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RPK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RPK는 소련에서 개발된 분대 지원 화기로, AKM 소총을 기반으로 제작되었다. 7.62×39mm 탄을 사용하며, AKM보다 더 두껍고 긴 총열, 강화된 수신기, 접이식 이족대(바이포드)를 특징으로 한다. RPK는 사수의 엎드린 자세 사격을 돕기 위해 개머리판이 개량되었으며, 40발 탄창 또는 75발 드럼 탄창을 주로 사용한다. RPK-74, RPK-74M, RPK-16 등 다양한 파생형이 존재하며, 여러 국가에서 사용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소련의 기관총 - DShK
    DShK는 바실리 데그탸료프가 개발하고 게오르기 슈파긴이 개량한 12.7×108mm 탄을 사용하는 벨트 급탄식 기관총으로, 제2차 세계 대전부터 현재까지 보병 지원, 대공전, 차량 탑재 등 다양한 용도로 널리 사용된다.
  • 소련의 기관총 - PM M1910
    PM M1910은 1910년 러시아 제국에서 채택된 맥심 기관총을 기반으로 7.62×54mmR 소총탄을 사용하는 중기관총이며, 1930년에 현대화되어 광학 조준경을 장착할 수 있었고,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에도 여러 분쟁에서 사용되었다.
  • 7.62 mm 기관총 - FN MAG
    FN MAG는 벨기에 FN 에르스탈에서 개발한 7.62x51mm NATO탄을 사용하는 범용 기관총으로, FN FAL 전투소총을 보완하며, 전 세계 80개 이상의 국가에서 사용되었다.
  • 7.62 mm 기관총 - PK 기관총
    PK 기관총은 미하일 칼라시니코프가 개발한 7.62x54mmR 탄을 사용하는 소련의 범용 기관총으로, 가스 작동식 및 회전 노리쇠 방식으로 작동하며 다양한 파생형으로 여러 용도에 사용되고 여러 국가에서 생산되었다.
  • 경기관총 - 루이스 경기관총
    루이스 경기관총은 아이작 뉴턴 루이스 대령이 개발한 가스 작동식 경기관총으로, 알루미늄 방열판과 판형 탄창이 특징이며, 다양한 전투에서 사용되었고, 최초의 항공기 탑재 기관총으로도 기록되었으나, 신뢰성과 탄약 공급 문제로 후발 기관총에 비해 평가가 다소 낮았다.
  • 경기관총 - M249 경기관총
    M249 경기관총은 5.56×45mm NATO탄을 사용하는 탄띠 급탄식 경기관총으로, 보병 분대의 화력 지원을 위해 개발되어 1984년 미군에 채택되었으며, 제품 개량을 통해 신뢰성을 개선하여 주요 분쟁에서 널리 사용되었다.
RPK
개요
RPK와 양각대 및 드럼 탄창
RPK와 양각대 및 드럼 탄창
종류경기관총
사용 기간1961년–현재
참전 전쟁팔레스타인-이스라엘 분쟁
베트남 전쟁
남아프리카 국경 전쟁
소말리아 내전
욤 키푸르 전쟁
레바논 내전
앙골라 내전
아프간 전쟁
엘살바도르 내전
이란-이라크 전쟁
신의 저항군 반란
투아레그 반란 (1990년-1995년)
걸프 전쟁
유고슬라비아 전쟁
부룬디 내전
이라크 전쟁
민병대-코만두 베르멜루 분쟁
제1차 리비아 내전
시리아 내전
이라크 내전 (2013년~2017년)
제2차 리비아 내전
돈바스 전쟁
에티오피아 내전 (2018년-현재)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설계자미하일 칼라시니코프
설계 시기1959년-1961년
제조사뱟츠키예 폴랴니 기계 제작 공장
생산 시기1961년–1978년
제원
무게4.8kg
길이1040mm (개머리판 펼쳤을 때)
총열 길이590mm
작동 방식가스 작동식, 회전 노리쇠; 클로즈드 볼트
탄약7.62×39mm M43
발사 속도600발/분
총구 속도745m/s
유효 사거리100–1,000m (조준기 조정), 뒷면 조준기로 풍향 조절 가능
급탄 방식30발, 40발 박스 탄창, 75발 드럼 탄창
조준 장치아이언 사이트: 반쯤 가려진 전방 포스트와 조절 가능한 노치가 있는 후방 슬라이딩 탄젠트
세부 정보
종류경기관총
구경7.62mm (RPK)
5.45mm (RPK74)
강선4조 우선회, 피치 240mm
사용 탄약7.62x39mm탄 (RPK)
5.45x39mm탄 (RPK74)
장탄수30발 (AK/AK74용 상자형 탄창)
40발 (RPK용 상자형 탄창)
45발 (RPK74용 상자형 탄창)
75발 (RPK용 드럼 탄창)
작동 방식롱 스트로크 피스톤 방식
로터리 볼트 방식
반자동/완전 자동 사격 전환
발사 속도600발/분 (RPK)
650발/분 (RPK74)
총구 초속745m/s (RPK)
960m/s (RPK74)
유효 사거리100 - 1,000m
무게5.0kg (RPK, RPK74, RPK74M) (빈 상자형 탄창 포함)
5.3kg (RPKS) (빈 상자형 탄창 포함)
5.15kg (RPKS74) (빈 상자형 탄창 포함)
(레일 장착 시 0.1kg 증가)
전체 길이1,040mm (RPK, RPKS 개머리판 펼침)
820mm (RPKS 개머리판 접힘)
1,060mm (RPK74, RPKS74・RPK74M 개머리판 펼침)
845mm (RPKS74・RPK74M 개머리판 접힘)
기타
사용 국가사용자 섹션 참고
변형변형 섹션 참고

2. 역사

2. 1. 개발 배경

2. 2. RPK의 등장

2. 3. RPK-74와 그 이후

3. 특징

RPK는 AKM보다 더 두껍고 긴 총열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총열 가열로 인한 정확도 손실 없이 더 오랫동안 발사할 수 있게 한다. 크롬 도금된 총열은 수신기에 영구적으로 고정되어 현장에서 교체할 수 없다. 새로운 전방 조준기 기반 장치가 장착되어 있으며, 가스 블록에는 총검 돌기와 총열 하부 청소용 막대 안내장치가 모두 없다. 총열에는 개머리판 근처에 장착된 접이식 이각대와 총열 축을 중심으로 이각대의 회전을 제한하는 돌기가 있는 전방 조준기 기반 장치가 있다. 총열에는 나사산이 있는 입구가 있어 소염기, 보정기, 실탄 발사 어댑터와 같은 입구 장치를 사용할 수 있고, 입구 장치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입구의 나사산을 나사산 보호대로 덮을 수 있다. 총열은 개조된 트러니언에 고정되어 있으며, 리브로 강화되었고 표준 AKM 소총에 사용되는 트러니언보다 약간 더 넓다. 전면 트러니언 양쪽의 대칭형 돌출부는 수신기 내부에 제대로 맞도록 한다.

U자형 수신기는 표준 AKM 소총에 사용되는 1.0mm 강판보다 두꺼운 1.5mm 강판을 스탬핑하여 제작되었다. AKM 반동 스프링 어셈블리를 사용하지만, AK의 후방 스프링 가이드 로드와 새로운 전방 평평 가이드 로드 및 코일 스프링으로 구성되어 개조되었다. 두꺼운 적층목 전방 손잡이와 RPD에 사용되는 것과 유사한 고정식 적층목 "클럽 풋" 개머리판이 특징이며, 사용자가 더 편안하게 엎드린 자세에서 사격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표준 AKM 권총 손잡이를 사용하며 표준 AKM 분리형 탄창을 사용할 수도 있지만, 대부분 40발 탄창 또는 75발 드럼 탄창과 함께 사용된다. RPK와 AKM 간의 부품 호환성은 중간 정도이다.

RPK의 내부 구조는 AKM과 대체로 동일하지만, 탄환의 초기 속도를 증가시켜 사정거리를 연장하기 위해 총열이 일반적인 AKM보다 길다. 자동 사격으로 인한 총열 과열과 뒤틀림으로 인한 명중률 저하를 방지하고, 자동 사격 시 반동을 줄이기 위해 두꺼운 총열을 장착하고 있다. 총열은 AK와 마찬가지로 기관부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교체할 수 없다. 총 본체의 수신기는 AKM과 마찬가지로 강판 프레스 가공으로 제작되었지만, 강판 두께는 AKM의 1mm에서 1.5mm로 강화되었다. 그 외에도 대형화된 핸드가드, 볼트 캐리어의 대형화로 수신기 전면 좌우에 돌출부가 있으며, 복귀 스프링이 3개의 강선을 꼬아 만든 것이고, 뒷받침쇠에 좌우 미세 조정 기능이 추가되는 등 AKM과 다른 부분이 있다.

총구 하단에 프레스 가공으로 제작된 경량의 접이식 이족대(바이포드)가 추가되어 있다. 이에 따라 개머리판은 엎드려 쏠 때 한 손으로 덧대어 어깨에 붙이고 지지하기에 적합한 대형으로 변경되었다. 초기 생산품의 이족대는 접었다 폈다 하는 것만 가능했지만, 중기부터는 회전 기능이 추가되었고, 후속 모델인 RPK74에서는 이족대의 가동 범위가 더욱 커졌다. 새롭게 40발 상자형 탄창과 75발 드럼형 탄창이 개발되었지만, AK/AKM과 공통으로 사용 가능한 30발 상자형 탄창도 사용할 수 있다.

RPK는 AKM을 기반으로 하지만, AK와 AKM의 사양이 혼합된 구성이다. 대부분 합판 손잡이, 리브 없는 수신기 커버, 머즐넛, 복귀 스프링 유닛 등의 부품이 AK와 동일한 사양이고, 나머지는 AKM과 동일한 사양의 구성이다. 또한, 덮개 고정 장치는 기본적으로 수신기 커버 탈락 방지용 단차가 없는 AK 사양이지만, 드물게 단차가 있는 AKM 사양의 것도 존재한다. 매거진 장착부 상단의 오목한 부분은 1972년경부터 생산된 RPK 및 RPK74 이후 모델에서는 시행되지 않았다.

3. 1. 작동 방식

RPK는 AK-47과 동일하게 작동하며, 7.62×39mm 탄약을 사용하고 칼라슈니코프 소총 시리즈와 유사한 설계를 가지고 있다.[5] RPK는 유효 사거리와 명중률, 속사능력을 높이고 수신기를 강화하기 위해 개조되었다.[5]

RPK의 내부 구조는 AKM과 대체로 동일하지만, 탄환의 초기 속도를 증가시켜 사정거리를 연장하기 위해 총열이 일반적인 AKM보다 길다. 자동 사격으로 인한 총열 과열과 뒤틀림으로 인한 명중률 저하를 방지하고, 자동 사격 시 반동을 줄이기 위해 두꺼운 총열을 장착하고 있다. 총열은 AK와 마찬가지로 기관부에 고정되어 교체할 수 없다. 총 본체의 수신기는 AKM처럼 강판 프레스 가공으로 제작되었지만, 강판 두께는 AKM의 1mm에서 1.5mm로 강화되었다. 대형화된 핸드가드, 볼트 캐리어의 대형화로 수신기 전면 좌우에 돌출부가 있으며, 복귀 스프링이 3개의 강선을 꼬아 만든 것이고, 뒷받침쇠에 좌우 미세 조정 기능이 추가되는 등 AKM과 다른 부분이 있다.

총구 하단에는 프레스 가공으로 제작된 경량의 접이식 이족대(바이포드)가 추가되었다. 엎드려 쏠 때 한 손으로 덧대어 어깨에 붙이고 지지하기에 적합한 대형 개머리판으로 변경되었다. 초기 생산품의 이족대는 접었다 폈다 하는 것만 가능했지만, 중기부터는 회전 기능이 추가되었고, 후속 모델인 RPK74에서는 이족대의 가동 범위가 더욱 커졌다. 새롭게 40발 상자형 탄창과 75발 드럼형 탄창이 개발되었지만, AK/AKM과 공통으로 사용 가능한 30발 상자형 탄창도 사용할 수 있다.

RPK는 AKM을 기반으로 하지만, AK와 AKM의 사양이 혼합된 구성이다. 대부분 합판 손잡이, 리브 없는 수신기 커버, 머즐넛, 복귀 스프링 유닛 등의 부품이 AK와 동일한 사양이고, 나머지는 AKM과 동일한 사양의 구성이다. 덮개 고정 장치는 기본적으로 수신기 커버 탈락 방지용 단차가 없는 AK 사양이지만, 드물게 단차가 있는 AKM 사양도 있다. 매거진 장착부 상단의 오목한 부분은 1972년경부터 생산된 RPK 및 RPK74 이후 모델에서는 시행되지 않았다.

3. 2. 총열

RPK는 AKM보다 더 두껍고 긴 총열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총열 가열로 인한 정확도 손실 없이 더 오랫동안 발사할 수 있게 한다. 크롬 도금된 총열은 수신기에 영구적으로 고정되어 현장에서 교체할 수 없다. 새로운 전방 조준기 기반 장치가 장착되어 있으며, 가스 블록에는 총검 돌기와 총열 하부 청소용 막대 안내장치가 모두 없다. 총열에는 개머리판 근처에 장착된 접이식 이각대와 총열 축을 중심으로 이각대의 회전을 제한하는 돌기가 있는 전방 조준기 기반 장치가 있다.

총열에는 나사산이 있는 입구가 있어 소염기, 보정기, 실탄 발사 어댑터와 같은 입구 장치를 사용할 수 있고, 입구 장치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입구의 나사산을 나사산 보호대로 덮을 수 있다. 총열은 개조된 트러니언에 고정되어 있으며, 리브로 강화되었고 표준 AKM 소총에 사용되는 트러니언보다 약간 더 넓다. 전면 트러니언 양쪽의 대칭형 돌출부는 수신기 내부에 제대로 맞도록 한다.

RPK의 내부 구조는 AKM과 대체로 동일하지만, 탄환의 초기 속도를 증가시켜 사정거리를 연장하기 위해 총열이 일반적인 AKM보다 길다. 자동 사격으로 인한 총열 과열과 뒤틀림으로 인한 명중률 저하를 방지하고, 자동 사격 시 반동을 줄이기 위해 두꺼운 총열을 장착하고 있다. 총열은 AK와 마찬가지로 기관부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교체할 수 없다.

총구 하단에는 프레스 가공으로 제작된 경량의 접이식 이족대(바이포드)가 추가되어 있다. 초기 생산품의 이족대는 접었다 폈다 하는 것만 가능했지만, 중기부터는 회전 기능이 추가되었고, 후속 모델인 RPK74에서는 이족대의 가동 범위가 더욱 커졌다.

3. 3. 수신기

RPK의 수신기는 표준 AKM 소총에 사용되는 1.0mm 강판보다 두꺼운 1.5mm 강판을 스탬핑하여 제작되었다. U자형이며, AKM 반동 스프링 어셈블리를 사용하지만, AK의 후방 스프링 가이드 로드와 새로운 전방 평평 가이드 로드 및 코일 스프링으로 구성되어 개조되었다.

RPK의 내부 구조는 AKM과 대체로 동일하지만, 강판 두께는 AKM의 1mm에서 1.5mm로 강화되었다. 그 외에도 대형화된 핸드가드, 볼트 캐리어의 대형화로 수신기 전면 좌우에 돌출부가 있으며, 복귀 스프링이 3개의 강선을 꼬아 만든 것이고, 뒷받침쇠에 좌우 미세 조정 기능이 추가되는 등 AKM과 다른 부분이 있다. 매거진 장착부 상단의 오목한 부분은 1972년경부터 생산된 RPK 및 RPK74 이후 모델에서는 시행되지 않았다.

3. 4. 개머리판과 양각대

RPK는 AKM보다 더 두껍고 긴 총열을 가지고 있어 총열 가열로 인한 정확도 손실 없이 더 오랫동안 사격할 수 있다. 크롬 도금된 총열은 수신기에 영구적으로 고정되어 현장에서 교체할 수 없다. 총열에는 소염기, 보정기, 실탄 발사 어댑터 등을 장착할 수 있는 나사산이 있으며, 사용하지 않을 때는 나사산 보호대로 덮을 수 있다. 총열은 개조된 트러니언에 고정되어 있으며, 리브로 강화되었고 표준 AKM 소총에 사용되는 트러니언보다 약간 더 넓다.

총열에는 개머리판 근처에 장착된 접이식 양각대가 있다. 초기 생산품은 접었다 펴는 것만 가능했지만, 중기부터 회전 기능이 추가되었고, RPK74에서는 가동 범위가 더욱 커졌다. 총구 하단에는 프레스 가공으로 제작된 경량의 접이식 이족대(바이포드)가 추가되어 있다.

U자형 수신기는 강판으로부터 스탬핑되어, 강판을 사용하는 표준 AKM 소총보다 강화되었다. 강판 프레스 가공으로 제작되었지만, 강판 두께는 AKM의 1mm에서 1.5mm로 강화되었다.

RPD와 유사한 고정식 적층목 "클럽 풋" 개머리판이 특징이며, 사용자가 더 편안하게 엎드린 자세에서 사격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개머리판은 엎드려 쏠 때 한 손으로 덧대어 어깨에 붙이고 지지하기에 적합한 대형으로 변경되었다.

3. 5. 탄창

RPK에는 예비 탄창, 통솔대, 청소 키트(개머리판의 속이 빈 공간에 보관), 멜빵, 기름병, 그리고 탄창 파우치(드럼 탄창용 한 칸짜리 파우치 또는 박스 탄창용 네 칸짜리 파우치)가 함께 제공된다. 새롭게 40발 상자형 탄창과 75발 드럼형 탄창이 개발되었지만, AK/AKM과 공통으로 사용 가능한 30발 상자형 탄창도 사용할 수 있다. 매거진 장착부 상단의 오목한 부분은 1972년경부터 생산된 RPK 및 RPK74 이후 모델에서는 시행되지 않았다.

3. 6. 조준 장치

RPK의 가늠쇠는 고저(Elevation) 조절이 가능하며, 100m 단위로 100m에서 1000m까지 사거리 눈금이 새겨져 있다. 또한, 가늠쇠에는 RPK 소총 계열에만 있는 좌우 조정(windage) 손잡이가 있다. RPK는 AKM과 내부 구조는 동일하나, 탄환의 초기 속도를 높여 사거리를 늘리기 위해 총열이 더 길다. 자동 사격 시 총열 과열 및 뒤틀림으로 인한 명중률 저하를 막고 반동을 줄이기 위해 두꺼운 총열을 채택했다. 총열은 AK처럼 기관부에 고정되어 교체가 불가능하다.

총 본체 수신기는 AKM처럼 강판 프레스 가공으로 제작되었지만, 강판 두께는 AKM의 1mm에서 1.5mm로 강화되었다. 대형화된 핸드가드, 볼트 캐리어 대형화로 수신기 전면 좌우 돌출부, 3개 강선을 꼬아 만든 복귀 스프링, 뒷받침쇠 좌우 미세 조정 기능 등 AKM과 차이가 있다.

총구 하단에는 프레스 가공으로 제작된 경량 접이식 이족대(바이포드)가 추가되었다. 개머리판은 엎드려 쏠 때 한 손으로 덧대어 어깨에 붙이고 지지하기에 적합한 대형으로 변경되었다. 초기형은 접고 펴는 것만 가능했지만, 중기형은 회전 기능이, RPK74는 가동 범위가 더 커졌다. 40발 상자형 탄창과 75발 드럼형 탄창이 개발되었지만, AK/AKM과 공통으로 사용 가능한 30발 상자형 탄창도 사용 가능하다.

RPK는 AKM을 기반으로 하지만, AK와 AKM의 사양이 혼합되어 있다. 합판 손잡이, 리브 없는 수신기 커버, 머즐넛, 복귀 스프링 유닛 등은 AK와 동일하고, 나머지는 AKM 사양이다. 덮개 고정 장치는 기본적으로 AK 사양이지만, 드물게 단차가 있는 AKM 사양도 있다. 매거진 장착부 상단 오목한 부분은 1972년경부터 생산된 RPK 및 RPK74 이후 모델에서는 생략되었다.

4. 파생형

4. 1. RPK

7.62×39mm탄을 사용하는 RPK 경기관총은 소대 자동화기(squad automatic weapon)에 해당하는 러시아제 무기이다. 1959년 4월 8일, 소비에트 연방 각료회의의 포고에 따라 AKM과 함께 소비에트 연방군에 제식 채용되어 제작이 시작되었다.[44] 구 소련군에 채용되어 주로 기계화부대에 배치되었으며, 이후 전 세계 여러 군 기관에서 채용되었다.

사용하는 탄창은 AKM의 30발 상자형 탄창, 40발 상자형 탄창, 75발 드럼형 탄창 등이 있다. 종종 "100발 드럼형 탄창은 존재하지 않는다"고 여겨지지만, 노린코에서 제작한 것이 존재한다. AKM과 부품 호환성을 달성하여 AK의 탄창을 사용할 수 없었던 문제를 해결한 데다, 취급 방법도 통일되었으므로 병력 훈련에 드는 수고도 크게 줄었다. 이후 소비에트 연방군뿐만 아니라 많은 동구권 국가에 수출되어 제3세계에도 퍼지는 등 전 세계적으로 사용되었다.

4. 2. RPKS

RPKS("S"는 러시아어로 접는다는 뜻의 "складной"(스클라드노이)에서 유래)는 접이식 목재 개머리판이 장착된 RPK의 변형으로, 주로 낙하산부대원을 위해 고안되었다.[45] RPKS의 설계 변경은 수신기 후면의 개머리판 장착 부분에만 국한된다. 수신기 벽 양쪽에 리벳으로 고정된 트러니언을 사용하며, 이 트러니언에는 소켓과 텅이 있어 개머리판이 피벗 핀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트러니언의 오른쪽에는 절단부가 있는데, 이는 접었을 때 개머리판 걸쇠와 결합하여 고정하도록 설계되었다. 목재 개머리판은 회전식 하우징에 장착되며, 이 하우징에는 개머리판을 펼친 상태로 고정하는 걸쇠가 포함되어 있다. 후면 슬링 루프는 개머리판 본체의 왼쪽에서 개머리판 프레임의 오른쪽으로 이동되었다.[45]

개머리판의 형태는 일반적인 RPK와 유사하지만, 레시버 후단 왼쪽의 개머리판 고정 해제 버튼을 조작하여 개머리판 뿌리 부분 왼쪽을 축으로 왼쪽으로 접을 수 있다. RPK에서는 개머리판 왼쪽 아래에 있던 후방 스위블 링이 개머리판 오른쪽 뿌리 부분 근처로 이동되었고, 접었을 때는 후방 스위블 링이 전방 스위블 링과 같은 왼쪽으로 반전되어 슬링을 이용한 어깨걸이가 용이하도록 되어 있다.

4. 3. RPKN/RPK-74N 계열

RPK 경기관총 계열은 야간 전투용으로도 제작되었다. 이 무기들은 '''RPKN''', '''RPKSN''', '''RPK-74N''', '''RPKS-74N'''으로 명칭된다. 수신기 왼쪽 측면에는 NSP-3, NSPU 또는 NSPUM 야간 투시경을 장착할 수 있는 레일이 있다.[9] RPKN-1, RPKSN-1, RPK-74N, RPKS-74N 모델은 다기능 야간 투시경 NSPU-3(1PN51)를 장착할 수 있으며,[10] RPKN2, RPKSN2, RPK-74N2, RPKS-74N2는 다기능 야간 투시경 NSPUM(1PN58)을 장착할 수 있다.[11]

'''RPKN'''(GRAU: 6P2N)은 RPK에 야간투시경을 장착하기 위한 레일과 NSP-2 야간투시경을 장착한 야간 전투용이다. "N"이나 "L" 약호는 RPK 등에 상기 야간투시경이 장착된 경우에만 추가되며, 야간투시경이 장착되지 않고 레일만 있는 경우에는 "N"이나 "L" 약호가 추가되지 않고 일반 RPK 등과 같은 명칭이 된다. 이 명명 규칙은 7.62mm AK, AKM, RPK 모든 야간 전투용에 공통적으로 적용된다.

'''RPKL'''(GRAU: 6P2L)은 RPK에 레일과 NSP-3 야시경 또는 NSP-3A 야시경을 장착한 야간 전투 사양이다. 명칭에 있는 "L"은 설계 당시 NSP-3와 AKM의 복합체에 붙여진 코드네임 "Lavr"(Лаврru)에 기반한다. "Lavr"는 "월계수(엄밀히는 월계수속의 나무)"를 의미한다.

'''RPKN-1'''(GRAU: 6P2N-1)은 RPK에 레일과 NSPU 야시장치를 장착한 야간 전투용 개량형이다. 이후 RPK에 NSPU-3를 장착한 야간 전투용 개량형에도 같은 명칭이 사용되었다.

'''RPKN2'''는 RPK에 레일과 NSPUM 야시경 장치를 장착한 야간 전투용 모델이다.

'''RPKSN'''(GRAU: 6P8N)은 RPKS에 야간투시경을 장착하기 위한 레일과 NSP-2 야간투시경을 장착한 야간전투 사양이다. 일반적인 접이식 개머리판과 달리, 접었을 때 개머리판과 사이드 레일이 간섭하지 않도록 개머리판 왼쪽 측면에 홈이 파여 있다.

'''RPKSL'''(GRAU: 6P8L)은 RPKS에 레일과 NSP-3 야간투시경 또는 NSP-3A 야간투시경을 장착한 야간 전투용 개량형이다.

'''RPKSN-1'''(GRAU: 6P8N-1)은 RPKS에 레일과 NSPU 야시장치를 장착한 야간 전투 사양이다. 이후 RPKS에 NSPU-3를 장착한 야간 전투 사양에도 같은 명칭이 부여되었다.

'''RPKSN2'''는 RPKS에 레일과 NSPUM 야시장치를 장착한 야간 전투 사양이다.

'''RPK-74N'''(GRAU: 6P18N)은 RPK-74의 수신기 왼쪽 측면에 야간 투시 장치 장착용 레일(도브테일 마운트)을 갖추고 있으며, NSPU 야간 투시 장치를 장착한 사양이다. 야간 투시 장치 장착용 레일만을 갖춘 상태는 '''RPK-74N1'''(GRAU: 6P18N1), NSPUM 야간 투시 장치를 장착한 상태는 '''RPK-74N2'''(GRAU: 6P18N2), NSPU-3 야간 투시 장치를 장착한 상태는 '''RPK-74N3'''(GRAU: 6P18N3)으로 불린다. 1991년 발행된 NSPU-3 매뉴얼에서는 NSPU-3를 장착한 모델을 RPK-74N으로 기재했지만, 2001년 발행된 5.45mm AK 소총 매뉴얼에서는 RPK-74N3으로 변경되었다.

'''RPKS-74N'''(GRAU: 6P19N)은 RPKS-74의 수신기 왼쪽 측면에 야간 투시경 장착용 레일(도브테일 마운트)을 갖추고 있으며, NSPU 야간 투시경을 장착한 사양이다. 레일만 장착된 상태는 '''RPKS-74N1'''(GRAU: 6P18N1), NSPUM 야간 투시경을 장착한 상태는 '''RPKS-74N2'''(GRAU: 6P19N2), NSPU-3 야간 투시경을 장착한 상태는 '''RPKS-74N3'''(GRAU: 6P19N3)이라고 한다. 1991년 발행 NSPU-3 설명서에서는 NSPU-3을 장착한 모델을 RPKS-74N으로 기재했지만, 2001년 발행 5.45mm 칼라시니코프 소총 설명서에서는 RPKS-74N3으로 변경되었다.

4. 4. RPK-74

RPK-74 (РПК-74)는 1974년 5.45×39mm 중간탄을 사용하는 AK-74 돌격소총과 함께 도입되었다.[7] AKM을 개량하여 RPK를 만든 것과 유사하게 AK-74 소총을 개량하여 만들어졌다.

RPK-74는 더 길고 무거운 크롬 도금 총열을 사용하며, 포신 축에 대해 90° 각도의 가스 채널이 있는 새로운 가스 블록과 청소봉용 링이 있다. 접이식 이족대와 다른 전방 조준기 타워가 장착되어 있으며, 소염기 또는 공포탄 발사 장치를 위한 나사산이 총구에 있다. 후방 개머리판 트러니언이 강화되었고 탄창 장착부는 강철 인서트로 보강되었다. RPK-74는 새로운 유형의 금속 스프링 가이드로드와 반동 스프링을 사용하는 AK-74와 비교하여 개조된 복귀 메커니즘을 가지고 있다. 후방 조준기 어셈블리, 전방 손잡이 보호대 및 수신기 먼지 덮개는 모두 RPK에서 유지되었다.

RPK-74는 AK-74의 탄창과 호환되는 45발 강철 또는 폴리머 박스형 탄창으로 급탄되며, 스트리퍼 클립으로 장전되도록 설계되었다.[7] 97발 드럼 탄창이 AK-107에 사용하도록 설계되었지만 RPK-74 및 RPK-74M과 같이 호환되는 탄창이 있는 모든 5.45×39mm 무기에도 사용할 수 있다. 실험적인 기존 드럼도 테스트되었으며, 시제품인 100발 벨트급탄 드럼 탄창도 제작되었다.

표준 장비에는 8개의 탄창, 6개의 스트리퍼 클립(클립당 15발), 속사 장전 가이드, 청소봉, 청소 키트, 슬링, 오일 병 및 2개의 탄창 파우치가 포함된다.[7] 일부 변형에는 청소 키트 옵션이 포함되어 있지 않다. 구소련 회원국과 불가리아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7]

1970년대소구경의 5.45x39mm탄을 사용하는 AK74가 제식 채용되면서, AK74와 동일한 탄약을 사용하는 RPK74 (5.45mm 칼라시니코프 경기관총 RPK74/5,45-мм ручной пулемёт Калашникова РПК74ru) (GRAU: 6P18)가 새롭게 등장했다. RPK74는 RPK에 비해 소염기가 장착되는 등의 개량이 이루어졌다. 탄창은 6L18이라고 불리는 주황색 45발 박스형 탄창이 준비되었고, 1980년대 중반부터는 6L26이라고 불리는 리브의 수를 대폭 늘린 갈색(자두색)의 45발 박스형 탄창도 사용되기 시작했다. 기존과 같은 드럼형 탄창은 개발 당시 테스트되었지만, 최종적으로는 채용되지 않았다. AK74용 6L20 및 6L23이라고 불리는 30발 박스형 탄창도 사용할 수 있다. 6L31이라고 불리는 탄창 내부에서 더블 컬럼을 두 개 나란히 배치하고, 그 정점에서 두 개의 매거진 팔로워가 합류하는 매우 드문 구조를 가진 60발 복복렬식 박스형 탄창도 존재한다.

초기에 생산된 것은 AK74에 준하여, 자작나무 합판으로 제작된 개머리판과 핸드가드, 적갈색의 그립(RPKS74는 자작나무 합판제)에, AG-4S[46][47]라고 불리는 주황색 유리섬유 강화 페놀-포름알데히드 수지제 탄창을 채용하고 있었다. 1970년대 후반에는, TsNIITOChMASh와 협력하여 PA6S-32S라고 불리는 유리섬유 강화 폴리아미드 수지를 사용한 탄창의 주요 부품과, 총검의 그립·칼집, 자동소총의 개머리판·핸드가드·포어엔드 및 AKS74용 그립을 연구 개발했으며, 우선 30발 탄창과 그립(6P4.Sb9. RPK74, RPKS74에 사용)부터 채용되었다[48][49][50]. 1980년대 중반부터 생산된 후기형은, 개머리판과 핸드가드, 그립, 탄창이 갈색(자두색)으로 염색된 PA6-211-DS[51][52]라고 불리는 유리섬유 강화 폴리아미드 수지제로 순차적으로 변경되었고, 핸드가드의 형태도 리브의 수를 대폭 늘린 신형이 되었다.

RPK74는 BMD-3 보병전투차에 자위용 화기로 1정 탑재되어 있다.

4. 5. RPKS-74

RPKS-74(러시아어: 5,45-мм ручной пулемёт Калашникова со складывающимся прикладом РПКС74, "5.45mm 칼라시니코프 경기관총 접이식 개머리판 부착형 RPKS-74"의 뜻) (GRAU: 6P19)는 RPK-74의 공수부대용 변형으로, RPKS의 목재 접이식 개머리판을 장착하고 있다.

4. 6. RPK-74M

RPK-74M(Modernizirovannij "Modernized")은 1990년대 중반에 개발된 RPK-74의 개량형이다. AK-74M 돌격소총 개량형과 마찬가지로 RPK-74M의 하부 가드, 가스튜브 커버, 피스톨 그립, 그리고 새로운 합성 스톡은 검은색 유리섬유 강화 폴리아미드로 제작되었다.[8] 스톡은 RPK-74 고정식 스톡과 비슷한 모양이지만, RPKS-74처럼 측면으로 접을 수 있다.[8] 또한 스톡은 RPKS와 RPKS-74의 총알 압력 방식을 대체하는 더 사용하기 쉬운 해제 메커니즘을 가지고 있다.[8] 각 RPK-74M에는 광학 기기를 장착하기 위한 사이드 레일 브래킷이 기본으로 장착되어 있다.[8]

또한 배럴 하드웨어의 딤플 처리, 전방 조준기 블록과 피스톤에서의 경량화 절삭 생략, 그리고 스탬핑된 가스튜브 해제 레버 등 74M의 대부분의 경제적인 변경 사항을 포함하고 있다.[8] 몰롯(Molot)에서 측면에 수평 리브가 있는 개량된 탄창을 생산했다.[8] 5.56×45mm NATO탄을 사용하는 수출형도 출시되었으며, '''RPK-201'''로 명명되었다.[8] 7.62×39mm탄을 사용하는 '''RPKM'''(또는 '''RPK-203''')도 수출용으로 있으며, RPK-74M과 같은 폴리머 부품을 사용한다.[8]

RPK74M(5,45-мм ручной пулемёт Калашникова с пластмассовым складывающимся прикладом и универсальной планкой для дневных, ночных прицелов РПК74Мru, "5.45mm 칼라시니코프 경기관총 수지제 접이식 개머리판 및 주야간 조준경용 범용 레일 부착 RPK74M"의 의미)는 RPK74의 개량형으로, AK74M의 분대지원화기 사양이다.[52] 접이식 개머리판 및 야간투시경·광학 조준경 장착용 레일이 표준 장비로 장착되었다. 형태는 RPKS74N1 후기형과 거의 같지만, 유리섬유 강화 폴리아미드 수지 부품의 염료가 갈색(자두색)에서 검정색으로 바뀌었으며, 총열 수명 증가(7N10탄 사용 시 20,000발), 수신기 및 수신기 커버 강화, 수신기 커버 이탈 방지를 위한 덮개 고정장치 형태 변경 등의 개량이 이루어졌다.

또한, RPK74M은 BMD-3 및 BMD-4 보병전투차에 자위용 화기로 1정 탑재되어 있다.

4. 7. RPK-201/203

RPK-201(GRAU: 6P55)은 RPK-74M의 사용탄약을 5.56 x 45 mm NATO탄으로 변경한 모델이며, AK-101에 대응하는 분대지원화기 사양이다. RPK-203(GRAU: 6P8M)는 RPK-74M의 사용탄약을 7.62 x 39 mm탄으로 변경한 모델이며, AK-103에 대응하는 분대지원화기 사양이다. RPK-203은 RPK-74M과 동일한 사양의 모델과, 인체공학적으로 개선된 그립과 더스트 커버에 피카티니 레일을 장착한 개량형 모델이 존재한다.

4. 8. RPK-16

RPK-16 경기관총(16은 개발이 처음 시작된 2016년을 나타냄)은 칼라시니코프 사가 데그탸료프 사의 제출물과 경쟁한 "토카르-2" 프로그램에 대한 답변이다. 2018년 러시아 국방부는 RPK-16 조달 계약을 체결했으며, 러시아군에서 RPK-74를 대체할 것으로 예상된다.[12]

95발 드럼탄창과 소음기를 장착한 RPK-16


RPK-16은 전통적인 칼라시니코프 가스 작동식 장거리 피스톤 시스템을 특징으로 하는 5.45×39mm탄을 사용하며, AK-12 프로그램에서 파생된 여러 가지 새로운 기술적 및 인체공학적 특징을 공유한다. 예를 들어, 다양한 광학 조준경을 장착하기 위한 수신기 상단의 피카티니 레일과 RPK-74의 고정식 양각대 대신 피카티니 레일 장착 분리형 양각대를 장착하기 위한 손잡이 하단의 피카티니 레일, 인체공학적 권총 손잡이와 접이식 개머리판을 갖추었다.[13] 설계 덕분에 쉽게 제거할 수 있는 교체 가능한 총열과 분리형 소음기를 빠르게 부착할 수 있는 기능을 갖추었다.

총열은 550mm 장총열(경기관총 구성)과 370mm 단총열(돌격소총 구성) 두 종류가 있다.[13] 전투 중량은 6kg, 전체 길이는 1,076mm, 분당 발사 속도는 700발, 명중률 사거리는 800m이다. 주로 95발 드럼 탄창을 사용하며 AK-74, AK-12, RPK-74의 박스 탄창과도 호환된다.[14]

무기 성능에 대한 피드백을 받은 후, 칼라시니코프 컨서른은 5.45×39mm 탄을 사용하고 매우 유사한 발사 속도를 가진 RPL-20(20은 2020년을 나타냄) 벨트급탄식 경기관총의 개발을 시작했다. 칼라시니코프 컨서른은 현재까지 적어도 하나의 작동하는 프로토타입을 만들었다.[15][16] 채택될 경우, 이 총은 RPD 이후 탄창식이 아니거나 표준 칼라시니코프 방식이 아닌 러시아군이 사용하는 최초의 경기관총이 될 것이다.

5. 다른 국가에서의 RPK

중국은 56식 분대지원화기 S-7형 (56S-7식)과 81식 반용 경기관총을 생산했다. 56식 분대지원화기는 RPK를 기반으로, 81식 반용 경기관총은 81식 자동소총을 기반으로 제작되었다.

동독에서는 소련제 RPK, RPK74, RPKS74를 사용했다. 일부 부품은 동독산으로 교체되었다. 또한, 수출용으로 MPi-KM의 두발 장착·총열 연장 모델인 lMG-K 500 (914)와 lMG-K 500 S (914), MPi-AK-74N의 두발 장착·총열 연장 모델인 lMG-K 500 (924)를 생산했다. lMG-K 500 (924)는 고정·측면 접이식·RPK형 개머리판이 존재했다. lMG-K 500의 개량형으로 5.56x45mm탄을 사용하는 수출용 lMG-944, lMG-944의 5.45x39mm탄 사용 모델인 수출용 lMG-954, lMG-944의 7.62x39mm탄 사용 모델 (계획만)이 있었다.

유고슬라비아/세르비아에서는 RPK를 기반으로 한 M72, M72A, M77B1(en), M82, M82A를 제작하였다. M72는 자스타바 M70을 기반으로 제작되었으며, M72A는 M72를 기반으로 AKMS형 개머리판을 사용한다. M77B1은 7.62x51mm탄을 사용하고, M82와 M82A는 5.56x45mm탄을 사용한다. M82A는 AKMS형 개머리판을 사용한다.

루마니아는 PM md. 64, PM md. 89, M1993, PM md. 93을 생산했다. PM md. 64는 RPK이며, PM md. 89는 RPK74로 탄창이 금속제이다. M1993은 수출용이며, PM md. 93은 RPKS74이고 PA md.86을 기반으로 제작되었으며 탄창은 금속제이다. PM md. 93은 구 동독제 측면 접이식 개머리판을 장착했다. 이 총기들 중 일부는 전방 조준기 기부 우측면에 휴대 손잡이가 부착되어 있다.

헝가리는 RPK를 생산했다.

불가리아는 아르세날 RPK-7, 아르세날 RPK-5를 생산했다. 아르세날 RPK-7은 RPK, AK 기반이며, 아르세날 RPK-5는 5.56x45mm탄 사용 RPK, AK 기반이다.

이라크는 알 쿠즈를 생산했는데, 이는 자스타바제 M72의 라이선스 생산품이다.

핀란드는 발메 M78, M78A2를 생산했다. 발메 M78은 독자 설계, 7.62x39mm탄 사용, M78A2는 독자 설계, 7.62x51mm탄 사용, H&K G3의 탄창을 사용한다.

알바니아는 ASh-78-2를 생산했는데, RPK, ASh-78-1 기반이다.

5. 1. 중국

중국은 56식 분대지원화기 S-7형 (56S-7식)과 81식 반용 경기관총을 생산했다. 56식 분대지원화기는 RPK를 기반으로, 81식 반용 경기관총은 81식 자동소총을 기반으로 제작되었다.

5. 2. 동독

동독에서는 소련제 RPK, RPK74, RPKS74를 사용했다. 일부 부품은 동독산으로 교체되었다. 또한, 수출용으로 MPi-KM의 두발 장착·총열 연장 모델인 LMG K 500 (914)와 LMG K 500 S (914), MPi-AK-74N의 두발 장착·총열 연장 모델인 LMG K 500 (924)를 생산했다. LMG K 500 (924)는 고정·측면 접이식·RPK형 개머리판이 존재했다. LMG K 500의 개량형으로 5.56x45mm탄을 사용하는 수출용 LMG 944, LMG 944의 5.45x39mm탄 사용 모델인 수출용 LMG 954, LMG 944의 7.62x39mm탄 사용 모델 (계획만)이 있었다.

5. 3. 유고슬라비아/세르비아

유고슬라비아/세르비아에서는 RPK를 기반으로 한 M72, M72A, M77B1(en), M82, M82A를 제작하였다. M72는 자스타바 M70을 기반으로 제작되었으며, M72A는 M72를 기반으로 AKMS형 개머리판을 사용한다. M77B1은 7.62x51mm탄을 사용하고, M82와 M82A는 5.56x45mm탄을 사용한다. M82A는 AKMS형 개머리판을 사용한다. 이라크는 유고슬라비아제 M72를 라이선스 생산하여 알 쿠즈라는 이름으로 사용했다.

5. 4. 루마니아

루마니아는 PM md. 64, PM md. 89, M1993, PM md. 93을 생산했다. PM md. 64는 RPK이며, PM md. 89는 RPK74로 탄창이 금속제이다. M1993은 수출용이며, PM md. 93은 RPKS74이고 PA md.86을 기반으로 제작되었으며 탄창은 금속제이다. PM md. 93은 구 동독제 측면 접이식 개머리판을 장착했다. 이 총기들 중 일부는 전방 조준기 기부 우측면에 휴대 손잡이가 부착되어 있다.

5. 5. 기타 국가

중국에서는 RPK를 기반으로 56식 분대지원화기 S-7형(56S-7식) 및 81식 반용 경기관총을 생산했다. 동독에서는 소련제 RPK, RPK74, RPKS74를 생산하면서 일부 부품을 동독산으로 교체했다. 또한, MPi-KM 및 MPi-AK-74N의 두발 장착·총열 연장 모델을 수출용으로 생산했다. 유고슬라비아 및 세르비아에서는 자스타바 M70을 기반으로 한 M72, M72A, M77B1(en), M82, M82A를 생산했다.

헝가리루마니아는 RPK를 생산했다. 루마니아는 PM md. 64, PM md. 89, M1993, PM md. 93 등을 생산했으며, 일부는 전방 조준기 기부 우측면에 휴대 손잡이가 부착되어 있다. 불가리아에서는 AK를 기반으로 아르세날 RPK-7 및 5.56x45mm탄 사용 RPK인 아르세날 RPK-5를 생산했다. 이라크는 자스타바제 M72를 라이선스 생산하여 알 쿠즈라는 이름으로 생산했다. 핀란드는 독자 설계한 발메 M78 및 M78A2를 생산했다. 알바니아에서는 ASh-78-1 기반의 ASh-78-2를 생산했다.

6. 한국과의 관계

7. 운용 국가

RPK 사용 국가 (파란색)


thumb

RPK를 사용하는 우크라이나 국가경비대 군인


RPK를 사격하는 우크라이나 JMTG-U 군인


RPK는 여러 국가에서 운용되고 있다.

  • : 소련제와 현지 생산 ASh-78 Tip-2 소총을 모두 사용한다.[17][18]
  • : RPK-47[19]

  • : 아르세날에서 7.62×39mm, 5.45×39mm, 5.56×45mm NATO 세 가지 구경의 LMG로 생산되었으며, 접이식 개머리판 변형은 LMG-F로 알려져 있다.[17][20][21][22]
  • [23]
  • [24]
  • [17]
  • [17]
  • [17]
  • [17]
  • [17]
  • [17]
  • [17]
  • [17]
  • [17]
  • : RPK-201 변형.[25]
  • : 그루지야군과 특수부대에서 RPK-74 변형을 여전히 사용하고 있다.[17][26]
  • [17]
  • [17]
  • : 현지에서는 "BB-Kalash"로 알려져 있다.[17]
  • : 알 꾸드스(Al Quds)로서 현지에서도 생산된다.[17][27]
  • : RPK-74[28]
  • : 라트비아 국가경비대에서 사용한다.[29]
  • [30]
  • [17]
  • : 말레이시아 육군의 그룹 게락 카스(Grup Gerak Khas)(GGK)에서 RPK-74 변형을 사용한다.[31]
  • : 말리의 군대와 안보군.[17]
  • [17]
  • [17]
  • [32]
  • [17]
  • [17]
  • : 64식.[17]
  • [17]
  • : Fabrica de Arme Cugir SA에서 Puşcă Mitralieră model 1964("1964년형 경기관총")로 제작되었고, 나중에는 PA md. 86을 기반으로 한 5.45mm 버전인 Mitralieră md. 1993("1993년형 경기관총")이 제작되었다.[33][34]
  • : RPK,[35] RPK-74, RPK-74M 및 RPK-16[12]
  • [17]
  • : 자스타바 M72로 현지에서 제작되었다.
  • [17]
  • [17]
  • [17]

  • [17]
  • 트란스니스트리아[36]
  • [17]
  • 신의 저항군[37]
  • : RPK-74 및 RPK, 분리주의자들도 사용한다.[38]
  • : 이라크 전쟁 중 사용되었다.
    트리플 캐노피 계약업체가 두 명의 미 육군 병사들에게 자스타바 M-72 기관총 사격술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 [17]
  • [39]
  • [17]
  • [17]
  • [17]
  • : RPK-203[40]
  • : LMGK (''Leichtes Maschinengewehr Kalashnikov'')로서 현지 생산되었다.[41]
  • [42][43]

  • : 자스타바 M72로서 현지 생산되었다.

참조

[1] 서적 Israeli Soldier vs Syrian Soldier: Golan Heights 1967–73 https://books.google[...] Osprey Publishing 2018-09-30
[2] 서적 Small Arms Survey 2005: Weapons at War http://www.smallarms[...] Oxford University Press 2018-08-29
[3] 서적 The Small Arms Survey 2007: Guns and the City http://www.smallarm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8-08-29
[4] 웹사이트 Weapons of Rio's crime war https://www.thefirea[...] 2022-11-03
[5] 서적 Gun Digest Shooter's Guide to AKs https://books.google[...] Krause Publications 2016-06-15
[6] 보고서 OPFOR Worldwide Equipment Guide https://fas.org/man/[...] TRADOC DCSINT Threat Support Directorate 2001-09
[7] 웹사이트 Russia's RPK-74 LMG: A Faithful Servant Since 1974 https://www.tactical[...] 2017-09-19
[8] 웹사이트 RPK (USSR/Russia) http://world.guns.ru[...] 2008-09-10
[9] 웹사이트 RPK-74N2 Light Machine Gun (1974) http://kalashnikov.g[...] 2008-09-10
[10] 서적 Voyennoye Izdatel'stvo 1992-01
[11] 서적 Voyennoye Izdatel'stvo 1991-02
[12] 웹사이트 Kalashnikov signs contract to supply Defense Ministry with newest RPK-16 machine guns http://tass.com/defe[...] 2018-02-08
[13] 웹사이트 Army 2016: Kalashnikov unveils RPK-16 LMG http://www.janes.com[...] 2017-03-14
[14] 웹사이트 Kalashnikov RPK-16 light machine gun (Russia) https://modernfirear[...] 2016-09-01
[15] 웹사이트 Kalashnikov RPL-20 Light Machine Gun (Russia) https://modernfirear[...] 2020-08-27
[16] 웹사이트 RPL-20: prototype of a new belt-fed 5.45×39mm light machine gun https://www.youtube.[...] 2020-09-05
[17] 서적 Jane's Infantry Weapons 2009/2010 Jane's Information Group 2009-01
[18] 웹사이트 Small Arms 01 http://i50.photobuck[...]
[19] 뉴스 Azerbaijan Foils Armenian Sabotage Attempt, Captures Infiltrator https://caspiannews.[...] caspiannews
[20] 웹사이트 7,62x39 mm "Arsenal" Light Machine Gun http://www.arsenal-b[...] 2010-04-06
[21] 웹사이트 5.56x45 mm "Arsenal" Light Machine Gun http://www.arsenal-b[...] 2010-04-06
[22] 웹사이트 5.45x39,5mm "Arsenal" Light Machine Gun and LMG-F with Folding Butt http://www.arsenal-b[...] 2010-04-06
[23] 웹사이트 Grenade attack kills three Burundi ruling party members http://www.africanew[...] 2017-06-25
[24] 보고서 How Many Weapons Are There in Cambodia? http://www.smallarms[...] Small Arms Survey 2014-11-16
[25] 웹사이트 Rosyjska broń dla Fidżi http://www.altair.co[...] 2016-02-21
[26] 웹사이트 Спецназ Грузии Воюет Вместе С Всу На Донбассе https://hunternews.r[...] 2017-10-30
[27] 웹사이트 Al Quds RKKS (AKM) Machine Rifle https://www.awm.gov.[...] 2018-12-07
[28] 서적 Small Arms Survey 2008: Risk and Resilience http://www.smallarm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8-08-30
[29] 웹사이트 Zemessardzes 1. Rīgas brigāde {{!}} Zemessardze https://www.zs.mil.l[...] 2024-07-03
[30] 보고서 Beyond Blue Helmets: Promoting Weapons and Ammunition Management in Non-UN Peace Operations http://www.smallarms[...] Small Arms Survey/MPOME 2019-03
[31] 웹사이트 Malaysian Special Forces http://www.tactical-[...] 2010-02-10
[32] 웹사이트 Namibia receives Russian small arms http://www.defencewe[...] 2016-06-30
[33] 웹사이트 7,62 mm Light Machine Gun http://www.arms.home[...] 2008-09-10
[34] 웹사이트 5.45 mm Light Machine Gun Md.1993 http://www.arms.home[...] 2008-09-10
[35] 웹사이트 Военнослужащие контрактной службы группировки войск «Центр» готовятся к выполнению задач в зоне СВО под Самарой https://function.mil[...] 공식 인터넷 사이트 러시아 국방부 2024-08-12
[36] 웹사이트 The Victory Day Parade That Everyone Forgot https://www.oryxspio[...] 2022-05-09
[37] 서적 Small Arms Survey 2006: Unfinished Business http://www.smallarms[...] Oxford University Press 2018-08-29
[38] 서적 Armies of Russia's War in Ukraine Osprey Publishing 2019-06-27
[39] 웹사이트 NVA and Viet Cong Infantry Weapons http://www.alphaco.u[...] 2014-11-16
[40] 웹사이트 A soldier of the Armenian forces with an RPK-203 light machine gun. #Armenian forces still hold both #Turkey and Azerbaijan out of #NKR https://x.com/andrea[...] 2024-12-01
[41] 서적 5.45-mm Maschinenpistole AK74 und leichtes Maschinengewehr PPK74 - Beschreibung und Nutzung https://archive.org/[...] Ministerium für Nationale Verteidigung 1985
[42] 서적 A Handful of Hard Men: The SAS and the Battle for Rhodesia Casemate Publishers
[43] 서적 Rhodesian Light Infantryman 1961–80 Osprey Publishing
[44] 웹사이트 Автомат Калашникова: 70 лет на страже мира https://kalashnikov.[...] Kalashnikov Media 2023-06-15
[45] 웹사이트 Приказ Министра обороны СССР №232 от 7 сентября 1962 г. О принятии на вооружение Советской Армии авт https://ak-info.live[...] 2023-06-15
[46] 웹사이트 Ижевский штык-нож 6Х4 из полиамида-6 для АК. Описание, история, фотографии http://www.ak-info.r[...] 2024-05-24
[47] 웹사이트 Прессматериалы АГ-4В, АГ-4С https://dmc-20-pm.ru[...] 2023-06-15
[48] 웹사이트 Боевые полимеры для АК https://warspot.ru/2[...] Warspot.ru 2024-05-24
[49] 웹사이트 Внедрение "сливовых" магазинов https://dzen.ru/a/Yz[...] 2024-05-24
[50] 웹사이트 Когда появились валовые полиамидные (сливовые) магазины на АК74 (АКС74) https://dzen.ru/a/Yh[...] 2024-05-24
[51] 웹사이트 Стеклонаполненный полиамид ПА6-211-ДС https://dmc-20-pm.ru[...] 2023-06-15
[52] 웹사이트 Стеклонаполненный полиамид ПА6-211-ДС(МКС-21) высший сорт ГОСТ 17648-83 https://па6-211-дс.р[...] 2023-06-15
[53] 웹사이트 РПК-101 от Ижмаша https://dzen.ru/a/Yz[...] 2024-03-04
[54] 웹사이트 Sniper Machinegun: Kalashnikov Unveils Universal Weapon for Special Forces https://sputniknews.[...] 2017-03-14
[55] 웹사이트 Army 2016: Kalashnikov unveils RPK-16 LMG {{!}} IHS Jane's 360 http://www.janes.com[...] 2017-03-14
[56] 웹사이트 RPK-16 light machine gun - Modern Firearms http://modernfirearm[...] 2018-06-21
[57] 웹사이트 Sniper Machinegun: Kalashnikov Unveils Universal Weapon for Special Forces https://sputniknews.[...] 2017-03-05
[58] 웹사이트 Molot https://fimegroup.c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