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OPS-12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OPS-12는 해상자위대의 3차원 대공 레이더로, 위상 배열 레이다의 일종이다. 최초의 미사일 호위함에 탑재된 AN/SPS-39를 시작으로 헬리콥터 호위함용 국산 3차원 레이더로 개발되었다. 1980년에 개발되어 하타카제급, 시라네급, 타치카제급, 아사기리급 등에 탑재되었으며, S 밴드를 사용하여 탐지거리는 120km이다. 타치카제형 호위함에 탑재된 AN/SPS-52B와 동등한 성능을 가졌지만, 터터 시스템과의 연접 문제 등으로 인해 시라네형 호위함 2척에만 탑재되었고, 이후 OPS-24로 대체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해상자위대의 레이더 장비 - OPS-14
    OPS-14는 1971년 개발된 일본의 2차원 L밴드 레이더로, 전자전 회피 능력과 이동 표적 탐지 기술을 갖추고 다양한 함정에 탑재되었다.
  • 해상자위대의 레이더 장비 - OPS-24
    OPS-24는 미쓰비시 전기에서 개발한 해상자위대 함재 AESA 레이더로, J/FPS-3 레이더를 기반으로 호위함 탑재를 위해 소형화되었으며, 초기 모델의 문제점을 개선한 B형 모델과 액티브 소자를 증가시킨 OPS-24C 모델이 있다.
  • 해상 레이더 - FCS-3
    FCS-3는 일본 해상자위대의 함대 방공 시스템으로, 하나의 레이더로 수색과 추적을 동시에 수행하며, 신세대 전술 정보 처리 장치와 연동하여 대응 시간을 단축하는 특징을 가진 00식 사격 지휘 장치이며, 다양한 파생형이 개발되어 해상자위대 함정에 탑재되고 있다.
  • 해상 레이더 - AN/SPY-3
    AN/SPY-3은 미국 해군에서 운용하는 X 대역 다기능 위상 배열 레이더 시스템으로, 8~12GHz 주파수 범위에서 작동하며 줌왈트급 구축함과 제럴드 R. 포드급 항공모함에 탑재되어 표적 식별 및 미사일 표적 조명에 사용된다.
OPS-12
기본 정보
OPS-12 레이더 ([[DDH-144]], [[구라마]])
구라마(51DDH) 탑재기
종류3차원 대공 탐색 레이더
도입 시기1980년 (쇼와 55년)
제작 국가일본
역할대공 수색
기술 정보
송신기진공관
주파수S 밴드
안테나수동 위상 배열 방식
방위각0-360° 전주회전 무제한
탐지 거리119 km

2. 개발 배경

해상자위대는 최초의 미사일 구축함인 아마츠카제(35DDG)에 AN/SPS-39를 탑재하며 3차원 레이더 운용을 시작했다. 그러나 이후 건조된 하루나형 호위함(43/45DDH)에는 2차원 레이더만 탑재되었다. 이러한 배경에서 하루나형의 확대 개량형인 헬리콥터 호위함(DDH)에 탑재할 일본 국산 3차원 레이더로 개발된 것이 OPS-12이다. 개발 과정에서는 AN/SPS-39의 개발사이며, 과거 자동 경계 관제 조직(BADGE) 사업을 통해 일본전기와도 관계가 있었던 미국 휴즈사에 기술료를 지불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3. 설계

이 레이더는 항공자위대의 J/TPS-100 개발 기술을 바탕으로 제작되었다. 빔 주사 방식은 고저각(앙각) 방향으로는 전자식 스캔을, 방위각(선회각) 방향으로는 기계식 스캔을 사용한다. 전자식 빔 주사 방식으로는 AN/SPS-39 레이더가 주파수 주사( frequency scanning|프리퀀시 스캐닝eng, FRESCAN) 방식을 사용한 것과 달리, OPS-12는 위상 주사( phase scanning|페이즈 스캐닝eng) 방식을 채택하여 수동형 위상 배열 안테나(PESA)를 구현했다. 안테나는 18도 기울어져 설치되었고, 그 아래에는 피아 식별 장치(IFF) 안테나가 부착되어 있다.

레이더 송신관은 수냉식이며, 고출력 전자관을 이용한 3단 직렬 증폭 방식을 채택하여 AN/SPS-39보다 훨씬 높은 출력을 낼 수 있었다. 출력이 매우 높기 때문에 항구나 육지 근처에서는 최대 출력으로 송신하는 것이 제한되었다. 하지만 최종 증폭단을 사용하지 않고 2단 증폭까지만 사용하여 출력을 낮춰 운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항만 내 등 제한된 환경에서도 사용할 수 있었다. 그러나 출력이 너무 강해 주 빔(main lobe)뿐만 아니라 부 빔(side lobe) 신호까지 탐지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로 인해 시험 운용 중 오시마 섬이 두 개로 보이는 현상이 발생하기도 하여, 부 빔 신호 수신을 억제하는 개선 작업이 이루어졌다. 신호 처리 장치로는 AN/UYK-20 컴퓨터가 사용되었고, 펄스 압축 기술도 적용되었다.

4. 성능

3차원 대공 레이다이며, 위상 배열 레이다 기술을 사용한다.

항목내용
개발 연도1980년
취역 연도1980년
레이다 종류위상 배열 3차원 대공 레이다
주파수 밴드S 밴드
탐지 거리120km
탑재 함선하타카제급, 시라네급, 타치카제급, 아사기리급



성능 면에서는 타치카제급 구축함에 탑재된 AN/SPS-52B와 동등한 수준으로 평가되었다. 이 때문에 동형 3번함인 사와카제(53DDG)에 본 레이다를 탑재하는 방안이 검토되었고, 관련 예산 요구 및 집행 계획까지 작성되었다. 그러나 터터 시스템과의 연동 조건 불명확성 등의 문제로 결국 탑재는 이루어지지 않았고, 사와카제함 및 하타카제급 구축함(56/58DDG)에는 미국에서 FMS 방식으로 조달한 AN/SPS-52C가 탑재되었다. 결과적으로 OPS-12는 시라네급 구축함(50/51DDH) 2척에만 탑재되었으며, 생산이 조기에 종료된 배경에는 미국 휴즈사의 압력이 있었다는 설도 있다.

이후 1990년에 취역한 하마기리(60DD)부터는 범용 호위함(DD)용 국산 함재 3차원 레이다로서 능동형 위상 배열 안테나를 사용한 미쓰비시 전기 제작의 OPS-24가 탑재되기 시작했다.

5. 운용

성능 면에서는 타치카제형 호위함에 탑재된 AN/SPS-52B와 동등한 수준이었다. 이 때문에 타치카제형 3번함인 사와카제(53DDG)에 OPS-12를 탑재하는 방안이 검토되었고, 관련 예산 요구 및 집행 계획까지 수립되었다. 그러나 터터 시스템과의 연동 조건이 명확하지 않다는 등의 이유로 결국 탑재는 무산되었다. 사와카제함 및 이후 건조된 하타카제형 호위함(56/58DDG)에는 대외군사판매(FMS)로 도입한 AN/SPS-52C가 탑재되었다.

결과적으로 OPS-12 레이더는 시라네형 호위함(50/51DDH) 2척에만 탑재되었다. 생산 종료 배경에는 미국의 휴즈 항공사로부터 압력이 있었다는 설도 있다.

이후 1990년에 취역한 하마기리(60DD)부터는 범용 호위함(DD)용 국산 3차원 레이더로 능동형 위상 배열 안테나(AESA) 방식의 미쓰비시 전기OPS-24가 탑재되기 시작했다.

6. 영향

성능 면에서는 타치카제형 호위함에 탑재된 AN/SPS-52B와 동등한 수준이었다. 이 때문에 동형 3번함인 사와카제에는 OPS-12 탑재가 검토되었고, 관련 예산 요구 및 집행 계획까지 수립되었다. 그러나 터터 시스템과의 연동 조건 불명확성 등의 문제로 결국 탑재는 무산되었다. 사와카제 및 이후의 하타카제형 호위함에는 FMS 방식으로 조달한 AN/SPS-52C가 탑재되었다. 결과적으로 OPS-12는 시라네형 호위함 2척에만 탑재되는 데 그쳤다. OPS-12의 생산이 종료된 배경에는 미국 휴즈사의 압력이 있었다는 설도 제기된다.

이후 1990년 취역한 하마기리부터는 범용 호위함(DD)용 국산 함재 3차원 레이더로 능동형 위상 배열 안테나를 채택한 미쓰비시 전기OPS-24가 탑재되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