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SSI-1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OSSI-1은 한국인 아티스트 송호준이 개발한 예술 프로젝트로, 2013년 4월 바이코누르 우주 기지에서 발사된 1U 큐브위성이다. 무게는 950g이며, 아두이노 마이크로 컨트롤러, 리튬이온 배터리, UHF/VHF 수신기를 사용했다. OSSI-1은 모스 부호 비콘을 통해 메시지를 전송하고, LED 라이트를 통해 모스 부호 내용을 시각적으로 표시하도록 설계되었으나, 발사 후 신호 수신에 실패했다. 송호준은 개인 자격으로 위성을 발사하는 과정에서 대한민국 내 관련 법규와 주파수 할당 문제로 어려움을 겪었으며, 프랑스 회사와 턴키 계약을 통해 발사를 진행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13년 재진입한 우주선 - 선저우 10호
2013년 발사된 중국 유인 우주선 선저우 10호는 3명의 우주비행사를 태우고 톈궁 1호와의 도킹, 우주 실험, 과학 활동, 최초의 우주 수업 등을 진행하며 중국 우주 프로그램 발전에 기여했다. - 2013년 재진입한 우주선 - 지구중력장 탐사위성
지구중력장 탐사위성은 이온 엔진을 주 추진 시스템으로 사용하여 지구 중력장을 정밀하게 측정하는 위성으로, GOCE와 같이 지구 내부 구조 및 기후 변화 연구에 활용된다. - 소유스-2 로켓으로 발사한 우주선 - 글로벌스타
글로벌스타는 1991년 설립된 위성 통신 서비스 제공업체로, 2002년 파산 보호를 신청했으나 구조조정을 거쳐 재상장되었고, 현재 아이폰 위성 긴급 SOS 기능을 지원하며 애플이 지분 20%를 인수할 예정이다. - 소유스-2 로켓으로 발사한 우주선 - COROT
COROT는 외계 행성 탐사 및 별진동학 연구를 목적으로 2006년에 발사되어 2012년까지 운용된 우주 망원경이다. - 큐브위성 - KHUSAT
KHUSAT은 경희대학교 우주탐사학과에서 개발한 큐브위성 시리즈로, 해외 대학 및 국내 기관과의 협력을 통해 개발되었으며, 학생들의 융합적 지식 습득과 실무 경험에 기여했다. - 큐브위성 - 마스 큐브 원
마스 큐브 원은 NASA가 개발한 최초의 심우주 큐브위성으로, 화성 착륙선 인사이트의 통신 중계를 위해 제작되어 2018년 발사 후 인사이트 착륙 과정에서 실시간 데이터를 지구에 전송하는 데 성공함으로써 큐브위성의 심우주 임무 활용 가능성을 입증했다.
| OSSI-1 | |
|---|---|
| 기본 정보 | |
| 임무 유형 | 연구/아마추어 무선 |
| 운영자 | 해당 없음 |
| 웹사이트 | http://opensat.cc/ (보관됨) |
| COSPAR ID | 2013-015B |
| SATCAT | 39131 |
| 임무 기간 | 해당 없음 |
| 이동 거리 | 해당 없음 |
| 완료 궤도 회수 | 해당 없음 |
| 우주선 정보 | |
| 우주선 종류 | 1U CubeSat |
| 우주선 버스 | 해당 없음 |
| 제조업체 | 수제 |
| 건조 질량 | 해당 없음 |
| 발사 질량 | 950g |
| 착륙 질량 | 해당 없음 |
| 크기 | 10cm 정육면체 |
| 전력 | 해당 없음 |
| 발사 정보 | |
| 발사 날짜 | 2013년 4월 19일, 10:00 UTC |
| 발사 로켓 | 소유스 2-1a |
| 발사 장소 | 바이코누르 31/6 |
| 발사 계약자 | 로스코스모스 |
| 개발 비용 | 40만원 |
| 발사 비용 | 1억 2천만원 |
| 임무 정보 | |
| 마지막 교신 | 해당 없음 |
| 궤도 붕괴 날짜 | 2013년 6월 30일 |
| 궤도 정보 | |
| 궤도 기준점 | 2013년 5월 14일 |
| 궤도 유형 | 지구 중심 |
| 궤도 영역 | 저궤도 |
| 원지점 고도 | 552.8km |
| 근지점 고도 | 263.0km |
| 궤도 경사 | 64.9도 |
| 궤도 장반축 | 6778km |
| 궤도 이심률 | 해당 없음 |
| 궤도 주기 | 92.6분 |
| 궤도 반복 | 해당 없음 |
| 궤도 평균 운동 | 해당 없음 |
| 궤도 정점 | 지구 |
| 장비 정보 | |
| 탑재 장비 | 해당 없음 |
| 트랜스폰더 | 해당 없음 |
| 대역폭 | 145.980MHz |
| 해상도 | 해당 없음 |
2. 발사
바이온-엠은 2013년 4월 19일 10시 정각(한국 시각 7시)에 카자흐스탄 바이코누르 우주기지에서 발사되었으며, 이 발사체에는 OSSI-1 외에도 여섯 개의 소형위성이 함께 실렸다. OSSI-1은 발사 후 4시 15분에 바이온-엠 발사체에서 분리되었다.[13][14]
OSSI는 한국인 아티스트이자 아마추어 무선 운용자인 송호준이 주도한 예술 프로젝트이다.[14] 이 프로젝트는 7년 동안 진행되었으며, 우주 환경에서의 사용 인증을 받은 고가의 부품 대신 상용 기성품을 기반으로 위성을 설계하고 제작한 점이 특징이다.[14] 프로젝트 수행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 비용은 발사 비용으로, 약 10만달러(1억 2천만원)에 달했다.[12][14][15][16]
OSSI-1은 가로, 세로, 높이가 각각 100mm인 1U 큐브위성 규격으로 제작되었으며, 무게는 950g이다.[17][18] 이 위성에는 아두이노 마이크로 컨트롤러, 리튬이온 배터리, J모드 UHF/VHF 수신기가 탑재되었다.[18] 또한, 모스 부호 비콘이 장착되어 145.980 MHz 주파수를 통해 'OS0 DE OSSI1 ANYOUNG'으로 시작하는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설계되었다.[19] 위성에는 4개의 LED 라이트가 있어 오픈 프로토콜을 사용해 모스 부호 내용을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는 기능도 갖추었다.[14][18][20][21]
OSSI-1은 모스 부호 비콘 기능을 탑재하여, 145.980 MHz 주파수를 통해 'OS0 DE OSSI1 ANYOUNG'으로 시작하는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설계되었다.[19] 또한, 4개의 LED 라이트를 장착하여 오픈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모스 부호 내용을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었다.
프로젝트 개발자들은 2013년 4월 24일 올린 글을 통해 위성으로부터 어떠한 신호도 받지 못했다고 밝혔다. 당시 개발자들은 위성 위치 추적에 사용된 두 줄 궤도 형식 정보에 오류가 있을 가능성을 제기했다.[14][18][20][21] 이후 OSSI-1 프로젝트 과정을 다룬 다큐멘터리 망원동 인공위성에서도 최종적으로 위성 신호 수신에 실패했음을 인정했다.
한국아마추어무선연맹에 따르면, 송호준은 개인 자격으로 위성을 발사하기 위해 대한민국 내에서 우주물체를 등록하고 국제전기통신연합(ITU)으로부터 광대역 주파수를 할당받는 과정에서 상당한 어려움을 겪었다. 당시 대한민국의 관련 법률은 발사 예정일로부터 2년 전에 미리 통보하도록 요구했기 때문에, 다른 시험용 위성과 발사 기회를 공유하는 것이 불가능했다. 또한, 아마추어무선용으로 할당된 주파수는 이미 대부분 사용 중이었으며, 다른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전문 기술이 필요했다.[21] 결국 송호준은 발사 일정을 보장받기 위해 2011년 프랑스의 한 나노위성 전문 회사와 턴키 방식의 계약을 체결했다. 이는 당시 대한민국에서 개인이 위성을 발사하는 과정이 매우 어려웠음을 시사한다.[22]
OSSI-1 프로젝트는 한국인 아티스트이자 아마추어 무선 운용자인 송호준이 주도한 개인 예술 프로젝트이다.
OSSI-1 프로젝트는 예술가이자 아마추어 무선 통신 운용자인 송호준이 개인적으로 진행한 예술 프로젝트로, 약 7년에 걸쳐 우주 인증 부품 대신 상용 기성품을 기반으로 설계 및 제작되었다.[14] 이 프로젝트에서 가장 큰 비용은 발사 비용으로, 약 10만달러 (당시 약 1.2억원)에 달했다.[12][14][15][16]
한국아마추어무선연맹에 따르면, 송호준은 개인이 인공위성을 발사하는 과정에서 대한민국 내 우주물체 등록 및 국제전기통신연합(ITU) 주파수 할당 등 여러 행정적 어려움을 겪었다. 당시 한국 법률상 발사 예정일로부터 2년 전에 미리 통보해야 하는 규정 때문에 다른 시험용 위성과 발사 기회를 공유하기 어려웠으며, 아마추어 무선용 주파수 대역 할당도 쉽지 않았다.[21] 이러한 어려움 속에서 송호준은 2011년 프랑스의 한 나노위성 전문 회사와 턴키 방식으로 발사 계약을 체결하여 발사를 진행할 수 있었다.[22]
3. 개발 배경
개인이 인공위성을 제작하고 발사하는 과정은 순탄치 않았다. 한국아마추어무선연맹에 따르면, 송호준은 대한민국 내 우주물체 등록 절차와 국제전기통신연합(ITU)으로부터 주파수를 할당받는 과정에서 상당한 어려움을 겪었다.[21] 특히 대한민국의 관련 법률은 발사 예정일로부터 2년 전에 미리 통보하도록 규정하고 있어, 다른 시험용 위성과 발사 기회를 공유하는 데 제약이 있었다. 또한, 아마추어 무선용으로 할당된 주파수 대역은 이미 포화 상태에 가까웠고, 다른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려면 추가적인 전문 기술이 필요했다.[21] 이러한 어려움 속에서 안정적인 발사 기회를 확보하기 위해, 송호준은 2011년 프랑스의 한 나노위성 전문 기업과 턴키 방식으로 계약을 체결했다.[22]
4. 기술 사양
5. 기능 및 통신
그러나 위성 발사 후, 프로젝트 개발팀은 2013년 4월 24일에 OSSI-1로부터 어떠한 신호도 수신하지 못했다고 밝혔다. 개발팀은 위성 위치 추적에 사용된 두 줄 궤도 요소 데이터에 오류가 있었을 가능성을 제기했다.[14][18][20][21] 이후 제작된 다큐멘터리 망원동 인공위성에서도 OSSI-1의 신호 수신에 실패했음이 확인되었다.
한편, 한국아마추어무선연맹에 따르면 개발자 송호준은 개인 자격으로 위성을 발사하면서 국제전기통신연합(ITU)으로부터 통신용 주파수를 할당받는 과정에서 어려움을 겪었다. 당시 아마추어 무선용 주파수 대역은 이미 포화 상태에 가까웠으며, 다른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기에는 추가적인 기술 전문성이 요구되는 상황이었다.[21]
6. 신호 수신 실패
7. 대한민국 내 발사 관련 어려움
8. 관련 인물
8. 1. 송호준
OSSI-1 프로젝트는 한국인 아티스트이자 아마추어 무선 운용자인 송호준이 개인적인 관심을 바탕으로 시작한 예술 프로젝트이다.[14] 그는 7년 동안 우주에서의 사용성이 검증된 부품 대신 상용 기성품을 이용하여 위성을 설계하고 제작했다.[14] 이 프로젝트에서 가장 큰 비용은 발사 비용으로, 약 10만달러 (약 1.2억원)에 달했다.[12][14][15][16]
송호준은 개인이 인공위성을 발사하는 과정에서 여러 어려움에 직면했다. 한국아마추어무선연맹에 따르면, 대한민국 내 우주물체 등록 절차와 국제전기통신연합(ITU)으로부터 주파수를 할당받는 과정이 순탄치 않았다.[21] 당시 대한민국의 관련 법률은 발사 예정일로부터 2년 전에 미리 통보하도록 규정하고 있어, 다른 시험용 위성과 발사를 함께 진행하기 어려웠다. 또한, 아마추어 무선용 주파수 대역은 이미 포화 상태에 가까웠고, 다른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려면 추가적인 전문 기술이 필요했다.[21] 이러한 어려움 속에서 송호준은 2011년 발사를 보장받기 위해 프랑스의 나노위성 전문 회사와 턴키 방식으로 계약을 체결했다.[22]
OSSI-1은 2013년 4월 19일 카자흐스탄 바이코누르 우주기지에서 발사된 바이온-엠 로켓에 실려 우주로 보내졌으며, 발사 4시간 15분 후 로켓에서 성공적으로 분리되었다.[13][14] 위성은 모스 부호 비콘과 발광 다이오드(LED)를 탑재하여 지상과 교신하고 시각적인 신호를 보내도록 설계되었다.[19][18] 그러나 프로젝트 개발팀은 2013년 4월 24일, 위성으로부터 어떠한 신호도 수신하지 못했다고 밝혔다. 그들은 위성 추적에 사용된 두 줄 궤도 형식(TLE) 정보에 오류가 있었을 가능성을 제기했다.[14][18][20][21] 이후 과정을 다룬 다큐멘터리 망원동 인공위성에서도 OSSI-1의 신호 수신에는 최종적으로 실패했음이 확인되었다.
참조
[1]
웹사이트
Ossicode - Overview
https://github.com/o[...]
2021-02-02
[2]
웹사이트
2013-015
http://www.zarya.inf[...]
2013-05-14
[3]
웹사이트
OSSI-1
http://amsat-uk.org/[...]
2013-03-12
[4]
웹사이트
Open Source Satellite Initiative
http://opensat.cc/
2013-05-14
[5]
웹사이트
South Korean artist has high hopes for his homemade satellite
https://www.bbc.co.u[...]
2012-07-27
[6]
웹사이트
OSSI-1
https://web.archive.[...]
2013-05-14
[7]
웹사이트
OSSI-1
https://nssdc.gsfc.n[...]
2013-05-14
[8]
웹사이트
OSSI 1
http://www.n2yo.com/[...]
2013-05-14
[9]
간행물
Alpha Geek: Hojun Song, DIY Satellite Builder
https://www.wired.co[...]
2010-08-30
[10]
웹사이트
INTERNATIONAL AMATEUR RADIO UNION REGION 3. FIFTEENTH REGIONAL CONFERENCE. Triennial Report from KARL (2009-2012)
https://web.archive.[...]
2013-05-14
[11]
웹사이트
OSSI mandates NovaNano to secure a launch opportunity in 2012 for the first individual satellite
https://web.archive.[...]
2011-06-21
[12]
뉴스
송호준 개인인공위성, "자비 3억 들여 세계 최초 인공위성 쏜..그 이유는?"
http://www.wowtv.co.[...]
한국경제TV
2013-09-26
[13]
웹인용
2013-015
http://www.zarya.inf[...]
2013-05-14
[14]
웹인용
OSSI-1
http://amsat-uk.org/[...]
2013-05-14
[15]
웹인용
South Korean artist has high hopes for his homemade satellite
http://www.bbc.co.uk[...]
2012-07-27
[16]
웹인용
Alpha Geek: Hojun Song, DIY Satellite Builder
http://www.wired.com[...]
2010-08-30
[17]
웹인용
OSSI-1
https://web.archive.[...]
2013-05-14
[18]
웹인용
Open Source Satellite Initiative
http://opensat.cc/
2013-05-14
[19]
문서
Listening OSSI-1 Satellite Beacon
http://opensat.cc/wi[...]
2016-03-25
[20]
웹인용
OSSI-1
http://www.dk3wn.inf[...]
2013-05-14
[21]
웹인용
INTERNATIONAL AMATEUR RADIO UNION REGION 3. FIFTEENTH REGIONAL CONFERENCE. Triennial Report from KARL (2009-2012)
https://web.archive.[...]
2013-05-14
[22]
웹인용
OSSI mandates NovaNano to secure a launch opportunity in 2012 for the first individual satellite
https://web.archive.[...]
2011-06-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