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루탐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글루탐산은 아미노산의 일종으로, 단백질을 구성하는 성분이며, 신경전달물질로도 기능한다. 생체 내에서 합성되며, 뇌에서 흥분성 신경전달물질로 작용하여 학습과 기억에 관여한다. 또한, 감칠맛을 내는 성분으로, 식품 첨가물인 글루탐산나트륨(MSG)의 형태로 널리 사용된다. 글루탐산은 다양한 생합성 경로를 통해 생성되며, 산업적으로는 발효법을 통해 대량 생산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감칠맛 강화제 - 효모 추출물
효모 추출물은 효모 세포를 파괴하여 얻은 수용성 물질로 감칠맛과 풍미를 더하는 식품 첨가물로 널리 쓰이며, 단백질, 아미노산, 비타민 B군 등 다양한 영양소를 함유하고 있어 식품, 동물 사료, 화장품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글루탐산 - [화학 물질]에 관한 문서 | |
---|---|
일반 정보 | |
![]() | |
![]() | |
![]() | |
![]() | |
식별 정보 | |
IUPAC 명칭 | 글루탐산 |
다른 이름 | 2-아미노펜탄디오산 2-아미노글루타르산 |
UNII | 3KX376GY7L (L-이성질체) 61LJO5I15S (라세미체) Q479989WEA (D-이성질체) |
ChEMBL | 575060 |
KEGG | C00025 C00217 |
ChemSpider ID | 30572 |
PubChem | 33032 23327 |
EC 번호 | 200-293-7 |
DrugBank | DB00142 DB02517 |
3DMet | B00007 |
Beilstein | 1723801 (L) 1723799 (라세미) 1723800 (D) |
Gmelin | 3502 (L) 101971 (라세미) 201189 (D) |
CAS 등록번호 | 56-86-0 (L-이성질체) 617-65-2 (라세미체) 6893-26-1 (D-이성질체) |
日化辞番号 | J9.171E |
IUPHAR 리간드 | 1369 |
SMILES | C(CC(=O)O)[C@@H](C(=O)O)N C(CC(=O)O)[C@H](C(=O)O)N C(CC(=O)O)C(C(=O)[O-])[NH3+] (쯔비터 이온) C(CC(=O)[O-])C(C(=O)[O-])[NH3+] (탈양성자화 쯔비터 이온) |
InChI | 1/C5H9NO4/c6-3(5(9)10)1-2-4(7)8/h3H,1-2,6H2,(H,7,8)(H,9,10) |
InChIKey | WHUUTDBJXJRKMK-UHFFFAOYAD |
표준 InChI | 1S/C5H9NO4/c6-3(5(9)10)1-2-4(7)8/h3H,1-2,6H2,(H,7,8)(H,9,10) |
표준 InChIKey | WHUUTDBJXJRKMK-UHFFFAOYSA-N |
물리화학적 정보 | |
분자식 | C5H9NO4 |
겉모습 | 흰색 결정성 분말 |
밀도 | 1.4601 (20 °C) |
녹는점 | 199 °C (분해) |
용해도 | 8.57 g/L |
다른 용매에 대한 용해도 | 에탄올: 350 μg/100g (25 °C) |
pKa | 2.10, 4.07, 9.47 |
자기 감수율 | −78.5·10−6 cm3/mol |
위험성 정보 | |
NFPA 704 | H: 2 F: 1 R: 0 |
신호어 | 경고 |
관련 화합물 | |
관련 화합물 | α-케토글루타르산 암모니아 글루타민 글루탐산 나트륨 |
2. 화학
이 아미노산은 밀의 글루텐을 가수 분해하여 처음 발견되었기 때문에 글루탐산으로 명명되었다.
영어에서 글루텐은 "gluten", 글루탐산은 "glutamic acid"이다[40]. 일본어에서는 글루탐산의 염 등에도 '글루탐산' 부분이 변하지 않지만[41], 영어에서는 글루탐산의 염이나 에스테르를 "glutamate"로 표기하여 "glutamic acid"와 구별한다[42]. 이 때문에 일본어 사용자 중에는 글루탐산을 "영어에 준하여 글루타메이트라고 부르기도 한다"라고 오해하는 경우가 있지만, 이는 오해이다[43]
2. 1. 이온화
글루탐산은 물에 녹으면, 매질의 산성도에 따라 아미노기(-NH2)가 양성자(H+)를 얻거나, 카복실기(-COOH)가 양성자를 잃을 수 있다.충분히 산성인 환경에서는 두 카복실기 모두 양성자를 얻어, 분자는 HOOC-CH(NH3+)-(CH2)2-COOH 와 같이 하나의 양전하를 가진 양이온이 된다.[8]
pH 2.5 ~ 4.1 에서는,[8] 아민에 더 가까운 카복실산이 주로 양성자를 잃고, 중성 쯔비터이온 -OOC-CH(NH3+)-(CH2)2-COOH 가 된다. 이는 결정질 고체 상태에서도 마찬가지이다.[9][10] 양성자화 상태 변화는 점진적이며, pH 2.10에서 두 형태가 같은 농도로 존재한다.[11]
pH가 더 높아지면, 다른 카복실산기가 양성자를 잃고, 글루탐산 음이온 -OOC-CH(NH3+)-(CH2)2-COO-로 존재하며, 전체적으로 하나의 음전하를 띤다. 양성자화 상태 변화는 pH 4.07에서 일어난다.[11] 이 형태는 생리적 pH 범위(7.35–7.45)에서 우세하다.
pH가 더 높아지면, 아미노기도 양성자를 잃고, 이중 음이온 -OOC-CH(NH2)-(CH2)2-COO-가 주를 이룬다. 양성자화 상태 변화는 pH 9.47에서 일어난다.[11]
2. 2. 광학 이성질체
아미노기에 인접한 탄소 원자는 카이랄 탄소(4개의 다른 작용기와 연결됨)이다. 글루탐산은 L형,[56] D(-)형, L(+)형의 3가지 광학 이성질체[56]로 존재할 수 있다. L형은 자연계에 가장 널리 분포하는 형태이지만, D형은 세균의 세균협막 및 세포벽(글루탐산 라세미화효소로 L형으로부터 만들 수 있음)과 포유류의 간과 같은 일부 특수한 상황에서 생성된다.[66][67]3. 역사
글루탐산은 식품에서 자연적으로 생성되지만, 글루탐산 및 다른 아미노산들이 만드는 풍미는 20세기 초에 이르러서야 과학적으로 확인되었다. 1866년에 독일의 화학자 카를 하인리히 리트하우젠은 밀의 글루텐(이 이름을 따서 명명됨)을 황산으로 처리해 글루탐산을 발견했다.[68] 1908년 일본 도쿄 제국대학의 이케다 기쿠나에 교수는 다량의 다시마 육수를 증발시킨 후 남은 갈색 결정이 글루탐산임을 확인했다. 이 결정체는 맛을 보았을 때 많은 음식, 특히 해조류에서 감지할 수 있는 형언할 수 없지만 부인할 수 없는 풍미를 재현해냈다. 이케다 교수는 이 맛을 우마미 (한국어로 "감칠맛")라고 불렀다. 이후에 이케다 교수는 글루탐산의 결정질 염인 글루탐산 일나트륨(MSG)을 대량 생산하는 방법의 특허를 출원하였다.[69][70]
4. 합성
글루탐산의 산업적 합성은 1950년대에 당과 암모니아의 호기성 발효를 통해 이루어지기 시작했으며, 이는 기존의 화학 합성을 대체했다. 생산에 가장 널리 사용되는 유기체는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Corynebacterium glutamicum)이다.[73] 생산된 글루탐산은 농축 및 결정화를 통해 분리 및 정제되며, 염산염 형태로도 널리 이용된다.[74] 2006년 기준으로 연간 생산량은 약 1.5MT으로 추정되며, 이는 모든 아미노산들 중에서 가장 큰 규모이다.[72]
4. 1. 생합성
반응물 | 생성물 | 효소 | |
---|---|---|---|
글루타민 + H2O | → | 글루탐산 + NH3 | 글루타민가수분해효소, 글루타민가수분해효소 2 |
N-아세틸글루탐산 + H2O | → | 글루탐산 + 아세트산염 | N-아세틸글루탐산 생성효소 |
α-케토글루타르산 + NADPH + NH4+ | → | 글루탐산 + NADP+ + H2O | 글루탐산 탈수소효소 1, 글루탐산 탈수소효소 2[71] |
α-케토글루타르산 + α-아미노산 | → | 글루탐산 + α-케토산 | 아미노기전이효소 |
1-피롤린-5-카복실산 + NAD+ + H2O | → | 글루탐산 + NADH | 알데하이드 탈수소효소 |
N-폼이미노-L-글루탐산 + FH4 | → | 글루탐산 + 5-폼이미노-FH4 | 폼이미도일트랜스퍼레이스 사이클로디아미네이스 |
N-아세틸아스파르틸글루탐산 | → | 글루탐산 + N-아세틸아스파르트산 | 글루탐산 카복시펩티데이스 II |
인간을 포함한 생명체 내에서 글루탐산의 생합성은 TCA 회로를 구성하는 화합물 중 하나인 2-옥소글루타르산(α-케토글루타르산)이 글루탐산 트랜스아미나제의 작용에 의해 다른 아미노산으로부터 아미노기 전이를 받아 합성된다.
또한 글루탐산 탈수소효소에 의해 글루탐산으로부터 아미노기를 제거하여 2-옥소글루타르산과 암모니아로 분해하는 반응[45]을 역으로 진행하여 합성할 수도 있다.
: L-글루탐산 + H2O + NAD(P)+ → 2-옥소글루타르산 + NH3 + NAD(P)H + H+
4. 2. 산업적 합성
2006년 글루탐산의 연간 생산량은 약 150만 톤으로 추정되며, 모든 아미노산들 중에서 가장 큰 규모로 생산된다.[72] 1950년대에 당과 암모니아의 호기성 발효가 화학 합성을 대체했으며, 생산에 가장 널리 사용되는 유기체는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Corynebacterium glutamicum)이다.[73] 분리 및 정제는 농축 및 결정화를 통해 이루어진다. 글루탐산은 글루탐산의 염산염 형태로도 널리 이용된다.[74]5. 기능 및 용도
글루탐산은 포유류의 체내에서 신경전달물질 중 하나로 기능하며, 글루탐산 수용체를 통해 신경 전달이 이루어지는 흥분성 신경전달물질이다. 가바펜틴은 신경 세포에서 글루탐산 등의 신경전달물질 방출을 줄이도록 유도하는 항간질약으로, 간질 발작을 억제하기 위한 표적 중 하나로 주목받아 왔다[44]。
글루탐산은 다시마, 치즈, 녹차 등에 많이 들어 있으며, 표고버섯, 토마토, 어패류 등에도 비교적 많이 들어 있다. 글루탐산은 인간에게 감칠맛으로 느껴지는 성분 중 하나이지만, 일본술에 첨가하면 신맛이나 떫은맛을 주어 품질이 저하된다[46]. 글루탐산은 주로 식품 첨가물인 L-글루탐산나트륨(MSG)의 중간 원료로 제조, 이용된다. 글루탐산 자체는 신맛을 가지므로, 그 나트륨 염인 글루탐산나트륨이 감칠맛 조미료로 적량을 첨가하는 형태로 이용된다. L-글루탐산나트륨을 주성분으로 하는 조미료로는 일본에서 아지노모토 등이 알려져 있다.
다시마 등에서 글루탐산을 추출할 때 경도가 낮은 물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는 주장이 있었으나[47][48][49], 연구에 따르면 경도의 영향은 부정되었다[50]. 다만, 칼슘은 점성을 높여 다시마 육수를 내는 데는 적합하지 않다[50].
5. 1. 물질대사
글루탐산은 세포 내 물질대사에서 핵심적인 화합물이다. 사람의 경우 식이 단백질은 소화에 의해 아미노산으로 분해되며, 이는 신체에서의 다른 기능적 역할을 위한 에너지원으로 사용된다. 아미노산 분해의 핵심적인 과정은 아미노산의 아미노기가 α-케토산으로 전이되는 아미노기 전이반응이며, 이것은 일반적으로 아미노기전이효소에 의해 촉매된다. 반응은 다음과 같이 일반화할 수 있다.: R1-아미노산 + R2-α-케토산 ⇄ R1-α-케토산 + R2-아미노산
일반적인 α-케토산은 시트르산 회로의 대사 중간생성물인 α-케토글루타르산이다. α-케토글루타르산은 아미노기 전이반응을 통해 글루탐산으로 전환된다. 생성된 α-케토산 생성물은 종종 유용한 것이기도 하며, 이는 에너지원 또는 다른 대사 과정의 기질로 사용될 수 있다. 예는 다음과 같다.
: 알라닌 + α-케토글루타르산 ⇄ 피루브산 + 글루탐산
: 아스파르트산 + α-케토글루타르산 ⇄ 옥살로아세트산 + 글루탐산
피루브산과 옥살로아세트산은 둘 다 세포 내 물질대사의 핵심적인 화합물로 해당과정, 포도당신생합성, 시트르산 회로와 같은 기본적인 대사 과정에서 기질이나 대사 중간생성물로 작용한다.
글루탐산은 또한 신체에서 과잉 또는 배설되는 질소를 처리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글루탐산은 다음과 같이 글루탐산 탈수소효소에 의해 촉매되는 산화 반응인 탈아미노화를 겪는다.[71]
: 글루탐산 + H2O + NADP+ → α-케토글루타르산 + NADPH + NH3 + H+
암모니아(암모늄 이온의 형태로)는 주로 간에서 합성되는 요소의 형태로 배설된다. 따라서 아미노기 전이반응은 탈아미노화와 연결될 수 있으며, 아미노산의 아미노기의 질소가 대사 중간생성물인 글루탐산을 거쳐 제거되고, 최종적으로 요소의 형태로 신체로부터 배설되도록 한다.
글루탐산은 뇌에 풍부하게 존재하는 신경전달물질이기도 하다. 신경교종 또는 교모세포종으로 알려진 악성 뇌종양은 글루탐산을 에너지원으로 사용하는 데, 특히 이러한 종양이 IDH1 유전자의 돌연변이로 인해 글루탐산에 보다 더 의존하게 되는 경우에 그렇다.[75][76]
5. 2. 신경전달물질
글루탐산은 척추동물의 신경계에서 가장 풍부한 흥분성 신경전달물질이다.[77] 화학적 시냅스에서 글루탐산은 시냅스 소포에 저장된다. 신경 자극은 시냅스 전 뉴런에서 글루탐산의 방출을 유발한다. 글루탐산은 이온성 수용체 및 대사성 수용체(G-단백질 연결 수용체)에 작용한다.[77] 시냅스 후 뉴런에서는 NMDA 수용체 또는 AMPA 수용체와 같은 글루탐산 수용체가 글루탐산과 결합하여 활성화된다. 글루탐산의 시냅스 가소성에서의 역할로 인해 글루탐산은 뇌의 학습 및 기억과 같은 인지 기능에 관여한다.[78] 장기 강화로 알려진 가소성의 형태는 해마, 신피질 및 뇌의 다른 부분에 존재하는 글루탐산작동성 시냅스에서 일어난다. 글루탐산은 점대점 전달물질로 작동할 뿐만 아니라 인접한 시냅스에서 방출된 글루탐산의 합이 시냅스 외 신호전달/볼륨 전송을 생성하는 시냅스 간의 조절을 통해 작동한다.[79] 또한 글루탐산은 원래 마크 매트슨에 의해 기술된 바와 같이 뇌 발달 동안 성장원추 및 시냅스 형성의 조절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5. 3. GABA 전구체
글루탐산은 GABA 작동성 뉴런에서 억제성 γ-아미노뷰티르산(GABA) 합성의 전구체 역할을 한다.[28] 이 반응은 소뇌와 이자에서 가장 풍부한 글루탐산 탈카복실화효소(GAD)에 의해 촉매된다.[30]강직인간증후군은 항 GAD 항체에 의해 유발되는 신경학적 장애로 GABA 합성이 감소하여 근육 경직 및 경련과 같은 운동 기능 장애가 발생한다.[31] GAD가 풍부한 이자에서 직접적인 면역학적 파괴가 일어나 환자는 당뇨병을 앓게 된다.[31]
5. 4. 향미 증진제
글루탐산은 단백질을 구성하는 성분으로 단백질을 함유한 식품에 존재하지만 결합되지 않는 형태로 존재할 때만 맛을 볼 수 있다. 상당한 양의 유리 글루탐산은 치즈와 간장을 포함한 다양한 식품에 존재하며, 사람의 미각의 5가지 기본 맛 중 하나인 감칠맛을 담당한다. 글루탐산은 보통 글루탐산 일나트륨(MSG)으로 알려진 나트륨 염의 형태로 식품 첨가물 및 향미 증진제로 사용된다.글루탐산은 다시마, 치즈, 녹차 등에 다량 함유되어 있으며, 표고버섯, 토마토, 어패류 등에도 비교적 많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글루탐산은 인간에게 감칠맛으로 느껴지는 성분 중 하나로 알려져 있지만, 식품에 따라서는 반드시 좋은 결과를 얻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일본술의 경우에는 글루탐산을 첨가하면 신맛이나 떫은맛을 주어 품질이 저하된다[46]. 그럼에도 불구하고, 글루탐산은 주로 식품 첨가물인 L-글루탐산나트륨(글루탐산 소다, mono sodium glutamate, MSG 또는 글루소라고도 불림)의 중간 원료로 제조, 이용된다. 글루탐산 자체는 신맛을 가지므로, 그 나트륨 염인 글루탐산나트륨이 감칠맛 조미료로 적량을 첨가하는 형태로 이용되는 경우가 있다. L-글루탐산나트륨을 주성분으로 하는 조미료로는 일본에서 아지노모토 등이 알려져 있다.
또한, 다시마 등으로부터 글루탐산 추출에는 "물에 포함된 미네랄이 악영향을 미치므로 경도가 낮은 물의 사용이 바람직하다" 등과 같이 유포되는 사례가 일본에서 보여져 왔다[47][48][49]. 그러나 다수의 경도가 다른 물을 사용한 연구에 따르면, 다시마로부터 글루탐산나트륨 추출량에 있어서 '''경도의 영향은 부정'''되었다[50]. 다만, 같은 연구에서는 칼슘의 영향으로 점성이 상승하기 때문에, 추출되는 글루탐산의 양과는 관계없이 다시마로 육수를 내는 데에는 칼슘이 많은 물은 적합하지 않다고 하고 있다[50].
5. 5. 영양
육류, 가금류, 생선, 계란, 유제품, 다시마는 글루탐산의 훌륭한 공급원이다. 일부 단백질이 풍부한 식물성 식품도 공급원 역할을 한다. 글루텐의 30~35%(밀의 단백질 대부분)는 글루탐산이다. 식이 글루탐산의 95%는 첫 번째 통과에서 장세포에 의해 대사된다.[82]5. 6. 식물 생장
옥시그로는 글루탐산이 30% 함유된 식물 생장 제제이자 촉진제이다.5. 7. 핵자기 공명 분광법
최근 몇 년 동안 핵자기 공명 분광법(NMR)에서 잔류 쌍극자 결합(RDC)을 사용하는 것에 대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었다. 글루탐산 유도체인 폴리-γ-벤질-L-글루탐산(PBLG)은 관찰된 쌍극자 상호작용의 규모를 제어하기 위한 정렬 매체로 종종 사용된다.[83]6. 더 읽을거리
- 데이비드 L. 넬슨, 마이클 M. 콕스 (2005). 《생화학의 원리》 (4판). 뉴욕: W. H. 프리먼. ISBN 0-7167-4339-6.
참조
[1]
웹사이트
L-Glutamic acid
https://pubchem.ncbi[...]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2023-06-24
[2]
서적
Food Chemistry
https://books.google[...]
Springer
2009-02-27
[3]
웹사이트
Amino Acid Structures
http://www.cem.msu.e[...]
cem.msu.edu
[4]
웹사이트
Nomenclature and Symbolism for Amino Acids and Peptides
http://www.chem.qmul[...]
IUPAC-IUB Joint Commission on Biochemical Nomenclature
2018-03-05
[5]
문서
Webster's Third New International Dictionary of the English Language Unabridged
[6]
문서
Biology and Human Behavior: The Neurological Origins of Individuality
The Teaching Company
[7]
간행물
Amino acid names and parlor games: from trivial names to a one-letter code, amino acid names have strained students' memories. Is a more rational nomenclature possible?
http://linkinghub.el[...]
1998-04
[8]
간행물
"Dissociation constants and structures of glutamic acid and its esters"
[9]
간행물
Thermodynamics of the second proton dissociation processes of nine α-amino-acids and the third ionization processes of glutamic acid, aspartic acid and tyrosine
[10]
간행물
Precision neutron diffraction structure determination of protein and nucleic acid components. VIII: the crystal and molecular structure of the β-form of the amino acidl-glutamic acid
[11]
서적
Organic Chemistry
Cengage Learning
[12]
웹사이트
D-glutamate
https://pubchem.ncbi[...]
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
2017-02-17
[13]
간행물
Compensation for D-glutamate auxotrophy of Escherichia coli WM335 by D-amino acid aminotransferase gene and regulation of murI expression
[14]
서적
The Chemical Constitution of the Protein
https://books.google[...]
Longmans, Green and Co.
2012-06-03
[15]
뉴스
If MSG is so bad for you, why doesn't everyone in Asia have a headache?
http://observer.guar[...]
2005-07-10
[16]
웹사이트
Kikunae Ikeda Sodium Glutamate
http://www.jpo.go.jp[...]
Japan Patent Office
2002-10-07
[17]
간행물
Glutamate dehydrogenase of the germinating triticale seeds: Gene expression, activity distribution and kinetic characteristics
[18]
서적
Methods and Reagents for Green Chemistry: An Introduction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2007
[19]
서적
Encyclopedia of Industrial Biotechnology: Bioprocess, Bioseparation, and Cell Technology, 7 Volume Set
https://books.google[...]
Wiley
2010
[20]
간행물
Derivation and synthesis of renewable surfactants
[21]
간행물
Glutamate as chemotactic fuel for diffuse glioma cells: are they glutamate suckers?
https://orbilu.uni.l[...]
2014-08
[22]
간행물
Tumor cells in search for glutamate: an alternative explanation for increased invasiveness of IDH1 mutant gliomas
2014-12
[23]
간행물
Glutamate as a neurotransmitter in the brain: Review of physiology and pathology
[24]
간행물
Glutamate: Its role in learning, memory, and the aging brain
[25]
간행물
Imaging extrasynaptic glutamate dynamics in the brain
[26]
간행물
Nonvesicular Release of Glutamate by Glial xCT Transporters Suppresses Glutamate Receptor Clustering In Vivo
[27]
간행물
Group II metabotropic glutamate receptors modulate extracellular glutamate in the nucleus accumbens
[28]
간행물
The glutamate/GABA-glutamine cycle: aspects of transport, neurotransmitter homeostasis and ammonia transfer
https://pubmed.ncbi.[...]
2006-08
[29]
간행물
GABAB receptors
https://linkinghub.e[...]
1995-01
[30]
서적
Autoantibodies
[31]
간행물
Stiff Person Syndrome Spectrum Disorders; More Than Meets the Eye
2022-08-15
[32]
간행물
Intestinal glutamate metabolism
2000-04-01
[33]
문서
Concepts Magn. Reson. A
[34]
간행물
Effects of LY354740, a novel glutamatergic metabotropic agonist, on nonhuman primate hypothalamic-pituitary-adrenal axis and noradrenergic function
2001-07
[35]
간행물
Glutamate receptors and the regulation of steroidogenesis in the human adrenal gland: The metabotropic pathway
2014-01
[36]
논문
Transport of glutamate and other amino acids at the blood–brain barrier
2000-04
[37]
논문
The blood-brain barrier and glutamate
2009-09
[38]
논문
Cannabidiol and (−)Δ9-tetrahydrocannabinol are neuroprotective antioxidants
1998
[39]
논문
Neuroprotective Antioxidants from Marijuana
https://nyaspubs.onl[...]
2006
[40]
서적
化学・英和用語集(第2版)
化学同人
1990-04-01
[41]
문서
例えば、ナトリウムとの塩ならば、[[グルタミン酸ナトリウム]]といった具合である。
[42]
서적
化学・英和用語集(第2版)
化学同人
1990-04-01
[43]
문서
事実、[[Special:Permalink/99403062|Wikipedia日本語版では、そのように書かれていた版]]が存在した。
[44]
문서
ただし[[抗てんかん薬]]には、様々な作用機序の薬物が存在する。必ずしも、神経伝達物質のグルタミン酸に関わるとは限らない。詳しくは、脳に作用する多数の薬物や、脳科学に関する解説を参照。
[45]
문서
グルタミン酸をエネルギー源として利用する場合には、このように、アミノ基を引き抜いて、アンモニアを遊離させる必要が出る。他のアミノ酸をエネルギー源として利用する場合などにも、やはりアミノ基が引き抜かれて、アンモニアが遊離する。こうして生体内で出てきたアンモニアの処理のために、ヒトの肝臓ではエネルギーを消費してでも[[尿素回路]]で、尿素を合成して、肝性脳症の発生を防いでいる。なお、そうして合成された尿素は、主に腎臓から排泄される。
[46]
서적
醸造の事典
朝倉書店
2021-06-01
[47]
웹사이트
軟水と硬水について
http://www.cosmowate[...]
[48]
웹사이트
硬水・軟水で料理の味が変わる
http://aissy.co.jp/a[...]
[49]
웹사이트
軟水、硬水はどのように使い分けされているのでしょうか。
http://minekyo.net/p[...]
[50]
논문
ミネラルウォーター類の使用が昆布だし汁に及ぼす影響
https://doi.org/10.2[...]
日本食生活学会
[51]
논문
アミノ酸発酵技術の系統化調査
https://dl.ndl.go.jp[...]
国立科学博物館
2024-01-22
[52]
문서
タンパク質の[[一次構造]]には、グルタミン酸以外も含まれるため、 酸加水分解法の反応容器内で、純粋なグルタミン酸の塩酸塩が得られない事は、自明である。
[53]
문서
ラセミ体の[[光学分割]]は、一般に難しい。詳しくは、ラセミ体や光学分割や不斉合成に関する解説を参照。
[54]
웹사이트
日本学士院賞 「醱酵によるアミノ酸類の生成に関する研究」
https://www.japan-ac[...]
日本学士院
2022-05-08
[55]
웹사이트
アミノ酸発酵 - 日本大百科全書(ニッポニカ)
https://kotobank.jp/[...]
コトバンク
2024-08-21
[56]
웹인용
L-Glutamic acid CAS#: 56-86-0
http://www.chemicalb[...]
[57]
서적
Food Chemistry
https://books.google[...]
2009-02-27
[58]
웹인용
Amino Acid Structures
http://www.cem.msu.e[...]
cem.msu.edu
[59]
웹인용
Nomenclature and Symbolism for Amino Acids and Peptides
http://www.chem.qmul[...]
IUPAC-IUB Joint Commission on Biochemical Nomenclature
2018-03-05
[60]
서적
Webster's Third New International Dictionary of the English Language Unabridged
1971
[61]
서적
Biology and Human Behavior: The Neurological Origins of Individuality
The Teaching Company
2005
[62]
논문
Dissociation constants and structures of glutamic acid and its esters
1936
[63]
논문
Thermodynamics of the second proton dissociation processes of nine α-amino-acids and the third ionization processes of glutamic acid, aspartic acid and tyrosine
[64]
논문
Precision neutron diffraction structure determination of protein and nucleic acid components. VIII: the crystal and molecular structure of the β-form of the amino acidl-glutamic acid
[65]
서적
Organic Chemistry
Cengage Learning
2008
[66]
웹사이트
D-glutamate
https://pubchem.ncbi[...]
[67]
논문
Compensation for {{sc|D}}-glutamate auxotrophy of Escherichia coli WM335 by {{sc|D}}-amino acid aminotransferase gene and regulation of murI expression
[68]
서적
The Chemical Constitution of the Protein
https://books.google[...]
Longmans, Green and Co.
2012-06-03
[69]
뉴스
If MSG is so bad for you, why doesn't everyone in Asia have a headache?
http://observer.guar[...]
2005-07-10
[70]
웹인용
Kikunae Ikeda Sodium Glutamate
http://www.jpo.go.jp[...]
Japan Patent Office
2002-10-07
[71]
저널
Glutamate dehydrogenase of the germinating triticale seeds: Gene expression, activity distribution and kinetic characteristics
[72]
서적
Methods and Reagents for Green Chemistry: An Introduction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2007
[73]
서적
Encyclopedia of Industrial Biotechnology: Bioprocess, Bioseparation, and Cell Technology, 7 Volume Set
https://books.google[...]
Wiley
2010
[74]
저널
Derivation and synthesis of renewable surfactants
[75]
저널
Glutamate as chemotactic fuel for diffuse glioma cells: are they glutamate suckers?
2014-08
[76]
저널
Tumor cells in search for glutamate: an alternative explanation for increased invasiveness of IDH1 mutant gliomas
2014-12
[77]
저널
Glutamate as a neurotransmitter in the brain: Review of physiology and pathology
[78]
저널
Glutamate: Its role in learning, memory, and the aging brain
[79]
저널
Imaging extrasynaptic glutamate dynamics in the brain
[80]
저널
Nonvesicular Release of Glutamate by Glial xCT Transporters Suppresses Glutamate Receptor Clustering In Vivo
[81]
저널
Group II metabotropic glutamate receptors modulate extracellular glutamate in the nucleus accumbens
[82]
저널
Intestinal glutamate metabolism
2000-04-01
[83]
간행물
C. M. Thiele, Concepts Magn. Reson. A, 2007, 30A, 65–80
[84]
저널
Effects of LY354740, a novel glutamatergic metabotropic agonist, on nonhuman primate hypothalamic-pituitary-adrenal axis and noradrenergic function
2001-07
[85]
저널
Glutamate receptors and the regulation of steroidogenesis in the human adrenal gland: The metabotropic pathway
2014-01
[86]
저널
Transport of glutamate and other amino acids at the blood–brain barrier
2000-04
[87]
저널
The blood-brain barrier and glutamate
2009-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