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VFTS 352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VFTS 352는 타란툴라 성운 내에 위치한 O형 별 쌍성계이다. 2011년 VLT 망원경을 이용한 관측으로 발견되었으며, VLT-FLAMES Tarantula Survey의 352번째 목표 천체라는 의미로 이름 붙여졌다. 두 별은 서로의 표면과 외층을 공유하며 1.124143일 주기로 공전하며, 두 별의 중심은 1200만 km밖에 떨어져 있지 않다. VFTS 352는 물질을 공유하는 접촉쌍성으로, 두 별을 이루는 물질의 30%가 공유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연성은 수명이 짧아 관측이 드물며, 향후 두 별이 합쳐져 감마선 폭발을 일으키거나, 각자 초신성 폭발을 거쳐 블랙홀 쌍성계를 형성할 가능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타란툴라 성운 - R136a1
    R136a1은 대마젤란은하 타란툴라 성운에 있는 가장 밝고 질량이 큰 별 중 하나로, 태양 질량의 약 197배, 밝기는 805만 배에 달하며 강력한 항성풍으로 질량을 잃고 쌍불안정형 초신성으로 생을 마감할 것으로 추정되는 울프-레이에 별이다.
  • 타란툴라 성운 - R136
    타란툴라 성운 중심부에 위치한 R136은 태양 질량의 약 45만 배에 달하는 거대한 성단으로, 높은 별의 밀도와 WNh형 별, O형 초거성 등 질량이 큰 별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타란툴라 성운의 주요 에너지원으로서 향후 구상 성단으로 진화할 가능성이 있다.
  • O형 주계열성 - 오리온자리 세타1 C
  • O형 주계열성 - HD 150136
    HD 150136은 뱀주인자리에 위치한 삼중성계로, 2.6일 주기로 공전하는 O3 및 O6 분광형의 주계열성 분광쌍성을 주성으로 가지며 엑스선 방출량이 높고 숨겨진 세 번째 구성원의 존재 가능성이 제기되었으며, 워싱턴 이중성 목록에 7개의 시각적 구성 요소와 밝은 동반성 HD 150135가 등재되어 있다.
  • 대마젤란 은하의 항성 - R136a1
    R136a1은 대마젤란은하 타란툴라 성운에 있는 가장 밝고 질량이 큰 별 중 하나로, 태양 질량의 약 197배, 밝기는 805만 배에 달하며 강력한 항성풍으로 질량을 잃고 쌍불안정형 초신성으로 생을 마감할 것으로 추정되는 울프-레이에 별이다.
  • 대마젤란 은하의 항성 - WOH G64
    WOH G64는 대마젤란 은하에 있는 밝은 적색 초거성으로, 가스와 먼지로 둘러싸여 있고 반지름은 태양의 약 1,540배이며, 초신성 폭발 직전 단계로 추정되지만 정확한 물리적 특성과 진화 단계, 동반성 존재 여부는 논쟁 중이다.
VFTS 352
기본 정보
가장 뜨겁고 거대한 접촉 쌍성 상상도
가장 뜨겁고 거대한 접촉 쌍성 상상도 (출처: ESO / L. Calçada)
별자리황새치자리
겉보기 등급14.38
위치 정보
거리약 160,000 광년 (~49,000 파섹)
물리적 특징
반지름 (평균)7.22 ± 0.02 / 7.25 ± 0.02 R☉
질량28.63 ± 0.30 / 28.85 ± 0.30 M☉
분광형O4.5 V(n)((fc)):z: / O5.5 V(n)((fc)):z:
표면 중력15 / 15 G
표면 온도42,540 ± 280 / 41,120 ± 290 K
나이3.4 ± 0.2 / 2.4 ± 0.2 백만 년
궤도 정보
주기1.124143 일
이심률0.012
궤도 경사55.60°
궤도 장반축17.55 R☉
기타 명칭
다른 이름2MASS J05382845-6911191, IRSF J05382846-6911192

2. 발견

VFTS 352는 2011년 VLT를 이용한 타란툴라 성운 관측 프로젝트(VLT-FLAMES Tarantula Survey) 중에 처음 발견되었다. 이 프로젝트 이름의 머리글자와 관측 목록상 352번째 천체라는 의미를 합쳐 VFTS 352라는 명칭이 붙여졌다. 이후 2015년 추가적인 관측을 통해 두 개의 뜨거운 O형 별로 이루어진 쌍성계라는 사실이 확인되었다.

2. 1. 초기 관측

2011년, VLT의 다중 천체 고분산 분광 장치 (FLAMES)를 사용한 타란툴라 성운 내 대질량 별의 포괄적인 분광 관측을 통해 발견되었다. 관측 계획 "'''V'''LT-'''F'''LAMES '''T'''arantula '''S'''urvey"의 머리글자에, 목표 천체의 352번째임을 더하여, "VFTS 352"로 불리게 되었다.

VLT를 이용한 추가 분광 관측과 측광 관측을 통해, 2015년에 이 천체가 O형 별끼리의 쌍성계임이 발견되었다.

2. 2. 명칭 유래

2011년, VLT의 다중 천체 고분산 분광 장치 (FLAMES)를 사용한 타란툴라 성운 내 대질량 별의 포괄적인 분광 관측을 통해 발견되었다. 관측 계획 "'''V'''LT-'''F'''LAMES '''T'''arantula '''S'''urvey"의 머리글자에, 목표 천체의 352번째임을 더하여, "VFTS 352"로 불리게 되었다.

VLT를 이용한 추가 분광 관측과 측광 관측을 통해, 2015년에 이 천체가 O형 별끼리의 쌍성계임이 발견되었다.

2. 3. 추가 관측 및 쌍성계 확인

2011년, VLT의 다중 천체 고분산 분광 장치 (FLAMES)를 사용한 타란툴라 성운 내 대질량 별의 포괄적인 분광 관측을 통해 발견되었다. 관측 계획 "'''V'''LT-'''F'''LAMES '''T'''arantula '''S'''urvey"의 머리글자에, 목표 천체의 352번째임을 더하여, "VFTS 352"로 불리게 되었다.

VLT를 이용한 추가 분광 관측과 측광 관측을 통해, 2015년에 이 천체가 O형 별끼리의 쌍성계임이 발견되었다.

3. 쌍성계 특징

VFTS 352는 두 별이 매우 가깝게 붙어 서로의 물질을 공유하는 접촉쌍성이다. 이러한 형태의 쌍성계는 수명이 짧아 관측하기 매우 드물다.[11]

3. 1. 접촉쌍성

이 연성계는 서로의 표면과 외층을 공유하며 1.124143일로 공전하고 있다. 서로의 별 중심은 1200만km밖에 떨어져 있지 않다[11]。일반적으로 접촉 연성의 경우, 작은 쪽의 별이 큰 쪽의 별의 물질을 흡수하지만, VFTS 352의 경우에는 쌍방의 별의 질량에 거의 차이가 없기 때문에, 그러한 현상은 발생하지 않고, 물질을 공유하는 상태로 생각된다. 추산 결과, 쌍방의 별을 이루는 물질의 30%가 공유되고 있다는 결과가 나왔다[11]

이러한 연성은 수명이 매우 짧기 때문에, 관측되는 것은 매우 드물다[11]

3. 2. 물질 공유

이 연성계는 서로의 표면과 외층을 공유하며 1.124143일의 주기로 공전하고 있다. 두 별의 중심은 약 1200만 km 떨어져 있다.[11] 일반적으로 접촉 연성에서는 질량이 작은 별이 큰 별의 물질을 흡수하지만, VFTS 352는 두 별의 질량이 거의 비슷하여 이런 현상이 일어나지 않는다. 대신 두 별이 물질을 서로 공유하는 상태인 것으로 여겨진다. 추산에 따르면, 두 별을 이루는 물질의 약 30%가 공유되고 있다.[11]

이처럼 물질을 공유하는 연성계는 수명이 매우 짧기 때문에 관측되는 경우가 매우 드물다.[11]

3. 3. 짧은 수명

이러한 연성은 수명이 매우 짧기 때문에, 관측되는 것은 매우 드물다.[11]

4. 진화 경로 및 미래

VFTS 352의 미래 진화 경로에 대해서는 두 가지 주요 시나리오가 예측된다. 하나는 두 항성이 합쳐져 감마선 폭발로 이어지는 경우이고, 다른 하나는 각각 블랙홀로 진화하여 중력파를 발생시키는 쌍성계를 형성하는 경우이다.[11]

4. 1. 항성 합병 및 감마선 폭발

VFTS 352의 미래에 대해서는 두 가지 가능성이 제기된다. 첫 번째는 두 항성이 최종적으로 합쳐져 빠르게 회전하는 하나의 거대한 별이 된다는 것이다.[11] 이 경우, 합쳐진 별은 마지막에 붕괴하면서 긴 감마선 폭발을 일으킬 수 있다.

다른 하나는 두 항성의 물질이 잘 섞일 경우, 일반적인 항성 진화 과정과 달리 각자 작은 크기를 유지하며 완전히 합쳐지지 않고 진화를 계속하다가 초신성 폭발을 통해 각각 블랙홀로 변하고, 이 블랙홀들이 쌍성계를 이룰 것이라는 예측이다. 이 시나리오에서는 생성된 블랙홀 쌍성계가 중력파의 중요한 발생원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11]

4. 2. 블랙홀 쌍성계 형성 및 중력파

VFTS 352의 미래에 대해서는 두 가지 가설이 있다.

첫 번째는 두 항성이 최종적으로 합체하여 빠르게 회전하는 하나의 거대한 항성이 된다는 것이다.[11] 이 경우, 합체된 항성은 마지막에 붕괴하면서 긴 지속 시간을 가진 감마선 폭발을 일으킬 수 있다.

두 번째는 두 항성이 잘 섞이면서 일반적인 항성 진화 경로를 벗어나, 완전히 합체하지 않고 각자 진화를 계속하는 경우이다. 이 시나리오에서는 각 항성이 초신성 폭발을 거쳐 블랙홀로 변하고, 최종적으로 블랙홀 쌍성계가 형성된다. 이렇게 형성된 블랙홀 쌍성계는 중력파의 중요한 발생원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11]

참조

[1] 논문 VizieR Online Data Catalog: 2MASS All-Sky Catalog of Point Sources (Cutri+ 2003) http://vizier.u-stra[...]
[2] 논문 The VLT-FLAMES Tarantula Survey. I. Introduction and observational overview 2011-06
[3] 논문 The VLT-FLAMES Tarantula Survey. XIV. The O-type stellar content of 30 Doradus
[4] 웹사이트 Final Kiss of Two Stars Heading for Catastrophe http://www.eso.org/p[...] 2015-10-15
[5] 논문 Discovery of the Massive Overcontact Binary VFTS 352: Evidence for Enhanced Internal Mixing
[6] 뉴스 Final kiss of two stars heading for catastrophe http://astronomynow.[...] 2015-10-21
[7] 논문 Constraining the Overcontact Phase in Massive Binary Evolution I. Mixing in V382 Cyg, VFTS 352, and OGLE SMC-SC10 108086
[8] 웹사이트 Final Kiss of Two Stars Heading for Catastrophe https://www.eso.org/[...] ESO 2015-10-21
[9] 웹사이트 2MASS J05382845-6911191 -- Spectroscopic binary https://simbad.u-str[...] CDS
[10] 간행물 Discovery of the Massive Overcontact Binary VFTS 352: Evidence for Enhanced Internal Mixing 2015-10
[11] 웹사이트 블랙홀連星誕生か、珍しい過剰接触連星 http://www.astroarts[...] AstroArts 2015-10-27
[12] 간행물 The Tarantula Massive Binary Monitoring. I. Observational campaign and OB-type spectroscopic binaries 2017-02
[13] 간행물 The VLT-FLAMES Tarantula Survey. I. Introduction and observational overview 2011-06
[14] 웹인용 Final Kiss of Two Stars Heading for Catastrophe http://www.eso.org/p[...] 2015-10-15
[15] SIMBAD 2MASS J05382845-6911191 -- Spectroscopic binary http://simbad.u-stra[...] 2015-11-29
[16] 저널 DISCOVERY OF THE MASSIVE OVERCONTACT BINARY VFTS 352: EVIDENCE FOR ENHANCED INTERNAL MIXING http://iopscience.io[...] 2015-10-13
[17] 뉴스 Final kiss of two stars heading for catastrophe http://astronomynow.[...] 2015-10-21
[18] arstechnica Massive stars are so close that they’re touching http://arstechnica.c[...] 2015-10-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