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ntucket Sleighride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Nantucket Sleighride》는 1969년 결성된 밴드 마운틴의 1971년 발매된 두 번째 앨범이다. 앨범의 타이틀곡은 작살에 맞은 고래가 고래잡이배를 끄는 모습을 의미하며, 19세기 포경선 에식스 호의 침몰 사건에서 영감을 얻었다. 앨범은 미국 빌보드 200에서 16위를 기록했으며, 영국과 일본에서도 차트 진입에 성공했다. 타이틀곡은 영국의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테마곡으로 사용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마운틴의 음반 - Climbing!
Climbing!은 1970년 마운틴이 발표한 데뷔 스튜디오 앨범으로, 빌보드 200 차트 17위, 싱글 "미시시피 퀸"은 빌보드 핫 100 차트 21위를 기록했다. - 1971년 음반 - Relics
Relics는 1971년에 발매된 핑크 플로이드의 컴필레이션 앨범으로, 초기 싱글, B-사이드, 앨범 트랙, 미발표곡 등을 모아 제작되었으며, 닉 메이슨이 디자인한 커버 아트로 유명하고 영국에서 골드 등급을 인증받았다. - 1971년 음반 - Broken Barricades
《Broken Barricades》는 1971년에 발매된 프로콜 하럼의 다섯 번째 스튜디오 앨범으로, 데이브 볼이 기타리스트로 합류하고 로빈 트로워가 탈퇴한 시기에 제작되었으며, 미국 빌보드 200에서 32위, 영국 음반 차트에서 42위를 기록했다. - 아일랜드 레코드 음반 - Pop (U2의 음반)
1997년 발매된 U2의 9번째 스튜디오 앨범 《Pop》은 전자 음악과 샘플링을 활용한 실험적인 사운드를 특징으로 하며, 긍정적 평가와 상업적 성공을 거두었으나 멤버들은 최종 결과물에 실망했고, 앨범의 실험적인 시도는 U2의 음악적 경향에 영향을 미쳤다. - 아일랜드 레코드 음반 - Boy (음반)
U2의 데뷔 음반 《소년 (Boy)》는 스티브 릴리화이트가 프로듀싱하고 10대의 사춘기 전환을 주제로 실험적인 사운드 효과를 특징으로 하며, "I Will Follow"와 같은 싱글을 통해 상업적인 성공과 비평가들의 호평을 받으며 U2의 독창적인 사운드를 확립했다.
Nantucket Sleighride - [음악]에 관한 문서 | |
---|---|
앨범 정보 | |
유형 | 스튜디오 |
아티스트 | 마운틴 |
발매일 | 1971년 1월 |
녹음 | 1970년 말 |
스튜디오 | 레코드 플랜트, 뉴욕 시 |
장르 | 하드 록 |
길이 | 35분 12초 |
레이블 | 윈드폴 레코드(미국) |
프로듀서 | 펠릭스 파팔라디 |
차트 순위 | |
미국 빌보드 | 16위 |
영국 | 43위 |
일본 | 54위 |
관련 앨범 | |
이전 앨범 | 클라이밍! (1970년) |
다음 앨범 | 악의 꽃 (1971년) |
앨범 커버 | |
![]() |
2. 배경
앨범의 제목과 동명의 타이틀 곡 "Nantucket Sleighride"는 작살에 맞은 고래가 고래잡이배를 끄는 것을 의미하는 용어인 낸터킷 슬레이드라이드에서 유래했다. 이 곡은 베이시스트 펠릭스 파파랄디와 그의 아내 게일 콜린스가 공동으로 작곡했으며, 19세기 낸터킷의 포경선 에식스 호 사건을 소재로 한다.[13] 에식스 호는 1820년 향유고래와의 충돌로 침몰했는데, 이 사건은 허먼 멜빌의 소설 백경에도 영감을 주었다.[13] 곡은 에식스 호의 젊은 선원이었던 오언 코핀에게 헌정되었다.[13] 코핀은 배가 난파된 후 살아남기 위해 동료 선원들에 의해 살해되어 식량이 되었는데, 곡은 동료를 위해 자신을 희생한 코핀을 기리는 의미를 담고 있다.[13] 에식스 호의 이야기는 생존자 8명 중 한 명이었던 일등 항해사 오언 체이스가 1821년에 출판한 책 ''가장 특별하고 고통스러운 고래잡이 배 에식스의 난파 이야기''를 통해 기록으로 남았다.
앨범의 트랙 리스트는 다음과 같다. 상세한 내용은 각 하위 섹션을 참고하라.
기타리스트 레슬리 웨스트는 처음에 타이틀 곡에 대해 "정말 외우기 어려운 곡이고, 너무 어려워서 싫었다"고 회상했다.[14] 곡의 후반부 기악 연주 부분에는 스코틀랜드 전통 민요인 "작별의 잔"의 멜로디가 사용되었다. 이 곡의 마지막 부분은 영국의 장수 정치 텔레비전 프로그램 ''주말 세계''(Weekend World, 1972–1988)의 주제가로 사용되기도 했다. 라이브 공연에서는 종종 길게 연주되었는데, 1972년 라이브 앨범 《마운틴 라이브 - 암흑으로의 도전》(Mountain Live: The Road Goes Ever On)에서는 17분 이상[15], 1973년 8월 30일 오사카 후생 연금 회관 공연을 담은 라이브 앨범 《이방의 향기》(Twin Peaks)에서는 32분 이상 연주되기도 했다.[16] 1980년에는 영국의 헤비 메탈 밴드 쿼츠가 이 곡의 커버 버전을 녹음했다.
앨범의 다른 수록곡들에도 각기 다른 사연이 담겨 있다. "Tired Angels"는 전설적인 기타리스트 지미 헨드릭스에게 헌정되었으며, "Travellin' In The Dark"는 파파라디의 어머니 엘리아에게 바치는 곡이다. "Taunta (Sammy's Tune)"는 파파라디가 키우던 애완 푸들의 이름을 따서 제목을 지었다. 수록곡 "Don't Look Around"는 2008년 개봉한 영화 ''파인애플 익스프레스''의 사운드트랙에 포함되기도 했다.
3. 곡 목록
3. 1. 오리지널 앨범 (1971)
# | 곡 제목 | 작곡가 | 길이 |
---|---|---|---|
1 | Don't Look Around | 레슬리 웨스트, 수 팔머, 펠릭스 파팔라디, 게일 콜린스 파팔라디 | 3:42 |
2 | Taunta (Sammy's Tune) | 파팔라디 | 1:00 |
3 | Nantucket Sleighride (to 오언 코핀) | 파팔라디, 콜린스 | 5:49 |
4 | You Can't Get Away | 웨스트, 콜린스, 코키 랭 | 3:23 |
5 | Tired Angels (to J.M.H.) | 파팔라디, 콜린스 | 4:39 |
6 | The Animal Trainer and the Toad | 웨스트, 팔머 | 3:24 |
7 | My Lady | 랭, 파팔라디, 콜린스 | 4:31 |
8 | Travellin' in the Dark (To E.M.P.) | 파팔라디, 콜린스 | 4:21 |
9 | The Great Train Robbery | 웨스트, 랭, 파팔라디, 콜린스 | 5:43 |
앨범 제목과 동명인 곡 "Nantucket Sleighride"는 낸터킷 슬레이라이드를 가리키는 용어로, 작살 맞은 고래가 고래잡이배를 바다 위로 끌고 다니는 현상을 의미한다. 이 곡은 1820년 향유고래에 의해 침몰된 낸터킷의 포경선 ''에식스'' 호의 젊은 선원이었던 오언 코핀에게 헌정되었다. 배가 난파된 후, 코핀은 식량이 부족해진 동료 선원들에게 살해되어 식량으로 쓰이는 비극을 겪었다. ''에식스'' 호의 이야기는 생존자 중 한 명인 일등 항해사 오언 체이스가 1821년에 출간한 ''가장 특별하고 고통스러운 고래잡이 배 에식스의 난파 이야기''를 통해 세상에 알려졌다. 곡의 후반부 기악 파트에서는 스코틀랜드 전통 민요 "작별의 잔"(Auld Lang Syne)의 선율이 차용되었다. 또한, 이 곡의 마지막 부분은 영국의 장수 정치 토론 프로그램 ''주말 세계''(Weekend World, 1972–1988)의 주제곡으로 사용되기도 했다. 1980년에는 영국의 헤비 메탈 밴드 쿼츠가 이 곡을 커버하여 녹음했다.
"Tired Angels"는 기타리스트 지미 헨드릭스(J.M.H.)에게 헌정되었다. "Travellin' In The Dark"는 작곡가 펠릭스 파팔라디의 어머니 엘리아(E.M.P.)에게 헌정되었다. "Taunta (Sammy's Tune)"는 파팔라디의 애완견 푸들 '새미'(Sammy)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 "Don't Look Around"는 2008년 영화 ''파인애플 익스프레스''의 사운드트랙에 포함되었다.
3. 2. 2004년 CD 발매 보너스 트랙
wikitext# | 제목 | 작사/작곡 | 길이 | 비고 |
---|---|---|---|---|
10 | 롤 오버 베토벤 | 척 베리 | 2:59 | |
11 | Crossroader | 펠릭스 파팔라디, 게일 콜린스 파팔라디 | 4:50 | |
12 | Travellin' in the Dark (to E.M.P.) | 펠릭스 파팔라디, 게일 콜린스 파팔라디 | 5:14 | 라이브 |
2004년판 보너스 트랙에는 척 베리의 커버 곡인 "롤 오버 베토벤"과 1971년에 프로모션 싱글의 A면과 B면으로 발매된 오리지널 곡 "Crossroader"가 포함되어 있다. 후자는 나중에 ''플라워스 오브 이블''(1971)에 수록되었다. 두 곡의 라이브 버전은 이후의 라이브 앨범, 예를 들어 ''마운틴 라이브: 로드 고즈 에버 온''(1972)과 ''트윈 픽스''(1974)에 수록되었다.
4. 참여 음악가
;추가 인원
- 버드 프라거 – 총괄 프로듀서
- 밥 도를레앙 – 녹음 엔지니어
- 톰 카체타 – 보조 엔지니어
- 데이브 라그노 – 보조 엔지니어
- 베벌리 와인스타인 – 아트 디렉션
- 게일 콜린스 – 커버 디자인, 그림, 사진, 비주얼 디렉터, 캘리그래피
- 믹 브리겐 – 캘리그래피
5. 평가 및 반응
이 앨범은 상업적으로 성공을 거두었다. 미국에서는 빌보드 200 차트에서 밴드 자체 최고 순위인 16위를 기록했으며[9], 영국에서는 1971년 6월 5일자 영국 음반 차트에서 43위에 오르며 밴드 최초로 영국 차트에 진입했다[10]. 일본 오리콘 LP 차트에서는 최고 54위를 기록하며 18주 동안 100위권 내에 머물렀다[11]. 싱글로 발매된 "애니멀 트레이너"는 미국 빌보드 핫 100 차트에서 76위를 기록했다[9].
올뮤직의 제임스 크리스펠은 이 앨범에 5점 만점에 3점을 부여하며[18], 타이틀곡 "Nantucket Sleighride"를 "클래식의 학식과 온화한 록을 섞어 만든 훌륭한 믹스처"라고 평가했다. 또한 앨범 전체에 대해서는 "혁신적이지는 않지만 들을 가치가 있다"고 언급했다[17].
특히 영국에서는 타이틀곡이 텔레비전 프로그램 Weekend World(1972–1988)의 테마곡으로 사용되면서 높은 인기를 얻었다. 기타리스트 레슬리 웨스트는 이후 영국 페스티벌 공연 당시를 회상하며 "'Nantucket Sleighride'의 인트로를 연주하자마자 10만 명의 관중이 열광하기 시작했다. 당시에는 왜 그들이 이 곡을 아는지 몰랐다"고 말하기도 했다[14].
6. 차트
순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