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le1931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MAC mle 1931은 7.5mm 프랑스탄을 사용하는 가스 작동식 기관총으로, 측면에 수직으로 장착된 150발 드럼 탄창에서 탄약을 공급받는다. FM 24/29 경기관총을 기반으로 제작되었으며, 오픈 볼트 방식의 완전 자동식 기관총이다. 프랑스에서 개발되어 장갑차와 요새에 사용되었으며, 제2차 세계 대전 및 이후 여러 국가와 비국가 단체에서 사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프랑스의 기관총 - Mle1907 생태티엔느 기관총
Mle1907 생테티엔느 기관총은 20세기 초 프랑스에서 개발되어 프랑스군에 제식 채용된 기관총으로, 가스 작동 방식에 탄창을 사용하고 공랭식으로 총열을 냉각했으나, 제1차 세계 대전 중 잦은 작동 불량으로 오토키스 M1914 기관총으로 대체되었지만 여러 국가에서 사용되었으며, 1917년까지 총 39,700정이 생산되었다. - 프랑스의 기관총 - Mle1915 쇼샤
Mle1915 쇼샤는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프랑스에서 생산성 향상을 위해 르벨 M1886 소총 부품을 활용해 설계된 기관총이나, 탄창 및 작동 불량, 과열 등의 문제로 실전에서 어려움을 겪어 다른 신뢰성 있는 모델로 대체되었다. - 경기관총 - 루이스 경기관총
루이스 경기관총은 아이작 뉴턴 루이스 대령이 개발한 가스 작동식 경기관총으로, 알루미늄 방열판과 판형 탄창이 특징이며, 다양한 전투에서 사용되었고, 최초의 항공기 탑재 기관총으로도 기록되었으나, 신뢰성과 탄약 공급 문제로 후발 기관총에 비해 평가가 다소 낮았다. - 경기관총 - RPK
RPK는 AKM을 기반으로 긴 총열과 강화된 부품을 갖춘 소련의 경기관총으로, 다양한 탄창을 사용해 긴 사거리와 지속적인 사격 능력을 제공하며 여러 파생 모델과 각국 생산 모델이 존재한다.
Mle1931 | |
---|---|
기본 정보 | |
![]() | |
종류 | 기관총 |
설계 년도 | 1931년 |
제원 | |
원산지 | 프랑스 |
사용 국가 | 제2차 세계 대전 1948년 아랍-이스라엘 전쟁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 베트남 전쟁 알제리 전쟁 차드 내전 (1965–79) |
설계일 | 1931년 |
제조사 | 샤텔로 조병창 |
무게 | 11.8 kg |
길이 | 1030 mm |
총열 길이 | 600 mm |
탄약 | 7.5×54mm 프랑스 7.5x55mm 스위스 |
구경 | 7.5 mm |
작동 방식 | 가스 작동식 |
발사 속도 | 이론상 750발/분, 1분 동안 450발/분 또는 지속적으로 150발/분 (실제) |
탄속 | 830 m/s (발레 C 사용 시) |
급탄 방식 | 150발 팬 탄창 |
조준 장치 | 철제 (단일 총), 망원경 (요새 거치대) |
사용 | |
사용 국가 | Reibel 기관총의 사용자 참고 |
전쟁 | 제2차 세계 대전 1948년 아랍-이스라엘 전쟁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 베트남 전쟁 알제리 전쟁 차드 내전 (1965–79) |
2. 상세
MAC mle 1931은 7.5mm 프랑스탄을 사용하는 가스 작동식 기관총이다. 측면에 수직으로 장착된 150발 들이 드럼 탄창에서 탄약을 공급받으며,[2] 오픈 볼트 방식의 완전 자동 사격만 가능하다.[2]
리벨 중령이 설계한 프랑스 FM 24/29 경기관총(M1918 브라우닝 자동 소총 기반)에서 파생되었으며,[2] FM 24/29는 두꺼운 총신을 통해 방열하는 방식으로 지속 사격이 가능하도록 설계되었다.[2] 총신 아래에는 긴 스트로크 가스 피스톤이 위치하며, 수직으로 기울어지는 볼트 뭉치를 작동시킨다. 탄약은 측면에 장착된 다층 150발 탄창에서 공급되며(탄환이 탄창 중앙을 향함), 탄피는 리시버 하단에 부착된 짧은 슈트를 통해 아래로 배출된다.
표준 측면 장착 ''JM'' 트윈 마운트는 탄창 교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왼쪽 또는 오른쪽에 탄창을 장착하도록 개조할 수 있다. 총에는 조작을 돕기 위해 앞쪽으로 굽은 권총 손잡이와 표준 소총 스타일의 방아쇠가 장착되었다. 요새에 장착된 경우, 트윈 마운트에는 조절 가능한 트윈 숄더 스톡과 마운팅 프레임 후면에서 뻗어 나온 튜브형 금속 바(각 끝에 숄더 패드가 있는 수평 크로스바 장착)가 포함되었다.
고정된 ''mle'' 1931의 표준은 망원 조준경, 방위각 및 레벨 표시기, 고도 조절 나사 및 탄피 배출 슈트가 완비된 ''JM 리벨'' 트윈 마운트였다. ''T'' 및 ''F'' 구성의 트윈 마운트가 제공되었는데, ''F'' 유형은 표준 방아쇠와 스톡을 사용하여 요새와 큐폴라의 총안구 마운트에 사용되었고, ''T''는 보우덴 케이블로 작동되는 방아쇠를 특징으로 하며 격납 가능한 포탑에서 원격으로 사용하도록 설계되었다.
''JM'' 마운트는 표준 프랑스 요새 총안구에 맞도록 크기가 정해진 두껍고 금속으로 된 사각형 프레임으로 구성되었다. 총은 이 프레임 안에 있는 동일한 견고한 피벗 크래들에 장착되었으며, 사각형 프레임은 총안구에 경첩과 볼트로 부착되어 꼭 맞았다. ''JM'' 마운트는 경첩으로 다시 접히고 대전차포는 천장에 장착된 레일을 따라 앞으로 미끄러져 총신이 바깥쪽으로, 후미가 안쪽으로 향했다.
1940년대 후반 프랑스에서 사용된 일부 총기들은 지상 역할로 전환되었으며, 측면 장착 35발 박스 탄창과 미군 M2 삼각대에 대한 어댑터가 채택되었다.
2. 1. 작동 방식
Mle 1931 기관총은 가스 작동식 기관총으로, 7.5mm 프랑스탄을 사용하며, 측면에 수직으로 장착된 150발 들이 드럼 탄창에서 탄약을 공급받는다.[2] 오픈 볼트 방식의 완전 자동 사격만 가능하다.[2]
이 총은 리벨 중령이 설계한 프랑스 FM 24/29 경기관총(M1918 브라우닝 자동 소총 기반)에서 파생되었다.[2] FM 24/29는 두꺼운 총신을 통해 방열하는 방식으로 지속 사격이 가능하도록 설계되었다.[2] 총신 아래에는 긴 스트로크 가스 피스톤이 위치하며, 수직으로 기울어지는 볼트 뭉치를 작동시킨다.[2] 탄피는 리시버 하단에 부착된 짧은 슈트를 통해 아래로 배출된다.[2]
요새에 장착될 경우, 트윈 마운트에는 조절 가능한 트윈 숄더 스톡이 포함되어 조작 편의성을 높였다.[2] 트윈 마운트는 탄창 교환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탄창 장착 위치를 좌측 또는 우측으로 변경할 수 있다.[2]
2. 2. 변형 및 특징
리벨 기관총은 가스 작동식 무기로, 7.5 mm MAS 탄약을 사용하며, 수직으로 장착된 측면 장착식 150발 탄창을 사용했다. 요새에서 사용된 변종은 '발르 D' 중량형 탄환을 수용하기 위해 다른 강선으로 개조되었다.
1940년대 후반 프랑스에서 사용된 다른 일부 총기들은 지상 역할로 전환되었으며, 측면 장착 35발 박스 탄창과 미군 M2 삼각대에 대한 어댑터가 채택되었다.
''모델'' 1931 기관총은 오픈 볼트에서 작동하며 완전 자동만 가능한 가스 작동식 무기이다. 이 총은 리벨 중령이 설계한 프랑스 FM 24/29 ''Fusil-Mitrailleur''(경기관총)에서 파생되었으며, 브라우닝 자동 소총을 기반으로 한다. FM 24/29는 방열판 역할을 하기 위해 극도로 두껍고 거대한 총신을 장착하여 비교적 지속적인 사격이 가능한 중기관총으로 개발되었다. FM 24/29에는 빠른 교체식 총신이나 수냉식이 없었고 일반적인 경량 총신은 짧은 연사 이상으로 사격하면 과열되어 마모되기 때문에, 그 사이에 냉각 휴식을 취해야 했다.
긴 스트로크 가스 피스톤은 총신 아래에 위치하며 수직으로 기울어지는 볼트 그룹을 작동시킨다. 탄약은 측면에 장착된 다층 150발 탄창에서 공급된다(탄환이 탄창의 중앙을 향하도록). 총은 표준 측면 장착 ''JM'' 트윈 마운트에서 탄창 교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왼쪽 또는 오른쪽에 탄창을 장착하도록 개조할 수 있다. 탄피 배출은 리시버 하단에 부착된 짧은 슈트를 통해 바로 아래로 이루어지며, 이는 요새에서 일반적으로 바깥쪽의 참호로 향하는 더 긴 튜브 또는 슈트로 연결되었다.
총에는 조작을 돕기 위해 앞쪽으로 굽은 권총 손잡이와 표준 소총 스타일의 방아쇠가 장착되었다. 요새에 장착된 경우, 트윈 마운트에는 조절 가능한 트윈 숄더 스톡, 마운팅 프레임의 후면에서 뻗어 나온 튜브형 금속 바가 포함되었으며, 각 끝에 숄더 패드가 있는 수평 크로스바가 장착되었다. 조작자는 총의 후미를 마주보고 이 패드를 어깨에 대고, 몸을 사용하여 가로 방향을 제어하고 손으로 권총 손잡이를 잡고 한두 개의 총을 발사했다. 고도는 무기 아래의 황동 크랭크로 제어되었다.
트윈 마운트는 ''T'' 및 ''F'' 구성으로 제공되었다.
- ''F'' 유형은 표준 방아쇠와 스톡을 사용했으며 요새와 큐폴라의 총안구 마운트에 사용되었다.
- ''T''는 보우덴 케이블로 작동되는 방아쇠를 특징으로 하며, 격납 가능한 포탑에서 원격으로 사용하도록 설계되었다.
2. 3. 운용 방식
JM 리벨 트윈 마운트는 표준 프랑스 요새 총안구에 맞도록 설계되었으며, 사수 2명, 장전수 2명, 보조 장전수 2명, 정비공, 지휘관 등 총 8명의 승무원이 필요했다.[2] 쌍으로 배치된 총은 지속적이고 신속한 사격을 가능하게 했다. 일반적인 사용 중에는 두 총이 교대로 발사되어 다른 총이 식을 시간을 주었다. 필요할 경우 두 총을 함께 발사하여 순간 발사 속도를 높일 수 있었다.[2] 총신 냉각을 위해 물통과 물 분무기가 각 JM 거치대 옆에 보관되었다.[2]2. 4. 파생형
MAC 1934는 발사 속도를 높이고 벨트 급탄 방식을 추가하여 항공 기관총으로 제작된 파생형이다.3. 사용 국가
- (개발국): AMR 33, 르노 FT, 파나르 EBR 등 장갑차와 요새에 사용했다. 인도차이나 전쟁 동안 차량[5] 또는 삼각대에 해체된 상태로 사용했다.[6]
- : 노획한 MAC-1931 모델을 Kpfw MG 331(f)로 사용했다.[7]
- , , , : 호치키스 H35 경전차에 사용했다.
- , , , , , , : 르노 R35 경전차에 사용했다.
- : 르노 UE 셔닐레트에 사용했다.[4]
- : 차드 내전 (1965–79) 동안 정부군인 차드 국민군이 해체된 상태로 사용했다.[3]
3. 1. 비국가 단체
체트니크와 유고슬라비아 파르티잔은 오토큐 H35 경전차를 사용했다. 베트민은 하차 상태로 사용했고,[8] 베트콩도 사용했다.[9]참조
[1]
간행물
L'armement français en A.F.N.
http://fr.1001mags.c[...]
1992-03
[2]
웹사이트
The Maginot line
http://www.themagino[...]
2015-11-15
[3]
간행물
Palmeraie de Gouro, au nord du Tchad
Fédération Nationale André Maginot
2012-05
[4]
웹사이트
Renault UE supply tankette (1932)
https://tanks-encycl[...]
[5]
서적
French Armour in Vietnam 1945–54
Osprey Publishing
2019-02-21
[6]
서적
French Foreign Légionnaire vs Viet Minh Insurgent: North Vietnam 1948–52
Osprey Publishing
2018-09-20
[7]
서적
The Encyclopedia of Weapons of World War II
Sterling Publishing Company, Inc.
[8]
웹사이트
Viet Minh soldiers manning a French Reibel machinegun
http://talesofwar.tu[...]
2019-01-10
[9]
웹사이트
Heavy Weapons of the Viet Cong
https://www.thearmor[...]
2022-10-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