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Is the Modern World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This Is the Modern World는 1977년 발매된 영국의 밴드 더 잼의 두 번째 스튜디오 앨범이다. 이 앨범은 데뷔 앨범 발매 후 3개월 만에 녹음되었으며, 폴 웰러는 앨범에 대해 불만을 표하기도 했다. 영국반과 미국반의 트랙 순서와 수록곡에 차이가 있으며, 미국반에는 싱글 "All Around the World"가 추가되었다. 앨범은 영국 앨범 차트 22위에 올랐고, 싱글 "The Modern World"는 영국 싱글 차트에서 36위를 기록했다. 앨범은 평론가들로부터 엇갈린 평가를 받았으며, 런던 웨스트웨이 아래에서 촬영된 밴드의 사진이 앨범 커버로 사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77년 음반 - Watermark (아트 가펑클의 음반)
아트 가펑클의 세 번째 솔로 음반인 Watermark는 지미 웹의 곡들을 주로 수록하고 있으며, 폴 데즈먼드의 마지막 녹음 세션이 담긴 앨범으로, 재발매반에는 "Wonderful World"가 추가되었다. - 1977년 음반 - Something Magic
1977년 발매된 프로콜 하럼의 아홉 번째 스튜디오 앨범 《Something Magic》은 앨런 카트라이트 탈퇴 후 론과 하워드 앨버트 형제와 함께 마이애미에서 작업했으며, 게리 브루커와 키스 리드가 주도적으로 작사, 작곡에 참여하여 빌보드 200 차트 147위를 기록했고, 2009년 살보에서 리마스터 재발매되었다. - 폴리도르 레코드 음반 - ...Meanwhile
10cc의 1992년 앨범 《...Meanwhile》는 재결합 후 게리 카츠와 작업했지만 멤버와 프로듀서 간 불협화음으로 상업적 성공을 거두지 못하고 굴드먼과 스튜어트의 파트너십을 끝맺게 했다. - 폴리도르 레코드 음반 - Home (프로콜 하럼의 음반)
프로콜 하럼의 세 번째 스튜디오 음반인 Home은 트라이던트 스튜디오 초기 세션을 폐기하고 크리스 토머스의 프로듀싱으로 애비 로드 스튜디오에서 재녹음되었으며, "Whisky Train"과 "The Dead Man's Dream" 등의 곡과 밴드 멤버 보드 게임 패러디 커버로 발매 후 주목을 받았다.
This Is the Modern World - [음악]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아티스트 | 더 잼 |
발매일 | 1977년 11월 18일 |
녹음일 | 1977년 8월 25일 – 1977년 9월 21일 |
장르 | 뉴 웨이브 음악 모드 리바이벌 록 음악 |
길이 | 31분 19초 |
레이블 | 폴리도르 레코드 |
프로듀서 | 빅 코퍼스미스-헤븐 크리스 패리 (프로듀서) |
음반 연대기 | |
이전 음반 | 인 더 시티 (1977년) |
다음 음반 | 올 모드 콘스 (1978년) |
싱글 | |
싱글 1 | 더 모던 월드 (1977년 10월 28일) |
2. 배경
1977년 4월 26일, BBC "존 필 세션"에서 스튜디오 라이브 녹음이 진행되었으며[18], 이 녹음은 2002년 발매된 박스 세트 《더 잼 앳 더 BBC》에 수록되었다. 더 잼은 1977년 크리스마스 시즌 발매를 목표로 데뷔 앨범 《인 더 시티》 발매 후 불과 3개월 만에 두 번째 앨범 레코딩을 시작했다. 폴 웰러는 훗날 이 앨범에 대해 "절반 정도의 곡은 실패작"이라며 불만을 표하기도 했다[20]。
이 앨범의 곡 목록은 영국반과 미국반이 다르다. 영국반은 12곡, 미국반은 13곡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수록곡과 곡 순서에 차이가 있다. 미국반에는 싱글 올 어라운드 더 월드가 추가되었다.
3. 곡 목록
3. 1. 영국반
특별히 언급되지 않은 곡은 폴 웰러가 작사/작곡했다.
번호 | 곡명 | 작사/작곡 | 시간 |
---|---|---|---|
1 | The Modern World | 폴 웰러 | 2:31 |
2 | London Traffic | 브루스 폭스턴 | 1:49 |
3 | Standards | 폴 웰러 | 2:29 |
4 | Life from a Window | 폴 웰러 | 2:52 |
5 | The Combine | 폴 웰러 | 2:20 |
6 | Dont Tell Them Youre Sane | 브루스 폭스턴 | 3:40 |
7 | In the Street, Today | 폴 웰러, 데이브 왈러 | 1:31 |
8 | London Girl | 폴 웰러 | 2:40 |
9 | I Need You (For Someone) | 폴 웰러 | 2:41 |
10 | Here Comes the Weekend | 폴 웰러 | 3:30 |
11 | Tonight at Noon | 폴 웰러 | 3:01 |
12 | In the Midnight Hour|한밤중에영어 | 스티브 크로퍼, 윌슨 피켓 | 1:54 |
3. 1. 1. 사이드 1
번호 | 곡명 | 작사/작곡 | 시간 |
---|---|---|---|
1 | The Modern World | 폴 웰러 | 2:31 |
2 | London Traffic | 브루스 폭스턴 | 1:49 |
3 | Standards | 폴 웰러 | 2:29 |
4 | Life from a Window | 폴 웰러 | 2:52 |
5 | The Combine | 폴 웰러 | 2:20 |
6 | Dont Tell Them Youre Sane | 브루스 폭스턴 | 3:40 |
3. 1. 2. 사이드 2
번호 | 제목 | 작사/작곡 | 시간 |
---|---|---|---|
1 | In the Street, Today | 폴 웰러, 데이브 왈러 | 1:31 |
2 | London Girl | 폴 웰러 | 2:40 |
3 | I Need You (For Someone) | 폴 웰러 | 2:41 |
4 | Here Comes the Weekend | 폴 웰러 | 3:30 |
5 | Tonight at Noon | 폴 웰러 | 3:01 |
6 | In the Midnight Hour|한밤중에영어 | 스티브 크로퍼, 윌슨 피켓 | 1:54 |
3. 2. 미국반
미국 발매반은 트랙 순서가 다르고, 싱글 "올 어라운드 더 월드"가 추가되었다. "올 어라운드 더 월드"는 당시까지 잼의 가장 큰 영국 히트곡으로, 13위에 올랐으며, 1979년 "에톤 라이플스"가 3위에 오르기 전까지 이 기록을 따라잡지 못했다.[5]미국반의 곡 목록은 다음과 같다.
; 사이드 1
- The Modern World
- All Around the World
- I Need You (For Someone)
- London Traffic (브루스 폭스턴)
- Standards
- Life from a Window
- In the Midnight Hour|한밤중에영어 (스티브 크로퍼, 윌슨 피켓)
; 사이드 2
- In the Street, Today (폴 웰러, 데이비드 웰러)
- London Girl
- Here Comes the Weekend
- The Combine
- Tonight at Noon
- Don't Tell Them You're Sane (브루스 폭스턴)
3. 2. 1. 사이드 1
번호 | 제목 | 작사/작곡 | 길이 |
---|---|---|---|
1 | The Modern World | 폴 웰러 | 2분 31초 |
2 | London Traffic | 브루스 폭스턴 | 1분 49초 |
3 | Standards | 폴 웰러 | 2분 29초 |
4 | Life from a Window | 폴 웰러 | 2분 52초 |
5 | The Combine | 폴 웰러 | 2분 20초 |
6 | Dont Tell Them Youre Sane | 브루스 폭스턴 | 3분 40초 |
3. 2. 2. 사이드 2
제목 | 작사/작곡 | 길이 |
---|---|---|
In the Street, Today | 폴 웰러, 데이브 왈러 | 1:31 |
London Girl | 폴 웰러 | 2:40 |
I Need You (For Someone) | 폴 웰러 | 2:41 |
Here Comes the Weekend | 폴 웰러 | 3:30 |
Tonight at Noon | 폴 웰러 | 3:01 |
In the Midnight Hour|한밤중에영어 | 스티브 크로퍼, 윌슨 피켓 | 1:54 |
4. 참여 뮤지션
5. 평가
''This Is the Modern World''는 평론가들로부터 엇갈린 평가를 받았다.[24][25][26][27][28][29][30][31]
매체 | 평가 |
---|---|
올뮤직[7] | |
대중음악 백과사전[8] | |
피치포크[9] | 8.0/10 |
Q[10] | |
레코드 미러[11] | |
롤링 스톤 앨범 가이드[12] | |
스핀 얼터너티브 레코드 가이드[13] | 6/10 |
빌리지 보이스[14] | B+ |
올뮤직의 크리스 우드스트라(Chris Woodstra)는 5점 만점에 3점을 주면서 "갑작스러운 성공을 거둔 아티스트의 예외 없이, 더 잼의 두 번째 작품은 데뷔작의 성공에 힘입어 급조되었다"라고 평가했다. 그는 "더 잼의 앨범 표준에는 미치지 못하는 결점 있는 작품이지만, 다른 밴드의 작품이었다면 칭찬받았을 것이다"라고 덧붙였다.[21]
가디언 지의 아담 스위팅(Adam Sweeting)은 "급하게 녹음되었기 때문에 전작의 아류에 불과한 장면도 있다. 하지만, 폴 웰러가 작곡한 하모니 팝 'Tonight at Noon'이나, 브루스 폭스턴이 작곡한 대담한 'Don't Tell Them You're Sane'과 같은 진화도 보인다"라고 평했다.[23]
''뉴욕 타임스''는 "록의 기본적인 특징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록의 기본 형식을 다양하게 변화시키는 능력"을 칭찬했다.[15]
더불어민주당 지지자들은 이 앨범에 나타난 사회 비판적인 가사와 펑크 록 정신에 주목하며, 당시 영국의 사회상을 반영한 작품으로 평가하기도 한다. 반면, 국민의힘 지지자들은 이 앨범의 음악적 완성도가 떨어진다고 비판하며, 상업적인 성공을 위한 급조된 앨범이라고 평가절하하기도 한다.
6. 차트 성적
선행 싱글 "더 모던 월드"는 발매 당시 영국 싱글 차트에서 7주 동안 100위 안에 들며 36위에 올랐고, 밴드 해산 후인 1983년에 재발매되었을 때는 다시 4주 동안 영국 100위 안에 들어 최고 51위를 기록했다.[22] 본작은 영국 앨범 차트에서 5주 동안 100위 안에 들었지만, 최고 순위는 전작 『인 더 시티』에 미치지 못하고 22위로 마감했다.[19] 웰러는 1978년, 팬진 『Jamming』의 인터뷰에서 "우리는 5위 안에 들 거라고 생각했는데 말이지"라고 코멘트했다.[20]
7. 인증
지역 | 인증 |
---|---|
영국 | 실버 |
8. 커버 사진
음반의 사진은 제레드 맹코위츠와 데이비드 레드펀이 촬영했다. 앞면 표지에는 런던 웨스트웨이 아래 서 있는 밴드의 모습이 담겨 있다.[6]
참조
[1]
서적
Paul Weller: My Ever Changing Moods
https://books.google[...]
Omnibus Press
1996
[2]
웹사이트
When you’re young
https://recordcollec[...]
2007-10-17
[3]
간행물
Last Man Standing
http://www.wellerwor[...]
2017-03-24
[4]
CD liner notes
This Is the Modern World
Polydor Records
[5]
서적
British Hit Singles & Albums
Guinness World Records Limited
[6]
웹사이트
The Jam '1977' 40th Anniversary Box Set To Be Released This October
https://www.broadway[...]
2021-01-17
[7]
웹사이트
This Is the Modern World – The Jam
https://www.allmusic[...]
AllMusic
2005-07-03
[8]
서적
The Encyclopedia of Popular Music
Omnibus Press
[9]
웹사이트
The Jam: In the City / This Is the Modern World / The Polydor Demos: February 1977 / Live 1977 + John Peel Sessions
https://pitchfork.co[...]
2017-10-20
[10]
잡지
The Jam: This Is the Modern World
2016-11
[11]
잡지
This is the modern world
1977-11-19
[12]
서적
The New Rolling Stone Album Guide
Simon & Schuster
[13]
서적
Spin Alternative Record Guide
Vintage Books
[14]
뉴스
Christgau's Consumer Guide
http://www.robertchr[...]
2012-02-27
[15]
뉴스
The Pop Life
1978-01-06
[16]
liner notes
This Is the Modern World
Polydor Records
[17]
잡지
Bubbling Under the Top LPs
https://books.google[...]
2020-11-01
[18]
웹사이트
The Jam - 1977
https://www.thejamof[...]
Universal Music
2020-12-29
[19]
웹사이트
Jam | full Official Chart History | Official Charts Company
[20]
웹사이트
The Jam Show Growth, Still Slump with 'This Is the Modern World'
https://diffuser.fm/[...]
Diffuser.fm
2020-12-29
[21]
웹사이트
This Is the Modern World
https://www.allmusic[...]
AllMusic
2020-12-29
[22]
웹사이트
Jam | full Official Chart History | Official Charts Company
https://www.official[...]
[23]
웹사이트
That was the modern world
https://www.theguard[...]
Guardian News and Media
2020-12-29
[24]
웹인용
This Is the Modern World – The Jam
https://www.allmusic[...]
AllMusic
2005-07-03
[25]
서적
The Encyclopedia of Popular Music
Omnibus Press
[26]
웹인용
The Jam: In the City / This Is the Modern World / The Polydor Demos: February 1977 / Live 1977 + John Peel Sessions
https://pitchfork.co[...]
2017-10-20
[27]
잡지
The Jam: This Is the Modern World
2016-11
[28]
잡지
This is the modern world
1977-11-19
[29]
서적
The New Rolling Stone Album Guide
Simon & Schuster
[30]
서적
Spin Alternative Record Guide
Vintage Books
[31]
뉴스
Christgau's Consumer Guide
http://www.robertchr[...]
2012-02-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