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TOEFL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TOEFL은 영어가 모국어가 아닌 사람들의 영어 능력을 평가하기 위해 개발된 시험으로, 미국 대학 입학 등에 활용된다. 1962년 국가 위원회에서 개발을 권고하여 1964년 처음 시행되었으며, 현재는 인터넷 기반 시험(iBT)이 주로 사용된다. 시험은 읽기, 듣기, 말하기, 쓰기 4개의 영역으로 구성되며, 각 영역별 점수를 합산하여 총점을 산출한다. TOEFL 점수는 대학 입학, 장학금 지원, 취업 등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되며, 시험 준비를 위한 다양한 공식 자료와 유료 자료가 제공된다. 시험의 객관성 및 공정성에 대한 비판과 함께, 과거 응시자 폭주로 인한 혼란이 발생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에듀케이셔널 테스팅 서비스 - TOEIC
    TOEIC은 국제적인 의사 소통, 특히 비즈니스 환경에서의 영어 활용 능력을 평가하는 시험으로, 미국 ETS사가 개발하여 전 세계적으로 시행되고 있으며, 대한민국에서는 기업 채용 시 평가 자료로 활용된다.
  • 에듀케이셔널 테스팅 서비스 - GRE (시험)
    GRE는 대학원 입학을 위한 표준화 시험으로, 언어 능력, 수리 능력, 추상적 사고 능력을 평가하며, ETS에서 주관하고 언어 추론, 수리 추론, 분석적 작문 영역으로 구성된다.
  • 영어 교육 - 굿모닝 팝스
    1988년 2월 1일 KBS에서 첫 방송된 《굿모닝 팝스》는 팝 음악과 영화를 활용한 영어 학습 코너로 사랑받은 영어 교육 라디오 프로그램으로, 2024년 6월 30일 종방 후 《상쾌한 아침》의 코너로 명맥을 이어가고 있다.
  • 영어 교육 - TEPS
    TEPS는 서울대학교에서 개발하고 텝스관리위원회에서 주관하는 영어 능력 평가 시험으로, 청해, 문법, 어휘, 독해 영역을 평가하는 기존 TEPS와 말하기와 쓰기 능력을 평가하는 TEPS Speaking & Writing, i-TEPS 시험도 운영하며 대한민국 외교부 UN 기구 채용 시험 채택, 서울대학교 신입생 교양필수 영어 과목 수강 자격 부여 기준으로 활용되는 등 공신력을 인정받고 있다.
  • 영어 시험 - TOEIC Speaking
    TOEIC Speaking은 ETS에서 주관하는 영어 말하기 능력 평가 시험으로, OPIc, G-TELP Speaking 등과 비교 가능하며 Advanced High부터 Novice Low까지 다양한 등급으로 나뉜다.
  • 영어 시험 - TEPS
    TEPS는 서울대학교에서 개발하고 텝스관리위원회에서 주관하는 영어 능력 평가 시험으로, 청해, 문법, 어휘, 독해 영역을 평가하는 기존 TEPS와 말하기와 쓰기 능력을 평가하는 TEPS Speaking & Writing, i-TEPS 시험도 운영하며 대한민국 외교부 UN 기구 채용 시험 채택, 서울대학교 신입생 교양필수 영어 과목 수강 자격 부여 기준으로 활용되는 등 공신력을 인정받고 있다.
TOEFL
시험 개요
명칭외국어로서의 영어 시험
영문 명칭Test of 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약칭TOEFL
종류인터넷 기반 또는 지필 방식의 표준 시험
주관 기관Educational Testing Service
평가 기술영어의 읽기, 듣기, 말하기 및 쓰기 능력
목적영어를 모국어로 하지 않는 사람들의 영어 능력 평가
시행 시작일1964년
시험 시간인터넷 기반 시험 (iBT): 2시간
지필 방식 시험: 2시간 25분
점수 범위iBT: 각 4개 영역별 0~30점 (1점 단위). 총점 0~120점
PBT: 읽기 0~30점, 듣기 0~30점, 쓰기 0~30점. 총점 없음
점수 유효 기간2년
시험 제공 횟수iBT: 연간 50회 이상
응시 제한iBT: 3일 이내 1회만 응시 가능
시험 장소190개 이상의 국가 및 지역의 4,500개 시험 센터
사용 언어영어
응시자 수230만 명
응시 자격공식적인 응시 자격은 없음. 영어를 모국어로 하지 않는 사람을 대상으로 함
응시료iBT: 국가에 따라 185달러 이상
점수 활용 기관150개 이상의 국가의 11,000개 이상의 대학, 기관 및 기타 기관
웹사이트공식 웹사이트
이미지
2024년부터 사용된 TOEFL 로고
로고

2. 역사

1962년, 미국 대학에서 공부하고자 하는 영어가 모국어가 아닌 사람들의 영어 능력 확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30개의 정부 및 민간 단체 대표들로 구성된 국가 위원회가 구성되었다. 이 위원회는 1963년부터 1965년까지 TOEFL 시험의 개발과 관리를 권고했다.[7]

이 시험은 처음에 응용언어학센터에서 스탠퍼드 대학교의 응용 언어학 교수인 찰스 A. 퍼거슨의 지휘하에 개발되었다.[8]

TOEFL 시험은 1964년 현대 언어 협회에 의해 처음 시행되었으며, 포드 재단과 댄포스 재단의 보조금으로 자금을 지원받았다.[7]

1965년, 칼리지 보드와 ETS는 TOEFL 시험 프로그램의 지속에 대한 책임을 공동으로 맡았다.[7]

1973년, ETS, 칼리지 보드, 그리고 대학원 기록 시험 자문 위원회 간에 이 프로그램을 감독하고 운영하기 위한 협력적인 합의가 이루어졌다. ETS는 TOEFL 위원회의 지침에 따라 시험을 관리하게 되었다.[7]

현재까지, 일부 영연방 국가 출신의 국제 학생들을 위한 대학 입학 기준은 TOEFL 시험 응시를 면제하고 있다. 영어가 사실상 공용어인 영어 사용 국가(대부분의 영연방 국가에서, 홍콩과 같은 과거 영국 식민지, 또는 필리핀, 푸에르토리코와 같은 미국의 옛 보호령)는 몇 가지 제한(예: 퀘벡 주민은 TOEFL을 응시해야 하지만 나머지 캐나다는 면제 - 또한 모잠비크 또는 나미비아와 같이 영어가 공용어이지만 인구의 3%가 사용하는 영연방 국가 포함)을 제외하고 TOEFL 면제를 자동적으로 부여한다. 그러나, 인도, 파키스탄, 방글라데시 등과 같이, 영어가 사실상 공용어임에도 불구하고, IELTS로 인해 앵글로스피어 밖의 일부 영연방 국가에는 적용되지 않는다.

3. 시험 유형

현재 주로 시행되는 시험은 인터넷 기반 시험(iBT, Internet-Based Testing)이다. iBT는 2005년부터 미국, 캐나다,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에서 기존의 컴퓨터 기반 시험(CBT, Computer-Based Testing)과 지필 기반 시험(PBT, Paper-Based Testing)을 대체하며 도입되기 시작했다.[41] 일본에서는 2006년 7월 15일부터 iBT가 도입되었다.[41] iBT는 인터넷을 통해 문제가 배포되며, 기존 CBT의 문법 섹션이 폐지되고 말하기 섹션이 추가되었다. 또한, 모든 섹션에서 노트 테이킹이 허용되는 등 변화가 있었다.[41]

과거에는 CBT와 PBT도 시행되었다. CBT는 2006년 9월 30일을 기점으로 폐지되었으며, 듣기, 구조(문법), 읽기, 쓰기 영역으로 구성되었다. PBT는 iBT 시행이 어려운 일부 지역에서 여전히 시행되고 있으며, 듣기, 구조 및 쓰기 표현, 읽기 평가 및 어휘, 작문 영역으로 구성된다.

3. 1. 인터넷 기반 시험(iBT)

iBT는 인터넷 기반 토플 시험(Internet-Based Testing)의 약자이다. 일부 아시아계 학생들이 토플에서 높은 점수를 받아도 실제 의사 소통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아지자, 문법 영역을 폐지하고 말하기 능력과 읽기/듣기/쓰기가 결합된 통합형 에세이가 시험에 반영되었다.[41] 2005년 미국에서 처음 시행되었고, 점차 다른 나라에도 시행되었다. 대한민국에서는 2006년 5월부터 시행되었다.[41]

초기에는 응시 지원자가 많아 접수 후 한 달 정도 기다려야 했지만, 현재는 대부분의 국가에서 매달 1~4회 시험을 진행하고 있다.[42][43] iBT는 읽기, 듣기, 말하기, 쓰기 4개의 영역으로 구성되며, 총 시험 시간은 약 2시간이다. 시험 도중 필기가 허용되며, 12일 이후에 재응시할 수 있다.[44]

대한민국에서 토플은 3대 공인영어시험(토익, 토플, 텝스) 중 가장 난이도가 높다고 알려져 있다. 2023년 읽기와 듣기 영역의 더미(Dummy) 문제가 폐지되었다.

영역iBT소요 시간
읽기 (Reading)2개 지문, 지문당 10개 문제35분
듣기 (Listening)5개 지문, 지문당 5–6개 문제36분
휴식 (Break)10분[45]
말하기 (Speaking)4개 과제, 4문제17분
쓰기 (Writing)2개 과제, 2문제29분


3. 1. 1. 읽기

읽기 영역은 2개의 지문으로 구성되며, 각 지문당 10개의 문제가 출제된다. 총 20문항을 35분 안에 풀어야 한다.[42] 지문은 학부 교재 수준의 학술적인 내용으로, 약 700단어 분량이다.[42] 원인-결과, 비교-대조, 논증 등 수사적 기능에 대한 이해를 요구하며, 주제, 세부사항, 추론, 필수 정보, 문장 삽입, 어휘력, 수사적 목적, 전체 내용 등에 관한 문제가 출제된다.[42] 표 채우기나 요약 완성 등 새로운 유형의 문제도 추가되었다.[42]

토플 읽기 영역은 상대평가 방식으로 진행되며, 지문에 나오지 않은 사전 지식은 정답과 관련이 없다.
문제 유형

  • 내용에 맞는 답을 클릭하는 문제
  • 내용에 맞지 않는 답을 클릭하는 문제
  • 어휘력 문제 (지문에서 발췌되어 강조 표시됨)
  • 필자의 의도, 지문의 숨겨진 의미를 예상하는 문제
  • 추가 문장을 여러 지정된 위치에 삽입하는 문항
  • 지문 전체의 내용을 파악하는 드래그 앤서 문제 (6개의 문장 중 3개 선택)

3. 1. 2. 듣기

듣기 영역은 5개의 지문(강의 3개, 대화 2개)으로 구성된다.[41] 강의는 지문당 6문제, 대화는 지문당 5문제로, 총 28문항이다.[41] 시험 시간은 36분이다.[41] 내용은 대학 강의 및 토론, 교수나 교직원과 학생 간의 대화 등 대학 환경을 배경으로 한다.[41]

미국식, 영국식, 호주식 발음이 섞여서 나온다.[41] 지문은 한 번만 들려주며, 수험생은 필기한 내용을 바탕으로 문제를 풀 수 있다.[41] 듣기 영역은 절대평가 방식으로 진행된다.[41]

강의는 학술적인 내용을 혼자서 강의하거나 학생들과 토론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41] 대화는 주로 교수나 교직원, 혹은 학생들 간의 대화로 구성된다.[41] 출제되는 문제 유형은 본문 주제, 세부 사항, 암시, 지식과의 관계, 정보 구성, 화자의 목적과 태도 등을 측정하는 것이다.[41]

3. 1. 3. 말하기

말하기 영역은 4개의 과제로 구성되며, 1개의 독립형 과제와 3개의 통합형 과제로 나뉜다.[46] 독립형 과제는 응시자에게 친숙한 주제에 대한 개인적인 의견을 묻는 질문에 답하는 형식이다. 응시자는 자신의 생각을 명확하고 조리 있게 말하는 능력을 평가받는다. 통합형 과제는 읽기/듣기 자료를 요약하거나, 듣기 자료를 요약하는 형식이다. 응시자는 읽거나 들은 내용을 적절하게 종합하고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능력을 평가받는다.[46] 2019년 개편 이후 문제 수는 4개, 소요 시간은 17분으로 줄었다.[46]

말하기 영역의 각 과제별 설명, 준비 시간, 답변 시간은 다음과 같다.

항목설명
개요먼저 대학 게시판이나 신문 등에 실린 100자 정도의 문장을 45초 동안 읽는다. ⇒ 그 내용에 관해 학생 두 명(드물게 한 명)이 의견을 제시한다. ⇒ 읽기, 듣기 내용을 요약하여 답변한다. 읽기 내용은 그다지 중요하지 않으며, 듣기 내용이 답변에 더 중요하다. 두 학생이 대화하는 경우, 한쪽이 의견을 제시하고 다른 한쪽은 질문한다. 주로 의견을 제시하는 학생의 내용이 문제로 출제된다.
참고 예제읽기·게시판: "다음 학기부터 모든 학생에게 체육을 필수 과목으로 한다" ⇒ 듣기·학생 A: "어떻게 생각해?" 학생 B: "반대야. 왜냐하면 그건 대학이 할 일이 아니고, 이미 나는 지역 축구팀에 소속되어 있어서 체육 따위는 필요 없어" ⇒ "학생 B의 의견을 말하시오"
준비 시간30초
최고 답변 시간60초
모범 정답읽기의 핵심 내용 ⇒ 대화의 핵심 내용 ⇒ 한 학생의 의견 (찬성·반대) 제시 ⇒ 그의 의견 1 ⇒ 의견 2



항목설명
개요먼저 학술적인 글을 45초 동안 읽고, 그와 동일한 내용의 강의를 교수가 진행 (듣기)한 후, 둘을 요약하여 답변한다. 읽기 내용보다 듣기 내용이 중요하다.
참고 예제읽기: 시장 비즈니스에 대한 내용 ⇒ 듣기: "시장에는 A와 B의 두 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 교수의 강의 개요를 설명하시오
준비 시간30초
최대 응답 시간60초
모범 답안읽기의 주요 내용 ⇒ 교수의 주요 내용 ⇒ 시장 A에 대한 내용 ⇒ 시장 B에 대한 내용



항목설명
개요교수의 강의를 듣고 내용을 요약한다. 문제로 출제되는 강의 시간은 짧지만, 듣기 수준은 본 시험의 듣기 영역과 동일하므로, 한번 놓치면 답변하기 어렵고, 많은 정보를 정확하게 처리해야 한다.
참고 예제듣기: "환경 문제는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 A, 그리고 B, 마지막으로 C" ⇒ 교수의 강의를 요약하시오
준비 시간20초
최고 답변 시간60초
모범 답변교수의 주제 (위의 예는 환경학) ⇒ 교수의 핵심 내용 (환경 문제) ⇒ A ⇒ B ⇒ C



답변은 마이크로 녹음되어 평가되며, 발음, 어휘, 문법, 속도, 질문 내용과의 일치성 등이 평가된다. 각 말하기 과제의 만점은 4점이며, 4개 과제의 평균 점수를 0점에서 30점으로 변환하여 최종 점수를 산출한다.

3. 1. 4. 쓰기

쓰기 영역은 학문적인 환경에서 영어 작문 능력을 측정하는 영역이다. 2개의 과제(통합형 1개, 학술 토론형 1개)로 구성되며, 총 29분 동안 진행된다.[12]

  • 통합형 과제 (20분): 학술적인 지문을 3분 동안 읽고, 같은 주제에 대한 강의를 2분 동안 듣는다. 그런 다음 강의 내용이 지문 내용을 어떤 식으로 반박하는지, 혹은 지지하는지 요약하여 작성한다.[47] 응시자는 읽기 지문의 핵심 내용과 강의 내용을 연관 지어 요약해야 한다.
  • 학술 토론형 과제 (10분): 2023년 토플 개편으로 새롭게 추가된 유형이다. 온라인 토론 포럼을 가정하여, 교수가 제시한 주제에 대해 다른 학생들의 의견을 참고하여 자신의 의견을 작성한다.[9] 단순히 개인적인 선호를 나열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의견과 선택을 제시하고 이를 뒷받침하는 내용을 작성해야 한다.


답변은 타이핑으로 입력한다. 각 답변의 만점은 5점이며, 두 답변의 평균 점수를 0점에서 30점으로 변환하여 채점한다. 점수 배분은 통합형 과제와 학술적 토론 과제 모두 1:1이다.

3. 2. 컴퓨터 기반 시험(CBT)

컴퓨터 기반 시험(CBT)은 2006년 9월 30일에 폐지되었다. CBT는 듣기, 구조(문법), 읽기, 쓰기 영역으로 구성되었다. 총점은 0~300점이었고, 쓰기는 0~6점으로 별도 채점되었다.

일본에서는 2006년 7월 15일부터 TOEFL iBT가 시행되었고, CBT는 2006년 9월 30일을 기점으로 완전히 폐지되었다.

3. 3. 지필 기반 시험(PBT)

PBT는 paper-based test의 준말로 종이로 시험을 치는 방식을 가리킨다. iBT가 불가능한 일부 지역 (주로 아프리카, 오세아니아 지역의 개발도상국)에 한해서 실시되고 있다. 응시자들은 온라인을 통해 지원하거나 등록양식을 작성하여 지원해야 한다. 시험장의 좌석수가 한정되어 있고 일찍 마감되기 때문에 등록을 일찍 해야 한다.

시험은 3시간 정도 소요되며, 모든 영역은 같은 날 응시한다. 응시자들은 원하는 만큼 시험에 여러 차례 응시할 수 있으나 대학들은 대체로 가장 최근의 점수를 요구한다.

시험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 '''듣기(30~40분):''' 3개의 파트로 구성되어 있다. 첫 번째 파트는 짧은 대화와 관련된 30문항이며, 두 번째 파트는 긴 대화내용의 8문항, 마지막 파트는 강의나 토론과 관련된 12문항이다. iBT와는 달리 듣기 음원이 나가는 동안에도 문제를 풀 수 있다.
  • '''구조 및 쓰기 표현(25분):''' 빈칸을 채우는 문제가 15개, 그리고 오류를 찾는 문제가 25개이다.
  • '''읽기 평가 및 어휘:''' 독해지문과 관련된 50개의 문제가 출제된다.
  • '''작문:''' 평균 250~300단어 분량의 에세이를 작성한다.

4. 시험 점수

대부분의 대학에서 TOEFL 점수를 입학 사정에 활용한다. 학부에 지원할 경우 대개 74.2점, 대학원에 지원할 경우 82.6점 이상이 요구된다. 한국에서는 카투사통역병 지원 시 TOEFL 성적을 제출할 수 있다. 한때 대한민국의 외국어 고등학교 입학 전형에 TOEFL 성적을 반영하기도 하였다.

대부분의 대학은 TOEFL 점수를 입학 과정의 한 요소로만 사용하며, 대학 또는 대학 내 프로그램은 종종 필요한 최소 TOEFL 점수를 설정한다. 최소 TOEFL iBT 점수는 64점(암스테르담 음악원)[18]에서 110점(옥스퍼드 대학교)[19]까지 다양하다. ETS는 iBT, CBT 및 PBT 점수 간의 변환 표를 발표했다.[20]

2023년 7월 26일에 전체 시험 시간이 약 3시간에서 약 2시간으로 단축되었을 때 새로운 형식의 문제가 도입되었다. 이 문제는 온라인 토론 포럼을 가정한 것으로, 교수의 주제에 대해 두 명의 학생이 작성한 답변을 읽은 후, 그들의 의견도 참고하여 자신의 의견을 답변하는 형식이다. 환경 과학, 교육, 경제, 경영, 사회, 공공 정책, 영화, 인적 자원 관리 등 폭넓은 분야에서 출제된다.

TOEFL iBT의 만점은 120점이며, 최저점은 0점이다. 각 섹션의 만점은 30점이다. 평가는 상대 평가로 이루어지며, 한 문제를 틀릴 때마다 1점씩 감점되는 방식이 아니다. 평균은 83점, 표준 편차는 20점이다.[38] 점수는 응시일로부터 2년간 유효하다. 메타 분석에 따르면, TOEFL 점수와 유학생의 성적 사이에는 미미한 상관관계만이 존재한다.[32]

득점 및 백분위[38]
점수백분위
120점100%
100점79%
80점39%
60점14%
40점3%



응시 후 약 6일 후에 온라인에서 점수를 확인할 수 있으며, 응시자 보관용 종이 점수 보고서(Test Taker Score Report)를 받으려면 온라인으로 신청해야 한다. 대학에 점수를 보낼 경우에는 ETS에서 직접 발송되는 Official Score Reports의 발송을 신청해야 한다.[33]

4. 1. iBT

iBT는 말하기 테스트와 통합형 에세이가 추가된 차세대 토플 시험이며, Internet-Based Testing의 준말이다. 일부 아시아계 학생들이 토플에서 높은 점수를 받아도 실제 의사 소통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아지자, 문법 영역을 폐지하고 말하기 능력과 읽기/듣기/쓰기가 결합된 통합형 에세이가 새로 시험에 반영되었다. 2005년 9월부터 미국에서 처음 시행되었고, 점차 다른 나라에도 시행되고 있다. 대한민국에서는 2006년 5월부터 시작되었다.[42][43]

처음에는 응시 지원자가 응시 가용인원보다 많았기 때문에 응시하려면 접수 후 한 달 정도를 기다려야 했던 적도 있었으나, 현재 대부분의 국가에서는 매달 1~4회 시험을 진행하고 있다. 4개의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4시간 30분 동안 풀어야 한다. 각 영역은 기본적인 언어 능력 및 고등 교육 환경에서 일어나는 언어 구사를 측정하는 데 초점을 맞춘다. 시험을 보는 동안 필기를 하는 것이 허용되며, 12일 이후에 재응시를 할 수 있다.[44] 노트 테이킹 용지는 시험이 끝난 뒤에는 모두 회수한다. 토플은 대한민국에서 볼 수 있는 3대 공인영어시험인 토익, 토플, 텝스 중에서 가장 난이도가 어렵다고 알려져 있다. 읽기와 듣기 영역에서는 더미(Dummy)도 나왔으나 2023년 폐지되었다.

영역iBT소요시간
읽기 (Reading)2개의 지문, 지문당 10개 문제35분
듣기 (Listening)5개의 지문, 지문당 5–6개 문제36분
휴식 (Break)10분[45]
말하기 (Speaking)4개 과제, 4문제17분
쓰기 (Writing)2개 과제, 2문제29분



대부분의 대학들은 TOEFL 점수를 입학 사정 때 활용한다. 대체로 학부에 지원할 경우 74.2점, 대학원에 지원할 경우 82.6점 이상이 요구된다. 한국에서는 카투사통역병 지원 시 TOEFL 성적을 제출할 수 있다. 한때 대한민국의 외국어 고등학교 입학 전형에 TOEFL 성적을 반영하기도 하였다.

총점은 0~120점이며, 각 영역별 0~30점으로 채점된다. 말하기는 0~4점으로, 쓰기는 0~5점으로 채점된 후 0~30점으로 환산된다.[16]

4. 2. PBT

총점은 310~677점이다. 듣기(31–68점), 구조(31–68점), 읽기(31–67점)로 구성되며, 쓰기는 별도(0~6점)로 채점된다.[17] PBT는 2017년 5월 말에 중단되었다.

4. 3. 점수 상관관계

ETS에서 발표한 iBT, PBT 점수 비교표는 다음과 같다. CBT 시험은 더 이상 제공되지 않는다.[20]

iBTPBT
120677
120673
119670
118667
117660-663
116657
114-115650-653
113647
111-112640-643
110637
109630-633
106-108623-627
105617-620
103-104613
101-102607-610
100600-603
98-99597
96-97590-593
94-95587
92-93580-583
90-91577
88-89570-573
86-87567
84-85563
83557-560
81-82553
79-80550
77-78547
76540-543
74-75537
72-73533
71527-530
69-70523
68520
66-67517
65513
64507-510
62-63503
61500
59-60497
58493
57487-490
56483
54-55480
53477
52470-473
51467
49-50463
48460
47457
45-46450-453
44447
43443
41-42437-440
40433
39430
38423-427
36-37420
35417
34410-413
33407
32400-403
30-31397
29390-393
28387
26-27380-383
25377
24370-373
23363-367
22357-360
21353
19-20347-350
18340-343
17333-337


5. 공식 시험 준비 자료

ETS는 TOEFL iBT 시험을 준비하는 수험생을 위해 무료 및 유료 자료를 제공한다.[27] 무료 자료에는 TOEFL iBT® 대화형 샘플 추출기, TOEFL iBT® Quick Prep, TOEFL iBT® 시험 문제, TOEFL iBT® 시험 준비 계획서 등이 있다. 유료 자료에는 TOEFL® 시험 공식 안내서, 공식 TOEFL iBT® 시험, http://toeflpractice.ets.org/ 토플 프랙티스 온라인(TPO) 등이 있다.

5. 1. 무료 자료

5. 2. 유료 자료

6. 비판

ETS가 공개한 쓰기 평가 기준은 모호한 표현으로 가득 찬 상투적인 내용이 대다수이며, 수험생에게 전달된 채점 점수에 대한 설명과 평가 역시 제공되지 않는 탓에 객관성과 공정성에 의문을 낳고 있다.

또한, 대한민국에서는 CBT에서 iBT로 변경되던 2005년 6월부터 수년 동안 응시자들의 폭주로 접수 사이트가 다운[49]되자, 시험 시간을 긴급히 늘리고, 응시자들이 토플 시험을 여러 번 미리 예약해 놓은 뒤, 인터넷을 통해 비싼 값에 양도하는 등의 일명 '''토플대란'''이 벌어졌다. 이에 ETS는 한국 지사 설립, 서버 및 시험장 확충, 그리고 PBT 시험 확대를 약속했으나 지지부진하였기 때문에 수험생들이 일본 등 다른 나라에 가서 시험에 응시하는 일도 있었다.[50]

7. 주요 국가의 토플 평균 점수

2011년 기사 기준[52] 주요 국가의 토플 평균 점수는 아래와 같으며, 2015년 자료는 [https://www.ets.org/s/toefl/pdf/94227_unlweb.pdf ETS]에서 확인할 수 있다.


8. TOEIC과의 비교

ETS에서 TOEIC도 주관하고 있다. TOEFL은 영어권 고등 교육 기관에서의 영어 의사 소통 능력 (강의 수강, 학술서 독해, 토론 참여 등)을 평가하며, 입학자 선발 기준으로 사용된다. 이에 반해 TOEIC은 비즈니스 영어 및 일상 회화를 주로 다룬다.

참조

[1] 웹사이트 Overview and Content for the Shorter TOEFL iBT® Test https://www.ets.org/[...] 2024-06-13
[2] 웹사이트 TOEFL: Paper-based Test: Frequently Asked Questions about the revised TOEFL Paper-delivered Test https://www.ets.org/[...] 2021-01-30
[3] 웹사이트 TOEFL iBT: About the Test http://www.ets.org/t[...] 2015-05-02
[4] 웹사이트 TOEFL iBT: Frequently Asked Questions https://www.ets.org/[...] 2015-05-02
[5] 웹사이트 Accepted and Preferred Worldwide https://www.ets.org/[...] 2021-07-14
[6] 웹사이트 TOEFL iBT: Scores http://www.ets.org/t[...] 2015-05-02
[7] 문서 Cf. ETS 2007 document "Test and Score Summary for TOEFL Internet Based Test: September 2005 – December 2006 Test Data", p.3, section "History of TOEFL Program"
[8] 뉴스 Memorial Resolution: Charles A. Ferguson (1921–1998) http://news.stanford[...] Stanford University 1999-05
[9] 웹사이트 TOEFL iBT® Enhancements Debuting July 2023 https://www.ets.org/[...] 2023-04-11
[10] 웹사이트 TOEFL iBT Locations and Dates https://www.ets.org/[...] 2015-05-02
[11] 웹사이트 TOEFL iBT: About the Test http://www.ets.org/t[...] 2015-05-02
[12] 웹사이트 How ETS Scores the TOEIC® Speaking and Writing Test Responses http://www.ets.org/M[...] 2010-01
[13] 웹사이트 Test Of 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http://www.ets.org/t[...] 2013-02-08
[14] 웹사이트 TOEFL: Paper-based Test: Test Content and Structure http://www.ets.org/t[...] 2015-05-02
[15] 웹사이트 Available Accommodations for the TOEFL iBT Test (For Test Takers) https://www.ets.org/[...] 2021-06-07
[16] 웹사이트 umasterexam.com – umasterexam Resources and Information. http://ww1.umasterex[...]
[17] 웹사이트 Prepare for the revised TOEFL Paper-delivered Test (For Test Takers) https://www.ets.org/[...] 2023-11-19
[18] 문서 CvA Language Certificate https://www.conserva[...]
[19] 문서 English language requirements http://www.ox.ac.uk/[...]
[20] 웹사이트 TOEFL® Internet-based Test Score Comparison Tables http://www.ets.org/M[...] 2006-11-16
[21] 웹사이트 TOEFL® ITP Assessments: Test Content http://www.ets.org/t[...] 2014-01-24
[22] 웹사이트 TOEFL® ITP Assessment Series http://www.ets.org/t[...] 2013-02-08
[23] 웹사이트 TOEFL iBT Score Comparison Tables https://www.etsgloba[...] 2005
[24] 웹사이트 TOEFL® Junior™ Tests Th http://www.ets.org/t[...] 2013-02-08
[25] 웹사이트 The TOEFL Primary Tests https://www.ets.org/[...] 2021-06-07
[26] 웹사이트 Scoring and Reporting of the TOEFL Primary Tests https://www.ets.org/[...] 2021-06-07
[27] 웹사이트 Linking TOEFL iBT Scores to IELTS Scores http://www.ets.org/s[...] ETS 2012-01-26
[28] 웹사이트 MEXT (Japanese Ministry of Education, Culture, Sports, Science) https://www.mext.go.[...] 2020-02-18
[29] 웹사이트 Compare TOEFL iBT Scores https://www.ets.org/[...] 2023-05-05
[30] 웹사이트 Duolingo English Test https://englishtest.[...] 2023-05-05
[31] 문서 ETS Japan合同会社 https://www.etsjapan[...]
[32] 논문 English Language Proficiency and Academic Achievement of International Students: A Meta-Analysis https://digitalcommo[...] 2010
[33] 문서 TOEFL iBT: Send Scores https://www.ets.org/[...]
[34] 문서 TOEFL/IELTS| 日本人対象応募資格・要項| 日米教育委員会 フルブライト・ジャパン https://www.fulbrigh[...]
[35] 문서 International Applications, Harvard Business School (MBA) http://www.hbs.edu/m[...]
[36] 웹사이트 Application Requirement, Said Business School (Full time MBA) http://www.sbs.ox.ac[...]
[37] 웹사이트 TOEFL: For Academic Institutions: Compare Scores https://www.ets.org/[...]
[38] 간행물 TOEFL iBT Test and Score Data Summary 2021 https://www.ets.org/[...]
[39] 뉴스 Memorial Resolution: Charles A. Ferguson (1921-1998) http://news.stanford[...] Stanford University 1999-05
[40] 웹인용 TOEFL iBT: About the Test https://www.ets.org/[...] 2017-01-05
[41] 웹인용 TOEFL iBT: Test Content https://www.ets.org/[...] 2017-01-05
[42] 웹인용 TOEFL iBT: Frequently Asked Questions https://www.ets.org/[...] 2017-01-05
[43] 웹인용 TOEFL iBT Locations and Dates http://www.ets.org/M[...] 2009-09-15
[44] 웹인용 TOEFL iBT: Frequently Asked Questions https://www.ets.org/[...] 2017-01-05
[45] 문서 일부 시험장에서는 5분 동안 나가 있다가 5분 동안 앉아서 준비하는 것을 허락한다. 2023년 폐지.
[46] 문서 실제로 응시자가 말을 하는 시간은 최대 3분 45초이다.
[47] 문서 예외적으로 강의가 지문에 동의하거나 강의가 지문에서 제기한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하는 경우도 있다.
[48] 웹인용 TOEFL: For Academic Institutions: Compare Scores https://www.ets.org/[...] 2017-01-05
[49] 뉴스 YTN 뉴스 - 2007년 6월 6일 http://www.ytn.co.kr[...]
[50] 뉴스 토플대란 그 후…'족집게 과외+해외 원정 시험' 패키지 불티 - 노컷뉴스 2007년 6월 13일 http://www.cbs.co.kr[...]
[51] 웹인용 The TOEFL Test: Find Your Format https://www.ets.org/[...] 2017-01-05
[52] 웹인용 “최근 6년간 토플 점수, 한국이 최대폭 상승” http://news.donga.co[...] 2016-10-01
[53] 뉴스 최근 6년간 토플 점수, 한국이 최대폭 상승 http://news.hankooki[...] 2012-07-2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