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eriod (유전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 Period* 유전자는 일주기 리듬 조절에 관여하는 유전자이다. 1971년 로널드 코노프카와 시모어 벤저가 초파리에서 처음 발견했으며, 탈피 및 운동 활동의 일주기 리듬 주기를 변화시키는 돌연변이체를 통해 시계 자체에서 역할을 한다는 것을 밝혀냈다. *per* 유전자는 mRNA 수준의 진동을 통해 PER 단백질을 생성하며, PER 단백질은 Timeless (TIM)과 결합하여 핵으로 들어가 per, tim, CLOCK/CYCLE 이합체의 전사 인자를 억제한다. 포유류에는 PER1, PER2, PER3의 세 가지 상동 유전자가 있으며, 이들은 생체 시계의 광 주기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또한, *per* 유전자는 종양 성장, 장기 기억 형성, 수명 연장, 알코올 섭취 등 다양한 생리적 과정과 관련되어 있다. *Per2* 유전자 돌연변이는 가족성 선행 수면 위상 증후군과 관련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유전자 - 시스트론
시스트론은 폴리펩타이드를 암호화하는 DNA의 한 부분으로, 유전자의 기능적 단위이자 재조합 단위이며, 시스-트랜스 테스트로 동일 시스트론 내 존재 여부를 판단한다. - 유전자 - 주조직 적합성 복합체
주조직 적합성 복합체(MHC)는 면역 체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유전자 집합체로, 항원 제시, 자가면역 반응 조절, 이식 거부 반응 등 다양한 생물학적 기능에 관여하며, 클래스 I, II, III로 구분된다. - 활동일 주기 - 시차증
시차증은 여러 시간대 이동으로 생체리듬이 깨지면서 수면 장애, 소화 불량, 두통, 피로 등을 유발하는 현상이며, 빛 노출 조절, 멜라토닌 복용 등으로 관리하고 조울증 재발 및 자살률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 활동일 주기 - 주행성
주행성은 낮에 활동하고 밤에 휴식을 취하는 생활 방식으로, 빛, 온도, 먹이, 포식자와 같은 요인들의 영향을 받으며, 초기 동물들의 주요 생활 방식이었으나 야행성으로 진화한 종들도 있고, 기술 분야에서도 활용되는 용어이다.
| Period (유전자) | |
|---|---|
| 유전자 정보 | |
| 명칭 | per |
| 다른 명칭 | 해당 없음 |
| IUPHAR ID | 해당 없음 |
| ATC 코드 | 해당 없음 |
| CAS 등록번호 | 해당 없음 |
| 약물 은행 | 해당 없음 |
| Entrez 유전자 | 31251 |
| PDB | 해당 없음 |
| RefSeq mRNA | NM_080317 |
| RefSeq 단백질 | NP_525056 |
| UniProt | P07663 |
| EC 번호 | 해당 없음 |
| 염색체 | X |
| Entrez 염색체 | NC_004354.3 |
| 유전자 위치 (시작) | 2578532 |
| 유전자 위치 (끝) | 2587892 |
| 생물학적 정보 | |
| 학명 | Drosophila melanogaster |
| TaxID | 7227 |
| 심볼 | per |
2. 발견
1971년 로널드 코노프카와 시모어 벤저는 에틸 메탄술폰산 돌연변이 유발 검사를 통해 period 유전자와 세 가지 돌연변이(''perS'', ''perL'', ''per0'')를 분리했다.[2] ''perS'', ''perL'', ''per0'' 돌연변이는 서로 상호 보완되지 않아, 세 가지 표현형이 동일한 유전자의 돌연변이로 인한 것이라고 결론지었다. 탈피 및 운동 활동의 일주기 리듬 주기를 변화시키는 돌연변이(''perS'', ''perL'')의 발견은 per 유전자가 출력 경로가 아닌 시계 자체에서 역할을 한다는 것을 나타냈다. 1984년 마이클 로스바쉬 연구팀이 period 유전자의 염기서열을 처음으로 밝혀냈다.[3] 1998년에는 ''per'' 유전자가 두 개의 전사체(단일 비번역 인트론의 선택적 스플라이싱에 의해서만 다름)를 생성하며, 둘 다 PER 단백질을 암호화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4]
''period'' (''per'') 유전자는 1971년 로널드 코노프카와 시모어 벤저가 에틸 메탄술폰산을 이용한 돌연변이 유발 실험을 통해 발견했다. 이들은 세 가지 유전자 변이(''perS'', ''perL'', ''per0'')를 발견했는데, 이 변이들은 모두 동일한 ''per'' 유전자에 의해 유발된다는 결론을 내렸다.[28]
3. 유전자 기능
초파리의 우화와 운동성에 관한 일주기 리듬 변화를 통해 ''per'' 유전자가 생체 시계의 핵심 메커니즘에 관여한다는 것이 밝혀졌다. 1984년 마이클 로스바쉬 연구팀은 ''period'' 유전자의 DNA 시퀀싱에 성공했다.[29] 1998년에는 ''per'' 유전자로부터 인트론 스플라이싱 여부에 따라 두 종류의 mRNA가 전사되어 PER 단백질을 암호화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30]
3. 1. 일주기 리듬
Per 유전자는 전사-번역 음성 피드백 고리(TTFL)를 통해 일주기 리듬을 조절한다. 초파리에서 *per* mRNA와 PER 단백질은 약 24시간 주기로 진동하며, PER 단백질은 자신의 전사를 억제한다. PER 단백질은 TIM (Timeless) 단백질과 이합체를 형성하여 핵으로 이동, CLOCK/CYCLE 복합체의 전사 활성을 억제한다.[8] 이 CLOCK/CYCLE 복합체는 프로모터의 특정 강화인자 (E-box)에 결합하여 *per* 및 *tim*의 전사 활성제 역할을 한다.[8][7] 따라서 CLK/CYC의 억제는 *per*과 *tim* mRNA 수준을 낮추고, 이는 다시 PER 및 TIM의 수준을 낮춘다.[8] 크립토크롬(CRY)은 빛에 민감한 단백질로, 빛이 있을 때 TIM을 억제한다.[9] TIM이 PER과 복합체를 이루지 않으면, 다른 단백질인 doubletime, 즉 DBT가 PER을 인산화하여 분해 대상으로 만든다.[10]
포유류에서도 유사한 전사-번역 음성 피드백 루프가 작동한다.[11] 초파리의 *per*에 해당하는 세 가지 포유류 상동체로부터 번역된 세 가지 PER 단백질(PER1, PER2, 및 PER3) 중 하나가 PAS domain을 통해 두 가지 크립토크롬 단백질(CRY1 및 CRY2) 중 하나와 이합체를 형성하여 시계의 음성 요소를 형성한다.[11] 이 PER/CRY 복합체는 CK1-엡실론 (''casein kinase 1 epsilon'')에 의한 인산화 후 핵으로 이동하여 CLK/BMAL1 이합체를 억제하며, 이는 세 개의 *per* 및 두 개의 *cry* 프로모터의 E-box에 basic helix-loop-helix (BHLH) DNA 결합 도메인으로 결합하는 전사 인자이다.[11]
포유류의 period 1 및 period 2 유전자는 생체 시계의 광 주기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12][13] 1999년 Akiyama 등은 mPer1이 빛 또는 글루탐산 방출에 의해 유도된 위상 이동에 필요하다는 것을 보여주었다.[12] 2년 후, Albrecht 등은 mPer1 돌연변이가 늦은 밤 빛 펄스(ZT22)에 대한 반응으로 시계를 진행시키지 못하고 mPer2 돌연변이가 이른 밤 빛 펄스(ZT14)에 대한 반응으로 시계를 지연시키지 못한다는 것을 발견했다.[13] 따라서 mPer1과 mPer2는 생체 시계가 정상적인 환경 빛 신호에 매일 재설정되는 데 필요하다.[13]
3. 2. 비일주기 리듬
''Per'' 유전자는 일주기 리듬 외에도 다양한 생리적 과정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포유류의 Period 2 유전자는 종양 성장을 억제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mPer2 녹아웃 쥐는 종양 발생이 현저하게 증가하고, 세포자멸사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인다.[17] 이는 mPer2가 사이클린 D1, 사이클린 A, Mdm-2, Gadd45α와 같은 종양 억제 및 세포 주기 조절 유전자와, 전사 인자 ''c-myc''의 일주기 조절 부전으로 인해 발생한다고 여겨진다.[17] 또한, mPer2 녹아웃 쥐는 감마선 및 종양 발생에 대한 감수성이 증가하며, 이는 mPer2가 DNA 손상 반응 경로를 조절하여 암 발생에 관여한다는 것을 시사한다.[17]
''Per''는 초파리의 장기 기억 형성에 필수적인 역할을 한다. ''Per'' 돌연변이는 장기 기억 형성에 결함을 보이지만, ''Per'' 전이 유전자 삽입으로 회복될 수 있고, ''Per'' 유전자의 과발현으로 강화될 수 있다.[18] 이러한 반응은 다른 시계 유전자 (''timeless'', ''dClock'', ''cycle'')의 돌연변이에서는 나타나지 않는다.[18]
''Per''는 초파리의 수명을 연장하는 것으로 보고되었지만,[19] 다른 연구 그룹에서 실험을 성공적으로 반복하지 못했기에 논란의 여지가 있다.
쥐의 경우, Per2 유전자와 알코올 섭취 선호도 사이에 연관성이 보고되었다.[20] 알코올 섭취는 자유 주기의 단축과 관련이 있으며,[21] 알코올 중독이 Per1 및 Per2 유전자에 미치는 영향은 알코올과 관련된 우울증, 알코올 중독으로의 재발 경향과도 연관되어 있다.[21]
4. 포유류 상동 유전자
포유류에는 PER1, PER2, PER3의 세 가지 유전자가 알려져 있다. 이 유전자들은 ''초파리''에서 발견되는 단백질과 상동성을 갖는다. 인간의 경우 CLOCK 유전자는 초파리와 동일한 역할을 하지만, CYC는 BMAL1로 대체된다.[8] CRY은 두 개의 인간 상동체, 즉 CRY1과 CRY2를 가지며, 이들은 CLOCK 및 BMAL1과 빛에 의존하지 않고 상호작용을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22] Jean-Christophe Leloup와 Albert Goldbeter는 ''per'' 유전자와 PER 단백질을 포함하여 이러한 단백질과 유전자 간의 상호 작용에 의해 생성되는 피드백 루프를 시뮬레이션하는 계산 모델을 개발했다.[23]
| 유전자 | 염색체 위치 | 관련 정보 |
|---|---|---|
| PER1 | 17번 염색체 p12 | 핵 국소화 서열, PAS 도메인 포함, 주로 핵에 위치[24] |
| PER2 | 2번 염색체 q37.3 | 핵 국소화 서열, PAS 도메인 포함, 주로 세포질에 위치[24] |
| PER3 | 1번 염색체 p36.23 | 핵 국소화 서열, PAS 도메인 포함 |
인간의 Per 유전자는 초파리의 Per 유전자와 서열 및 아미노산 유사성을 보이며, 초파리 Per 유전자가 가지고 있는 PAS 도메인과 핵 국소화 신호도 포함한다. 인간의 Per 단백질은 시교차 상핵(SCN)뿐만 아니라 SCN 외부 영역에서도 주기적으로 발현된다. 초파리의 PER 단백질은 세포질과 핵 사이를 이동하지만, 포유류의 PER 단백질은 mPer1은 주로 핵에, mPer2는 주로 세포질에 위치하는 등 더 구획화되어 있다.[24]
5. 임상적 중요성
가족성 선행 수면 위상 증후군(FASPS)은 포유류 Per2 유전자의 돌연변이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5] FASPS 환자는 수면 주기가 짧고 위상이 앞당겨져 이른 저녁(오후 7시경)에 잠들고 해 뜨기 전(오전 4시경)에 일어나는 경향을 보인다. 2006년 독일의 한 연구실에서는 FASPS 환자에게서 PER2의 특정 인산화 잔기가 돌연변이된 것을 확인했다.[52] 시간 치료법(광선 요법)은 밝은 빛의 주기를 사용하여 개인의 시계 위상을 변경하는 치료법으로, FASPS 환자에게 때때로 사용된다.
참조
[1]
논문
Molecular Bases for Circadian Clocks
1999-01
[2]
논문
Clock mutants of Drosophila melanogaster
1971-09
[3]
논문
Molecular analysis of the period locus in Drosophila melanogaster and identification of a transcript involved in biological rhythms
1984-10
[4]
논문
Two Alternatively Spliced Transcripts from the ''Drosophila'' period Gene Rescue Rhythms Having Different Molecular and Behavioral Characteristics
1998-11
[5]
논문
Feedback of the Drosophila period gene product on circadian cycling of its messenger RNA levels
1990-02
[6]
논문
Antibodies to the period Gene Product of Drosophila Reveal Diverse Tissue Distribution and Rhythmic Changes in the Visual System
1988-04
[7]
논문
A circadian enhancer mediates PER-dependent mRNA cycling in Drosophila melanogaster
1997-07
[8]
논문
Biological clocks
1999-08
[9]
논문
Light-dependent sequestration of TIMELESS by CRYPTOCHROME
1999-07
[10]
논문
Activating PER repressor through a DBT-directed phosphorylation switch
2008-07
[11]
논문
Molecular components of the mammalian circadian clock
2006-07
[12]
논문
Inhibition of light- or glutamate-induced mPer1 expression represses the phase shifts into the mouse circadian locomotor and suprachiasmatic firing rhythms
1999-02
[13]
논문
MPer1 and mper2 are essential for normal resetting of the circadian clock
2001-04
[14]
논문
Circadian rhythms of female mating activity governed by clock genes in Drosophila
2001-07
[15]
논문
Circadian regulation of response to oxidative stress in Drosophila melanogaster
2008-09
[16]
논문
A latitudinal cline in a Drosophila clock gene
1992-10
[17]
논문
The circadian gene Period2 plays an important role in tumor suppression and DNA damage response in vivo
2002-10
[18]
논문
A clock gene, period, plays a key role in long-term memory formation in Drosophila
2004-11
[19]
논문
The circadian clock gene period extends healthspan in aging Drosophila melanogaster
2009-11
[20]
논문
The clock gene Per2 influences the glutamatergic system and modulates alcohol consumption
http://doc.rero.ch/r[...]
2005-01
[21]
논문
Alcohol consumption and the body's biological clock
2005-08
[22]
논문
Light-independent role of CRY1 and CRY2 in the mammalian circadian clock
1999-10
[23]
논문
Toward a detailed computational model for the mammalian circadian clock
2003-06
[24]
논문
Nuclear entry of the circadian regulator mPER1 is controlled by mammalian casein kinase I epsilon
2000-07
[25]
논문
Differential effects of PER2 phosphorylation: molecular basis for the human familial advanced sleep phase syndrome (FASPS)
2006-10
[26]
논문
Molecular Bases for Circadian Clocks
1999-01
[27]
웹사이트
2017年ノーベル生理学・医学賞:体内時計を生み出す遺伝子機構の発見で米の3氏に
http://www.nikkei-sc[...]
日本経済新聞社
2017-10-03
[28]
논문
Clock mutants of Drosophila melanogaster
1971-09
[29]
논문
Molecular analysis of the period locus in Drosophila melanogaster and identification of a transcript involved in biological rhythms
1984-10
[30]
논문
Two Alternatively Spliced Transcripts from the ''Drosophila'' period Gene Rescue Rhythms Having Different Molecular and Behavioral Characteristics
1998-11
[31]
논문
Feedback of the Drosophila period gene product on circadian cycling of its messenger RNA levels
1990-02
[32]
논문
A model for circadian oscillations in the Drosophila period protein (PER).
https://www.ncbi.nlm[...]
1995-09-22
[33]
논문
A circadian enhancer mediates PER-dependent mRNA cycling in Drosophila melanogaster
1997-07
[34]
논문
Biological clocks
1999-08
[35]
논문
Light-dependent sequestration of TIMELESS by CRYPTOCHROME
1999-07
[36]
논문
Activating PER repressor through a DBT-directed phosphorylation switch
2008-07
[37]
논문
Molecular components of the mammalian circadian clock
2006-07
[38]
논문
Inhibition of light- or glutamate-induced mPer1 expression represses the phase shifts into the mouse circadian locomotor and suprachiasmatic firing rhythms
http://www.jneurosci[...]
1999-02
[39]
논문
MPer1 and mper2 are essential for normal resetting of the circadian clock
2001-04
[40]
논문
Circadian rhythms of female mating activity governed by clock genes in Drosophila
2001-07
[41]
논문
Circadian regulation of response to oxidative stress in Drosophila melanogaster
2008-09
[42]
논문
A latitudinal cline in a Drosophila clock gene
1992-10
[43]
논문
The circadian gene Period2 plays an important role in tumor suppression and DNA damage response in vivo
2002-10
[44]
논문
A clock gene, period, plays a key role in long-term memory formation in Drosophila
2004-11
[45]
논문
The circadian clock gene period extends healthspan in aging Drosophila melanogaster
2009-11
[46]
논문
The clock gene Per2 influences the glutamatergic system and modulates alcohol consumption
2005-01
[47]
논문
Alcohol consumption and the body's biological clock
2005-08
[48]
논문
Light-independent role of CRY1 and CRY2 in the mammalian circadian clock
1999-10
[49]
논문
Toward a detailed computational model for the mammalian circadian clock
2003-06
[50]
논문
Nuclear entry of the circadian regulator mPER1 is controlled by mammalian casein kinase I epsilon
2000-07
[51]
웹사이트
KEGG DISEASE: 家族性睡眠相前進症候群
http://www.genome.jp[...]
DBGET - GenomeNet
2017-10-04
[52]
논문
Differential effects of PER2 phosphorylation: molecular basis for the human familial advanced sleep phase syndrome (FASPS)
2006-10
[53]
논문
Nuclear entry of the circadian regulator mPER1 is controlled by mammalian casein kinase I epsilon
2000-07
[54]
논문
Molecular Bases for Circadian Clocks
1999-01
[55]
논문
Feedback of the Drosophila period gene product on circadian cycling of its messenger RNA levels
1990-02
[56]
논문
Antibodies to the period Gene Product of Drosophila Reveal Diverse Tissue Distribution and Rhythmic Changes in the Visual System
1988-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