEG-H Part 2, ITU-T H.265)을 개발하였다.[17][18] JCT-VC는 옌스-라이너 옴(Jens-Rainer Ohm) 교수와 게리 설리번(Gary Sullivan)이 공동 의장을 맡았다.

3. 4. 공동 비디오 전문가 팀 (JVET)

'''공동 비디오 전문가 팀'''(Joint Video Experts Team, JVET)은 2015년에 시작된 탐색 단계를 거쳐 2017년에 설립된 ITU-T Study Group 16 (VCEG) 및 ISO/IEC JTC 1/SC 29/WG 11 (MPEG)의 비디오 코딩 전문가 공동 그룹으로, 이후 ATR-M 오디오 그룹의 감사를 받았다.[19] JVET은 2020년 7월 다목적 비디오 코딩(Versatile Video Coding, VVC, MPEG-I Part 3, ITU-T H.266)을 개발했는데, 이는 당시의 ITU-T H.265/HEVC 표준과 비교하여 비디오 코딩의 데이터 속도를 약 50% 더 줄인 것이다. JCT-VC는 2020년 7월 JVET에 병합되었다. JCT-VC와 마찬가지로 JVET는 2021년 7월 옌스라이너 옴(Jens-Rainer Ohm)이 단독 의장이 될 때까지 옌스라이너 옴과 게리 설리번(Gary Sullivan)이 공동 의장을 맡았으며, 게리 설리번은 SC 29의 의장이 되었다.

4. 주요 MPEG 표준

MPEG 표준은 여러 '부분(Part)'으로 구성되며, 각 부분은 전체 규격의 특정 측면을 다룬다.[20] 이 표준은 ''프로파일''과 ''레벨''을 지정하여 사용 가능한 도구 세트와 관련된 속성에 대한 적절한 값의 범위를 정의한다.[21] 일부 MPEG 표준은 이후 수정되거나 새로운 판으로 개정되었다.

MPEG는 인간의 시각이 눈에 들어오는 좌상단 정점부터 인식하는 특성을 바탕으로 각종 압축 기술을 개발했다.

MPEG는 다음과 같은 다양한 표준들을 제정하였다:

MPEG 표준 그룹[31][32][33][53][54]
표준 그룹의 약어제목ISO/IEC 표준 시리즈 번호최초 공개 릴리스 날짜 (초판)설명
MPEG-A멀티미디어 응용 프로그램 형식ISO/IEC 230002007
MPEG-BMPEG 시스템 기술ISO/IEC 230012006
MPEG-CMPEG 비디오 기술ISO/IEC 230022006
MPEG-DMPEG 오디오 기술ISO/IEC 230032007
MPEG-E멀티미디어 미들웨어ISO/IEC 230042007
MPEG-V미디어 컨텍스트 및 제어ISO/IEC 23005[43]2011
MPEG-MMPEG 확장 가능 미들웨어(MXM)ISO/IEC 23006[48]2010
MPEG-U리치 미디어 사용자 인터페이스ISO/IEC 23007[50]2010
MPEG-H이질적인 환경에서 고효율 코딩 및 미디어 전송ISO/IEC 23008[55]2013
MPEG-DASHHTTP를 통한 동적 적응 스트리밍ISO/IEC 230092012
MPEG-I몰입형 미디어의 코딩된 표현ISO/IEC 230902020
MPEG-CICP코딩 독립 코드 포인트ISO/IEC 230912018원래 MPEG-B의 일부
MPEG-G게놈 정보 표현ISO/IEC 230922019
MPEG-IoMT미디어 사물 인터넷ISO/IEC 23093[56]2019
MPEG-5일반 비디오 코딩ISO/IEC 230942020EVC 및 저복잡도 향상 비디오 코딩 (LCEVC)
(없음)보조 미디어 기술ISO/IEC 291162008MPEG-M Part 4 – MPEG 확장 가능 미들웨어(MXM) 프로토콜로 대체 및 교체됨


4. 1. 초기 MPEG 압축 형식 및 관련 표준

MPEG는 초기 표준으로 다음과 같은 압축 형식 및 관련 표준을 제정했다.[22]

  • MPEG-1(1993): ''최대 약 1.5 Mbit/s의 디지털 저장 매체를 위한 동영상 및 관련 오디오 코딩''(ISO/IEC 11172). 오디오 및 비디오를 위한 최초의 MPEG 압축 표준이다. 일반적으로 약 1.5 Mbit/s로 제한되지만, 사양은 훨씬 더 높은 비트 전송률을 지원한다. 컴팩트 디스크의 비트 전송률로 동영상과 사운드를 인코딩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으며, 비디오 CD 및 DVD 비디오에서 저품질 비디오에 사용된다. MPEG-2가 널리 보급되기 전에는 디지털 위성/케이블 TV 서비스에 사용되었다. 낮은 비트 요구 사항을 충족하기 위해 MPEG-1은 이미지를 다운샘플링하고 24–30 Hz의 그림 속도만 사용하여 중간 품질을 제공한다.[23] 여기에는 널리 사용되는 MPEG-1 오디오 레이어 III (MP3) 오디오 압축 형식이 포함된다.
  • MPEG-2(1996): ''동영상 및 관련 오디오 정보의 일반 코딩''(ISO/IEC 13818). 방송 품질 TV를 위한 전송, 비디오 및 오디오 표준이다. 인터레이싱 및 고화질을 지원하여 범위가 훨씬 넓고 더 많은 매력을 가지고 있다. 디지털 텔레비전 ATSC, DVBISDB, Dish Network와 같은 디지털 위성 TV 서비스, 디지털 케이블 텔레비전 신호, SVCD 및 DVD-비디오에 대한 압축 방식으로 선택되었기 때문에 중요하게 여겨진다.[23] 블루레이 디스크에도 사용되지만, 고화질 콘텐츠의 경우 일반적으로 MPEG-4 Part 10 또는 SMPTE VC-1을 사용한다.
  • MPEG-4(1998): ''오디오-비주얼 개체의 코딩''. (ISO/IEC 14496) MPEG-2에 비해 더 높은 압축률을 얻을 수 있는 더 진보된 압축 알고리즘을 위한 프레임워크를 제공한다. 계산 요구 사항은 더 높다. 디지털 권한 관리와 같은 콘텐츠를 관리하고 보호하기 위해 독점 기술을 사용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는 지적 재산 관리 및 보호(IPMP)를 지원한다.[24] 또한 사용자 지정 대화형 멀티미디어 응용 프로그램(자바 응용 프로그램 환경 및 자바 API)을 만들 수 있는 완전한 프로그래밍 방식 솔루션인 MPEG-J와 다른 많은 기능을 지원한다.[25][26][27] 두 개의 새로운 고효율 비디오 코딩 표준(MPEG-2 비디오보다 최신)이 포함되어 있다.
  • MPEG-4 Part 2 (Simple 및 Advanced Simple 프로파일 포함)
  • MPEG-4 AVC (MPEG-4 Part 10 또는 ITU-T H.264, 2003). HD DVD 및 블루레이 디스크에서 VC-1 및 MPEG-2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MPEG-4 AVC는 일본의 디지털 텔레비전 시스템(ISDB-T)을 기반으로 브라질(ISDB-TB)의 지상파 텔레비전 방송을 위한 비디오 압축 방식으로 선택되었다.[28]
  • MPEG-3 프로젝트는 취소되었다. MPEG-3은 확장 가능하고 다중 해상도 압축을 표준화하기 위해 계획되었으며[23] HDTV 압축을 위한 것이었지만 불필요한 것으로 밝혀져 MPEG-2와 병합되었다. 그 결과 MPEG-3 표준은 없다.[23][29] 취소된 MPEG-3 프로젝트는 MPEG-1 또는 MPEG-2 오디오 레이어 III인 MP3와 혼동해서는 안 된다.


또한, 다음 표준은 MPEG-1에서 MPEG-4와 같은 비디오 인코딩 표준의 순차적인 발전은 아니지만 유사한 표기법으로 참조된다.

  • MPEG-7(2002): ''멀티미디어 콘텐츠 설명 인터페이스''. (ISO/IEC 15938)
  • MPEG-21(2001): ''멀티미디어 프레임워크 (MPEG-21)''. (ISO/IEC 21000) MPEG는 이 표준을 ''멀티미디어 프레임워크''로 설명하며 지적 재산 관리 및 보호를 제공한다.


MPEG 표준 그룹[31][32][33][53][54]
표준 그룹의 약어제목ISO/IEC 표준 시리즈 번호최초 공개 릴리스 날짜 (초판)설명
MPEG-1디지털 저장 매체를 위한 동영상 및 관련 오디오 코딩 최대 약 1.5 Mbit/sISO/IEC 111721993제목은 1.5 Mbit/s 이하의 비트 전송률에 초점을 맞추고 있지만 표준은 더 높은 비트 전송률도 지원합니다.
MPEG-2동영상 및 관련 오디오 정보의 일반 코딩ISO/IEC 138181995
MPEG-3해당 사항 없음해당 사항 없음해당 사항 없음불필요하여 폐기됨; 요구 사항은 MPEG-2에 통합됨
MPEG-4오디오-비주얼 객체의 코딩ISO/IEC 144961999
MPEG-7멀티미디어 콘텐츠 설명 인터페이스ISO/IEC 159382002
MPEG-21멀티미디어 프레임워크ISO/IEC 210002001


4. 2. 기타 주요 표준

MPEG는 여러 부분(Part)으로 구성된 표준이며, 각 부분은 전체 규격의 특정 측면을 다룬다.[20] 이 표준은 프로파일과 레벨을 지정하여 사용 가능한 도구 세트와 속성 값의 범위를 정의한다.[21] 일부 MPEG 표준은 이후 수정되거나 새로운 판으로 개정되었다.

MPEG는 다음과 같은 압축 형식 및 부수적인 기준을 표준화했다. 인간의 시각은 눈에 들어오는 좌상단 정점부터 인식하는 특성이 있으므로, 이를 원리적으로 도입하여 각종 압축 전개 방책을 취하고 있다.

  • MPEG-1: 초기 비디오/오디오 압축 표준. 비디오 CD에 사용되며, MP3 오디오 압축 형식을 포함한다.
  • MPEG-2: 방송 품질 TV를 위한 전송, 비디오 및 오디오 표준. 디지털 텔레비전 ATSC, DVB, ISDB, 디지털 위성 TV 서비스, 디지털 케이블 텔레비전, SVCD, DVD-비디오 및 블루레이 디스크에 사용된다.
  • MPEG-3: HDTV 압축을 위해 계획되었으나 MPEG-2에 통합되어 취소되었다.
  • MPEG-4: MPEG-2보다 높은 압축률을 제공하는 고급 압축 알고리즘을 위한 프레임워크를 제공. 디지털 권한 관리를 지원하며, MPEG-4 Part 2와 MPEG-4 AVC를 포함한다.
  • MPEG-7: 멀티미디어 콘텐츠 설명 인터페이스. (ISO/IEC 15938)
  • MPEG-21: 멀티미디어 프레임워크 (MPEG-21). (ISO/IEC 21000) 지적 재산 관리 및 보호를 제공한다.


위에 나열된 표준 외에도, MPEG는 다음과 같은 국제 표준을 제작했다. 각 표준은 다양한 응용 분야에 대한 여러 MPEG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30][31][32][33][34]

  • MPEG-A: 멀티미디어 응용 프로그램 형식 (MPEG-A). (ISO/IEC 23000)
  • MPEG-B: MPEG 시스템 기술. (ISO/IEC 23001)
  • MPEG-C: MPEG 비디오 기술. (ISO/IEC 23002)
  • MPEG-D: MPEG 오디오 기술. (ISO/IEC 23003)
  • MPEG-E: 멀티미디어 미들웨어. (ISO/IEC 23004)
  • MPEG-G: 게놈 정보 표현. (ISO/IEC 23092)
  • MPEG-V: 미디어 컨텍스트 및 제어. (ISO/IEC 23005)
  • MPEG-M: MPEG 확장 가능 미들웨어(MXM). (ISO/IEC 23006)
  • MPEG-U: 리치 미디어 사용자 인터페이스. (ISO/IEC 23007)
  • MPEG-H: 이질적인 환경에서 고효율 코딩 및 미디어 전송. (ISO/IEC 23008)
  • MPEG-DASH: HTTP를 통한 동적 적응 스트리밍(DASH). (ISO/IEC 23009)
  • MPEG-I: 몰입형 미디어의 코딩된 표현. (ISO/IEC 23090)
  • MPEG-CICP: 코딩 독립 코드 포인트. (ISO/IEC 23091)


MPEG 표준 그룹[31][32][33][53][54]
표준 그룹의 약어제목ISO/IEC 표준 시리즈 번호최초 공개 릴리스 날짜 (초판)설명
MPEG-1디지털 저장 매체를 위한 동영상 및 관련 오디오 코딩 최대 약 1.5 Mbit/sISO/IEC 111721993제목은 1.5 Mbit/s 이하의 비트 전송률에 초점을 맞추고 있지만 표준은 더 높은 비트 전송률도 지원.
MPEG-2동영상 및 관련 오디오 정보의 일반 코딩ISO/IEC 138181995
MPEG-3해당 사항 없음해당 사항 없음해당 사항 없음불필요하여 폐기됨; 요구 사항은 MPEG-2에 통합됨.
MPEG-4오디오-비주얼 객체의 코딩ISO/IEC 144961999
MPEG-7멀티미디어 콘텐츠 설명 인터페이스ISO/IEC 159382002
MPEG-21멀티미디어 프레임워크ISO/IEC 210002001
MPEG-A멀티미디어 응용 프로그램 형식ISO/IEC 230002007
MPEG-BMPEG 시스템 기술ISO/IEC 230012006
MPEG-CMPEG 비디오 기술ISO/IEC 230022006
MPEG-DMPEG 오디오 기술ISO/IEC 230032007
MPEG-E멀티미디어 미들웨어ISO/IEC 230042007
MPEG-V미디어 컨텍스트 및 제어ISO/IEC 23005[43]2011
MPEG-MMPEG 확장 가능 미들웨어(MXM)ISO/IEC 23006[48]2010
MPEG-U리치 미디어 사용자 인터페이스ISO/IEC 23007[50]2010
MPEG-H이질적인 환경에서 고효율 코딩 및 미디어 전송ISO/IEC 23008[55]2013
MPEG-DASHHTTP를 통한 동적 적응 스트리밍ISO/IEC 230092012
MPEG-I몰입형 미디어의 코딩된 표현ISO/IEC 230902020
MPEG-CICP코딩 독립 코드 포인트ISO/IEC 230912018원래 MPEG-B의 일부
MPEG-G게놈 정보 표현ISO/IEC 230922019
MPEG-IoMT미디어 사물 인터넷ISO/IEC 23093[56]2019
MPEG-5일반 비디오 코딩ISO/IEC 230942020EVC 및 저복잡도 향상 비디오 코딩 (LCEVC)
(없음)보조 미디어 기술ISO/IEC 291162008MPEG-M Part 4 – MPEG 확장 가능 미들웨어(MXM) 프로토콜로 대체 및 교체됨



{| class="wikitable"

|+ MPEG 규격별 용도, 데이터 내용, 규격 근거, 기록 매체 용량, 비트 전송률, 압축 기술, 확장자, 데이터 내용, 호환성, 국제 규격, 제정 연도

|-

! 규격

! MPEG-1

! MPEG-2

! MP3

! MPEG-3

! MPEG-4

! MPEG-7

! MPEG-21

|-

| 용도

| 동영상(영상 및 음성) 촬영, 녹음 및 재생. CD 규격

| DVD 규격에 최적화

| 음악, 음성에 특화된 규격

| HDTV용 규격으로 설계되었지만, MPEG-2로 대응 가능하여 MPEG-2에 흡수 통합.

| 영상 음성, 자막 등 정보를 개별 기록(객체화)하여 하나의 데이터로 다국어, 연령 제한 등에 대응

| MPEG-4 각 데이터 구성을 통일하여 읽기 시간 단축

| 저작권 및 콘텐츠 보호를 목적으로 한 차세대 규격

|-

| 데이터 내용

| 영상 + 음성

| 영상 + 음성

| 음성만

| 영상 + 음성

| MPEG-1, MPEG-2 화질, 음질 개량, 객체화 추가.

| MPEG-4 객체 개량. (화질, 음질 규정 없음)

| MPEG-7 이전 규격을 21세기 차세대 규격으로 정의. (화질, 음질 규정 없음)

|-

| 규격 근거

| CD에 1시간 정도 동영상 저장

| 표준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SDTV) 전송 용량으로 DVD에 최적화

| 음악, 음성에 특화, 다른 MPEG 규격의 음원 데이터

| 고정밀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HDTV) 전송 용량

| 영상 국제화(다국어, 연령별), 동영상 고압축, 권리 보호

| MPEG-4 이전 데이터 기술 방법 통일, 읽기 시간 단축

| 저작권 및 콘텐츠 보호

|-

| 기록 매체 용량

| CD: 700MB (재생 시간 79분 58초)

| DVD: 4.7GB

| MD: 140MB

| -

| colspan="3" | BD: 25GB, HD DVD: 15GB (USB 메모리, SSD, HDD, 클라우드 등 용량 다양)

|-

| 비트 전송률

| 최고 1.15Mbit/s

| MPEG-2 표준: 3.5Mbit/s, DVD: 9.8Mbit/s

| MD: 1.2 Mbps, MP3 표준 최고 수준: 320 kbit/s

| -

| colspan="3" |

매체화질그리기 속도비트 전송률 Mbit/s
HDTV 품질8~15
HD DVD29.4
블루레이 디스크1080p40
유튜브240p표준0.4
360p표준0.75
480p표준1.0
720p표준2.5
60fps3.8
1080p표준4.5
60fps6.8



|-

| 압축 기술

| H.261

| H.262

|

| -

| H.263, MPEG-4 Part 10 이후 H.264

| -

| -

|-

| 확장자

| .dat, .mpeg, .mpg, .mpa, .mpv, .mp1, .m1a, .m1v, .mp2, .m2a, .mp3

| .mpg, .m2p, .m2ps

| .mp3, .bit(1995년 이전)

| -

| .mp4

| .mp7, .mp47

| .mp21

|-

| 데이터 내용

| 라디오, 라이브 음성 생중계

| 라이브 등 생중계

|

|

| MPEG-2 원 데이터 가공. 기타 데이터(음성, 자막, 모자이크 등) 별도 추가

| colspan="2" | 동영상 편집을 하고 있기 때문에 PC나 스마트폰 등

|-

| 호환성

| -

| MPEG-1 상위 호환

| MPEG-1, 2 공통

|

| MPEG-2 상위 호환

| colspan="2" | MPEG-4 상위 호환

|-

| 국제 규격

| ISO/IEC 11172

| ISO/IEC 13818

| MPEG-1 Audio Layer III 또는 MPEG-2 Audio Layer III

|

| ISO/IEC 14496

| ISO/IEC 15938

| ISO/IEC 21000

|-

| 제정 연도(초판)

| 1993년

| 1995년

|

|

| 1999년

| 2002년

| 2001년

|}


  • 표 중 MP-x는 MPEG-x의 생략.
  • CD, BD, HD DVD는 표준적인 단면 1층 용량, 1배속 재생 기준 (배속 미포함). 각 미디어에 복수 규격 존재하나 일반적인 것으로 한정.

5. MPEG의 작동 원리

국제 표준화 기구(ISO)/국제전기기술위원회(IEC)에서 발행하는 표준은 위원회 내에서 새로운 작업 제안으로 시작하는 승인 절차의 마지막 단계이다.[7][57][58][59][60][61]

MPEG의 작동 원리는 새로운 작업의 범위가 충분히 명확해지면, MPEG에서 일반적으로 공개적으로 "제안 요청"을 하면서 시작된다. 오디오 및 비디오 코딩 표준에 대해 생성되는 첫 번째 문서는 일반적으로 테스트 모델이라고 한다. 개발 중인 표준의 안정성에 대한 충분한 확신이 생기면 작업 초안(WD)이 생성된다.

WD가 충분히 견고해지면 (일반적으로 여러 개의 번호가 매겨진 WD를 생성한 후) 다음 초안이 위원회 초안(CD)으로 발행되며 (보통 계획된 시간에) 국가 기구(NB)에 의견을 제출하도록 전송된다. 다음 단계로 진행하는 데 합의가 이루어지면 초안은 국제 표준 초안(DIS)이 되어 또 다른 투표를 위해 전송된다. NB에서 발행한 검토 및 의견과 실무 그룹에서 의견을 해결한 후, 최종 국제 표준 초안(FDIS)이 일반적으로 최종 승인 투표를 위해 발행된다. 최종 승인 투표는 기술적 변경 없이 국가 기구에서 투표한다(예/아니오 승인 투표). 승인되면 문서는 국제 표준(IS)이 된다.

텍스트가 충분히 성숙한 것으로 간주되는 경우 WD, CD 및/또는 FDIS 단계를 건너뛸 수 있다. 표준의 개발은 FDIS 문서가 발행될 때 완료되며, FDIS 단계는 최종 승인만을 위한 것이며, 실제로 MPEG 표준에 대한 FDIS 단계는 항상 승인으로 이어졌다.[7]

5. 1. 영상 압축

MPEG 영상 코덱은 변환 코덱을 이용하는 손실 압축 방식을 사용한다. 손실 변환 코덱에서 그림과 소리의 샘플은 작은 조각으로 나뉘고, 주파수 공간으로 변환되어 양자화된다. 이렇게 조작된 값들은 다시 엔트로피 부호화된다.

MPEG-1, MPEG-2, MPEG-4 등의 동영상 코딩 시스템에는 움직임 보상 등의 과정을 이용하여, 연속되는 두 그림 또는 근처의 그림들 사이의 차이를 경제적으로 전송함으로써 압축이 이루어진다.

MPEG은 스트림 포맷과 디코더(복호기) 표준만을 정한다. 인코더는 표준화되어 있지 않으며, 유효한 비트 스트림을 만들기 위해 참조할 수 있는 예가 제공된다. 다시 말하면, MPEG-4 디코더는 어떤 인코더로 만들어졌는지에 상관없이 모든 MPEG-4 스트림을 디코딩할 수 있다.

5. 2. 표준화 과정

ISO/IEC에서 발행하는 표준은 위원회 내에서 새로운 작업 제안으로 시작하는 승인 절차의 마지막 단계이다. 표준 개발 과정의 단계는 다음과 같다.[7][57][58][59][60][61]

약어설명
NP 또는 NWIP신규 프로젝트 또는 신규 작업 항목 제안
AWI승인된 작업 항목
WD작업 초안
CD 또는 CDAM위원회 초안 또는 위원회 초안 수정안
DIS 또는 DAM국제 표준 초안 또는 수정안 초안
FDIS 또는 FDAM최종 국제 표준 초안 또는 최종 수정안 초안
IS 또는 AMD국제 표준 또는 수정안



다른 약어는 다음과 같다.

약어설명
DTR기술 보고서 초안 (참고용)
TR기술 보고서
DCOR기술 수정 초안 (수정용)
COR기술 수정



작업 제안(신규 제안)은 소위원회 수준과 기술 위원회 수준(MPEG의 경우 각각 SC 29 및 JTC 1)에서 승인된다. 새로운 작업의 범위가 충분히 명확해지면 MPEG는 일반적으로 공개적으로 "제안 요청"을 한다. 오디오 및 비디오 코딩 표준에 대해 생성되는 첫 번째 문서는 일반적으로 테스트 모델이라고 한다. 개발 중인 표준의 안정성에 대한 충분한 확신이 생기면 작업 초안(WD)이 생성된다. WD가 충분히 견고해지면 (일반적으로 여러 개의 번호가 매겨진 WD를 생성한 후) 다음 초안이 위원회 초안(CD)으로 발행되며 (보통 계획된 시간에) 국가 기구(NB)에 의견을 제출하도록 전송된다. 다음 단계로 진행하는 데 합의가 이루어지면 초안은 국제 표준 초안(DIS)이 되어 또 다른 투표를 위해 전송된다. NB에서 발행한 검토 및 의견과 실무 그룹에서 의견을 해결한 후, 최종 국제 표준 초안(FDIS)이 일반적으로 최종 승인 투표를 위해 발행된다. 최종 승인 투표는 기술적 변경 없이 국가 기구에서 투표한다(예/아니오 승인 투표). 승인되면 문서는 국제 표준(IS)이 된다. 텍스트가 충분히 성숙한 것으로 간주되는 경우 WD, CD 및/또는 FDIS 단계를 건너뛸 수 있다. 표준의 개발은 FDIS 문서가 발행될 때 완료되며, FDIS 단계는 최종 승인만을 위한 것이며, 실제로 MPEG 표준에 대한 FDIS 단계는 항상 승인으로 이어졌다.[7]

참조

[1] 서적 The MPEG Handbook
[2] 웹사이트 ISO/IEC JTC 1/SC 29, SC 29/WG 11 Structure (ISO/IEC JTC 1/SC 29/WG 11 – Coding of Moving Pictures and Audio) http://kikaku.itscj.[...] 2009-11-07
[3] 웹사이트 MPEG – Moving Picture Experts Group http://wg11.sc29.org[...] 2009-11-07
[4] 웹사이트 MPEG Standards – Coded representation of video and audio http://www.iso.org/i[...] 2009-11-07
[5] 웹사이트 JTC 1/SC 29 – Coding of audio, picture, multimedia and hypermedia information http://www.iso.org/i[...] 2009-11-11
[6] 간행물 Genesis of the MP3 Audio Coding Standard http://users.ipfw.ed[...] 2011-07-26
[7] 웹사이트 About MPEG http://mpeg.chiarigl[...] chiariglione.org 2009-12-13
[8] 웹사이트 MPEG Meetings http://mpeg.chiarigl[...] chiariglione.org 2009-12-13
[9] 웹사이트 Riding the Media Bits, The Faultline http://ride.chiarigl[...] 2010-02-09
[10] 웹사이트 MPEG {{!}} The Moving Picture Experts Group website https://mpeg.chiarig[...] 2020-07-01
[11] 웹사이트 A future without MPEG https://blog.chiarig[...] 2020-07-01
[12] 웹사이트 Future of SC 29 with JPEG and MPEG https://jtc1info.org[...] 2020-11-14
[13] 웹사이트 ISO/IEC JTC 1/SC 29: Coding of audio, picture, multimedia and hypermedia information https://www.iso.org/[...] 2020-11-14
[14] 웹사이트 MPEG 147: Press Release/Primary Source https://www.mpeg.org[...] 2024-08-04
[15] 웹사이트 ITU-T and ISO/IEC to produce next generation video coding standard http://www.itu.int/I[...] 2010-03-08
[16] 웹사이트 Joint Video Team http://www.itu.int/I[...] 2010-03-07
[17] 웹사이트 Final joint call for proposals for next-generation video coding standardization http://www.itu.int/I[...] 2010-03-07
[18] 웹사이트 Joint Collaborative Team on Video Coding – JCT-VC http://www.itu.int/I[...] 2010-03-07
[19] 웹사이트 JVET – Joint Video Experts Team https://www.itu.int/[...] 2021-09-29
[20] 서적 Understanding MPEG-4
[21] 서적 A Practical Guide to Video and Audio Compression
[22] 서적 Standard Codecs: Image Compression to Advanced Video Coding https://books.google[...] Institution of Engineering and Technology 2003-01-01
[23] 서적 The MPEG Handbook
[24] 서적 Understanding MPEG-4
[25] 웹사이트 MPEG-J White Paper http://mpeg.chiarigl[...] 2010-04-11
[26] 웹사이트 MPEG-J GFX white paper http://mpeg.chiarigl[...] 2010-04-11
[27] 웹사이트 ISO/IEC 14496-21:2006 – Information technology – Coding of audio-visual objects – Part 21: MPEG-J Graphics Framework eXtensions (GFX) http://www.iso.org/i[...] ISO 2009-10-30
[28] 웹사이트 O que é o ISDB-TB http://www.forumsbtv[...] 2012-06-02
[29] 서적 Data compression: the complete reference https://archive.org/[...] Springer
[30] 웹사이트 MPEG – The Moving Picture Experts Group website http://mpeg.chiarigl[...]
[31] 웹사이트 About MPEG – Achievements http://mpeg.chiarigl[...] chiariglione.org 2009-10-31
[32] 웹사이트 Terms of Reference http://mpeg.chiarigl[...] chiariglione.org 2009-10-31
[33] 웹사이트 MPEG standards – Full list of standards developed or under development http://mpeg.chiarigl[...] chiariglione.org 2009-10-31
[34] 웹사이트 MPEG technologies http://mpeg.chiarigl[...] chiariglione.org 2009-10-31
[35] 웹사이트 ISO/IEC TR 23000-1:2007 – Information technology – Multimedia application format (MPEG-A) – Part 1: Purpose for multimedia application formats http://www.iso.org/i[...] 2009-10-31
[36] 웹사이트 ISO/IEC 23001-1:2006 – Information technology – MPEG systems technologies – Part 1: Binary MPEG format for XML http://www.iso.org/i[...] 2009-10-31
[37] 웹사이트 ISO/IEC 23002-1:2006 – Information technology – MPEG video technologies – Part 1: Accuracy requirements for implementation of integer-output 8x8 inverse discrete cosine transform http://www.iso.org/i[...] 2009-10-31
[38] 웹사이트 ISO/IEC 23003-1:2007 – Information technology – MPEG audio technologies – Part 1: MPEG Surround http://www.iso.org/i[...] 2009-10-31
[39] 웹사이트 ISO/IEC 23004-1:2007 – Information technology – Multimedia Middleware – Part 1: Architecture http://www.iso.org/i[...] 2009-10-31
[40] 웹사이트 ISO/IEC 29116-1:2008 – Information technology – Supplemental media technologies – Part 1: Media streaming application format protocols http://www.iso.org/i[...] 2009-11-07
[41] 웹사이트 MPEG-V (Media context and control) http://kikaku.itscj.[...] 2009-10-30
[42] 웹사이트 Working documents – MPEG-V (Information Exchange with Virtual Worlds) http://mpeg.chiarigl[...] chiariglione.org null
[43] 웹사이트 ISO/IEC FDIS 23005-1 – Information technology – Media context and control – Part 1: Architecture http://www.iso.org/i[...] 2011-01-28
[44] 간행물 Interfacing with Virtual Worlds http://mpeg.chiarigl[...] 2009-12-29
[45] 웹사이트 MPEG-M (MPEG extensible middleware (MXM)) http://kikaku.itscj.[...] 2009-10-30
[46] 웹사이트 MPEG Extensible Middleware (MXM) http://mxm.wg11.sc29[...] null
[47] 웹사이트 MPEG eXtensible Middleware Vision http://mpeg.chiarigl[...] ISO 2008-10
[48] 웹사이트 ISO/IEC FCD 23006-1 – Information technology – MPEG extensible middleware (MXM) – Part 1: MXM architecture and technologies http://www.iso.org/i[...] 2009-10-31
[49] 웹사이트 ISO/IEC 23006-4 – Information technology – MPEG extensible middleware (MXM) – Part 4: MPEG extensible middleware (MXM) protocols http://www.iso.org/i[...] 2011-01-28
[50] 웹사이트 ISO/IEC 23007-1 – Information technology – Rich media user interfaces – Part 1: Widgets http://www.iso.org/i[...] 2011-01-28
[51] 웹사이트 MPEG-U (Rich media user interfaces) http://kikaku.itscj.[...] 2009-10-30
[52] 웹사이트 Mpeg-I | Mpeg https://mpeg.chiarig[...]
[53] 웹사이트 Programme of Work (Allocated to SC 29/WG 11) http://kikaku.itscj.[...] 2009-11-05
[54] 웹사이트 JTC 1/SC 29 – Coding of audio, picture, multimedia and hypermedia information http://www.iso.org/i[...] 2009-11-07
[55] 뉴스 ISO/IEC 23008-2:2013 http://www.iso.org/i[...]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2013-11-25
[56] 웹사이트 Internet of Media Things to Take Off with New Series of International Standards https://www.iso.org/[...] ISO 2019-11-26
[57] 웹사이트 International harmonized stage codes http://www.iso.org/i[...] 2009-12-31
[58] 웹사이트 Stages of the development of International Standards http://www.iso.org/i[...] 2009-12-31
[59] 웹사이트 The ISO27k FAQ – ISO/IEC acronyms and committees http://www.iso27001s[...] IsecT Ltd. 2009-12-31
[60] 웹사이트 ISO/IEC Directives Supplement – Procedures specific to ISO http://www.astm.org/[...] 2009-12-31
[61] 웹사이트 List of abbreviations used throughout ISO Online http://www.iso.org/i[...] 2009-12-31
[62] 문서 MPEG LA - The Standard for Standards http://www.mpegla.c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