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SK (기업)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SK는 1998년 SK그룹 계열사에 대한 서비스를 시작한 기업으로, 2021년 SK Inc.로 사명을 변경했다. 2003년 지주회사 체제 전환을 위해 SK홀딩스를 설립했으며, 2015년 SK홀딩스와 SK C&C를 합병하여 경영 구조를 간소화했다. SK는 SK그룹의 지주회사 역할을 하며, IT 서비스 사업을 영위한다. SK C&C는 시스템 통합 및 IT 아웃소싱 사업을 중심으로, 관계사 및 정부기관의 전산 시스템 구축을 담당한다. 본점은 서울 종로구에 위치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92년 해체된 기업 - 한솔제지
    한솔제지는 1965년 새한제지공업으로 설립되어 전주제지를 거쳐 1992년 현재의 사명으로 변경된 제지 회사로, 삼성그룹 인수 후 분리, 사업 다각화와 구조조정을 거쳐 제지 사업에 집중하다 2015년 지주회사인 한솔홀딩스 체제로 전환, 2022년 한솔이엠이와 합병하며 사업 영역을 확장했다.
  • 1992년 해체된 기업 - 카리스마 레코드
    1969년 토니 스트래턴-스미스가 설립한 카리스마 레코드는 제네시스, 피터 가브리엘 등 다양한 아티스트의 음반을 발매하며 성장한 영국의 음반사로, 뉴 웨이브와 레게 음악을 전문으로 하는 자회사 프리 레코드를 운영하기도 했다.
  • 전국경제인연합회 - 김병준 (1954년)
    김병준은 영남대 정치학과 졸업 후 한국외대와 델라웨어 대학교에서 석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국민대 행정정책학부 교수를 거쳐 노무현 정부 청와대 정책실장과 교육인적자원부 장관, 박근혜 정부 국무총리 후보, 자유한국당 혁신비상대책위원장, 윤석열 정부 인수위 지역균형발전특별위원장을 역임하고 현재 사회복지공동모금회 회장으로 활동 중인 정치학자이자 정치인이다.
  • 전국경제인연합회 - 박용만 (1955년)
    대한민국의 기업인 박용만은 두산그룹 회장과 대한상공회의소 회장을 역임하며 그룹 경영을 이끌고 경제 발전에 기여했을 뿐 아니라 문화예술계 발전에도 힘썼다.
  • 1998년 해체된 기업 - OB 맥주
    OB맥주는 1933년 오리엔탈 브루어리로 시작하여 두산그룹을 거쳐 인베브에 인수, AB인베브의 자회사가 되었으며, 카스, 카프리 등 인기 브랜드를 생산하며 한국 맥주 시장의 주요 업체로 자리매김한 맥주 회사이다.
  • 1998년 해체된 기업 - 엑스큐티브 아웃컴즈
    엑스큐티브 아웃컴즈는 1989년 설립된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민간 군사 기업으로, 분쟁 지역에서 군사 훈련 및 작전을 수행하며 다국적 기업과 정부를 고객으로 두었으나, 국제적 압력과 규제 강화로 1998년 해체되었고 민간 군사 기업의 역할과 윤리적 문제에 대한 논쟁을 야기했다.
SK (기업) - [회사]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회사 이름SK 주식회사
로고
원어 이름에스케이 주식회사
이전 이름SK 홀딩스
형태주식회사
산업복합 기업
IT 서비스
설립일1991년
본사 도시서울특별시
본사 국가대한민국
주요 인물최태원 (회장 & CEO)
장동현 (대표이사 사장)
박성하 (대표이사 사장)
자회사SK 이노베이션
SK 텔레콤
웹사이트SK Inc. 공식 웹사이트
회사 정보 (한국어)
한국어 이름에스케이 주식회사
창립1991년 4월 13일 선경텔레콤
1992년 대한텔레콤
1998년 11월 SK C&C
2015년 8월 1일 SK주식회사
창립자최종현
해체1992년 선경텔레콤
1998년 대한텔레콤
2015년 7월 SK㈜
상장일2009년 11월 11일
장소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 26 (서린동)
인물최태원 (대표이사 회장)
장동현 (대표이사 부회장)
장용호 (대표이사 사장)
산업회사본부, 지주회사 및 경영컨설팅 서비스업, IT 컨설팅, 시스템 통합, 아웃소싱 등
서비스비금융 지주회사
시스템 소프트웨어 개발 및 공급업
소프트웨어 개발업
대표 제품SK
자본금16,143,092,421원 (2021.12)
매출액98,325,016,454,150원 (2021)
영업이익4,935,539,418,089원 (2021)
순이익5,718,424,148,362원 (2021)
자산총액165,380,860,677,668원 (2021.12)
주주최태원 외 특수관계인: 26.69%
국민연금: 8.38%
종업원4,448명 (2021.12)
자회사SK E&S주식회사
SK바이오팜주식회사
SK임업주식회사
휘찬주식회사
SK리츠운용주식회사
행복동행주식회사
SK트리켐주식회사
SK머티리얼즈에어플러스주식회사
SK쇼와덴코주식회사
SK머티리얼즈리뉴텍주식회사
SK머티리얼즈퍼포먼스주식회사
SK머티리얼즈제이엔씨주식회사
SK머티리얼즈그룹포틴주식회사
SK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주식회사
SK머티리얼즈주식회사
웹사이트SK주식회사 홀딩스
SK주식회사 C&C

2. 역사

1998년 SK그룹 계열사에 대한 서비스를 시작하였다. 2007년 중국과 인도에 법인을 설립하였고, 2008년 아제르바이잔 ITS 구축 사업과 몽골 ITS 사업, 카자흐스탄 우편물류사업을 수주했다. 2010년 미국 법인을 설립하였고 미국 FDC(First Data Corporation)와 함께 북미 지역을 대상으로 TSM 및 대규모 전자지갑(m-Wallet) 서비스 제공 계약을 체결했다. 2011년에는 구글에 TSM 솔루션을 제공, InComm과 공동 사업을 위한 업무 제휴를 맺었다.

2. 1. 지배구조 개편

SK그룹은 2003년 두바이 소재 자산운용사인 소버린 자산 매니지먼트(Sovereign Asset Management)와의 고위험 분쟁 이후, 한국 최대 정유회사였던 SK주식회사를 지주회사 체제로 재편하기로 결정했다. 이에 따라 SK홀딩스가 설립되었다.[2] 소버린은 사기 혐의로 유죄 판결을 받은 최태원 회장을 축출하는 데 실패했지만, SK는 행동주의 주주들의 추가적인 압력을 방지하기 위해 투명성과 기업 지배구조를 강화하려고 했다. 2007년 SK주식회사는 SK에너지와 SK홀딩스로 분할되었으며, SK에너지는 핵심 사업을 이어받고 SK홀딩스는 SK그룹 계열사들의 지분을 보유한 지주회사 역할을 하게 되었다.[2]

이러한 재편에도 불구하고 기업 지배구조의 불안정한 구조에 대한 우려가 꾸준히 제기되었다. SK홀딩스는 지주회사였지만, SK의 정보기술 서비스 제공업체인 SK C&C가 SK홀딩스 지분 31.8%를 보유하여 그룹을 지배하고 있었다. 이에 SK는 2015년 경영 구조를 간소화하기 위해 SK홀딩스와 SK C&C를 합병했다. 합병 전 최 회장의 SK홀딩스 지분은 0.02%에 불과했으나, 두 회사의 합병으로 최태원 회장과 그의 특수관계인들의 새로운 SK홀딩스 지분율이 30%를 넘게 되어 소유권이 강화되었다.[3][4]

2021년 SK홀딩스는 사명을 SK Inc.로 변경했다.[5]

3. 사업 부문

SK 주식회사 C&C는 국내 3위의 IT 서비스 기업으로, 시스템 통합(SI) 및 IT 아웃소싱 사업을 영위한다.[1]

SK그룹 관계사, 은행, 정부기관 등의 대형 전산 시스템 구축이 주력 사업이며, 통신, 반도체, 에너지/화학 산업 영역의 IT 서비스 수행 경험을 바탕으로 데이터 센터, 재해 복구 서비스, 네트워크 회선 등 B2B 고객이 필요로 하는 IT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1]

자회사로는 반도체 모듈 사업을 하는 에센코어가 있다. 과거 SK엔카라는 이름으로 중고차 사업을 벌이기도 했으나, 중고차 매매업이 중소기업 적합업종으로 지정됨에 따라 호주 카세일즈홀딩스에 매각했다. SK인포섹은 2018년 11월 SK텔레콤 자회사로 편입되었다.[1]

3. 1. 지주 부문

SK주식회사 홀딩스는 SK그룹의 지배구조 최상위에 위치하며, SK이노베이션, SK E&S, SK텔레콤, SKC, SK건설, SK네트웍스 등 288개의 종속회사를 지배하고 있다.

3. 2. 사업 부문

SK 주식회사 C&C는 국내 3위의 IT 서비스 기업으로, 시스템 통합(SI) 및 IT 아웃소싱(Outsourcing) 사업을 영위한다.

SK그룹 관계사를 비롯해 은행, 정부 기관 등의 대형 전산 시스템 구축이 주력 사업이다. 통신, 반도체, 에너지/화학 산업 영역의 IT 서비스 수행 경험을 바탕으로, 데이터 센터, 재해 복구 서비스, 네트워크 회선 등 B2B 고객이 필요로 하는 IT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반도체 모듈 사업을 하는 에센코어를 자회사로 두고 있다. 과거 SK엔카라는 이름으로 중고차 사업을 벌이기도 했으나, 중고차 매매업이 중소기업 적합업종으로 지정됨에 따라 호주 카세일즈홀딩스에 매각했다. 자회사인 SK인포섹은 2018년 11월 SK텔레콤 자회사로 편입되었다.

4. 본점 및 지점

참조

[1] 웹사이트 2021 SK Inc. SUSTAINABILITY REPORT https://www.skholdin[...] SK Inc. 2021-11-01
[2] 뉴스 SK Energy, SK Holdings gain in Seoul market debut https://www.reuters.[...] 2007-07-25
[3] 뉴스 SK Holdings, SK C&C to merge into holding unit https://koreajoongan[...] 2015-04-20
[4] 뉴스 SK to kick off new holding firm https://en.yna.co.kr[...] 2015-07-31
[5] 뉴스 SK Holdings to simplify name and business by selling assets in noncore area https://pulsenews.co[...] 2021-03-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