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KEANOS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OKEANOS는 일본이 계획했던 소행성 탐사선으로, 하야부사 1, 2호의 후속작으로 설계되었다. 목성 트로이군을 탐사하여 태양계 형성 과정을 연구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으며, 착륙선, 샘플 반환 임무 등을 포함한 세 가지 안이 검토되었다. 2010년대에 여러 국가가 소행성 탐사에 참여하면서 일본도 OKEANOS 개발을 추진했지만, 문부과학성의 대형 미션 클래스 최종 후보에서 LiteBIRD에 밀려 선정되지 못했다. 이온 엔진과 태양광 돛을 활용한 우주선 설계가 특징이며, DLR과 JAXA가 개발에 참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목성 트로이군 - 루시 (우주선)
루시는 2021년 발사된 NASA의 소행성 탐사선으로, 목성의 트로이군 소행성들을 탐사하며, 2025년부터 2033년까지 여러 소행성들을 근접 비행할 예정이다. - 제안된 우주 탐사선 - 레이저 간섭계 우주 안테나
레이저 간섭계 우주 안테나(LISA)는 세 개의 인공위성을 정삼각형 형태로 배치하여 레이저 간섭계를 통해 중력파에 의한 미세한 거리 변화를 측정, 지구 기반 간섭계의 한계를 극복하고 낮은 주파수 영역의 중력파를 관측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우주 프로젝트이다. - 제안된 우주 탐사선 - 엔셀라두스 탐사선
엔셀라두스 탐사선은 독일항공우주센터 주도로 토성 위성 엔셀라두스의 생명체 존재 가능성을 탐색하는 프로젝트로, 핵전기 로켓 추진 방식의 궤도선과 아이스몰을 탑재한 착륙선으로 구성되어 엔셀라두스 지하 해양의 물 샘플을 채취, 분석하여 생명체의 흔적을 탐색한다. - 소행성 탐사선 - 니어 슈메이커
존스홉킨스 대학교 응용물리학 연구소에서 개발한 최초의 로봇 소행성 탐사선인 NEAR 슈메이커는 지구 근접 소행성 433 에로스를 탐사하며 크기, 형태, 질량, 밀도, 구성, 지표 및 내부 구조, 자기장 정보를 수집하고 소행성 마틸다에 대한 근접 통과 관측을 수행하여 16만 장 이상의 이미지와 과학 데이터를 얻었으며, 소행성 궤도를 도는 최초의 탐사선이 되어 태양계 형성 연구에 기여했다. - 소행성 탐사선 - 뉴 허라이즌스
뉴 허라이즌스는 NASA의 뉴 프런티어 계획 탐사선으로, 명왕성과 카이퍼 벨트를 탐사하며 명왕성의 표면, 지형, 대기 등을 조사하고 카이퍼 벨트 천체 아로코스의 근접 관측을 통해 초기 태양계 형성에 대한 과학적 자료를 제공했으며, 플루토늄-238을 동력원으로 2030년대까지 탐사를 진행할 예정이다.
OKEANOS | |
---|---|
OKEANOS 개요 | |
이름 | OKEANOS (Outsized Kite-craft for Exploration and Astronautics in the Outer Solar System) |
다른 이름 | 목성 트로이 소행성 탐사선 |
임무 유형 | 기술 검증 정찰 샘플 리턴 (선택 사항) |
운영 기관 | JAXA |
계약 기관 | DLR |
임무 기간 | ≈12년 (샘플 리턴 시 >30년) |
우주선 정보 | |
우주선 종류 | 태양 돛 |
제작사 | ISAS, DLR |
발사 질량 | 1400 kg |
착륙 질량 | ≈100 kg |
탑재 질량 | 우주선: 30 kg, 착륙선: 20 kg |
크기 | 돛/태양 전지 패널: 40×40 m (1600 m2), 착륙선: 65 × 40 cm |
전력 | 최대: 목성에서 5 kW |
발사 정보 | |
발사 예정일 | 2026년 |
발사 로켓 | H-IIA, H3 |
발사 장소 | 다네가시마 우주 센터 |
발사 계약자 | 미쓰비시 중공업 |
행성 간 이동 정보 | |
유형 | 착륙선 |
목표 천체 | 목성 트로이군 |
도착 예정일 | 2039년 |
통신 정보 | |
통신 밴드 | X-band |
통신 용량 | 16 Kbps |
탑재 장비 | |
장비 종류 | 망원경 |
망원경 파장 | 적외선 |
프로그램 정보 | |
프로그램 | 대형 미션 클래스 |
2. 역사와 제작 배경
2010년에 들어 여러 소행성 탐사선이 계획되면서 세계 여러 나라가 소행성 탐사에 열을 올렸다.[35] 이에 일본도 하야부사와 하야부사 2호를 발사하였고, 하야부사 1, 2호 이후의 차기작으로 OKEANOS가 설계되었다.[36]
OKEANOS 미션은 2010년 취소된 유로파 목성 시스템 미션 - 라플라스의 일환으로 목성 자기권 궤도선(JMO)과 함께 비행하기 위해 처음 제안된 개념이었다.[6] 최신 구성에서 OKEANOS 미션과 LiteBIRD는 문부과학성의 일본 대형 미션 클래스의 최종 후보였으나, 우주 마이크로파 배경(cosmic microwave background) 천문학 망원경인 LiteBIRD가 선정되었다.[7]
목성 트로이군의 구성을 분석하면 과학자들이 태양계가 어떻게 형성되었는지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또한 경쟁 가설 중 어느 것이 맞는지 결정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최신 제안에는 현장 분석을 수행하기 위한 착륙선이 포함되었다.[8][9] 이 미션에는 여러 옵션이 있었으며, 가장 야심찬 계획은 샘플을 회수하여 광범위한 조사를 위해 지구로 보낼 것을 제안했다.[10]
목성 트로이 소행성으로 항행 및 체류하며 과학 관측(원격 관측, 현장 분석) 등을 수행한다. 하야부사로 실증한 소행성 샘플 리턴 기술을 발전시켜 외행성 영역으로 확장하는 것으로, 목성권·토성권에서의 직접 탐사를 가능하게 한다. 발사부터 목성 스윙 바이까지 항행에 6년이 걸리지만, 이 항행 기간 중에도 과학 관측을 실시한다. 특히 외행성 영역에서는 적외선 관측의 방해가 되는 황도광의 영향이 내행성 영역에 비해 극히 작기 때문에, 사상 처음으로 황도광의 영향을 받지 않는 환경 하에서의 우주 적외선 배경 복사의 직접 관측이 기대된다.
2015년 2월, OKEANOS는 "전략적 중형 계획"으로 우주과학연구소(ISAS)에 제안되어 LiteBIRD와 함께 전략적 중형 2호기 후보로 선정되었다. 2016년 10월부터 2년간 "프리 페이즈 A2"로서 필요한 기술 개발이 진행되었고, 2018년 11월부터 12월에 걸쳐 실시된 프리 페이즈 A2 종료 심사에서는 타당하다는 평가를 받았다. 그러나 2019년 5월 14일, 우주과학연구소(ISAS)가 전략적 중형 2호기로 LiteBIRD를 선정함에 따라, OKEANOS는 전략적 중형 3호기를 목표로 검토가 계속되었다.
2. 1. 추진 배경
2010년에 들어서면서 여러 국가들이 소행성 탐사에 관심을 가지며 소행성 탐사선 계획을 세웠다.[35] 일본도 하야부사와 하야부사 2호를 발사했고, 이들의 후속 탐사로 OKEANOS가 설계되었다.[36]OKEANOS는 원래 2010년에 취소된 유로파 목성 시스템 미션 - 라플라스의 일부로 목성 자기권 궤도선과 함께 비행하는 것으로 제안되었다.[6] 최근에는 OKEANOS와 LiteBIRD가 문부과학성의 일본 대형 미션 클래스 최종 후보였으나, 우주 마이크로파 배경 천문학 망원경인 LiteBIRD가 선정되었다.[7]
목성 트로이군 분석은 과학자들이 태양계 형성 과정을 이해하고, 목성 형성 과정의 잔여 미행성체인지, 목성의 구성 요소 화석인지, 행성 이동에 의해 포획된 해왕성 바깥 천체인지 등 여러 가설을 검증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초기 제안에는 현장 분석을 위한 착륙선이 포함되었고,[8][9] 가장 야심찬 계획은 샘플을 회수하여 지구로 보내는 것이었다.[10] 2019년 4월에 개발이 결정되었다면, 2026년에 발사되어[1] 2027년에 여러 목성 트로이군을 통과할 루시와 협력할 수 있었을 것이다.[11]
2015년 2월, OKEANOS는 "전략적 중형 계획"으로 우주과학연구소(ISAS)에 제안되어 LiteBIRD와 함께 전략적 중형 2호기 후보로 선정되었다. 2016년 10월부터 2년간 기술 개발이 진행되었고, 2018년 11월과 12월에 걸쳐 실시된 심사에서 타당하다는 평가를 받았다. 그러나 2019년 5월 14일, 우주과학연구소(ISAS)가 LiteBIRD를 전략적 중형 2호기로 선정하면서, OKEANOS는 전략적 중형 3호기를 목표로 검토가 계속되었다.
2. 2. 개발 과정
2010년에 들어서면서 여러 소행성 탐사선이 계획되고, 세계 여러 나라가 소행성 탐사에 열을 올렸다.[35] 이에 일본도 하야부사와 하야부사 2호를 발사하였다. 그리고 하야부사 1, 2호 이후의 차기작으로 OKEANOS가 설계되었다.[36]2015년 2월, OKEANOS는 "전략적 중형 계획"으로 우주과학연구소(ISAS)에 제안되어, LiteBIRD와 함께 전략적 중형 2호기 후보로 선정되었다. 2016년 10월부터 2년간 "프리 페이즈 A2"로서 필요한 기술 개발이 진행되었고, 2018년 11월부터 12월에 걸쳐 실시된 프리 페이즈 A2 종료 심사에서는 타당하다는 평가를 받았다. 그러나 2019년 5월 14일, 우주과학연구소(ISAS)가 전략적 중형 2호기로 LiteBIRD를 선정함에 따라, OKEANOS는 전략적 중형 3호기를 목표로 검토가 계속되었다.
3. 과학적 목표
OKEANOS 미션은 목성 트로이군의 구성을 분석하여 과학자들이 태양계 형성 과정을 이해하고, 목성 트로이군의 기원에 대한 가설, 즉 목성 형성 과정의 잔여 미행성체인지, 아니면 행성 이동에 의해 포획된 해왕성 바깥 천체인지에 대한 가설을 검증하는 데 도움을 주는 것을 목표로 한다.[8][9]
최신 제안에는 현장 분석을 위한 착륙선이 포함되었으며,[8][9] 가장 야심찬 계획은 샘플을 회수하여 지구로 보내는 것이었다.[10]
하야부사로 입증된 소행성 샘플 회수 기술을 발전시켜 외행성 영역으로 확장하여, 목성권 및 토성권에서 직접 탐사를 가능하게 한다. 항행 기간 동안 황도광의 영향을 받지 않는 환경에서 우주 적외선 배경 복사를 직접 관측할 수 있다.
4. 우주선 구조
OKEANOS 우주선은 크게 태양광 돛 및 태양 전지판, 이온 엔진, 착륙선으로 구성될 예정이었다. 각 부분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을 참고하면 된다.
4. 1. 개요
우주선은 착륙선을 포함하여 약 1285kg의 질량을 가질 것으로 예상되었으며, 이온 엔진을 갖춘 태양 전기를 사용할 예정이었다.[1] 1600m2 크기의 돛은 태양 돛 추진과 전력 생산을 위한 태양 전지판의 이중 역할을 했을 것이다. 착륙선이 포함되었다면, 그 질량은 100kg을 넘지 않았을 것이다. 착륙선은 소행성에서 샘플을 수집하고 분석했을 것이다. 더 복잡한 개념으로는 착륙선이 다시 이륙하여 모선과 랑데부한 다음 지구로 운송하기 위해 샘플을 이전하는 방식이 제안되었다.4. 2. 태양광 돛 및 태양 전지판
제안된 돛은 광자 추진과 전력 공급을 모두 제공하는 하이브리드 방식이었다. JAXA는 이 시스템을 태양 전력 돛이라고 불렀다.[1][12] 이 돛은 10 μm 두께의 폴리이미드 필름으로 제작되었으며 크기는 40 × 40 미터 (1600m2)였다.[1] 30,000개의 태양 전지판(두께 25 μm)으로 덮여 있어 목성으로부터 5.2 천문 단위 떨어진 거리에서 최대 5 kW의 전력을 생산할 수 있었다.[1][13] 주 우주선은 돛의 중심에 위치해 기동 및 추진, 특히 지구로의 표본 반환 여행을 위해 태양 전기를 사용하는 이온 엔진을 갖추고 있었다.[2][1]이 우주선은 2010년에 발사되어 성공을 거둔 IKAROS (태양 방사선에 의해 가속되는 행성간 연)에 처음 개발된 태양 돛 기술을 사용할 예정이었으며, IKAROS의 태양 돛 크기는 14m × 14m였다.[1] IKAROS와 마찬가지로 돛의 태양 각도는 돛의 바깥쪽에 있는 액정 디스플레이(LCD)의 반사율을 동적으로 제어하여 햇빛 압력이 토크를 발생시켜 방향을 바꿀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변경될 예정이었다.[14]
4. 3. 이온 엔진
OKEANOS 임무에 사용될 예정이었던 이온 엔진은 μ10 HIsp라고 불렸다. 이 엔진은 비추력 10,000초, 2.5kW의 전력, 그리고 각 4개의 엔진에 대해 최대 추력 27mN을 갖도록 설계되었다.[15][16] 이 전기 엔진 시스템은 하야부사 임무의 엔진을 개선한 것으로, 특히 지구로 샘플을 반환하는 선택적인 여행을 위해 사용될 예정이었다.[1] 한 연구에 따르면 샘플을 지구로 가져오기로 결정했다면 191kg의 제논 추진제가 필요했을 것이다.[1]하야부사의 2배 이상인 비추력(7000초)을 가진 이온 엔진 μ10HIsp를 가동하여 외행성 영역에서도 큰 Δv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한다. JAXA의 전기 추진 연구실에서 성능 향상이 진행되고 있다.
4. 4. 착륙선 (계획 A, B, A')
우주선은 착륙선을 포함하여 약 1285kg의 질량을 가질 것으로 예상되었으며, 이온 엔진을 갖춘 태양 전기를 사용할 예정이었다.[1] 착륙선이 포함되었다면, 그 질량은 100kg을 넘지 않았을 것이다. 착륙선은 소행성에서 샘플을 수집하고 분석했을 것이다. 더 복잡한 개념으로는 착륙선이 다시 이륙하여 모선과 랑데부한 다음 지구로 운송하기 위해 샘플을 이전하는 방식이 제안되었다.
이 임무 개념은 여러 시나리오, 목표 및 구조를 고려했다. 가장 야심찬 시나리오는 랜드선을 사용하여 현장 분석 및 샘플 반환을 고려한 것이었다. 이 랜드선 개념은 2014년부터 독일 항공우주 센터(DLR)와 일본의 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JAXA) 간의 협력이었다.[1] 우주선은 20~30 km의 트로이 소행성 표면에 100kg의 랜드선[2][1]을 배치하여 압축 질소 가스로 구동되는 1미터 공압 드릴을 사용하여 물 얼음과 같은 지하 휘발성 성분을 분석했을 것이다. 일부 지하 샘플은 휘발성 분석을 위해 탑재된 질량 분석기로 옮겨졌을 것이다.[2] 샘플링 시스템을 포함한 랜드선의 과학적 탑재량은 20 kg을 초과하지 않았을 것이다. 랜드선은 배터리로 전원을 공급받고 자율적인 하강, 착륙, 샘플링 및 분석을 수행하도록 계획되었다.[1] 일부 샘플은 동위원소 분석을 위해 열분해를 위해 최대 1000 °C까지 가열될 예정이었다. 랜드선의 개념적 탑재량에는 파노라마 카메라(가시광선 및 적외선), 적외선 현미경, 라만 분광기, 자력계 및 열 복사계가 포함되었을 것이다.[18] 랜드선은 배터리 전원을 사용하여 약 20시간 동안 작동했을 것이다.[19]
만약 샘플 반환이 수행되었다면, 랜드선은 이륙하여 랑데부를 거쳐 지상 및 지하 샘플을 재진입 캡슐 내에서 지구로 후속 전달하기 위해 상공(50 km)에 떠 있는 모선에 전달했을 것이다.[1][20] 랜드선은 샘플 전송 후 폐기되었을 것이다.
다음 3가지 안이 검토되었다.
- 계획 A: 착륙선에 의한 착륙 임무.
- 계획 B: 착륙 & 샘플 반환 임무.
- 계획 A': 착륙 & 다중 랑데부 임무.
어느 안도 기술적으로 문제없이 성립할 전망이었지만, 300억 엔이라는 예산 제약을 지키기 위해, 샘플 반환이나 다중 랑데부를 고려하지 않은 계획 A를 기본으로 하여, 착륙선 및 탐사선 모두 간이화·경량화를 추진하게 되었다.
5. 탐사 장비
OKEANOS의 탐사 장비는 질량 분석기, 카메라, 자력계 정도만 알려져 있으며, 자세한 과학 장비 설명이나 설계도는 공개되지 않았다.
독일 항공우주 센터(DLR)와 일본의 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JAXA)는 2014년부터 랜드선(착륙선) 개념을 협력하여 연구했다.[1] 랜드선은 무게 100kg 이하, 크기는 지름 65cm, 높이 40cm의 원통형이며, 재충전 불가능한 배터리로 작동한다.[1][17]
랜드선의 과학 탑재체 질량은 20kg을 초과하지 않으며, 다음과 같은 장비를 탑재할 예정이었다.[18]
랜드선은 압축 질소 가스로 구동되는 1m 깊이의 공압 드릴을 사용하여 물, 얼음과 같은 지하 휘발성 성분을 채취 및 분석할 수 있다.[2][1] 채취한 샘플은 탑재된 질량 분석기로 옮겨져 휘발성 성분 분석을 진행하며, 일부는 동위원소 분석을 위해 최대 1000°C까지 가열될 예정이었다.[2] 랜드선은 배터리 전원을 사용하여 약 20시간 동안 작동한다.[19]
만약 샘플 반환이 수행되었다면, 랜드선은 이륙하여 랑데부를 거쳐 지상 및 지하 샘플을 재진입 캡슐 내에서 지구로 전달하기 위해 상공(50km)에 떠 있는 모선에 전달했을 것이다.[1][20] 랜드선은 샘플 전송 후 폐기될 예정이었다.
착륙선 탑재 장비:
- 질량 분석기
- 초분광 현미경
- 초분광 파노라마 이미저
- 광학 항법 카메라
- 레이저 거리 측정기
- 플럭스 게이트 3축 자력계
- 알파 입자 X선 분광계 (APXS)
- 지표면 및 지하 샘플러
5. 1. 순항 단계
- EXZIT영어(적외선 관측 장치)
- : 구경 약 10cm의 가시광선 및 근적외선 망원경. 황도광 및 우주 적외선 배경 복사의 분광 관측을 수행한다. 지구에서 목성권으로 향하는 도중, 태양과의 거리에 따른 황도광의 휘도 및 스펙트럼의 변화를 관측하여, 행성간 먼지의 밀도와 조성을 3차원적으로 분석한다. 목성권 도착 후에는 우주 적외선 배경 복사를 직접 관측한다.
- ALDN2영어(대면적 행성간 먼지 검출 어레이)
- : 태양계 먼지 분포의 현장 측정.
- GAP2영어(감마선 폭발 관측 장치)
- : 감마선 폭발의 편광 관측.
- MGF영어(자력계)
- : 자기장 관측.
5. 2. 돛에 부착
- 대형 면적의 먼지 감지기 배열 (ALDN-2)
- 자기장 실험 (MGF-2)은 플럭스 게이트 자력계이다.
ALDN-2는 IKAROS에 탑재된 기기의 후속 기기였다.[1] MGF-2는 아라세 위성에 탑재된 MGF 기기의 가능한 후속 기기였다.[1]
5. 3. 우주선
OKEANOS의 우주선에는 다음과 같은 장비가 탑재되었다.[1]- 외계 황도대 적외선 망원경 (EXZIT): 직경 10cm의 망원경이다.
- 감마선 폭발 편광계 (GAP-2)
- 몸체의 내부 구조를 이미지화하는 단일 모드 레이더
GAP-2와 EXZIT는 천문 관측을 위한 기기로, 트로이 소행성 연구에 사용될 의도는 아니었다. 이 두 기기는 임무 궤도를 이용하여 기회적인 조사를 수행했을 것이다. GAP-2는 육상 관측소와 결합하여 감마선 폭발의 위치를 고정밀도로 파악할 수 있게 했을 것이다. 황도광이 소행성대 너머에서 현저하게 약해지기 때문에 EXZIT는 망원경이 우주 적외선 배경을 관측할 수 있도록 했을 것이다. MGF-2는 아라세 위성에 탑재된 MGF 기기의 가능한 후속 기기였으며, ALADDIN-2, GAP-2는 IKAROS에 탑재된 각 기기의 가능한 후속 기기였다.
6. 발사 및 귀환 (계획 B)
7. 지원 및 개발 투자
JAXA와 ISAS에서 개발을 지원하고 있다. DLR에서도 개발 지원 및 투자를 하고 있다.
참조
[1]
간행물
INVESTIGATION OF THE SOLAR SYSTEM DISK STRUCTURE DURING THE CRUISING PHASE OF THE SOLAR POWER SAIL MISSION
https://www.hou.usra[...]
49th Lunar and Planetary Science Conference 2018 (LPI Contrib. No. 2083)
[2]
간행물
Sampling Scenario for the Trojan Asteroid Exploration Mission
http://www.hayabusa.[...]
2017-12-31
[3]
간행물
Trajectory Design for Jovian Trojan Asteroid Exploration via Solar Power Sail
http://www.jsforum.o[...]
The Institute of Space and Astronautical Science (ISAS), JAXA
2017-12-31
[4]
뉴스
JAXA Sail to Jupiter's Trojan Asteroids
https://www.centauri[...]
Centauri Dreams
2017-03-15
[5]
뉴스
Huge sail will power JAXA mission to Trojan asteroids and back
https://www.japantim[...]
The Japan Times
2016-07-21
[6]
웹사이트
Jupiter Magnetospheric Orbiter and Trojan Asteroid Explorer
https://www.cospar-a[...]
COSPAR
2010
[7]
문서
Roadmap 2017 — Fundamental Concepts for Promoting Large Scientific Research Projects
http://www.mext.go.j[...]
2017-07-28
[8]
논문
OKEANOS - Jupiter Trojan Asteroid Rendezvous and Landing Mission using the Solar Power Sail
http://adsabs.harvar[...]
[9]
논문
System Designing of Solar Power Sail-craft for Jupiter Trojan Asteroid Exploration
https://www.jstage.j[...]
[10]
논문
Science exploration and instrumentation of the OKEANOS mission to a Jupiter Trojan asteroid using the solar power sail
https://www.scienced[...]
[11]
간행물
ISAS Small Body Exploration Strategy
https://www.lpl.ariz[...]
Lunar and Planetary Laboratory The University of Arizona-JAXA Workshop (2017)
2016-12-12
[12]
간행물
IKAROS and Solar Power Sail - Craft Missions for Outer Planetary Region Exploration
https://solarsystem.[...]
2015-06-15
[13]
간행물
The Solar Power Sail Mission to Jupiter Trojans
http://www.lcpm10.ca[...]
The 10th IAA International Conference on Low-Cost Planetary Missions
2013-06-19
[14]
간행물
Liquid Crystal Device with Reflective Microstructure for Attitude Control
https://arc.aiaa.org[...]
Aerospace Research Central
[15]
문서
Lineup of Microwave Discharge Ion Engines
http://www.isas.jaxa[...]
JAXA
[16]
간행물
Mission Analysis of Sample Return from Jovian Trojan Asteroid by Solar Power Sail
https://www.jstage.j[...]
Trans. JSASS Aerospace Tech. Japan
[17]
간행물
Science experiments on a Jupiter Trojan asteroid on the solar powered sail mission
https://www.hou.usra[...]
47th Lunar and Planetary Science Conference (2016)
[18]
문서
Trojan asteroid probe
https://repository.e[...]
JAXA
[19]
간행물
SCIENCE AND EXPLORATION IN THE SOLAR POWER SAIL OKEANOS MISSION TO A JUPITER TROJAN ASTEROID
https://www.hou.usra[...]
49th Lunar and Planetary Science Conference 2018 (LPI Contrib. No. 2083)
[20]
간행물
Direct Exploration of Jupiter Trojan Asteroid using Solar Power Sail
http://www.jsforum.o[...]
2020-08-05
[21]
문서
EXZIT Telescope
http://gopira.jp/sym[...]
JAXA
[22]
간행물
Jupiter Trojan's shallow subsurface: direct observations by radar on board OKEANOS mission
https://meetingorgan[...]
EPSC Abstracts Vol. 12, EPSC2018-526, 2018 European Planetary Science Congress 2018
[23]
학위논문
ソーラー電力セイル探査機OKEANOSに搭載する宇宙赤外線背景放射観測装置の設計
https://hdl.handle.n[...]
関西学院大学大学院理工学研究科
[24]
웹인용
Jupiter Trojan’s shallow subsurface: direct observations by radar on board OKEANOS mission
https://meetingorgan[...]
2018
[25]
웹인용
SCIENCE AND EXPLORATION IN THE SOLAR POWER SAIL OKEANOS MISSION TO A JUPITER TROJAN ASTEROID
https://www.hou.usra[...]
2018
[26]
간행물
The Solar Power Sail Mission to Jupiter Trojans
http://www.lcpm10.ca[...]
The 10th IAA International Conference on Low-Cost Planetary Missions
2013-06-19
[27]
간행물
Sampling Scenario for the Trojan Asteroid Exploration Mission
http://www.hayabusa.[...]
[28]
웹인용
Re: Japanese launch schedule
https://forum.nasasp[...]
2017-03-15
[29]
웹인용
Future Developement Plans of Sample Return Capsure evolved on the basic of HAYABUSA SRC heritage
https://www.colorado[...]
2018-06-12
[30]
웹인용
INVESTIGATION OF THE SOLAR SYSTEM DISK STRUCTURE DURING THE CRUISING PHASE OF THE SOLAR POWER SAIL MISSION
https://www.hou.usra[...]
2018
[31]
간행물
IKAROS and Solar Power Sail-Craft Missions for Outer Planetary Region Exploration
https://solarsystem.[...]
2015-06-15
[32]
뉴스
JAXA Sail to Jupiter's Trojan Asteroids
https://www.centauri[...]
Centauri Dreams
2017-03-15
[33]
간행물
Trajectory Design for Jovian Trojan Asteroid Exploration via Solar Power Sail
http://www.jsforum.o[...]
The Institute of Space and Astronautical Science (ISAS), JAXA
[34]
뉴스
Huge sail will power JAXA mission to Trojan asteroids and back
https://www.japantim[...]
The Japan Times
2016-07-21
[35]
웹인용
Future Developement Plans of Sample Return Capsure evolved on the basic of HAYABUSA SRC heritage
https://www.colorado[...]
2018-06-12
[36]
웹인용
Future Developement Plans of Sample Return Capsure evolved on the basic of HAYABUSA SRC heritage
https://www.colorado[...]
2018-08-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