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SJ Dm3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SJ Dm3는 스웨덴 국철(SJ)에서 사용된 3량 연결 전기 기관차이다. 1953년 도입된 2량 연결 Dm형 기관차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중간 기관차를 추가하여 개발되었다. Dm3형은 최대 5,400톤의 열차를 견인할 수 있었으며, 7200kW의 출력과 940kN의 견인력을 갖춰 등장 당시 세계 최대 규모였다. 1996년 민간 기업인 LKAB Malmtrafik(MTAB)으로 이전되어 철광석 노선에서 운행되었으나, IORE 기관차의 도입으로 2011년까지 운행이 종료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스웨덴의 철도 차량 - 봄바디어 레지나
    봄바디어 레지나는 1990년대 초 스웨덴에서 개발된 지역 교통용 전동차로, 광폭 설계와 다양한 맞춤형 옵션을 통해 스웨덴 국내외에서 운행되며 중국 고속철도 차량 CRH1의 기반이 되었다.
  • 스웨덴의 철도 차량 - SJ X40
    SJ X40은 스웨덴 철도청에서 운행했던 2층 객차 고속 열차이며, 200km/h의 속도로 운행하고 1등석과 2등석을 갖췄으나, 기술적 문제와 좁은 공간으로 인해 개선 및 대체되었다.
  • 스웨덴 - 칼 16세 구스타프
    칼 16세 구스타프는 1973년 즉위한 스웨덴 국왕으로, 1974년 헌법 개정 이후 의례적인 국가 원수 역할을 수행하며 스웨덴 사회의 변화와 안정에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지만, 보수적인 성향에 대한 비판과 과거 논란 및 사생활 의혹도 존재한다.
  • 스웨덴 - 스웨덴 제국
    스웨덴 제국은 17세기 중반부터 18세기 초까지 발트해를 중심으로 북유럽을 지배했던 강대국으로, 베스트팔렌 조약으로 시작하여 대북방 전쟁에서 패배하며 몰락했다.
  • 철도 차량 - 서울 지하철 6호선
    서울 지하철 6호선은 서울특별시 은평구에서 중랑구까지 이어지는 총 36.4km의 지하철 노선으로, 2000년 개통 이후 2019년 신내역까지 연장되었으며, 현재 39개의 역을 운영하고 다른 노선들과 환승이 가능하다.
  • 철도 차량 - KTX-이음
    KTX-이음은 현대로템이 제작한 대한민국 최초의 상용 고속전동차로, 동력분산식 시스템과 친환경 공조시스템을 갖춘 6량 편성의 열차이며, 현재 중앙선, 강릉선, 영동선, 중부내륙선 등에서 운행되고 우즈베키스탄에 기술 수출에도 성공했다.
SJ Dm3
개요
아비스코 외스트라 역에 있는 Dm3
아비스코 외스트라 역에 있는 Dm3
기본 정보
차량 종류전기 기관차
동력전기
제조사ASEA
제작 연도1954년-1971년
총 생산량97량 (Dm: 20량, Dm3: 19량)
UIC 분류Dm: 1′D+D1′
Dm3: 1′D+D+D1′
전체 길이Dm:
Dm3:
기관차 중량Dm:
Dm3:
전기 시스템가선
집전 방식팬터그래프
출력Dm:
Dm3:
견인력(Dm3)
현재 상태2010년대부터 IORE에 의해 대체됨
운행 정보
운용 기관스웨덴 국철 ()

2. 역사

스웨덴 룰레오노르웨이 나르비크 사이의 말름 선 및 오포트 선 철광석 노선은 1914년부터 O-시리즈 기관차를 기반으로 한 Of급 기관차가 운행하고 있었다. 이들 기관차를 대체하기 위해 스웨덴 국철(SJ)은 당시 주문 중이던 새로운 Da급 기관차를 기반으로 철광석 노선에 특화된 새로운 기관차를 주문하기로 결정했다.

1953년, 2량 영구중련으로 구성된 초기 Dm급 기관차 24량이 인도되었고, 1960년대에는 더 강력한 모터를 장착한 15량이 추가로 인도되었다. 이 과정에서 초기 도입분 중 4량도 더 강력한 모터로 개량되었다. 처음 개발되었을 때 2량 연결 Dm급 기관차는 3400ton의 열차를 견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1960년대 후반, 철광석 생산량 증가로 열차 중량이 점차 늘어나면서 기존 Dm급의 성능으로는 한계에 부딪혔다. 이에 SJ는 19량의 동력 없는 중간 유닛(Dm3 유닛)을 추가로 주문하여 기존 Dm급 두 량 사이에 영구적으로 연결했다. 이렇게 개조된 기관차는 Dm3급으로 분류되었으며, Dm+Dm3+Dm 형태로 연결되어 최대 5400ton의 열차를 견인할 수 있게 되었다. 이 시기에 운전실도 새로운 제어 장치 배치와 추가적인 소음 방지 설비로 현대화되었다. 한편, 이웃한 노르웨이 국영 철도는 유사한 시기에 운행 현대화를 위해 NSB El 15라는 더 강력한 기관차를 자체적으로 개발, 도입하는 길을 선택했다.

1979년부터 운전실 개조를 통해 소음이 줄어들었다. 1980년대에는 2중련 Dm급 기관차 대부분이 스웨덴 철도의 다른 노선으로 이동하였고, Dm3급은 주로 철광석 노선에 집중 투입되었다. 1990년대에는 기계식 스위치를 전자식으로 교체하고, 방음 처리를 강화했으며, 구동축 진동을 줄이기 위해 운전대와 좌석에 스프링을 설치하는 등의 개량이 이루어졌다. 초기에는 갈색 도색이었으나, 1990년대에 현재의 파랑-회색 도색으로 변경되었다.

1996년, 철광석 노선 운영권과 함께 모든 Dm3 및 다수의 Dm급 기관차는 민간 기업 MTAB으로 소유권이 이전되었다. 이때 남은 2중련 Dm급은 Dm2로 재분류되었다. 열차 중량이 계속 증가함에 따라 MTAB는 노후화된 Dm2 및 Dm3를 대체할 새로운 기관차 도입을 결정했다.

2000년부터 봄바르디에에서 제작한 신형 IORE 기관차가 도입되기 시작하면서 모든 Dm2급과 여러 Dm3급이 운행에서 제외되었다. 2004년에는 Dm3 한 편성(976-977-978호)이 철도 유산 보존 단체인 Malmbanans Vänner에 기증되었다. MTAB는 충분한 수의 IORE 기관차가 확보되는 2011년까지 나머지 Dm3급을 모두 퇴역시키기로 계획했다.

Dm3 기관차는 스웨덴의 아세아(ASEA, 현 ABB)에서 제조되었으며, 모든 바퀴가 증기 기관차처럼 커넥팅 로드로 연결된 독특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3. 기술적 특징

스웨덴의 기업 아세아(현 ABB)에서 제조되었다. 모든 바퀴가 증기 기관차처럼 커넥팅 로드로 연결된 독특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3. 1. Da

Da 기관차는 기존 D형 전기 기관차의 개량형으로 설계되었으나, 이후 완전히 새로운 설계로 변경되었다. 1952년부터 총 90량이 제조되었으며, 여객 열차와 화물 열차 운행에 모두 사용되었다. 1970년대에 운전실을 개선하는 개량이 이루어졌고, 1980년대부터 퇴역하기 시작하여 1990년대 초반에 완전히 퇴역하였다. 퇴역한 차량 중 일부는 사철 회사로 매각되었으며, 현재 1량이 보존 중이다.

3. 2. Dm & Dm3

말름 선과 오포트 선을 통해 스웨덴 룰레오노르웨이 나르비크로 향하는 철광석 열차는 본래 SJ Of급 기관차가 담당했다. 이는 1914년부터 사용된 SJ O 시리즈 기관차를 기반으로 한 것이었다. SJ는 이 기관차들을 대체하기 위해 당시 개발 중이던 SJ Da급 기관차를 기반으로 새로운 철광석 운송용 기관차를 주문하기로 결정했다.
Dm형 기관차는 2량 영구중련 형태로 설계되었으며, 1953년에 초기 24량이 도입되었다. 1960년대에는 더 강력한 모터를 장착한 15량이 추가로 도입되었고, 초기 도입분 중 4량도 개량되었다. Dm형은 최대 3400ton의 화물 열차를 견인할 수 있었다. 스웨덴의 아세아(현 ABB)에서 제조되었으며, 모든 바퀴가 증기 기관차처럼 커넥팅 로드로 연결된 독특한 구조를 가졌다.

1960년대 후반, 철광석 생산량이 증가하면서 더 강력한 견인력이 요구되었다. 이에 SJ는 기존 Dm 기관차 2량 사이에 동력이 없는 중간 차(Dm3 유닛)를 추가하여 3량 영구중련 형태의 기관차를 만들었다. 이렇게 개조된 19편성은 Dm3형으로 분류되었으며, Dm+Dm3+Dm의 구성을 갖추었다. Dm3형은 최대 5400ton의 열차를 견인할 수 있게 되었다. Dm3형은 총 12축 구동의 초거대 기관차로, 출력 7200kW, 견인력 940kN을 발휘하여 등장 당시 세계 최대 수준의 성능을 자랑했다. 강력한 견인력을 확보하기 위해 최고 속도는 75km/h로 제한되었다.

1979년부터 운전실 개조를 통해 소음이 줄어들었다. 1980년대에는 2량 편성의 Dm 기관차 대부분이 스웨덴 내 다른 노선으로 이동하였고, 철광석 노선은 주로 Dm3형이 운행하게 되었다. 1996년, 철광석 노선 운영권이 민간 기업인 MTAB으로 이전되면서 남아있던 3량 편성 기관차는 모두 Dm3으로 통칭되었고, 2량 편성 기관차는 Dm2로 재분류되었다. MTAB 인수 이후 1990년대에는 기계식 스위치를 전자식으로 교체하고, 방음 처리를 강화했으며, 운전대와 운전석에 스프링을 설치하여 구동축에서 전달되는 진동을 줄이는 개량이 이루어졌다. 초기에는 갈색으로 도색되었으나, 1990년대에 파랑-회색으로 재도색되어 현재까지 이 도색을 유지하고 있다.

2000년부터 신형 IORE 기관차가 도입되기 시작하면서 Dm2 기관차는 모두 퇴역했고, Dm3 기관차도 점차 운행에서 제외되었다. MTAB는 IORE 기관차가 충분히 확보되는 2011년까지 모든 Dm3 기관차를 퇴역시키기로 계획했다. 2004년에는 Dm3 한 세트가 철도 유산 보존 단체인 Malmbanans Vänner에 기증되었다.

4. 파생형

SJ Da 기관차를 기반으로 말름 선과 오포트 선의 철광석 수송을 위해 여러 파생형 기관차가 개발되었다.


  • '''Da형''': 기존의 D형 전기 기관차를 개량한 모델로, 1952년부터 총 90량이 제조되었다. Dm 및 Dm3 기관차 개발의 기반이 되었다. 1990년대 초반까지 모두 퇴역하였다.

  • '''Dm형 / Dm2형''': 말름 선과 오포트 선의 철광석 수송을 위해 Da 기관차를 기반으로 개발된 초기 모델이다. 1953년에 24량, 1960년대에 15량이 추가 도입되어 총 39량이 운행되었다. 2량 영구 중련 방식으로 설계되어 8축(1'D+D1')을 가지며, 최대 3400ton의 열차를 견인할 수 있었다. 스웨덴 키루나 철산에서 생산된 철광석을 룰레오노르웨이 나르비크로 수송하는 데 주로 사용되었다. 1996년 철광석 노선 운영권이 민간 기업 MTAB으로 이전되면서, 3량 연결형인 Dm3을 제외한 기존 Dm형 기관차는 '''Dm2형'''으로 재분류되었다. 2000년대 IORE 기관차가 도입되면서 운행에서 제외되었다.

  • '''Dm3형''': 1960년대 후반, 철광석 수송량 증가에 대응하기 위해 기존 Dm형 기관차 2량 사이에 동력 유닛을 추가하여 제작된 3량 연결형 기관차이다. 총 19량이 Dm형에서 개조되었다. Dm+Dm3+Dm 형태로 연결되어 총 12축(1'D+D+D1')을 가지며, 최대 5400ton의 대형 철광석 열차를 견인할 수 있었다. 출력은 7,200kW, 견인력은 940kN에 달해 등장 당시 세계 최대 수준의 성능을 자랑했다. 다만, 높은 견인력을 확보하기 위해 최고 속도는 75km/h로 제한되었다. Dm형과 마찬가지로 오포트 선에서 철광석 수송을 담당했으나, IORE 도입으로 폐차가 진행되어 2011년까지 전 차량이 운용에서 이탈했다. 2004년에는 한 세트가 보존 단체인 Malmbanans Vänner에 기증되었다.


구분기반 모델연결 방식축 수제조 수량주요 특징퇴역 시기
DaD형단량-90량Dm/Dm3의 기반 모델1990년대 초반
Dm/Dm2Da2량 중련8축 (1D+D1)39량초기 철광석 수송 주력, 3400ton 견인2000년대 (IORE 도입 후)
Dm3Dm3량 중련 (Dm+Dm3+Dm)12축 (1D+D+D1)19량 (Dm 개조)대형 철광석 열차 견인 (5400ton), 7,200kW 출력, 940kN 견인력, 최고속도 75km/h 제한2011년


5. 운행 현황

스웨덴 북부의 말름 선과 노르웨이의 오포트 선을 잇는 노선에서 철광석 수송 열차를 견인하는 데 사용되었다. 초기에는 2량 연결 Dm 기관차가 운행되었으나, 수송량 증가에 따라 1960년대 후반부터 중간차(Dm3)를 추가한 3량 연결 방식(Dm+Dm3+Dm)으로 운행되었다.

1996년, 철광석 노선 운영권이 국영 철도 회사에서 민간 기업인 MTAB으로 이전되면서 Dm3 기관차의 소유권도 함께 넘어갔다. MTAB는 열차 중량 증가에 대응하고 노후된 기관차를 대체하기 위해 2000년부터 신형 IORE 기관차를 도입하기 시작했다.

IORE 기관차 도입이 진행되면서, 기존의 Dm2(2량 연결) 기관차는 모두 퇴역했으며 Dm3 기관차도 점차 운행에서 제외되었다. MTAB는 IORE 기관차 도입이 완료되는 2011년까지 모든 Dm3 기관차를 퇴역시키기로 결정하였고, 계획대로 2011년에 모든 Dm3 기관차는 영업 운행에서 물러났다.

퇴역한 Dm3 기관차 중 한 세트는 2004년 철도 유산 보존 단체인 Malmbanans Vänner에 기증되어 보존되고 있다.

6. 차량 목록

MTAB로 소유권이 이전된 후에도 차량 번호는 바뀌지 않았으며, 모든 MTAB 기관차는 LKAB의 광산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차량 번호이름상태 및 비고이미지
974-983-975Malte원래 Dm2(974-975). 1999년, 사고 폐차된 1217-1238-1218호 대신 982-983-984호의 중간차(983)를 연결해 Dm3로 개조. 2002년 폐차.
976-977-978Bruno개조되지 않음. 2002년 역사적 기관차 지정, 2004년 보존 처리.
보존된 SJ Dm3 976-977-978 기관차
979-980-9811993년 상태 악화로 폐차.
982-983-9841996년 상태 악화로 운행 중단. 중간차 983호는 1999년 Dm2 974-975에 연결되어 974-983-975 편성으로 재활용. 나머지 폐차.
SJ Dm 982, Dm3 984, Dm 983 연결 모습
1201-1231-1202Kunigunda개조 완료.
1203-1233-1204-1988년 운행 중단 및 예비 부품용 전환. 1991년 폐차.
예비 부품용으로 사용된 SJ Dm 1204
1205-1235-1206Sigrid개조 완료.
SJ Dm 1206 기관차
1207-1232-1208Sofia개조 완료. Dm3 Sofia 사진
MTAB Dm3 Sofia
1209-1234-1210Viktor개조 완료.
SJ Dm3 1209 기관차
1211-1236-1212Konsuln개조 완료.
연결된 SJ Dm 1212 기관차
1213-1237-1214Johan개조 완료. 2004년 9월부터 운행 중단.
1215-1245-1216Josefina개조 완료.
나르비크의 MTAB Dm3 Josefina
1217-1238-1218Hermelin개조 완료.
1219-1239-1220Dennewitz개조 완료.
MTAB Dm3 1219 기관차
1221-1240-1222-1993년 3월 19일 노르웨이 카테라트(Katterat) 추락 사고. 현장 폐기 후 동년 11월 차적 삭제.
1223-1241-1224Baron개조 완료.
1225-1242-1226Alliansen개조 완료.
화물 열차를 견인하는 SJ Dm3 1225
1227-1243-1228Kapten개조 완료.
1993년 6월 나르비크역의 철광석 열차
1229-1244-1230Rektorn개조 완료.
1246-1247-1248Oskar개조 완료. 2013년부터 역사적 기관차 지정.
스웨덴 예블레에서 촬영된 Dm3 Oskar


6. 1. Dm3

말름 선과 오포트 선을 통해 스웨덴 룰레오노르웨이 나르비크로 향하는 철광석 열차는 본래 Dm 기관차가 주로 견인했다. Dm 기관차는 1953년부터 도입된 2량 영구중련 편성으로, 총 39편성(78량)이 제작되었다. 이 2량 연결 기관차(Dm+Dm)는 최대 3400ton의 화물을 견인할 수 있었다.

1960년대 후반 철광석 생산량이 증가하면서 더 강력한 견인력이 요구되었다. 이에 따라 기존 Dm 기관차 2량 사이에 동력 기능을 갖춘 중간 기관차 1량을 추가하는 개조가 이루어졌고, 이 중간 기관차를 'Dm3'이라고 불렀다. 총 19량의 Dm3 중간 기관차가 제작되어 기존 Dm 편성에 삽입되었으며, 전체 편성은 Dm+Dm3+Dm의 3량 연결 형태가 되었다. 이 Dm3 편성의 총 출력은 7200kW, 견인력은 940kN에 달했으며, 최대 5400ton의 철광석 열차를 견인할 수 있었다. 견인력을 극대화하기 위해 최고 속도는 75km/h로 제한되었다. 등장 당시 세계 최대 수준의 견인력을 자랑하는 강력한 기관차였다.

1979년에는 운전실 개조를 통해 소음이 줄어들었으며, 1990년대에는 기계식 스위치를 전자식으로 교체하고 방음 처리를 강화하는 등 추가적인 개량이 이루어졌다. 또한 구동축에서 전달되는 진동을 줄이기 위해 운전대와 운전석에 스프링이 설치되었다. 초기 도색은 갈색이었으나, 1990년대에 파랑-회색 도색으로 변경되었다.

1996년, 철광석 운송 사업이 국영 철도 회사에서 MTAB(Malmtrafik i Kiruna AB)로 이관되면서 기관차의 소유권도 함께 넘어갔다. 이때부터 3량 연결 편성 전체를 'Dm3'으로 통칭하게 되었고, 기존의 2량 연결 편성은 'Dm2'라고 불리기도 한다.

2000년부터 후계 기종인 IORE 기관차가 도입되기 시작하면서 Dm3 기관차는 점차 퇴역하기 시작했다. 당초 2011년까지 모든 Dm3 기관차가 퇴역할 예정이었으나, IORE 기관차 도입 완료 시점 등의 이유로 현재까지도 16량의 Dm3 기관차가 키루나 철산과 나르비크 항구를 잇는 오포토 철도 구간에서 철광석 수송 열차를 견인하며 운행 중이다. 2004년에는 1량이 보존 목적으로 지정되었다.

Dm 계열 기관차 비교
형식연결 방식축 배치제작 수량주요 특징도입 시기퇴역 시기
Da단량1'C1'90량D형 개량형1952년~1990년대 초반
Dm (Dm2)2량 연결 (Dm+Dm)CoCo+Co'Co'39편성 (78량)최대 3400ton 견인1953년~2000년대 (IORE 도입 후)
Dm33량 연결 (Dm+Dm3+Dm)CoCo+CoCo+Co'Co'19편성 (중간차 19량 추가)최대 5400ton 견인, 출력 7200kW, 견인력 940kN1960년대 후반~2000년대~ (IORE 도입 후, 16량 운행 중)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