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TEPS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TEPS는 서울대학교에서 개발하여 1999년 처음 시행된 영어 능력 평가 시험이다. 듣기, 문법, 어휘, 독해 영역으로 구성되며, 2018년 New TEPS로 개정되었다. 시험 점수에 따라 1+등급에서 5등급까지 등급이 부여되며, 서울대학교 신입생의 영어 과목 수강 자격 평가에 활용된다. TEPS 외 i-TEPS, TEPS Speaking & Writing 시험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영어 교육 - 굿모닝 팝스
    1988년 2월 1일 KBS에서 첫 방송된 《굿모닝 팝스》는 팝 음악과 영화를 활용한 영어 학습 코너로 사랑받은 영어 교육 라디오 프로그램으로, 2024년 6월 30일 종방 후 《상쾌한 아침》의 코너로 명맥을 이어가고 있다.
  • 영어 교육 - TOEFL
    TOEFL은 영어가 모국어가 아닌 사람의 영어 능력을 평가하는 시험으로, 읽기, 듣기, 말하기, 쓰기 4개 영역으로 구성되어 대학 입학 등에 활용된다.
  • 영어 시험 - TOEIC Speaking
    TOEIC Speaking은 ETS에서 주관하는 영어 말하기 능력 평가 시험으로, OPIc, G-TELP Speaking 등과 비교 가능하며 Advanced High부터 Novice Low까지 다양한 등급으로 나뉜다.
  • 영어 시험 - TOEIC
    TOEIC은 국제적인 의사 소통, 특히 비즈니스 환경에서의 영어 활용 능력을 평가하는 시험으로, 미국 ETS사가 개발하여 전 세계적으로 시행되고 있으며, 대한민국에서는 기업 채용 시 평가 자료로 활용된다.
  • 서울대학교 - 서울대학교병원
    서울대학교병원은 1885년 제중원으로 시작하여 대한의원, 조선총독부의원을 거쳐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으로 개편 후 특수법인으로 전환되었으며, 현재 본원 외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서울특별시 보라매병원 등을 운영하며 국내외 의료 활동을 수행하는 대한민국 병원이다.
  • 서울대학교 - 경성제국대학
    경성제국대학은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가 설립한 대한제국 최초의 제국대학으로, 법문학부와 의학부를 시작으로 이공학부를 설치했으며, 광복 후 서울대학교에 흡수 통합되었다.
TEPS
기본 정보
약칭TEPS
종류지필식 표준 시험
시험 시행 기관서울대학교
시험 언어영어
시행 시작1999년
웹사이트TEPS 공식 웹사이트
시험 내용
평가 영역영어의 읽기, 듣기, 말하기, 쓰기 능력
기타 정보
시행 기관텝스관리위원회
시행 시작2001년

2. 역사

1992년 3월 서울대학교에서 영어 능력 시험 개발을 시작하여, 1998년 10월 시험 명칭을 TEPS로 변경하였다.[6] 1999년 1월부터 대한민국 전국에서 TEPS 시행을 시작하였으며, 같은 해 3월 대한민국 외교부에서 UN 기구의 주니어 전문직 채용 시험으로 TEPS를 채택하였다.[6]

2000년 1월 TEPS 온라인 접수를 시작하였고, 2006년 9월에는 최초의 한국 우주인 선발에 TEPS가 시행되었다.[6] 2008년 8월에는 TEPS-Speaking & Writing 시행이 시작되었다.[6]

2018년 5월 12일자 시험(248회)부터는 '''New TEPS'''('''뉴 텝스''')가 시행되었다.[6] 시험 시간은 1시간 45분, 문항수는 135문제, 만점은 600점으로 줄어들었다.[6] 청해 파트5와 독해 파트4에 1지문 2문항 유형도 도입되었다.[6] 이는 텝스 역사상 처음으로 이루어진 개편으로, 토익 등 해외 어학시험의 인기와 응시자 수는 늘어나는데 반해 텝스의 인기와 응시자 수가 줄어듦에 따라 수험생의 부담 경감을 위해 새롭게 개편되었다.[6]

3. 시험 구성과 배점

TEPS는 듣기, 문법, 어휘, 독해 영역으로 구성된다. 1999년 1월 처음 시행된 이후 2018년 5월 개편을 통해 문항 수, 시간, 배점 등이 변경되었다. TEPS는 1지문 1문항 원칙, 듣기 평가 시 읽기 자료 미제공 등의 특징을 가지며, 문항 반응 이론(IRT)을 적용하여 점수를 산출한다.

3. 1. 구 TEPS (1999년 1월 ~ 2018년 5월)

1999년 1월부터 대한민국 전국에서 시행된 구 TEPS는 원래 1000점이 만점이었으나, 문항 반응 이론(IRT)에 의해 990점이 만점이었다. 총 200문항으로, 듣기 60문항, 문법 50문항, 어휘 50문항, 읽기 40문항으로 구성되었다.[6]

구 TEPS의 가장 큰 특징은 1지문 1문항 원칙과 듣기 평가 시 읽기 자료가 제시되지 않는다는 점이었다. 이는 보기를 통해 정답을 유추하는 것을 방지하여 순수한 듣기 실력을 평가하기 위함이었다. 또한, TOEIC과는 달리 시험 중 다른 섹션으로 넘어가는 것이 불가능했다.

시험은 컴퓨터용 검정 사인펜을 사용하여 OMR카드에 답을 작성하고, 모든 문제는 4지선다형이었으며, 수정 테이프를 사용한 수정이 가능했다.

2008년 8월 3일 시행된 제97회 정기시험에서 예일여자고등학교 2학년 전하영이 200문항을 모두 맞혀 987점을 취득하여 2016년까지 최고 득점자로 알려졌다.[6] 2016년에는 처음으로 텝스 990점 만점자가 3명이나 나왔다.

구 TEPS의 각 영역별 문항 수, 시간, 배점은 다음과 같다.

영역문항 수시간배점
듣기60문항약 55분396점
문법50문항25분99점
어휘50문항15분99점
독해40문항45분396점
총계200문항약 2시간 20분 (약 140분)990점


3. 2. New TEPS (2018년 5월 ~ 현재)

2018년 5월 12일자 시험(248회)부터 '''New TEPS'''('''뉴 텝스''')가 시행되었다.[6] 시험 시간은 1시간 45분, 문항 수는 135문제, 만점은 600점으로 조정되었다. 청해 파트 5와 독해 파트 4에 1지문 2문항 유형도 새롭게 추가되었다. 이는 텝스 역사상 처음으로 이루어진 개편으로, 토익 등 해외 어학시험의 인기와 응시자 수는 늘어나는 반면 텝스의 인기와 응시자 수가 줄어듦에 따라 수험생의 부담을 줄이기 위해 개편되었다.

New TEPS의 각 영역별 구성은 다음과 같다.

영역문항 수시간배점파트 구성
청해40문항약 40분240점파트 1 (10문항), 파트 2 (10문항), 파트 3 (10문항), 파트 4 (6문항), 파트 5 (4문항, 1지문 2문항)
어휘30문항\multirow{2}{*}{25분}\multirow{2}{*}{120점}파트 1 (10문항), 파트 2 (20문항)
문법30문항파트 1 (10문항), 파트 2 (15문항), 파트 3 (5문항)
독해35문항40분240점파트 1 (10문항), 파트 2 (2문항), 파트 3 (13문항), 파트 4 (10문항, 1지문 2문항)


  • 청해: 5개의 파트, 40문항을 약 40분 동안 푼다. 시험지에 파트별 안내문 외에는 아무것도 없어 여백의 미로 유명하며, 문제를 푸는데 필요한 모든 요소는 듣기 자료로 제공된다. 파트 1, 2, 3에서는 지문, 질문, 보기를 한 번만 들려주지만, 파트 4에서는 지문과 질문을 두 번, 보기를 한 번만 들려준다. 파트 5는 1지문 2문항이 출제된다.[6]

  • 어휘 및 문법: 25분 동안 어휘 2개 파트 30문항, 문법 3개 파트 30문항을 푼다. 어휘와 문법은 각각의 유형은 분리되어도 시간은 통합되어 운영된다.

  • 독해: 40분 안에 35문항을 푼다. 1지문 1문항 원칙이 적용되지만, 파트 4는 1지문 2문항이 출제된다. 지문의 어휘 수준이나 난이도는 토익보다 어렵다.[6]

4. 등급 체계

TEPS는 1+등급부터 5등급까지 총 10개의 등급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구 TEPS는 990점 만점, New TEPS는 600점 만점으로 운영된다. 각 등급별 점수 및 의사소통 능력 수준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구 TEPS와 New TEPS 표를 참조하면 된다.

4. 1. 구 TEPS

등급점수
1+ 등급901-990점
1 등급801-900점
2+ 등급701-800점
2 등급601-700점
3+ 등급501-600점
3 등급401-500점
4+ 등급301-400점
4 등급201-300점
5+ 등급101-200점
5 등급10-100점


4. 2. New TEPS

등급점수의사소통 능력 수준설명
1+등급526~600점외국인으로서 최상급 (원어민 수준)교양있는 원어민에 버금가는 정도로 의사 소통이 가능하고 전문분야 업무에 대처할 수 있음[3]
1등급453~525점외국인으로서 최상급에 근접 (준원어민 수준)단기간 집중 교육을 받으면 대부분의 의사소통이 가능하고 전문분야 업무에 별 무리없이 대처할 수 있음[3]
2+등급387~452점외국인으로서 상급단기간 집중 교육을 받으면 일반 분야업무를 큰 어려움 없이 수행할 수 있음[3]
2등급327~386점외국인으로서 중상급중장기간 집중 교육을 받으면 일반분야 업무를 큰 어려움 없이 수행할 수 있음[3]
3+등급268~326점외국인으로서 중급중장기간 집중 교육을 받으면 한정된 분야의 업무를 큰 어려움 없이 수행할 수 있음[3]
3등급212~267점외국인으로서 중하급중장기간 집중 교육을 받으면 한정된 분야의 업무를 다소 미흡하지만 큰 지장 없이 수행할 수 있음[3]
4+등급163~211점외국인으로서 하급장기간의 집중 교육을 받으면 한정된 분야의 업무를 대체로 어렵지 않게 수행할 수 있음[3]
4등급111~162점4+등급과 유사4+등급과 유사[3]
5+등급55~110점외국인으로서 최하급단편적인 지식만을 갖추고 있어 의사소통이 거의 불가능함[3]
5등급0~54점5+등급과 유사5+등급과 유사[3]


5. 특징

1999년 1월부터 대한민국 전국에서 시행되고 있는 TEPS는 서울대학교에서 한국어 사용자를 대상으로 개발한 영어 능력 평가 시험이다. 의사소통 능력 평가와 암기에 의한 성적 향상 최소화를 목표로 설계되었다.[6]

TEPS가 다른 시험과 구별되는 가장 큰 특징은 다음과 같다.


  • 1지문 1문항 원칙: 보기의 지문을 통해 정답을 유추하는 것을 방지하여 순수한 실력을 평가한다.
  • 듣기 평가 시 읽기 자료 미제시: 순수한 듣기 실력을 평가하기 위해 어떠한 읽기 자료도 제시되지 않는다.
  • 시험 중 다른 섹션 문제 풀이 불가: TOEIC과는 달리, 듣기 평가 시간에 독해 문제를 풀거나, 어휘 시간에 문법 문제를 푸는 것이 불가능하다.


시험은 컴퓨터용 검정 사인펜을 사용하여 OMR 카드에 답을 적는 방식으로 진행되며, 모든 문제는 4지선다형이다. 수정 테이프를 사용한 수정이 가능하다. 대한민국에서는 매달 시험이 실시되며 응시 횟수에 제한은 없다.

TEPS는 문항 반응 이론(IRT)을 적용하여 채점하며, 영어 실력의 실용적인 기준과 학습 방향을 제시한다. TOEIC이 독과점하고 있는 영어 능력 평가 시장에서 점유율을 높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난이도가 높아 여전히 TOEIC이 시장(특히 취업 시장)에서 대다수를 점유하고 있다. 그러나 서울대학교 등 대학과 대학원 입학에는 TEPS가 독보적인 위치를 점유하고 있다.

2008년 8월 3일 시행된 제97회 정기시험에서 예일여자고등학교 2학년 전하영이 200문항을 모두 맞혀 987점을 취득하여 2016년까지 최고 득점자로 알려졌었다.[6] 2016년에는 처음으로 텝스 990점 만점자가 3명이나 나왔다.

2018년 5월 12일(248회)부터 New TEPS(뉴 텝스)가 시행되었다. 시험 시간, 문항 수, 만점이 변경되었으며, 1지문 2문항 유형이 도입되었다. 이는 텝스 역사상 처음으로 이루어진 개편으로, 수험생의 부담 경감을 위해 변경되었다.

구분구 TEPSNew TEPS
시험 시간(해당 없음)1시간 45분
문항 수200문항 (듣기 60, 문법 50, 어휘 50, 읽기 40)135문항 (듣기 40, 어휘 30, 문법 30, 독해 35)
만점990점600점
1지문 2문항 유형없음청해 파트5, 독해 파트4에 도입


6. 활용

TEPS는 대한민국에서 널리 활용되는 영어 능력 평가 시험이다. 특히, 서울대학교를 비롯한 여러 대학과 대학원에서 입학 전형 요소로 TEPS 성적을 반영하고 있다. 서울대학교는 신입생을 대상으로 매년 TEPS 특별시험을 실시하며, TEPS 시험 성적에 따라 신입생들의 교양필수 영어 과목 수강 자격을 부여한다.[7]

서울대학교 학사 규정에 따르면, 학사과정 학생은 TEPS 성적에 따라 '대학영어 1', '대학영어 2', '고급영어' 과목 중 한 과목 혹은 두 과목을 수강하여 2학점 혹은 4학점을 취득해야 한다.[5]

7. i-TEPS

TOEFL의 iBT와 비슷한 역할을 하는 시험으로, 기존 TEPS에 말하기, 쓰기 영역이 추가되었다.

'''듣기'''는 기존 TEPS처럼 안내문을 제외하고는 모두 백지 상태이다. 40문항에 80점이 만점이며, 제한시간은 35분이다.


  • 파트 1: 짧은 대화를 듣고 이어질 대화로 가장 적절한 답 고르기 (15문항)
  • 파트 2: 긴 대화를 듣고 질문에 가장 적절한 답 고르기 (15문항)
  • 파트 3: 담화를 듣고 질문에 가장 적절한 답 고르기 (10문항)


'''어휘/어구'''는 60문항에 40점이 만점이며, 제한시간은 20분이다.

  • 파트 1: 대화문의 빈칸에 가장 적절한 답 고르기 (15문항)
  • 파트 2: 단문의 빈칸에 가장 적절한 답 고르기 (15문항)
  • 파트 3: 대화문의 빈 칸에 가장 적절한 어휘 고르기 (15문항)
  • 파트 4: 단문의 빈 칸에 가장 적절한 어휘 고르기 (15문항)


'''독해'''는 35문항에 80점이 만점이며, 제한시간은 40분이다.

  • 파트 1: 지문을 읽고 빈칸에 가장 적절한 답 고르기 (10문항, 1지문당 1문항)
  • 파트 2: 지문을 읽고 질문에 가장 적절한 답 고르기 (19문항, 1지문당 1문항)
  • 파트 3: 지문을 읽고 질문에 가장 적절한 답 고르기 (6문항, 1지문당 2문항)


'''말하기'''는 11문항에 대한 답변이 만점이다.[4]

  • 파트 1: 간단한 질문에 답하기 (3문항, 답변 시간 10초)
  • 파트 2: 소리내어 읽기 (1문항, 준비 시간 30초, 답변 시간 45초)
  • 파트 3: 일상적인 대화 상황에 대한 질문에 답변하기 (5문항, 준비 시간 10초, 답변 시간 15초)
  • 파트 4: 질문을 뽑아 연결하여 답변하기 (1문항, 준비 시간 60초, 답변 시간 60초)
  • 파트 5: 차트를 보고 발표하기 (1문항, 준비 시간 120초, 답변 시간 90초)


'''쓰기'''는 3개의 단락으로 100점 만점이다.[4]

  • 파트 1: 받아쓰기 (10분)
  • 파트 2: 이메일에 답하기 (15분)
  • 파트 3: 논평 작성하기 (30분)

8. TEPS Speaking & Writing

TEPS Speaking은 11문항, 100점 만점으로 구성된다. 각 파트별 상세 정보는 다음과 같다.

파트구성문항 수준비 시간답변 시간
파트 1간단한 질문에 답하기3-10초
파트 2소리 내어 읽기130초45초
파트 3일상 대화 상황에서 질문에 답하기515초10초
파트 4그림 보고 연결하여 이야기하기160초60초
파트 5도표 보고 발표하기1120초90초



TEPS Writing은 3문항, 100점 만점으로 구성된다. 각 파트별 상세 정보는 다음과 같다.

파트구성시간
파트 1받아쓰기10분
파트 2이메일 답하기15분
파트 3의견 쓰기30분


참조

[1] 논문 Test Fairness and Validity of the TEPS 1999
[2] 웹사이트 Test of English Proficiency by Seoul National University http://en.teps.or.kr[...]
[3] 웹사이트 TEPS https://www.teps.or.[...] 2019-05-10
[4] 웹사이트 TEPS https://www.teps.or.[...] 2019-05-10
[5] 웹사이트 서울대학교 대학영어 CEP입니다 http://cep.snu.ac.kr[...] 2019-05-10
[6] 뉴스 텝스 10년 만에 첫 만점 예일여고 전하영양 http://www.hani.co.k[...] 한겨레 2008-08-18
[7] 웹사이트 TEPS 및 기초영어/대학영어1/대학영어2/고급영어 이수 안내 http://cep.snu.ac.kr[...] 2017-04-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