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COROT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COROT는 "대류와 자전, 그리고 행성의 통과"를 의미하는 우주 망원경으로, 외계 행성 탐사 및 별진동학 연구를 주요 목적으로 한다. 외계 행성 탐사를 위해 별의 밝기 변화를 감지하는 통과 탐지 방법을 사용하며, 별진동학 연구를 통해 별의 질량, 나이, 화학 조성을 연구한다. 2006년 발사되어 2012년까지 운용되었으며, 다수의 외계 행성 및 별진동학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프랑스의 인공위성 - TOPEX/Poseidon
    TOPEX/Poseidon은 NASA와 CNES가 공동 개발한 위성 임무로, 해수면 측정, 조석 지도 작성, 기후 변화 연구를 위해 1992년부터 2006년까지 10년 이상 데이터를 제공했다.
  • 프랑스의 우주 개발 - 기아나 우주 센터
    기아나 우주 센터는 프랑스령 기아나 쿠루에 위치한 우주 발사장으로, 적도에 가까운 이점을 활용해 다양한 궤도 발사를 지원하며 유럽 우주국을 비롯한 국제 협력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 프랑스의 우주 개발 - ILN
    ILN(국제 달 네트워크)은 달의 내부 구조와 활동 연구를 목표로 2008년에 구상된 국제 공동 연구 프로젝트였으나, NASA의 착륙 스테이션 제공 계획 연기 및 변경으로 현재는 개발되지 않았다.
  • 2006년 우주 개발 - 뉴 허라이즌스
    뉴 허라이즌스는 NASA의 뉴 프런티어 계획 탐사선으로, 명왕성과 카이퍼 벨트를 탐사하며 명왕성의 표면, 지형, 대기 등을 조사하고 카이퍼 벨트 천체 아로코스의 근접 관측을 통해 초기 태양계 형성에 대한 과학적 자료를 제공했으며, 플루토늄-238을 동력원으로 2030년대까지 탐사를 진행할 예정이다.
  • 2006년 우주 개발 - 무궁화 5호
    무궁화 5호는 프랑스에서 제작된 통신 위성으로, 군사 통신 및 국내 디지털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며, 2006년에 발사되어 상업용 및 군사용 중계기를 탑재하여 6,000km까지 교신이 가능하다.
COROT
개요
탈레스 알레니아 스페이스 칸 공장에서 조립 중인 CoRoT 위성
탈레스 알레니아 스페이스 칸 공장에서 조립 중인 CoRoT 위성
임무 유형우주 망원경
운영 주체CNES, ESA
COSPAR ID2006-063A
SATCAT29678
웹사이트CoRoT 공식 웹사이트
임무 기간계획: 2.5년 + 4년, 최종: 2006년 12월 27일 14:24 ~ 2014년 6월 17일 10:27 (7년 5개월 20일)
제작사CNES, 탈레스 알레니아 스페이스
발사 질량630 kg
탑재체 질량300 kg
크기2 m x 4 m
전력약 380 W
발사
발사일2006년 12월 27일 14:24 UTC
발사체소유스 2.1b 프레가트
발사 장소바이코누르 LC-31/6
발사 계약자아리안스페이스, 스타셈
궤도
궤도 기준지구 중심
궤도 종류
궤도 긴반지름7123 km
궤도 이심률0.0203702
궤도 근지점607.8 km
궤도 원지점898.1 km
궤도 경사90.0336도
궤도 주기99.7분
궤도 승교점 경도13.64도
궤도 근지점 인수148.21도
궤도 평균 이각213.16도
궤도 평균 운동14.44 rev/day
궤도 기준 시점2016년 3월 8일 11:58:39 UTC
궤도 회전수47715
망원경
망원경 종류비초점
망원경 구경27 cm
망원경 초점 거리1.1 m
망원경 파장가시광선
임무 종료
폐기 방식퇴역
비활성화2014년 6월 17일 10:27 UTC
명칭
프랑스어Convection, Rotation et Transits planétaires (대류, 회전 및 행성 통과)
영어Convection, Rotation and planetary Transits (대류, 회전 및 행성 통과)

2. 목적

COROT는 "대류와 자전, 그리고 행성의 통과"를 의미하는 이름처럼 크게 두 가지 목적을 가진 우주 망원경이다.

COROT는 별의 밝기를 관찰하여 행성이 별 앞을 통과할 때 발생하는 주기적인 미세한 밝기 감소 현상을 탐색한다. 또한 별진동학 연구를 통해 별의 펄동에 따른 광도 변화를 감지하여 별의 질량, 나이, 화학 조성을 계산하고, 태양 및 다른 별들과 비교 연구한다.

2. 1. 별진동학 연구

COROT는 별진동학 연구에도 사용된다. COROT는 별의 펄동에 따른 광도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이 현상을 측정함으로써 별의 정확한 질량, 나이, 화학 조성을 계산할 수 있으며, 태양 및 기타 별과의 비교에 활용할 수 있다. 지금까지는 태양을 대상으로 한 일진학으로 발전해 온 분야이지만, 같은 방법을 태양 이외의 일반 별에도 적용하여 별 내부에 대한 더 보편적인 이해를 얻는 것을 목표로 한다. 별진동학용 관측에서는 각 시야에 주요 관측 대상 별이 1개, 최대 9개의 기타 관측 대상 별이 있었다. 관측된 대상의 수는 데이터 처리 장치가 고장난 후 절반으로 줄었다.

2. 2. 외계 행성 탐색

COROT는 별 앞을 통과하는 행성에 의해 발생하는 주기적인 미세한 감광 현상을 탐사하여 외계 행성을 찾는다. 모든 관측 영역에서 COROT는 외계 행성 탐사를 목적으로 11등급에서 16등급 사이의 밝기를 가진 수천 개의 별의 밝기를 기록했다. COROT는 14등급보다 밝은 별을 공전하는 지구의 2배 이상 반지름을 가진 암석 행성을 감지할 수 있는 감도를 가지고 있으며, 관측 가능한 모든 등급의 범위 내에서 새로운 거대 가스 행성을 감지할 수 있다.

300px


COROT는 외계 행성을 발견하기 위해 통과법을 사용한다. 행성 등의 천체가 항성과 관측자 사이를 통과하여 항성으로부터의 빛의 일부가 차단되는 현상이 통과(트랜짓)이다.

이 현상은 빛의 흐름의 매우 작은 변화를 감지할 수 있는 감도를 가진 CCD에 의해 감지할 수 있다. COROT는 1억 분의 1의 밝기 변화를 감지하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과학자들은 지구의 2배 정도의 크기를 가진, 슈퍼 지구라고 불리는 종류의 행성을 발견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 후에 지구의 1.7배 크기를 가진 CoRoT-7b가 감지되어 이 예측이 옳았음이 증명되었다.

COROT는 32초마다 32초간 노출을 하지만, 데이터량이 너무 많아서 지구로 모든 이미지가 전송되지는 않는다. 위성에 탑재된 컴퓨터에 의해 데이터 처리가 이루어진다. COROT의 외계 행성 팀에 의해 사전에 선정된 시야 내의 대상 별은 특정 마스크에 의해 기술된 특정 수의 픽셀로 정의되며, 그 마스크 내의 모든 픽셀의 데이터가 합산되고, 여러 번의 노출로 얻어진 데이터도 합산된다(일반적으로 16회로, 총 적분 시간은 약 8분(512초)이 된다). 그 후, 처리된 데이터가 지상으로 전송된다. 단, 특히 흥미로운 대상이라고 생각되는 별에 대해서는 각 노출로 얻어진 데이터는 32초마다 전송된다. 이러한 32초 또는 512초의 데이터 샘플링은 1시간 미만에서 수 시간 정도 지속되는 행성의 통과를 감지하는 데 매우 적합하다.

이 기법의 특징은 관측 대상에 본격적인 외계 행성 후보가 존재한다고 간주되기 위해서는 2개의 동일한 시간 간격을 가진 3회의 연속적인 통과가 감지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어떤 궤도 주기 T를 가진 행성은, 3회의 통과가 감지되기 위해서는 최소 2T~3T의 시간 간격으로 관측될 필요가 있다. 행성의 궤도 긴반지름 a와 항성의 질량 M_{\rm star}는, 궤도 긴반지름의 단위를 천문 단위, 항성의 질량의 단위를 태양 질량, 궤도 주기의 단위를 으로 했을 경우, a^{3}=T^{2} M_{\rm star}로 나타낸다. 이로부터, 예를 들어 관측 기간이 1년 미만인 경우, 감지 가능한 행성의 궤도는 지구의 궤도보다 현저히 작아짐을 알 수 있다. 따라서 COROT에 의한 관측에서는, 각 관측 영역에서의 최대 관측 지속 시간이 6개월이므로, 감지 가능한 외계 행성의 궤도 긴반지름은 0.3 au보다 작다(태양수성의 거리보다 짧다). 따라서 소위 생명 가능 행성은 감지할 수 없다. NASA가 발사한 케플러는 같은 영역을 수년에 걸쳐 관측하기 때문에, 항성에서 떨어진 거리에 있는 지구 크기의 행성을 감지하는 능력이 있다.

COROT에 의해 발견된 외계 행성의 수는 많지 않은데(6년간 운용 중에 32개 발견), 이는 행성의 존재를 확정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지상 망원경에 의한 확인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실제로 대부분의 경우, 몇 번의 통과 감지만으로는 행성의 감지로 간주되지 않고, 한쪽이 다른 쪽을 스치듯이 엄폐하는 식연성으로 인한 트랜짓상의 신호일 경우나, COROT의 대상 별에 매우 가까운 위치에 쌍성이 있어서 트랜짓의 효과가 약해지는 경우가 있다. 어느 경우든, 행성이 항성 앞을 통과함으로써 일어나는 감광과 비슷한 작은 감광을 일으킨다. 이러한 가능성을 배제하기 위해, 지상 망원경을 이용한 분광 관측에 의한 시선 속도 측정과, CCD 카메라로의 촬상 관측을 한다. 전자는 쌍성계의 질량을 즉시 감지할 수 있으며, 후자는 관측 대상 별 근처에 트랜짓상의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는 쌍성을 동정할 수 있다. 밝기의 상대적인 저하는, COROT에 의한 측정 범위를 정의한 특정 마스크 내의 모든 빛을 합한 것보다 커진다. 그 결과로 COROT의 외계 행성 과학 팀은, 확인되고 완전히 특징지어진 행성만을 공표하고, 단지 외계 행성 후보의 목록은 공개하지 않는다. 이 전략은, 외계 행성 후보의 목록이 정기적으로 갱신되어 일반 공개되고 있는 케플러 미션의 것과는 다르다.

3. 설계

COROT의 주 계약자는 프랑스 우주국(CNES)이었다.[21] 개별 부품들은 CNES에 전달되어 조립되었다. 데이터 획득 및 전처리 전자 장치를 수용하는 CoRoT 장비 베이는 파리 천문대의 LESIA 연구소에서 제작되었으며, 완성하는 데 60 인년이 소요되었다.[21] 기기 설계 및 제작은 파리 천문대, 마르세유 천체 물리학 연구소, 오르세의 Institut d'Astrophysique Spatiale (IAS), 벨기에의 리에주 우주 센터 (CSL), 오스트리아의 IWF, 독일의 DLR (베를린) 및 ESA 연구 및 과학 지원 부서에서 수행했다. 30cm 무초점 망원경 Corotel은 알카텔 알레니아 스페이스가 칸 만델리유 우주 센터에서 제작했다.

3. 1. 우주선 설계

CoRoT의 광학 설계는 지구에서 오는 미광을 최소화했으며 2.7° x 3.05°의 시야를 제공했다. CoRoT의 광학 경로는 27cm 직경의 비축 무초점계 망원경, 지구에서 반사된 햇빛을 차단하도록 특별히 설계된 2단계 불투명 배플, 디옵터 대물렌즈, 초점 상자로 구성된 카메라를 포함한다. 초점 상자 내부에는 10mm 두께의 알루미늄 방사선 방호로 전리 방사선으로부터 보호되는 4개의 CCD 감지기 배열이 있다. 별진동학 CCD는 가장 밝은 별의 포화를 피하기 위해 디옵터 대물렌즈를 향해 760μm만큼 초점이 벗어나 있다. 행성 감지 CCD 앞에 있는 프리즘은 파란색 파장에서 더 강하게 분산되도록 설계된 작은 스펙트럼을 제공한다.[12]

CoRoT의 초점면으로 4개의 전체 프레임 전송 CCD가 있다. 어두운 영역은 감광 영역에 해당한다. 두 개의 CCD는 외계 행성 프로그램에, 다른 두 개는 별진동학 프로그램에 전념한다.


4개의 CCD 감지기는 [http://www.e2v.com/ E2V Technologies]에서 제공하는 모델 4280 CCD이다. 이 CCD는 2,048 x 2,048 픽셀 배열의 프레임 전송, 얇은 후면 조명 디자인이다. 각 픽셀의 크기는 13.5 μm × 13.5 μm이며, 이는 2.32 각초의 각 픽셀 크기에 해당한다. CCD는 -40°C로 냉각된다. 이 감지기는 각 2개씩 행성 감지 및 별진동학에 전념하는 정사각형 패턴으로 배열되어 있다. CCD의 데이터 출력 스트림은 두 개의 ''체인''으로 연결되어 있다. 각 체인에는 하나의 행성 감지 CCD와 하나의 별진동학 CCD가 있다. 행성 감지용 시야는 3.5°이다.[12]

칸-만델리외 우주 센터에서 제작된 이 위성은 발사 질량이 630 kg이고 길이가 4.10m, 직경이 1.984m였으며 두 개의 태양 전지판으로 전력을 공급받았다.[13]

CoRoT 차량 제작의 주 계약자는 CNES였으며,[21] 개별 부품이 차량 조립을 위해 CNES에 전달되었다. 데이터 획득 및 전처리 전자 장치를 수용하는 CoRoT 장비 베이는 파리 천문대의 LESIA 연구소에서 제작되었으며, 완성하는 데 60 인년이 소요되었다.[21] 기기 설계 및 제작은 파리 천문대의 Laboratoire d'études spatiales et d'instrumentation en astrophysique (LESIA), 마르세유 천체 물리학 연구소, 오르세의 Institut d'Astrophysique Spatiale (IAS), 벨기에의 리에주 우주 센터 (CSL), 오스트리아의 IWF, 독일의 DLR (베를린) 및 ESA 연구 및 과학 지원 부서에서 수행했다. 30cm 무초점 망원경 Corotel은 알카텔 알레니아 스페이스에서 칸 만델리유 우주 센터에서 제작되었다.

3. 2. 임무 설계

COROT 위성은 궤도면에 수직으로 관측하여 지구에 의한 엄폐 현상 없이 최대 150일 동안 연속 관측이 가능했다. 이러한 관측을 "장기 운용(Long Runs)"이라 불렀으며, 이를 통해 작고 장주기 행성을 탐지할 수 있었다. 두 번의 장기 운용 사이에는 30일 동안 "단기 운용(Short Runs)"을 통해 다른 하늘 영역을 관측하여 별진동학 연구를 위한 더 많은 별을 분석했다. 2009년 3월 데이터 처리 장치 1호의 고장으로 시야의 절반을 잃은 후에는, 관측 별의 수와 탐지 효율을 최적화하기 위해 3개월 관측 운용으로 전략을 변경했다.

태양광 간섭을 피하기 위해, COROT는 북반구 여름에는 뱀꼬리자리 주변 영역을 관측하여 은하 중심을 향했고, 겨울에는 외뿔소자리에서 은하 반중심을 관측했다. 이 두 "눈" 영역은 1998년에서 2005년 사이에 사전 관측을 통해 연구되었으며,[14] CoRoTsky라는 데이터베이스가 만들어져 최적의 관측 분야를 선택할 수 있었다.[15] 외계 행성 연구 프로그램은 많은 수의 왜성을 관측해야 했고, 행성의 천문학적 통과가 탐지하기 어려운 거성은 피해야 했다. 별진동 프로그램은 9등급보다 밝은 별을 필요로 했으며, 가능한 많은 별 분류를 포함해야 했다. 또한, 관측 대상 영역은 너무 희소하거나 붐비지 않아야 했다.

미션 동안 관측된 분야는 다음과 같다:[16]

관측 기간관측된 별의 수
IRa01 (2007년 1월 18일 ~ 2007년 4월 3일)9,879개
SRc01 (2007년 4월 3일 ~ 2007년 5월 9일)6,975개
LRc01 (2007년 5월 9일 ~ 2007년 10월 15일)11,408개
LRa01 (2007년 10월 15일 ~ 2008년 3월 3일)11,408개
SRa01 (2008년 3월 3일 ~ 2008년 3월 31일)8,150개
LRc02 (2008년 3월 31일 ~ 2008년 9월 8일)11,408개
SRc02 (2008년 9월 8일 ~ 2008년 10월 6일)11,408개
SRa02 (2008년 10월 6일 ~ 2008년 11월 12일)10,265개
LRa02 (2008년 11월 12일 ~ 2009년 3월 30일)11,408개
LRc03 (2009년 3월 30일 ~ 2009년 7월 2일)5,661개
LRc04 (2009년 7월 2일 ~ 2009년 9월 30일)5,716개
LRa03 (2009년 9월 30일 ~ 2010년 3월 1일)5,289개
SRa03 (2010년 3월 1일 ~ 2010년 4월 2일)
LRc05 (2010년 4월 2일 ~ 2010년 7월 5일)
LRc06 (2010년 7월 5일 ~ 2010년 9월 27일)
LRa04 (2010년 9월 27일 ~ 2010년 12월 16일)
LRa05 (2010년 12월 16일 ~ 2011년 4월 5일)
LRc07 (2011년 4월 5일 ~ 2011년 6월 30일)
SRc03 (2011년 7월 1일 ~ 2011년 7월 5일)CoRoT-9b의 통과 재관측
LRc08 (2011년 7월 6일 ~ 2011년 9월 30일)
SRa04 (2011년 9월 30일 ~ 2011년 11월 28일)
SRa05 (2011년 11월 29일 ~ 2012년 1월 9일)
LRa06 (2012년 1월 10일 ~ 2012년 3월 29일)CoRoT-7b 재관측
LRc09 (2012년 4월 10일 ~ 2012년 7월 5일)
LRc10 (2012년 7월 6일 ~ 2012년 11월 1일)미션 종료로 중단
LRa07 (2012년 10월 4일 ~ 2012년 11월 2일)고장으로 인한 마지막 미션



COROT는 외계 행성 연구를 위해 11등급에서 16등급 사이의 수천 개 별의 밝기를 기록했다. 11등급보다 밝은 별은 CCD 감지기를 포화시켜 부정확한 데이터를 생성했고, 16등급보다 어두운 별은 행성 탐지에 충분한 광자를 제공하지 못했다. COROT는 14등급보다 밝은 별을 공전하는 지구보다 두 배 큰 암석형 행성을 탐지할 수 있을 만큼 민감했으며,[17] 전체 등급 범위에서 새로운 가스 행성을 발견할 것으로 예상되었다.[18]

COROT는 별진동학 연구도 수행하여 별의 음향 맥동과 관련된 광도 변화를 감지했다. 이를 통해 별의 질량, 나이, 화학적 조성을 계산하고 태양과 다른 별을 비교할 수 있었다. 각 시야에는 별진동학 연구를 위한 주요 대상 별이 하나 있었고, 최대 9개의 다른 대상이 있었다. 데이터 처리 장치 1호 손실 후 관측 대상 수는 절반으로 줄었다.

미션은 2006년 12월 27일 러시아 소유즈 2-1b 로켓이 위성을 고도 827km의 원형 극궤도로 발사하면서 시작되었다. 첫 과학 관측은 2007년 2월 3일에 시작되었다.[19] 미션 비용은 1.7억유로였으며, 75%는 프랑스 우주국 CNES가, 25%는 오스트리아, 벨기에, 독일, 스페인, 브라질 및 유럽 우주국(ESA)이 기여했다.[20]

4. 관측

COROT 팀은 미션 시작 전에 COROT이 지구보다 몇 배나 큰 행성만 감지할 수 있고, 생명 가능 행성을 감지하기 위한 특별한 설계는 되어 있지 않다는 점을 언급했다. 첫 번째 성과를 발표하는 보도 자료에 따르면, COROT의 장치는 예상보다 더 높은 정밀도로 작동하여 작은 별을 짧은 주기로 공전하는 지구 정도 크기의 행성을 감지할 가능성이 있다고 했다.

트랜짓 방법에서는 최소 2번의 행성 트랜짓을 감지해야 하므로, 감지되는 행성은 궤도 주기가 75일보다 짧은 것이 대부분이다. 트랜짓이 1번만 감지된 행성 후보도 발견되었지만, 이러한 행성 후보의 실제 궤도 주기와 관련해서는 불확실성이 남아 있다.

태양계에서 보았을 때 외계 행성이 별을 트랜짓하는 위치 관계에 있는 비율은 낮으므로, COROT이 관측한 영역 안에 있는 외계 행성 중 극히 일부만 감지될 것이다. 행성이 별을 트랜짓하는 모습을 관측할 가능성은 행성의 공전 궤도 크기에 반비례하므로, 별에서 떨어진 궤도로 공전하는 행성보다 가까운 거리를 공전하는 행성이 더 감지되기 쉽다. 또한 트랜짓 방법은 큰 행성을 감지하기 쉽다는 바이어스가 걸린다. 이것은 지구형 행성에 의한 얕은 트랜짓보다 거대 행성의 깊은 트랜짓을 더 쉽게 감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5. 데이터 처리 장치 고장

2009년 3월 8일, COROT 위성은 우주선에 탑재된 두 개의 광 검출기 체인 중 하나에서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이터 처리 장치 1번과의 통신이 두절되었다. 4월 초, 데이터 처리 장치 2번이 정상 작동하면서 과학 운용이 재개되었다. 광 검출기 체인 1번의 손실로 별진동학 전용 CCD 1개와 행성 탐지 전용 CCD 1개가 손실되었다. 이로 인해 위성의 시야는 50% 감소했지만, 관측 품질 저하는 없었다. 채널 1의 손실은 영구적인 것으로 보인다.[149]

6. 후속 관측 프로그램

행성 통과 현상 발견 속도는 통과 후보의 행성 특성을 확인하기 위해 필요한 지상 기반 후속 관측의 필요성에 의해 결정된다. 모든 CoRoT 대상의 약 2.3%에서 후보 탐지가 이루어졌지만, 주기적인 통과 현상을 찾는 것만으로는 행성 발견을 주장하기에 충분하지 않다. 항성 쌍성과 같이 통과 행성을 모방할 수 있는 여러 구성이 있거나, 광도 곡선에서 혼합된 빛이 통과 현상과 유사한 현상을 재현할 수 있는 대상 별에 매우 가까운 어두운 별이 식현상을 겪기 때문이다.

먼저 광도 곡선에서 2차 식현상이나 V자형 통과의 힌트를 찾아 통과 현상의 항성적 특성을 나타내는지 검색한다. 더 밝은 대상의 경우, 외계 행성 CCD 앞의 프리즘은 3가지 색상으로 측광 데이터를 제공하여 3개의 채널에서 서로 다른 통과 깊이를 갖는 행성 후보를 거부할 수 있게 해준다. 이는 쌍성의 전형적인 동작이다. 이러한 테스트를 통해 후보 탐지의 83%를 기각할 수 있으며,[23] 나머지 17%는 전 세계 망원경 네트워크에서 측광 및 시선 속도 후속 관측을 통해 선별된다.

대상 근처에서 희석된 식 쌍성에 의한 오염 가능성을 배제하기 위해 필요한 측광 관측은[24] 여러 1m급 장비를 사용하여 수행되지만, 독일의 2m 타우텐부르크 망원경과 하와이의 3.6m CFHT/메가캠도 사용한다. 시선 속도 후속 관측을 통해 쌍성 또는 심지어 다중 항성계를 기각하고, 충분한 관측이 주어지면 발견된 외계 행성의 질량을 제공할 수 있다. 시선 속도 후속 관측은 고정밀 분광기인 SOPHIE, HARPS 및 HIRES를 사용하여 수행된다.[25]

후보의 행성적 특성이 확립되면, 별의 매개변수를 정확하게 결정하기 위해 고해상도 분광법이 호스트 별에 대해 수행되며, 이를 통해 추가적인 외계 행성 특성을 파생할 수 있다. 이러한 작업은 UVES 분광기 또는 HIRES와 같은 대구경 망원경으로 수행된다.

흥미로운 통과 행성은 적외선 스피처 우주 망원경을 통해 추가로 후속 관측을 수행하여 다른 파장에서 독립적인 확인을 제공하고 행성이나 대기의 조성을 통해 반사된 빛을 감지할 수 있다. CoRoT-7b와 CoRoT-9b는 이미 스피처로 관측되었다.

IRa01,[26] LRc01,[27] LRa01,[28] SRc01[29] 필드의 행성 후보의 후속 관측 결과를 발표하는 논문이 출판되었다. 2019년 4월에는 외계 행성 탐색 결과 요약이 발표되었으며,[30] 37개의 행성과 갈색 왜성이 확인되었고, 추가로 100개의 행성 후보가 아직 검증되어야 한다. 때로는 대상 별의 희미함이나 높은 회전 속도 또는 강한 항성 활동과 같은 특성으로 인해 행성 후보의 특성이나 질량을 명확하게 결정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7. 발견

COROT는 2007년에 최초로 외계 행성 발견을 보고했는데, 이때 발견된 것은 뜨거운 목성인 CoRoT-1b와 CoRoT-2b였다. 2008년 5월에는 유럽 우주국(ESA)이 목성 크기의 CoRoT-4b와 CoRoT-5b를 발견했고, CoRoT-3b라는 무거운 천체도 함께 발견했다.

2009년 2월, 첫 번째 COROT 심포지엄에서 슈퍼 지구 CoRoT-7b가 발견되었다고 발표되었다. 이 행성은 반지름이 지구 반지름의 1.58배로, 당시까지 발견된 외계 행성 중 가장 작은 것이었다. 같은 행성계에서 통과 현상을 일으키지 않는 CoRoT-7c와 새로운 뜨거운 목성 CoRoT-6b도 함께 발표되었다.

2010년 3월에는 CoRoT-9b가 발견되었다. 이 행성은 궤도 주기가 95.3일로 길고, 수성과 비슷한 궤도를 가진다.[151] 같은 해 6월, COROT 팀은 CoRoT-8b, CoRoT-10b, CoRoT-11b, CoRoT-12b, CoRoT-13b, CoRoT-14b 등 6개의 새로운 행성과 갈색 왜성 CoRoT-15b를 발견했다고 발표했다.[152] CoRoT-8b를 제외한 나머지 행성들은 목성 크기였으며, CoRoT-8b는 토성해왕성 중간 정도의 크기였다.

2011년 6월, 두 번째 COROT 심포지엄에서 CoRoT-16b, CoRoT-17b, CoRoT-18b, CoRoT-19b, CoRoT-20b, CoRoT-21b, CoRoT-22b, CoRoT-23b, CoRoT-24b, CoRoT-24c 등 10개의 새로운 외계 행성이 추가로 발견되었다.

2019년 1월 기준으로 COROT가 발견한 외계 행성은 31개이며(갈색 왜성 포함 시 37개), 아직 확인되지 않은 행성 후보는 557개이다.

COROT의 주요 외계 행성 발견 성과는 다음과 같다.


  • CoRoT-1b: COROT가 처음으로 발견한 뜨거운 목성으로, 가시광선에서 이차 식 현상이 검출된 최초의 외계 행성이다.
  • CoRoT-3b: 갈색 왜성과 행성의 중간적 성질을 가진 천체로, 목성 질량의 22배에 달하는 질량을 가지고 있다.
  • CoRoT-7b: 지구와 비슷한 조성 및 밀도를 가진 지구형 행성으로, 최초로 발견된 암석 행성이다. 공전 주기는 20.5시간으로 매우 짧다.
  • CoRoT-9b: 태양계 행성과 비슷한 온도를 가진 최초의 트랜싯 행성이며, 발견 당시 궤도 주기가 두 번째로 긴 외계 행성이었다.


COROT는 통과법을 사용하여 외계 행성을 탐색한다. 통과법은 행성이 별 앞을 지나갈 때 별빛이 가려지는 현상을 이용하는 방법이다. COROT는 밝기 변화의 1/10,000까지 감지할 수 있어, 슈퍼 지구를 찾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었다. 실제로 지구 반지름의 1.7배인 CoRoT-7b가 발견되면서 이러한 예측이 실현되었다.

COROT가 발견한 외계 행성의 목록은 아래 표와 같다.

별자리행성질량
(MJ)
반지름
(RJ)
공전 주기
(d)
공전 궤도 긴반지름
(AU)
궤도 이심률경사
(°)
발견
년도
참조
CoRoT-1외뿔소자리b1.031.491.50895570.0254085.12007[103]
CoRoT-2독수리자리b3.311.4651.74299640.0281087.842007[104]
CoRoT-3독수리자리b21.661.014.256800.057085.92008[105]
CoRoT-4외뿔소자리b0.721.199.202050.0900902008[106]
CoRoT-5외뿔소자리b0.4591.284.03840.049470.0985.832008[107]
CoRoT-6뱀주인자리b3.31.168.890.0855< 0.189.072009[108]
CoRoT-7외뿔소자리b0.01510.1500.8535850.0172080.12009[109]
CoRoT-8독수리자리b0.220.576.212290.063088.42010[110]
CoRoT-9뱀자리b0.841.0595.27380.4070.11>89.92010[111]
CoRoT-10독수리자리b2.750.9713.24060.10550.5388.552010[112]
CoRoT-11뱀자리b2.331.432.994330.0436083.172010[113]
CoRoT-12외뿔소자리b0.9171.442.8280420.040160.0785.482010[114]
CoRoT-13외뿔소자리b1.3080.8854.035190.051088.022010[115]
CoRoT-14외뿔소자리b7.581.091.512150.027079.62010[116]
CoRoT-16방패자리b0.5351.175.35230.06180.3385.012011[117]
CoRoT-17방패자리b2.431.023.7681250.0461088.342011[118]
CoRoT-18외뿔소자리b3.471.311.90006930.0295<0.0886.52011[119]
CoRoT-19외뿔소자리b1.111.453.897130.05180.04787.612011[120]
CoRoT-20외뿔소자리b4.240.849.240.09020.56288.212011[121]
CoRoT-21외뿔소자리b2.261.302.724740.0417086.82011[122]
CoRoT-22뱀자리b< 0.150.529.75660.094< 0.689.42011
CoRoT-23뱀자리b2.81.053.63140.04770.1685.72011
CoRoT-24외뿔소자리b< 0.10.2365.11342011
c0.1730.3811.7492011
CoRoT-25뱀주인자리b0.271.084.860.057884.52011
CoRoT-26뱀주인자리b0.51.264.2040.0526086.82012
CoRoT-27뱀자리b10.39±0.551.01±0.043.580.048<0.0652013
CoRoT-28뱀주인자리b0.484±0.0870.9550±0.0660
CoRoT-29뱀주인자리b0.840.902.850.039<0.1287.32015
CoRoT-30뱀주인자리b0.84 (± 0.34)1.02 (± 0.08)9.06005 (± 0.00024)0.084 (± 0.001)0.007 (+0.031 -0.007)90.0 (± 0.56)2017
CoRoT-31외뿔소자리b2.84 (± 0.22)1.46 (± 0.3)4.62941 (± 0.00075)1.46 (± 0.3)0.02 (+0.16 -0.02)83.2 (± 2.3)2017
CoRoT-32외뿔소자리b6.72
CoRoT-35독수리자리b1.10 (± 0.37)1.68 (± 0.11)3.22748 (± 0.00008)0.04290 (± 0.00092)084.1 (± 0.1)2022
CoRoT-36뱀주인자리b0.68 (+0.47 -0.43)1.41 (± 0.14)5.616531 (± 0.000023)0.066 (± 0.007)085.83 (± 0.26)2022



아래 표는 COROT가 발견한 갈색 왜성과 후속 관측을 통해 발견된 비이동 행성 목록이다.

별자리천체유형질량
(MJ)
반지름
(RJ)
궤도 주기
(d)
긴반지름
(AU)
궤도 이심률경사
(°)
발견
년도
참고
CoRoT-7외뿔소자리c행성0.02643.690.04602009
외뿔소자리b갈색 왜성63.31.123.060.045086.72010
뱀자리b갈색 왜성59.21.15.8191430.05790.0785.52015
외뿔소자리b갈색 왜성71.41.092.118530.03874077.82022


7. 1. 별진동학 및 항성 물리학

별은 악기가 다양한 소리를 내는 것과 마찬가지로 다양한 진동 모드로 진동한다. 기타 소리를 들으면 악기에서 비롯된 것임을 알 수 있고, 경험이 풍부한 음악가는 현의 재질이나 장력을 추측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별의 맥동 모드는 별의 전반적인 특성과 내부의 물리적 조건을 나타낸다. 따라서 이러한 맥동 모드를 분석하여 별의 화학 조성, 자전 분포, 온도 및 밀도와 같은 내부 물리적 특성을 추론할 수 있다. 별진동학은 별의 진동 모드를 연구하는 과학적 방법이다. 이러한 모드는 차수 l과 방위각 차수 m의 구면 조화 함수로 수학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

'''별의 진동 모드의 몇 가지 예'''
120px
120px
120px
120px



이 방법을 태양에 적용한 것을 일진동학이라고 하며, 수십 년 동안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태양 표면에서의 헬륨의 존재도는 일진동학에 의해 처음으로 매우 정확하게 유도되었으며, 태양의 구조에서 미시적인 확산의 중요성을 명확하게 보여주었다. 일진동학 분석에서는 태양 내부의 자전 분포, 대류층의 정확한 범위, 헬륨 이온화 영역의 위치 등이 밝혀졌다.

기술적인 과제는 크지만, 동일한 분석을 별에 적용하는 것은 매력적이었다. 지상 관측에서는 이러한 분석을 수행할 수 있는 대상이 센타우루스자리 α별이나 프로키온, 처녀자리 β별과 같은 태양에 가까운 별로 제한되었다. 목표는 최소 1 ppm의 매우 작은 광도 변화를 감지하고, 이러한 밝기 변동에 해당하는 주파수를 추출하는 것이다. 이를 정밀하게 조사하여 별의 전형적인 주파수 스펙트럼을 생성한다. 별의 유형 및 진화 상태에 따라 진동 주기는 수분에서 수 시간 사이로 변화한다. 이러한 현상을 관측하기 위해서는 주야 변화에 영향을 받지 않는 긴 관측 시간이 필요하다. 따라서 우주 공간에서의 관측은 별진동학을 수행하는 데 이상적인 환경이다. 별의 미세한 변동성을 밝히고 ppm 수준에서 진동을 측정함으로써, COROT는 지금까지 어떤 지상 관측에서도 달성할 수 없었던 새로운 별의 모습을 제공했다.

COROT로 관측된 주계열성과 거성. 지상 관측 결과도 일부 포함되어 있다. 가로축은 유효 온도, 세로축은 로그로 표현한 별의 광도이며, 태양의 광도를 1로 정규화했다. 노란색 사각형은 COROT의 외계 행성 탐사 영역에서 관측된 거성, 보라색 원은 별진동학 영역에서 관측된 거성, 파란색 다이아몬드는 별진동학 영역에서의 주계열성이다. 또한 주황색 원은 지상 관측에서의 거성, 하늘색 다이아몬드는 지상 관측에서의 주계열성을 나타낸다.


미션 시작 시점에서는 4개의 CCD 중 2개가 밝은 별(겉보기 등급 6~9)의 별진동학 관측에 할당되었다. 별진동학 관측 영역은 ''sismo field''라고 불렸으며, 나머지 2개의 CCD를 사용하여 외계 행성 탐사를 수행하는 관측 영역은 ''exo field''라고 불렸다. 신호 대 잡음비가 낮음에도 불구하고, 외계 행성 탐사용 데이터로부터 별에 대한 흥미로운 정보를 얻었으며, 관측한 모든 영역에서 수천 개의 별의 광도 곡선이 기록되었다.

주요 목적인 별진동학 데이터 외에도, 별 활동, 자전 주기, 흑점의 진화, 별과 행성의 상호 작용, 다중성계 등 추가적인 발견도 이루어졌다. 또한 exo field에서도 별진동학에 관한 풍부한 발견이 이루어졌다. 미션의 처음 6년 동안, COROT는 sismo field에서 150개의 밝은 별을 관측했고, exo field에서 150,000개 이상의 어두운 별을 관측했다.

COROT의 별진동학 관측에서의 발견은 다음과 같다.

  • 태양 이외의 별에서 태양과 유사한 진동의 첫 검출
  • 적색 거성에서의 비반경 진동의 첫 검출
  • 대질량별에서의 태양과 유사한 진동의 검출
  • δ 방패 별에서 수백 개의 주파수 발견
  • Be별의 분출 시 주파수 스펙트럼의 극적인 시간적 진화
  • 천천히 맥동하는 B형 별 (SPB)의 중력 모드에서 일정한 주기에서의 벗어남 첫 검출

2009년 10월에는 학술지 천문학 및 천체물리학에서 COROT 미션에 의한 초기 과학 성과에 관한 특집호가 발행되었다.

7. 1. 1. 주계열성의 화학적 혼합 영역

대류 핵 위, 화학 물질의 혼합이 즉각적이고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는 곳에서는 일부 층이 주계열성 단계 동안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혼합될 수 있다. 그러나 이 ''추가 혼합 영역''의 범위와 혼합 효율성은 평가하기 어렵다. 이러한 추가 혼합은 핵 연소 단계에서 더 긴 시간 척도를 포함하고 특히 별의 질량이 백색 왜성으로 생을 마감하는 별과 최종 초신성 폭발을 겪는 별 사이의 전환점에서 값을 변경할 수 있으므로 매우 중요한 결과를 초래한다. 은하의 화학적 진화에 미치는 영향은 분명하다. 이러한 추가 혼합의 물리적 이유는 다양하며, 내부 회전에 의해 유도된 혼합, 대류 핵 경계를 넘어 방사 영역으로 들어가 정체성을 잃는 대류 기포로 인한 혼합(오버슈팅), 또는 다른 잘 알려지지 않은 과정이 있다.

# '''태양형 별:''' 태양형 별인 HD 49933은 이러한 추가 혼합 문제를 보여주는 예이다.[39] 이 별의 대류 외피는 태양진동학과 같은 진동의 존재를 담당한다. 관측된 주파수 스펙트럼을 추가 혼합이 있거나 없는 상태로 계산된 1.19 Mʘ의 이론적 모델에서 얻은 주파수 스펙트럼과 비교하면, 추가 혼합이 없는 모델을 명확하게 제외할 수 있다.

# '''준거성:''' 이러한 추가 혼합은 또한 중심 수소 연소 동안 형성된 헬륨 핵의 질량 확장이 증가하므로 더 진화된 준거성 별의 구조에도 영향을 미친다. 1.3 Mʘ의 준거성 HD 49385는 CoRoT의 정밀 조사를 받았으며, 완전히 결정적인 것은 아니지만, 그러한 별의 모델링에 대한 새로운 제약이 제시되었다.[40]

# '''SPB 별:''' 더 무거운 SPB(Slowly Pulsating B) 별은 철족 원소의 이온화가 불투명도 피크를 생성하는 층에서 작동하는 κ 메커니즘에 의해 여기된 고차 중력 모드에 의해 지배되는 주파수 스펙트럼을 보여준다. 이러한 별에서 대류 핵은 수소가 헬륨으로 변환됨에 따라 대류 핵의 점진적인 철수로 인해 남겨진, 소위 μ-구배 영역이라고 하는 다양한 화학적 조성을 가진 영역으로 둘러싸여 있다. 이 영역은 얇고 날카로운 전이 영역을 구성하며, 이는 중력 모드 주파수 스펙트럼에 매우 미묘한 특징을 유도한다. 균질한 별 모델에서 발견되는 일정한 주기 간격 대신, 이러한 일정한 값에서 주기적인 편차가 날카로운 전이 영역의 영향을 받는 모델에서 예상된다. 또한, 편차의 주기는 날카로운 전이의 정확한 위치와 직접 관련이 있다.[41] 이러한 현상은 두 개의 하이브리드 B 별(동시에 음향 세페이드 변광성과 중력 SPB 모드 표시)에서 감지되었다. (1) 모델링에서 다소 부드러운 모양의 추가 혼합이 분명히 필요한 HD 50230[37] 및 (2) HD 43317.[42]

7. 1. 2. 항성 표층 구조

COROT 관측 결과, 별 껍질의 전이층은 주파수 스펙트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헬륨 이온화 영역이나 저질량 별, 적색 거성의 대류 껍질 하부 경계와 같은 전이층이 그 예시이다. 이러한 전이층이 없는 구조에서는 고차 음향 모드가 주파수 분포에서 규칙성을 따르지만, 전이 영역은 이러한 규칙성에 주기적인 편차를 발생시킨다. 이 편차의 주기는 전이 영역의 위치와 직접적인 관련이 있으며, 이론적으로 예측된 후 태양에서 처음 관측되었다.[43] 이후 CoRoT 덕분에 태양과 유사한 별 HD 49933[44]과 적색 거성 HD 181907[45]에서도 이러한 편차가 감지되었으며, 두 경우 모두 헬륨 이온화 영역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었다.

7. 1. 3. 적색 거성과 은하계 화학 진화

COROT 위성의 관측 결과, 핵에서 수소가 고갈된 후 별의 구조가 급격히 변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수소 연소는 헬륨 핵을 둘러싼 좁은 껍질에서 일어나고, 헬륨 핵은 수축하며 가열되는 반면, 바깥층은 팽창하고 냉각된다. 이로써 별은 반지름과 광도가 증가하는 적색 거성이 된다. 이들은 헤르츠스프룽-러셀 도표(HR도)에서 적색 거성 가지(RGB)에 위치하며, 중심 온도가 1억 K에 도달하면 헬륨 연소가 시작된다. 약 2 Mʘ (태양 질량의 2배)보다 작은 별에서는 헬륨 섬광이 일어나고, 이후 적색 거성은 HR도에서 레드 클럼프로 이동한다.

300px


300px


RGB와 레드 클럼프 별들은 모두 확장된 대류 외피를 가지고 있어 태양과 같은 진동을 보인다. CoRoT은 수천 개의 적색 거성에서 이러한 진동을 발견했으며,[32] 각 별의 주파수 스펙트럼에서 최대 전력 주파수(νmax)와 연속 모드 사이의 큰 주파수 간격(Δν)을 측정했다.[51][52]

이러한 지진 신호를 별의 유효 온도 추정값과 함께 스케일링 법칙에 적용하면,[53] 별의 중력, 질량, 반지름을 추정할 수 있고, 광도와 거리도 계산 가능하다. CoRoT 데이터로 그린 히스토그램은 우리 은하의 적색 거성 합성 집단의 이론적 히스토그램과 매우 유사한 형태를 보였다.[54] [http://www.birmingham.ac.uk/schools/physics/people/staff-profile.aspx?ReferenceId=15800&Name=dr-andrea-miglio Andrea Miglio]와 동료들은 이 두 히스토그램이 서로의 거울상과 같다는 것을 발견했다.[55] 또한, 별들의 거리 정보를 은하 좌표에 추가하여 우리 은하의 3D 지도를 제작했다. (위 그림 참조, 다른 색상은 다른 CoRoT 관측 기간과 케플러 관측(녹색 점)을 나타낸다.)

적색 거성의 나이는 주계열성 시절의 수명과 관련이 깊으며, 이는 질량과 금속성에 의해 결정된다. 적색 거성의 질량을 알면 나이도 알 수 있는데, 금속성까지 알면 나이의 불확실성은 15%를 넘지 않는다. [http://www.sdss3.org/surveys/apogee.php APOGEE]와 같은 관측 임무는 10만 개의 적색 거성에 대한 금속성을 측정하여, GAIA 등과 함께 우리 은하의 나이-금속성 관계를 확립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별진동학은 우리 은하의 구조와 화학적 진화 연구에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56]

CoRoT[57]과 케플러[58]의 적색 거성 주파수 스펙트럼 분석 결과, 지진 신호의 미세한 차이를 통해 RGB 별과 RC 별을 구별할 수 있게 되었다. 이는 이론적으로도 확인되었다.[59] 중력 모드의 주기 간격은 중심 수소 연소와 헬륨 연소 동안 혼합 영역의 확장에 대한 중요한 단서를 제공한다.[60]

7. 1. 4. 대질량 별

질량이 큰 주계열성의 주파수 스펙트럼은 카파(κ) 메커니즘에 의해 여기되는 음향 모드가 우세하다. 이 메커니즘은 철족 원소가 부분적으로 이온화되어 불투명도가 극대화되는 층에서 작용한다. 게다가, 이러한 별들 중 가장 진화된 별들은 혼합된 진동 모드를 보이는데, 깊은 층에서는 g 모드 진동을, 외층에서는 p 모드 진동을 나타낸다. 수소 연소는 대류 핵에서 발생하며, 헬륨 또는 철족 원소의 부분 전리화와 관련된 작은 대류층을 제외하면, 다양한 화학 조성을 가진 영역과 방사가 지배적인 외층으로 둘러싸여 있다.

질량이 작은 별과 마찬가지로, 대류 핵 바로 위에 있는 완전히 혼합된 영역, 또는 부분적으로 혼합된 영역의 확장은 이론 모델 구축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불확실성 중 하나이다.

  • '''세페이드 베타형 변광성:''' 이들의 별진동학적 분석은, 추가적인 혼합 영역의 확장을 일대일로 대응시키는 것이 쉽지 않음을 보여준다. 세타 뱀주리별 모델링에는 좀 더 넓은 혼합 영역이 필요하지만, HD 129929, 베타 큰개자리, 델타 고래자리, 12 도마뱀자리의 경우에는 혼합 영역이 작은 것으로 보인다. HD 180642나 뉴 에리다누스자리는 혼합 영역이 없을 수도 있다. 혼합 영역의 확장과 별의 자전 속도나 자기장과의 관련성은 흥미로운 문제이다. 뱀주자리 V2052별의 별진동학적 분석에서는 빠른 자전 때문에 넓은 혼합 영역이 예상됨에도, 이론 모델에서는 혼합 영역이 없을 가능성이 있다고 한다. 이 별에서 검출된 자기장이 혼합 영역 부재의 이유일 수 있다.
  • '''Be별:''' 후기 Be별인 HD 181231과 HD 175869는 매우 빠르게 자전하는 별이며, 태양 자전 속도의 20배나 된다. 이들의 별진동학적 분석 결과, 대류만으로는 예상되는 것보다 약 20% 더 큰 중심부 혼합 영역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또 다른 Be별 HD 49330 관측에서는 놀라운 결과가 나왔다. 이 별에서 자주 발생하는 별 주위 원반을 향한 물질 분출(아웃버스트) 동안, COROT 관측에서 주파수 스펙트럼이 크게 변하는 것이 밝혀졌다. 처음에는 음향 모드가 지배적이었지만, 분출과 일치하는 진폭을 가진 중력 모드가 스펙트럼에 나타났다. 여기 모드의 성질과 동적인 현상의 관련성은 Be별 내부 구조 연구에 중요한 정보가 된다.
  • '''O형별:''' COROT는 여러 O형별을 관측했다. 그중 NGC 2264의 HD 46150과 HD 46223, OB협회 Mon OB2의 HD 46966은 펄서가 아닌 것으로 보이며, 이는 비슷한 매개변수를 가정한 별의 이론 모델과 일치하지 않는다. 반면, 플래스킷별 (HD 47129)의 주파수 스펙트럼은 이론 모델에서 예측되는 주파수 영역에서 6개의 공명을 동반한 피크를 나타냈다.


COROT의 예상 밖 발견 중 하나는 대질량 별에서 태양과 비슷한 진동이 발견된 것이다. 200,000 K 정도에서 철족 원소의 전리화에 따른 불투명도 극대와 관련된 작은 대류 껍질이 태양과 비슷한 음향 모드의 확률적인 여기 원인으로 생각된다.

주파수 스펙트럼의 시간 변화. 가로축은 시간, 세로축은 주파수이며, 위가 태양 유사 모드, 아래가 세페이드 베타형 변광성 모드.

  • '''V1449 독수리자리 (HD 180642):''' COROT 관측 대상인 이 별은 세페이드 베타형 변광성이며, 주파수 스펙트럼은 고주파수에서 매우 작은 진폭의 음향 모드를 나타낸다. 정밀 분석 결과, 불투명도가 극대화되는 대류 영역이나 대류 핵에서 발생한 난류 거품에 의해 태양과 비슷한 진동이 여기된다는 것이 밝혀졌다. 철 불투명도 극대 영역에서 작용하는 카파 메커니즘에 의해 여기된 맥동이 같은 영역에서 확률적으로 여기된 맥동과 공존하는 것이 처음 발견되어 큰 의미가 있다. 이 때문에 맥동 발견자인 Kevin Belkacem은 V1449 독수리자리에 키마이라를 따라 ''키마이라''라고 이름 붙였다. 위 그림은 V1449 독수리자리 주파수 스펙트럼의 두 모드를 나타낸다. (가로축: 시간, 세로축: 주파수) 위는 태양과 유사한 진동 모드, 아래는 세페이드 베타형 변광성에서 보이는 진동 모드이다. 태양 유사 진동 모드의 확률적 성질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주파수가 불안정하고, 수 µHz의 주파수 확산이 나타난다는 점에서 드러난다. 세페이드 베타형 변광성에서 보이는 좁은 주파수 영역에서 안정적으로 지속되는 아래 모드와는 뚜렷한 차이를 보인다.
  • '''HD 46149:''' 태양과 유사한 진동은 나중에 쌍성계의 더 무거운 O형별 HD 46149에서도 발견되었다. 쌍성이라는 점과 별진동학에서 얻은 제약을 결합하여 쌍성계의 궤도 요소와 별의 전반적인 성질을 결정할 수 있었다.

7. 1. 5. 산개성단 NGC 2264

2008년 3월 23일 동안, CoRoT는 젊은 산개성단 NGC 2264의 구성원 636개를 관측했다. "크리스마스 트리 성단"이라고도 불리는 이 성단은 외뿔소자리에 있으며, 우리에게서 약 1,800 광년 떨어져 비교적 가깝다. 성단의 나이는 300만~800만 년으로 추정된다. 이처럼 어린 나이는 별의 형성과 초기 진화를 연구하는 데 이상적인 조건을 제공한다. CoRoT 데이터는 NGC 2264 내 별들의 최근 형성 과정, 주변 물질과의 상호작용, 성단 구성원의 회전 및 활동 분포, 별진동학을 통한 젊은 별 내부 구조, 행성 및 별의 현상 연구에 기여했다.

별의 탄생과 초기 단계는 짙은 분자운 속에 가려져 있어 가시광선 관측이 어렵다. 적외선이나 X선 관측은 구름 내부를 더 깊이 들여다보게 하여 별 진화 초기 단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2011년 12월과 2012년 1월, CoRoT는 4개의 우주 망원경과 여러 지상 관측소를 동원한 대규모 국제 관측 캠페인에 참여했다. 이 캠페인을 통해 NGC 2264 내 약 4,000개의 별을 다양한 파장에서 약 한 달 동안 동시에 관측했다. 캐나다의 MOST 위성은 성단에서 가장 밝은 별들을 가시광선으로, CoRoT는 더 어두운 별들을 관측했다. MOST와 CoRoT는 NGC 2264를 39일 동안 연속 관측했다.[77] NASA의 스피처 우주 망원경과 찬드라 X선 관측소는 각각 적외선(30일)과 X선(300킬로초) 영역에서 별들을 측정했다. 칠레 유럽 남방 천문대VLT, 하와이주 캐나다-프랑스-하와이 망원경, 텍사스주 맥도널드 천문대, 스페인 칼라알토 천문대 등 지상 관측소도 동시 관측에 참여했다.

CoRoT 관측 결과, 약 12개의 맥동하는 주계열성 이전 별(PMS) 방패자리 델타형 변광성이 발견되었고, PMS 별에서 카멜레온자리 감마형 변광성 맥동 현상이 확인되었다.[78] NGC 2264 구성원 중에는 방패자리 델타형과 카멜레온자리 감마형 맥동이 혼합된 별도 존재했다. CoRoT는 이 별 그룹에서 최초로 발견된 주계열성 이전 맥동 변광성인 외뿔소자리 V588별과 외뿔소자리 V589별도 관측했다. CoRoT 광도 곡선의 정밀도는 주계열성 이전 별에서 과립의 중요성을 보여주었다.[79]

황소자리 T형 별과 주변 물질의 상호작용에 대한 CoRoT 데이터 분석 결과, AA 황소자리형이라는 새로운 천체 분류가 밝혀졌다.[80] CoRoT 관측 이전, 황소자리 T형 별은 별 표면 흑점에 의한 사인파 형태 광도 변화나, 별 주위 가스 및 먼지 원반에 의한 불규칙 변동을 보이는 것으로 알려졌다. AA 황소자리형 천체는 깊이와 폭이 다양한 주기적 최소값을 나타내는 반규칙 변광성이다. CoRoT 관측으로 이 새로운 변광성 분류가 확립되었다.[81] 가시광선, 적외선, X선 영역 변동성 비교는 별 진화 초기 단계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한다.

7. 1. 6. 쌍성계

CoRoT는 비방사형으로 맥동하는 구성원을 가진 많은 수의 쌍성계를 관측했다.[82] 그 중 일부는 식쌍성으로, γ 도라두스형 구성원을 가지고 있었으며, CoRoT 관측 동안 발견되었다.[83] 식 현상은 전체적인 매개변수를 즉시 파악할 수 있게 해주는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이는 별의 모델링에 지진학적 제약 외에도 매우 중요한 제약을 제공한다.

  • '''AU Monocerotis''': 이 반분리형 쌍성계는 G형 별 동반성과 상호작용하는 Be 별을 포함하고 있다. CoRoT에 의한 관측은 매우 높은 품질의 광도곡선을 제공했다. 이를 통해 전체적인 매개변수를 개선할 수 있었고, 궤도 운동뿐만 아니라 다른 장기적인 변화에 대한 새로운 역기원을 도출할 수 있었다. 이러한 장주기 변화는 주변 먼지에 의한 주기적인 빛의 감쇠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84]
  • '''HD 174884''': 두 개의 B형 별로 구성된 고편심도(e=0.29) 및 단주기 쌍성계 HD 174884에서 조석 유도 맥동이 감지되었다.[85]
  • '''CoRoT 102918586''' (별칭 '''CoRoT Sol 1'''): 비교적 밝은 식 시스템 CoRoT 102918586은 CoRoT에 의해 관측된 이중선 분광 쌍성으로, γ 도라두스형 맥동의 명확한 증거를 드러냈다.
  • '''HR 6902''': 적색 거성과 B형 별을 포함하는 쌍성계 HR 6902는 CoRoT에 의해 두 번의 관측 동안 관측되었으며, 이를 통해 1차 식뿐만 아니라 2차 식도 완전히 포착할 수 있었다. 이 시스템은 현재 적색 거성의 내부 구조, 특히 새로운 제약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분석되고 있다.[86]
  • '''저질량 쌍성''': CoRoT에 의해 관측된 쌍성계 중 하나는 0.23 M의 늦은 M형 별로, 약 3000 K의 추정 유효 온도를 가진 덜 질량적인 구성 요소가 있어 특히 흥미롭다.[87] 주 구성 요소는 1.5 M MS 별이다.
  • '''쌍성계의 빔 효과''': CoRoT에 의해 관측된 쌍성계는 식 외부에서 빔 효과 (도플러 부스팅이라고도 함)로 해석되는 변화를 보였다. 이 효과는 관찰자에게 접근하거나 멀어지는 광원의 밝기 변화에서 비롯되며, 진폭은 방사 속도를 광속으로 나눈 값에 비례한다.[88]


HD 174884의 광도 곡선. 윗 패널은 전체 광도곡선을 보여준다. 두 번째 패널은 작은 이차 최소값이 보이는 확대된 그림이다(깊이는 더 깊은 최소값의 1%). 세 번째 패널은 다른 위상에서의 하늘 평면에 대한 투영(즉, 우리가 시스템을 보는 방식)을 보여준다.

7. 2. 외계 행성

COROT는 외계 행성을 찾기 위해 통과법을 사용한다. 통과법은 행성과 같은 천체가 별과 관찰자 사이를 통과할 때 별빛의 일부가 가려지는 현상을 이용한다. COROT는 약 1/10,000의 밝기 변화를 감지할 수 있어, 과학자들은 지구의 약 2배 크기인 슈퍼 지구를 찾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실제로 반경이 지구의 1.7배인 CoRoT-7b가 발견되어 이러한 예측이 옳았음이 증명되었다.[91]

통과법은 최소 두 번의 통과를 감지해야 하므로, 감지된 행성은 대부분 75일 미만의 공전 주기를 가진다. 한 번만 통과를 보이는 후보도 발견되었지만, 정확한 공전 주기는 불확실하다.

COROT는 관측된 별 영역 내에서 소수의 행성만을 감지하는데, 이는 태양계의 관측 각도에서 통과하는 외계 행성의 비율이 낮기 때문이다. 행성이 모항성을 통과하는 것을 볼 확률은 행성 궤도의 지름에 반비례하므로, 가까운 행성 감지가 외부 행성 감지보다 더 많다. 통과법은 또한 큰 행성에 편향되어 있는데, 매우 깊은 통과가 지구형 행성에 의해 유도된 얕은 식보다 더 쉽게 감지되기 때문이다.[90]

COROT의 경우, 각 별장의 최대 관찰 기간이 6개월이므로, 0.3 천문 단위(태양과 수성 사이의 거리보다 짧음)보다 별에 더 가까운 행성만 감지할 수 있으며, 따라서 일반적으로 소위 생명 가능 지대에서는 감지할 수 없다. 케플러 미션은 수년 동안 동일한 필드를 지속적으로 관찰하여 별에서 더 멀리 떨어진 지구 크기의 행성을 감지할 수 있었다.

COROT이 발견한 외계 행성의 수가 적은(6년 동안 34개) 이유는 발표 전에 지상 기반 망원경을 통해 반드시 확인이 제공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COROT는 2007년에 처음으로 두 개의 행성, 핫 쥬피터인 CoRoT-1b와 CoRoT-2b를 발견했다.[91][92] 2008년 5월, ESA는 목성 크기의 두 개의 새로운 외계 행성인 CoRoT-4b와 CoRoT-5b, 그리고 알려지지 않은 거대한 천체인 CoRoT-3b를 발표했다.

2009년 2월, 제1회 CoRoT 심포지엄에서 슈퍼 지구인 CoRoT-7b가 발표되었는데, 당시 이 행성은 지름이 지구의 1.58배로 확인된 가장 작은 외계 행성이었다. 또한, 같은 행성계에서 두 번째 비경유 행성인 CoRoT-7c와 새로운 핫 쥬피터인 CoRoT-6b의 발견도 심포지엄에서 발표되었다.

2010년 3월, CoRoT-9b가 발표되었다. 이 행성은 수성과 가까운 궤도에서 95.3일의 공전 주기를 가진 장주기 행성이다.[94]

2010년 6월, CoRoT 팀은[95] CoRoT-8b, CoRoT-10b, CoRoT-11b, CoRoT-12b, CoRoT-13b, CoRoT-14b 등 6개의 새로운 행성과 갈색 왜성인 CoRoT-15b를 발표했다.[96] 발표된 모든 행성은 목성 크기였지만, CoRoT-8b는 토성해왕성 사이의 크기로 보였다.

2011년 6월, 제2회 CoRoT 심포지엄에서 이 탐사선은 CoRoT-16b, CoRoT-17b, CoRoT-18b, CoRoT-19b, CoRoT-20b, CoRoT-21b, CoRoT-22b, CoRoT-23b, CoRoT-24b, CoRoT-24c 등 10개의 새로운 천체를 외계 행성 목록에 추가했다.[98]

다음은 CoRoT 임무에 의해 발표된 행성들이다.

별자리행성질량
(MJ)
반지름
(RJ)
공전 주기
(d)
공전 궤도 긴반지름
(AU)
궤도 이심률경사
(°)
발견
년도
참조
CoRoT-1외뿔소자리b1.031.491.50895570.0254085.12007[103]
CoRoT-2독수리자리b3.311.4651.74299640.0281087.842007[104]
CoRoT-3독수리자리b21.661.014.256800.057085.92008[105]
CoRoT-4외뿔소자리b0.721.199.202050.0900902008[106]
CoRoT-5외뿔소자리b0.4591.284.03840.049470.0985.832008[107]
CoRoT-6뱀주인자리b3.31.168.890.0855< 0.189.072009[108]
CoRoT-7외뿔소자리b0.01510.1500.8535850.0172080.12009[109]
CoRoT-8독수리자리b0.220.576.212290.063088.42010[110]
CoRoT-9뱀자리b0.841.0595.27380.4070.11>89.92010[111]
CoRoT-10독수리자리b2.750.9713.24060.10550.5388.552010[112]
CoRoT-11뱀자리b2.331.432.994330.0436083.172010[113]
CoRoT-12외뿔소자리b0.9171.442.8280420.040160.0785.482010[114]
CoRoT-13외뿔소자리b1.3080.8854.035190.051088.022010[115]
CoRoT-14외뿔소자리b7.581.091.512150.027079.62010[116]
CoRoT-16방패자리b0.5351.175.35230.06180.3385.012011[117]
CoRoT-17방패자리b2.431.023.7681250.0461088.342011[118]
CoRoT-18외뿔소자리b3.471.311.90006930.0295<0.0886.52011[119]
CoRoT-19외뿔소자리b1.111.453.897130.05180.04787.612011[120]
CoRoT-20외뿔소자리b4.240.849.240.09020.56288.212011[121]
CoRoT-21외뿔소자리b2.261.302.724740.0417086.82011[122]
CoRoT-22뱀자리b< 0.150.529.75660.094< 0.689.42011
CoRoT-23뱀자리b2.81.053.63140.04770.1685.72011
CoRoT-24외뿔소자리b< 0.10.2365.11342011
c0.1730.3811.7492011
CoRoT-25뱀주인자리b0.271.084.860.057884.52011
CoRoT-26뱀주인자리b0.51.264.2040.0526086.82012
CoRoT-27뱀자리b10.39±0.551.01±0.043.580.048<0.0652013
CoRoT-28뱀주인자리b0.484±0.0870.9550±0.0660
CoRoT-29뱀주인자리b0.840.902.850.039<0.1287.32015
CoRoT-30뱀주인자리b0.84 (± 0.34)1.02 (± 0.08)9.06005 (± 0.00024)0.084 (± 0.001)0.007 (+0.031 -0.007)90.0 (± 0.56)2017
CoRoT-31외뿔소자리b2.84 (± 0.22)1.46 (± 0.3)4.62941 (± 0.00075)1.46 (± 0.3)0.02 (+0.16 -0.02)83.2 (± 2.3)2017
CoRoT-32외뿔소자리b6.72
CoRoT-35독수리자리b1.10 (± 0.37)1.68 (± 0.11)3.22748 (± 0.00008)0.04290 (± 0.00092)084.1 (± 0.1)2022
CoRoT-36뱀주인자리b0.68 (+0.47 -0.43)1.41 (± 0.14)5.616531 (± 0.000023)0.066 (± 0.007)085.83 (± 0.26)2022



다음 표는 CoRoT에 의해 발견된 갈색 왜성과 후속 관측 프로그램에서 발견된 비이동 행성을 보여준다.

별자리천체유형질량
(MJ)
반지름
(RJ)
궤도 주기
(d)
긴반지름
(AU)
궤도 이심률경사
(°)
발견
년도
참고
CoRoT-7외뿔소자리c행성0.02643.690.04602009
외뿔소자리b갈색 왜성63.31.123.060.045086.72010
뱀자리b갈색 왜성59.21.15.8191430.05790.0785.52015
외뿔소자리b갈색 왜성71.41.092.118530.03874077.82022


참조

[1] 웹사이트 Events Archive: Last telecommand sent to Corot satellite https://corot.cnes.f[...] CNES 2014-06-17
[2] 웹사이트 COROT Satellite details 2006-063A NORAD 29678 http://www.n2yo.com/[...] N2YO 2016-03-08
[3] 간행물 Europe goes searching for rocky planets http://www.spaceref.[...] ESA 2006-10-26
[4] 웹사이트 Successful launch of the CoRoT satellite, on 27 December 2006 http://smsc.cnes.fr/[...] CNES 2007-05-24
[5] 웹사이트 Planet-hunting space telescope launched http://spaceflightno[...] 2006-12-27
[6] 뉴스 Soyuz 2-1B launches with CoRoT http://www.nasaspace[...] 2006-12-27
[7] 웹사이트 COROT sees first light http://physicsworld.[...] 2007-01-18
[8] 웹사이트 COROT all set to begin science mission http://www.cnes.fr/w[...] CNES 2007-02-02
[9] 웹사이트 CoRoT Mission Extended Until 2013 http://www.spacedail[...] 2009-10-29
[10] 논문 Exoplanet hunter nears its end http://www.nature.co[...] 2012-11-16
[11] 웹사이트 Retirement for planet-hunting space probe http://www.spacedail[...] 2013-06-24
[12] 논문 The CoRoT satellite in flight: Description and performances 2009
[13] 웹사이트 COROT Satellite http://smsc.cnes.fr/[...] Cannes Mandelieu Space Center 2006-09-18
[14] 웹사이트 Les exoplanètes – Accueil http://media4.obspm.[...]
[15] 웹사이트 CoRoTsky Tool http://smsc.cnes.fr/[...]
[16] 웹사이트 CoRoT N2 Public Archive http://idoc-corotn2-[...]
[17] 논문 The CoRoT Exoplanet program: status & results
[18] 논문 Exoplanet detection capability of the CoRoT space mission http://corot.oamp.fr[...] 2003
[19] 간행물 First scientific observations by Corot http://www.cnes.fr/w[...] CNES 2007-02-05
[20] 웹사이트 CoRoT: Mission Brochur – Hunting for Planets in Space http://www.dlr.de/dl[...] DLR Institute of Planetary Research 2011-02-01
[21] 간행물 Completion and delivery of equipment bay and camera to CNES mark major project milestone http://www.cnes.fr/w[...] Observatoire de Paris, CNES and CNRS-INSU 2005-06-30
[22] 웹사이트 CoRoT back on track, on April 7th, 2009 http://smsc.cnes.fr/[...]
[23] 논문 Rate and nature of false positives in the CoRoT exoplanet search 2009
[24] 논문 Ground-based photometry of space-based transit detections: Photometric follow-up of the CoRoT mission 2009
[25] 논문 Radial velocity follow-up of CoRoT transiting exoplanets 2011
[26] 논문 Planetary transit candidates in the CoRoT initial run: Resolving their nature 2009
[27] 논문 Planetary transit candidates in CoRoT-LRc01 field 2009
[28] 논문 Planetary transit candidates in the CoRoT LRa01 field
[29] 논문 Planetary transit candidates in the CoRoT-SRc01 field
[30] 서적 Handbook of Exoplanets 2018
[31] 웹사이트 Stellar Seismology results http://smsc.cnes.fr/[...]
[32] 논문 Non-radial oscillation modes with long lifetimes in giant stars
[33] 논문 Solar-Like Oscillations in a Massive Star http://orbi.ulg.ac.b[...]
[34] 논문 Detection of frequency spacings in the young O-type binary HD 46149 from CoRoT photometry
[35] 논문 HD 50844: a new look at δ Scuti stars from CoRoT space photometry
[36] 논문 The B0.5IVe CoRoT target HD 49330
[37] 논문 Deviations from a uniform period spacing of gravity modes in a massive star http://orbi.ulg.ac.b[...]
[38] 논문 The CoRoT space mission: early results http://www.aanda.org[...] 2009-10
[39] 논문 Spectrum analysis and seismic interpretation of a solar-like pulsator (HD 49933) observed by CoRoT
[40] 논문 Seismic and spectroscopic characterization of the solar-like pulsating CoRoT target HD 49385
[41] 논문 Probing the properties of convective cores through g modes: high-order g modes in SPB and γ Doradus stars
[42] 논문 Gravito-inertial and pressure modes detected in the B3 IV CoRoT target HD 43317
[43] 논문 On the Diagnostic Properties of Low Degree Acoustic Modes
[44] 논문 Seismic detection of acoustic sharp features in the CoRoT target HD 49933
[45] 논문 Evidence for a sharp structure variation inside a red-giant star
[46] 논문 CoRoT Measures Solar-Like Oscillations and Granulation in Stars Hotter Than the Sun
[47] 논문 A fresh look at the seismic spectrum of HD49933: analysis of 180 days of CoRoT photometry
[48] 논문 The CoRoT target HD 49933
[49] 논문 The CoRoT target HD 49933
[50] 논문 Hydrodynamical simulations of convection-related stellar micro-variability
[51] 논문 Characteristics of solar-like oscillations in red giants observed in the CoRoT exoplanet field
[52] 논문 Red-giant seismic properties analyzed with CoRoT
[53] 논문 Amplitudes of stellar oscillations: the implications for asteroseismology
[54] 논문 Star Counts in the Galaxy
[55] 논문 Probing populations of red giants in the galactic disk with CoRoT
[56] 논문 Galactic archaeology: mapping and dating stellar populations with asteroseismology of red-giant stars
[57] 논문 Mixed modes in red-giant stars observed with CoRoT
[58] 논문 Gravity modes as a way to distinguish between hydrogen- and helium-burning red giant stars http://orbi.ulg.ac.b[...]
[59] 논문 Seismic Diagnostics of Red Giants: First Comparison with Stellar Models
[60] 논문 WASP-64 b and WASP-72 b: two new transiting highly irradiated giant planets
[61] 논문 Seismic diagnostics of rotation for massive stars
[62] 논문 An asteroseismic study of the   Cephei star   Ophiuchi: constraints on global stellar parameters and core overshooting
[63] 논문 Asteroseismology of the β Cep star HD 129929
[64] 논문 Asteroseismology of the β Cephei star HD 129929. Effects of a change in the metal mixture https://austriaca.at[...]
[65] 논문 An asteroseismic study of the β Cephei star β Canis Majoris
[66] 논문 Discovery of the New Slowly Pulsating B Star HD 163830 (B5 II/III) from MOST Space-based Photometry
[67] 논문 The two hybrid B-type pulsators: ν Eridani and 12 Lacertae
[68] 논문 An asteroseismic study of the β Cephei star 12 Lacertae: multisite spectroscopic observations, mode identification and seismic modelling
[69] 논문 Seismic modelling of the β Cephei star HD 180642 (V1449 Aquilae)
[70] 논문 Asteroseismology of the β Cephei star ν Eridani: interpretation and applications of the oscillation spectrum
[71] 논문 Asteroseismology of the β Cephei star ν Eridani: massive exploration of standard and non-standard stellar models to fit the oscillation data
[72] 논문 Multisite spectroscopic seismic study of the β Cep star V2052 Ophiuchi: inhibition of mixing by its magnetic field
[73] 논문 Seismic modelling of the late Be stars HD 181231 and HD 175869 observed with CoRoT: a laboratory for mixing processes https://www.aanda.or[...]
[74] 논문 The B0.5IVe CoRoT target HD 49330
[75] 논문 Early-type stars in the young open cluster NGC 2244 and in the Monoceros OB2 association
[76] 논문 Plaskett's star: analysis of the CoRoT photometric data
[77] 논문 Regular frequency patterns in the young δ Scuti star HD 261711 observed by the CoRoT and MOST satellites
[78] 논문 γ  Doradus pulsation in two pre-main sequence stars discovered by CoRoT
[79] 논문 PULSATIONAL ANALYSIS OF V 588 MON AND V 589 MON OBSERVED WITH THE MOST AND CoRoT SATELLITES
[80] 논문 Accretion dynamics and disk evolution in NGC 2264: a study based on CoRoT photometric observations
[81] 논문 Rotation in NGC 2264: a study based on CoRoT photometric observations
[82] Arxiv Eclipsing binaries with pulsating components: CoRoT 102918586
[83] 논문 CoRoT 102918586: a γ Doradus pulsator in a short-period eccentric eclipsing binary
[84] 논문 CoRoT photometry and high-resolution spectroscopy of the interacting eclipsing binary AU Monocerotis
[85] 논문 HD 174884: a strongly eccentric, short-period early-type binary system discovered by CoRoT
[86] 문서 Maceroni, C. et al. 2013, work in progress
[87] 문서 Gandolfi, D. et al. 2013, work in progress
[88] 서적 Loeb, A. and Gaudi, B.S. 2003 Astrophysical Journal 588, 117
[89] 논문 Seven New Binaries Discovered in the Kepler Light Curves through the BEER Method Confirmed by Radial-velocity Observations
[90] 뉴스 Two Planet-hunters Snapped at La Silla http://www.eso.org/p[...] 2012-11-26
[91] 간행물 COROT discovers its first exoplanet and catches scientists by surprise http://www.esa.int/e[...] ESA 2007-05-03
[92] 간행물 Success for the first observations by the Corot satellite : An exoplanet discovered and first stellar oscillations http://www2.cnrs.fr/[...] CNRS 2007-05-03
[93] 간행물 COROT surprises a year after launch http://www.esa.int/S[...] ESA 2007-12-20
[94] 뉴스 New exoplanet like 'one of ours' http://news.bbc.co.u[...] 2010-06-15
[95] 웹사이트 Rich exoplanet harvest for CoRoT – CNRS Web site – CNRS http://www2.cnrs.fr/[...] 2023-07-28
[96] webarchive Six new planets discovered http://www.ox.ac.uk/[...] 2010-06-17
[97] 논문 Possible detection of phase changes from the non-transiting planet HD 46375b by CoRoT
[98] 웹사이트 CoRoT's new detections highlight diversity of exoplanets http://sci.esa.int/s[...]
[99] 웹사이트 CoRoT's haul of 25 exoplanets http://www.cnes.fr/w[...] 2015-04-23
[100] 논문 The secondary eclipse of CoRoT-1b 2009
[101] 논문 Defining and cataloging exoplanets: the exoplanet.eu database
[102] 논문 Detection of the ellipsoidal and the relativistic beaming effects in the CoRoT-3 lightcurve 2010
[103] 논문 Transiting exoplanets from the CoRoT space mission
[104] 논문 Transiting exoplanets from the CoRoT space mission
[105] 논문 Transiting exoplanets from the CoRoT space mission
[106] 논문 Transiting exoplanets from the CoRoT space mission
[107] 논문 Transiting exoplanets from the CoRoT space mission
[108] 논문 Transiting exoplanets from the CoRoT space mission
[109] 논문 Transiting exoplanets from the CoRoT space mission VIII. CoRoT-7b: the first Super-Earth with measured radius 2009
[110] 논문 Transiting exoplanets from the CoRoT space mission
[111] 논문 A transiting giant planet with a temperature between 250 K and 430 K http://orbi.ulg.ac.b[...] 2010-03-01
[112] 논문 Transiting exoplanets from the CoRoT space mission
[113] 논문 Transiting exoplanets from the CoRoT space mission
[114] 논문 Transiting exoplanets from the CoRoT space mission
[115] 논문 Transiting exoplanets from the CoRoT space mission
[116] 논문 Transiting exoplanets from the CoRoT space mission
[117] 논문 Transiting exoplanets from the CoRoT space mission
[118] 논문 Transiting exoplanets from the CoRoT space mission XVII. The hot Jupiter CoRoT-17b: A very old planet 2011
[119] 논문 Transiting exoplanets from the CoRoT space mission. XVIII. CoRoT-18b: A massive hot jupiter on a prograde, nearly aligned orbit 2011
[120] 논문 Transiting exoplanets from the CoRoT space mission
[121] 논문 Transiting exoplanets from the CoRoT space mission
[122] 논문 Transiting exoplanets from the CoRoT space mission
[141] 웹사이트 COROT all set to begin science mission http://www.cnes.fr/w[...] CNES 2007-02-02
[142] 논문 Exoplanet hunter nears its end http://www.nature.co[...] 2012-11-16
[143] 웹사이트 コロー、ファーストライト http://www.sorae.jp/[...] sorae.jp 2007-01-26
[144] 웹사이트 CoRoT Mission Extended Until 2013 http://www.spacedail[...] SPACE DAILY 2012-12-24
[145] 웹사이트 Scientists losing hope of reviving French telescope http://spaceflightno[...] Spaceflightnow 2013-01-09
[146] 웹사이트 COROT Mission Ends http://www.skyandtel[...] SKY & TELESCOPE 2013-06-26
[147] 웹사이트 Last telecommand sent to CoRoT satellite http://smsc.cnes.fr/[...] CNES 2014-06-28
[148] 웹사이트 CoRoT: Mission Brochur – Hunting for Planets in Space http://www.dlr.de/dl[...] DLR Institute of Planetary Research 2019-02-25
[149] 웹사이트 CoRoT back on track, on April 7th, 2009 http://smsc.cnes.fr/[...] 2011-02-27
[150] 뉴스 Two Planet-hunters Snapped at La Silla https://www.eso.org/[...] 2012-11-26
[151] 뉴스 New exoplanet like 'one of ours' http://news.bbc.co.u[...] 2010-06-15
[152] 웹사이트 Six new planets discovered http://www.ox.ac.uk/[...]
[153] 논문 Transiting exoplanets from the CoRoT space mission. I. CoRoT-Exo-1b: a low-density short-period planet around a G0V star
[154] 논문 Transiting exoplanets from the CoRoT space mission. II. CoRoT-Exo-2b: a transiting planet around an active G star
[155] 논문 Transiting exoplanets from the CoRoT space mission . VI. CoRoT-Exo-3b: the first secure inhabitant of the brown-dwarf desert
[156] 논문 Transiting exoplanets from the CoRoT space mission. IV. CoRoT-Exo-4b: a transiting planet in a 9.2 day synchronous orbit
[157] 논문 Transiting exoplanets from the CoRoT space mission. VII. The ``hot-Jupiter''-type planet CoRoT-5b
[158] 논문 Transiting exoplanets from the CoRoT space mission. IX. CoRoT-6b: a transiting ``hot Jupiter'' planet in an 8.9d orbit around a low-metallicity star
[159] 논문 Transiting exoplanets from the CoRoT space mission. VIII. CoRoT-7b: the first super-Earth with measured radius http://exoplanet.eu/[...]
[160] 논문 Transiting exoplanets from the CoRoT space mission. XI. CoRoT-8b: a hot and dense sub-Saturn around a K1 dwarf
[176] 논문 Transiting exoplanets from the CoRoT space mission. XXIV. CoRoT-25b and CoRoT-26b: two low-density giant planets
[177] 논문 Transiting exoplanets from the CoRoT space mission XXV. CoRoT-27b: a massive and dense planet on a short-period orbit 2014-02-01
[178] 논문 Transiting exoplanets from the CoRoT space mission
[179] 웹사이트 CoRoT-30 b. Exoplanet Catalogue http://exoplanet.eu/[...] 2017-12-10
[180] 웹사이트 CoRoT-31 b. Exoplanet Catalogue http://exoplanet.eu/[...] 2017-12-10
[181] 논문 A modified CoRoT detrend algorithm and the discovery of a new planetary companion
[182] 논문 Transiting exoplanets from the CoRoT space mission. XV. CoRoT-15b: A brown dwarf transiting companion
[183] 논문 Transiting exoplanets from the CoRoT space mission
[184] 논문 CoRoT: Harvest of the exoplanet program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